KR200400510Y1 - 창문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0Y1
KR200400510Y1 KR20-2005-0024527U KR20050024527U KR200400510Y1 KR 200400510 Y1 KR200400510 Y1 KR 200400510Y1 KR 20050024527 U KR20050024527 U KR 20050024527U KR 200400510 Y1 KR200400510 Y1 KR 200400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casing
connecting ro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진
Original Assignee
김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진 filed Critical 김승진
Priority to KR20-2005-0024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창문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창틀에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되는 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 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는 창문의 개폐방향을 따라 장방형상의 이동로를 형성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이동로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창문을 창틀로부터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창문을 연결하여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창문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동용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 자동 개폐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of window}
본 고안은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된 창문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창문을 개폐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게 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거실 또는 발코니 등에 설치된 창문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열고 닫는 방식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실내 온도 조절이나 환기를 위해 상기 창문을 열고 닫을 경우에는 반드시 사람이 수동으로 개폐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창문을 개폐할 경우, 성인의 경우에는 별 무리 없이 개폐할 수 있는 반면 노약자나 어린이 특히 환자의 경우에는 수동으로 창문을 개폐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창문을 좀 더 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자동 창문 개폐장치들이 제안되어 있다. 일예로서 구동수단을 작동시킴에 의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자동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여러 가지의 자동시스템은 모두 창문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구조로서, 즉 창문의 제작과정에서 창문과 함께 일체형으로 제작됨에 의해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동시스템에서 어느 일부분이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보수 과정에서의 분해 및 조립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현재 설치되어 있는 창문은 대부분이 수동으로 개폐되는 구조인데, 위와 같은 자동시스템으로 교체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창문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틀에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되는 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 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는 창문의 개폐방향을 따라 장방형상의 이동로를 형성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이동로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창문을 창틀로부터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창문을 연결하여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창문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동용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어느 일측으로 위치되게 설치한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는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기 케이싱의 다른 일측부에 위치되게 설치한 종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와 구동롤러에 설치되어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소정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체는 양단부가 창문과 이동체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ㄷ"형상의 제1연결봉과 상기 제1연결봉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창문에만 결합 고정되는 "ㄴ"형상의 제2연결봉 및 상기 제1,제2연결봉을 일체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봉의 상단부와 제1연결봉의 중간부에 양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수평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체는 양단부가 창문과 이동체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ㄷ"형상의 연결봉이며 적어도 한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구비되는 와이어에 이동체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은 창틀(12)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좌우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되는 창문(10)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케이싱(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싱(110)은 상기 창문(10)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 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는 창문(10)의 개폐방향을 따라 장방형상의 이동로(1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창문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구동수단(12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동수단(120)이 내장된 케이싱(110)을 상기 창문(10)의 상측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수동으로만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120)은 모터(122), 구동롤러(124a), 종동롤러(124b), 와이어(126) 및 이동체(128)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122)는 케이싱(110)의 어느 일측으로 위치되게 배치되어 설치되며, 이 모터(122)에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동롤러(124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종동롤러(124b)는 구동롤러(124a)와는 소전 간격을 이루게 상기 케이싱(110)의 다른 일측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이러한 구동롤러(124a)와 종동롤러(124b)에 상기 와이어(126)가 설치되어 무한궤도 운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128)는 와이어(126)의 소정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와이어(126)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왕복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체(128)에는 창문(10)에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132)가 결합 고정되어 창문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120)에 구비되는 모터(122)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부 및 스위치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전원부 및 스위치는 통상 이용하는 기술로서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구동수단(120)에 의해 상기 창문(10)을 왕복 이동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연결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수단(130)은 창문(10)과 이동체(128)에 결합되는 연결체(132) 및 상기 연결체(132)를 창문(10)과 이동체(128)에 각각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너트(134a,13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체(132)는 케이싱(110)에 형성한 이동로(112)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 왕복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132)를 창문(10)과 이동체(128)에 각각 결합 고정하기 위해 상기 창문(10)과 이동체(128)에는 각각 고정공(10a,128a)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체(132)를 너트(134a,134b)로 체결하기 위해 연결체(132)의 양단부에는 각각 나선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고정공(10a,128a)을 통해 관통되게 연결체(128)의 단부를 삽입 한 상태에서 너트(132a,132b)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동으로 개폐되는 창문(10)의 상측부에 설치하여 창문(10)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체(132)를 창문(10)과 이동체(128)에 결합 고정함에 의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체(132)를 창문(10)과 이동체(128)에 고정한 상태에서 모터(122)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롤러(124a)와 종동롤러(124b)가 회전되어 와이어(126)가 무한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126)에 이동체(128)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128)에는 창문(10)과 연결된 연결체(132)가 결합 고정되어 있어 창문(10)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켜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구동수단(120)에 구비되는 구동롤러(124a)와 종동롤러(124b)의 간격을 좁게 하기 위해, 상기 연결체(132)의 하부는 창문의 양측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결합되게 하고, 연결체(132)의 상부는 한곳에서만 이동체(128)에 결합되게 함이 좋다.
이와 같이 고정하기 위한 상기 연결체(132)는 양단부가 창문(10)과 이동체(128)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ㄷ"형상의 제1연결봉(132a)과 상기 제1연결봉(132a)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창문(10)에만 결합 고정되는 "ㄴ"형상의 제2연결봉(132b) 및 상기 제1,제2연결봉(132a,132b)을 일체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봉(132b)의 상단부와 제1연결봉(132a)의 중간부에 양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수평봉(132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체(132)가 결합되는 이동체(128)를 상기 와이어(126)에 견고하기 고정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고정한다. 도 4표시와 같이 상기 와이어(126)를 감싸도록 이동체(128)를 설치한 후, 상기 이동체(128)를 관통하도록 체결나사(129)를 결합하여 와이어(126)에 고정함에 의해 와이어(126)와 이동체(128)를 일체형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와이어(126)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체(128)가 이동되므로, 상기 이동체(128)에 결합 고정된 연결체(132)에 의해 창문(10)을 개폐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창문 자동 개폐장치는 구동수단(120)의 구성만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구동수단(120)에서 와이어를 사용하는 대신에 타이밍 벨트(126a)를 사용한 점이 상이하며, 상기 타이밍 벨트(126a)를 사용하기 위해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역시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로 변경 사용하였다. 그 밖의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로 표시하였고, 작용 효과 역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창문 자동 개폐장치는 연결체(132)의 형상만이 위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연결체(132)는 양단부가 창문(10)과 이동체(128)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ㄷ"형상의 연결봉(132d)이며 적어도 한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된다. 그 밖의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로 표시하였고, 작용 효과 역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체(132)을 다수개 설치하여 상기 연결체(132)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되는데, 이때 상기 타이밍 벨트(126a)의 길이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보다는 길게 형성하여야만 창문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결체(132)의 이동 거리에 의해 타이밍 벨트의 길이가 결정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창문에 설치하여 상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함은 물론 가격이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구비되는 와이어에 이동체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케이싱 112 - 이동로
120 - 구동수단 122 - 모터
124a - 구동롤러 124b - 종동롤러
126 - 와이어 128 - 이동체
130 - 연결수단 132 - 연결체

Claims (4)

  1. 창틀에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되는 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 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는 창문의 개폐방향을 따라 장방형상의 이동로를 형성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이동로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창문을 창틀로부터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창문을 연결하여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창문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동용 연결체를 포함하는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어느 일측으로 위치되게 설치한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는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기 케이싱의 다른 일측부에 위치되게 설치한 종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와 구동롤러에 설치되어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소정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양단부가 창문과 이동체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ㄷ"형상의 제1연결봉과 상기 제1연결봉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창문에만 결합 고정되는 "ㄴ"형상의 제2연결봉 및 상기 제1,제2연결봉을 일체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봉의 상단부와 제1연결봉의 중간부에 양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수평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양단부가 창문과 이동체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ㄷ"형상의 연결봉이며 적어도 한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KR20-2005-0024527U 2005-08-25 2005-08-25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200400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527U KR200400510Y1 (ko) 2005-08-25 2005-08-25 창문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527U KR200400510Y1 (ko) 2005-08-25 2005-08-25 창문 자동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243A Division KR20070023915A (ko) 2005-08-25 2005-08-25 창문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0Y1 true KR200400510Y1 (ko) 2005-11-08

Family

ID=4370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527U KR200400510Y1 (ko) 2005-08-25 2005-08-25 창문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948B1 (ko) * 2009-10-12 2010-06-03 주식회사 씨쓰리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101075734B1 (ko) 2009-08-03 2011-10-21 장영근 자동문 개폐장치
KR102329575B1 (ko) 2020-12-21 2021-11-22 주식회사 칠원창호나라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734B1 (ko) 2009-08-03 2011-10-21 장영근 자동문 개폐장치
KR100960948B1 (ko) * 2009-10-12 2010-06-03 주식회사 씨쓰리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102329575B1 (ko) 2020-12-21 2021-11-22 주식회사 칠원창호나라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3915A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200400510Y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JPH1047746A (ja) 空気調和機の吐出口開閉装置
DE50205585D1 (de) Fenster-oder türaufbau
US6827121B2 (en) Assembly power curtain
US20130205670A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barrier
KR101847682B1 (ko) 가구힌지용 가동형 취부판
JP2004527710A (ja) 電気モータ式の調節装置
CN116035419A (zh) 适用于电动窗帘的支撑固定结构
AU2002219656A1 (en) Assembly power curtain
KR100946398B1 (ko) 배연창의 개폐장치
AU2003275874A1 (en) Drive device
KR101265048B1 (ko) 자동창문개폐장치
EP2092149B1 (en) Ceiling driving unit for moving doors
KR101225044B1 (ko) 자동창문개폐장치
ATE298033T1 (de) Antriebseinheit für fenster oder türen
EP0943774A2 (en) Actuator with adjustable stroke
CN111043654A (zh) 壁挂板装置及壁挂式空调器
CN215909368U (zh) 滑动门板组件及具有其的空调柜机
CN215637911U (zh) 一种空调面板驱动装置以及空调器
KR100900740B1 (ko) 시스템 창문의 코너링크 구조
RU20820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направлением потока воздуха
KR200385117Y1 (ko) 침대용 엘리베이션 지압장치
KR200189671Y1 (ko) 타이머 설정에 따른 자동 창문과 환풍기
CN212719995U (zh) 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