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856B1 -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856B1
KR102328856B1 KR1020210143512A KR20210143512A KR102328856B1 KR 102328856 B1 KR102328856 B1 KR 102328856B1 KR 1020210143512 A KR1020210143512 A KR 1020210143512A KR 20210143512 A KR20210143512 A KR 20210143512A KR 102328856 B1 KR102328856 B1 KR 102328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protective cap
wire
upper body
clamp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창구
이정규
고환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4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하부에 전선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상부몸체와 결합되어 구형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는 결합 부위에 구비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결합하고, 결합 부위에 전선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부몸체는 결합 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부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하부몸체는 상부 클램핑부와 함께 전선을 파지하도록 상부 클램핑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하부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결합부는, 상부 클램핑부와 하부 클램핑부의 사이에 조립되고 전선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접합부재와, 상부 클램핑부와 하부 클램핑부 및 접합부재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접합부재와 전선 사이에 개재되도록 접합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보호캡부재와, 전선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 보호캡부재에 결합되는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와,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와 제1 보호캡부재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고정부재 및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와 전선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에 조립되는 제2 보호캡부재를 포함하며, 구형 하우징의 무게 중심이 전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부위의 높이는 구형 하우징의 중심부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본 발명은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전선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 장애물 표시구는 저공 비행중인 항공사에게 장애물의 출현을 알려줌으로써 비행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 항공 장애물 표시구가 도시된다.
종래 항공 장애물 표시구는 반구 형태의 상부 반구체(1)와 하부 반구체(2)가 서로 결합되어 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부 반구체(1)와 하부 반구체(2)가 결합되는 결합부(3)에 전선에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다. 종래에는 전선(W)이 표시구의 중앙부분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었다.
그런데 이 경우 강풍에 의한 풍하중이 표시구로 전달되어 진동 및 회전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항공 장애물 표시구와 전선의 결합부위에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반구체(1)와 하부 반구체(2)의 결합부위에 조임나사가 풀림으로써 진동이 발생하여, 전선의 출렁거림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전선이 단선되는 현상과, 표시구 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철탑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 다수 접수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항공 장애 표시구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30988호(2001.05.08. 등록, 발명의 명칭: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게 중심의 위치를 전선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하여, 풍하중이 작용할 때 전선과 표시장치의 결합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진동과 전선의 출렁거림을 저감시키고 소음발생 및 전선의 소손을 최소화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 구조에 의해 진동을 저감시키는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전선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되어 구형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가 결합되는 결합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 부위에 상기 전선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 하우징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전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 부위의 높이는 상기 구형 하우징의 중심부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결합 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부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 클램핑부와 함께 상기 전선을 파지하도록 상기 상부 클램핑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하부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부 클램핑부와 상기 하부 클램핑부의 사이에 조립되고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접합부재와, 상기 상부 클램핑부와 상기 하부 클램핑부 및 상기 접합부재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합부재와 상기 전선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접합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보호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호캡부재에 결합되는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와, 상기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보호캡부재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는 상기 전선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전선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연결부재에 조립되어 상기 상부 연결부재와 함께 상기 전선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와 상기 전선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에 조립되는 제2 보호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전선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풍하중이 작용할 때 전선과 표시장치의 결합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진동과 전선의 출렁거림을 저감시킬 수 있고, 소음발생 및 전선의 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 구조에 의해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항공 장애물 표시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의 상부몸체와 결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의 하부몸체와 결합부 및 전선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의 상부몸체와 결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의 하부몸체와 결합부 및 전선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100)는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서로 결합되어 구형 하우징(200)을 형성한다. 하부몸체(220)는 상부몸체(210)의 하부에 전선(W)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부몸체(210)는 하부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몸체(220)는 상부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210)의 하단부와 하부몸체(22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플랜지를 통해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의 형상 및 결합 방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300)는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가 결합되는 결합 부위에 구비되어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를 결합하고, 결합 부위에 전선(W)을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구형 하우징(200)에서, 상부몸체(210)의 하단부와 하부몸체(220)의 상단부가 서로 맞닿은 면을 결합 부위라고 할 때, 결합부(300)는 이러한 결합 부위 중 전선(W)이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구형 하우징(200)의 양 단부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 사이에 전선(W)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구형 하우징(200)의 무게 중심(C)이 전선(W)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부위의 높이는 구형 하우징(200)의 중심부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가 반구 형태로 제작되어, 결합 부위의 높이가 구형 하우징(200)의 중심부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강풍에 의한 풍하중에 영향으로 표시구에 진동 및 회전이 발생하여, 전선(W)이 단선되거나 표시구가 밀림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의 결합 부위의 높이(h2, 도 2 참조)를 구형 하우징(200)의 중심부의 높이(h1, 도 2 참조)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100)의 무게 중심(C)의 위치를 전선(W)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서 h1과 h2는 하부몸체(220)의 하단부를 기준으로한 높이이다.
이와 같이 표시장치의 무게 중심(C)이 전선(W)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100)의 무게 중심(C)이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종래와 같이 전선(W)이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경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100) 자체의 회전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절풍, 강풍 등의 풍하중이 작용할 때 전선(W)과 표시장치의 결합부(300)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진동과 전선(W)의 출렁거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풍하중에 의한 소음발생 및 전선(W)의 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W) 소손 및 단선 예방으로 도서 지역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소음 발생으로 인한 민원을 예방하여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몸체(210)는 결합 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부 클램핑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몸체(220)는 상부 클램핑부(211)와 함께 전선(W)을 파지하도록 상부 클램핑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하부 클램핑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W)은 상부 클램핑부(211)와 하부 클램핑부(221)의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부(300)는 접합부재(310)와 체결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00)는 제1 보호캡부재(330)와,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와, 제2 보호캡부재(370) 및 고정부재(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재(310)는 상부 클램핑부(211)와 하부 클램핑부(221)의 사이에 조립되고 전선(W)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재(310)는 서로 조립되는 상부 접합부재(311)와 하부 접합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접합부재(311)와 하부 접합부재(312) 사이에 전선이 개재될 수 있다. 상부 접합부재(311)는 상부 클램핑부(211)와 전선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하부 접합부재(312)는 하부 클램핑부(221)와 전선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접합부재(311)와 하부 접합부재(312)는 전선에 접하는 몸체부와, 몸체부에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접합부재(311)의 날개부와 하부 접합부재(312)의 날개부는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부 클램핑부(211) 및 하부 클램핑부(221)에 결합될 수 있다. 접합부재(310)는 전선(W)과 상부 클램핑부(211) 및 하부 클램핑부(221)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340)는 상부 클램핑부(211)와 하부 클램핑부(221) 및 접합부재(310)에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340)는 볼트와 너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보호캡부재(330)는 접합부재(310)와 전선(W) 사이에 개재되도록 접합부재(3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조립되는 제1 상부 보호캡부재(331)와, 제1 하부 보호캡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보호캡부재(331)는 상부 접합부재(311)와 전선(W)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제1 하부 보호캡부재(332)는 상부 접합부재(311)와 전선(W)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보호캡부재(330)는 전선(W)을 감싸도록 접합부재(310)의 내부에 끼워짐으로써, 전선(W)과 접합부재(310)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호캡부재(330)는 전선(W)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및 슬립(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는 전선(W)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몸체(210) 및 하부몸체(220)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 보호캡부재(33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는 서로 조립되는 상부 연결부재(351)와, 하부 연결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결부재(351)는 전선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부 클램핑부(2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연결부재(352)는 전선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부 연결부재(351)에 조립되어 상부 연결부재(351)와 함께 전선(W)을 파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연결부재(352)는 하부 클램핑부(22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캡부재(330)는, 일부가 접합부재(310)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부 연결부재(351)와 하부 연결부재(35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합부재(310)와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는, 제1 보호캡부재(330)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보호캡부재(370)는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와 전선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에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호캡부재(370)는, 전선의 상측을 감싸고 상부 연결부재(351)에 접하는 제2 상부 보호캡부재(372)와, 전선의 하측을 감싸고 하부 연결부재(352)에 접하는 제2 하부 보호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캡부재(370)는 전선(W)을 감싸도록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의 내부에 끼워짐으로써, 전선(W)과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호캡부재(370)는 전선(W)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및 슬립(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고정부재(380)는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와 제1 보호캡부재(330) 및 제2 보호부재에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380)는 볼트와 너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결합부(300)는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350)와 제2 보호캡부재(370)를 더 포함함으로써,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100)와 전선의 접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100)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부 클램핑부(211)와 하부 클램핑부(221)의 사이에 접합부재(310)를 장착한 상태로 전선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호캡부재(330)를 접합부재(310)에 삽입하여 전선에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전선(W)을 감싸도록 제2 보호캡부재(370)를 설치한 후, 제1 보호캡부재(330)와 제2 보호캡부재(370)의 상부와 하부에 하부 연결부재(352)와 상부 연결부재(351)를 설치한 후 고정부재(380)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전선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풍하중이 작용할 때 전선과 표시장치의 결합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진동과 전선의 출렁거림을 저감시킬 수 있고, 소음발생 및 전선의 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 구조에 의해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200: 구형 하우징
210: 상부몸체 211: 상부 클램핑부
220: 하부몸체 221: 하부 클램핑부
300: 결합부 310: 접합부재
311: 상부 접합부재 312: 하부 접합부재
330: 제1 보호캡부재 331: 제1 상부 보호캡부재
332: 제1 하부 보호캡부재 340: 체결부재
350: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 351: 상부 연결부재
352: 하부 연결부재 370: 제2 보호캡부재
371: 제2 상부 보호캡부재 372: 제2 하부 보호캡부재
380: 고정부재 C: 무게 중심
h1: 무게중심의 높이 h2: 결합 부위의 높이
W: 전선

Claims (1)

  1.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전선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되어 구형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가 결합되는 결합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 부위에 상기 전선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결합 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부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 클램핑부와 함께 상기 전선을 파지하도록 상기 상부 클램핑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하부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부 클램핑부와 상기 하부 클램핑부의 사이에 조립되고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접합부재;
    상기 상부 클램핑부와 상기 하부 클램핑부 및 상기 접합부재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체결부재;
    상기 접합부재와 상기 전선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접합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보호캡부재;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호캡부재에 결합되는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
    상기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보호캡부재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와 상기 전선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선 고정용 연결부재에 조립되는 제2 보호캡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구형 하우징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전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 부위의 높이는 상기 구형 하우징의 중심부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20210143512A 2020-06-23 2021-10-26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2328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512A KR102328856B1 (ko) 2020-06-23 2021-10-26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83A KR102328853B1 (ko) 2020-06-23 2020-06-23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20210143512A KR102328856B1 (ko) 2020-06-23 2021-10-26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83A Division KR102328853B1 (ko) 2020-06-23 2020-06-23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856B1 true KR102328856B1 (ko) 2021-11-22

Family

ID=7871754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83A KR102328853B1 (ko) 2020-06-23 2020-06-23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20210143511A KR102328855B1 (ko) 2020-06-23 2021-10-26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20210143512A KR102328856B1 (ko) 2020-06-23 2021-10-26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20210143510A KR102328854B1 (ko) 2020-06-23 2021-10-26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83A KR102328853B1 (ko) 2020-06-23 2020-06-23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20210143511A KR102328855B1 (ko) 2020-06-23 2021-10-26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510A KR102328854B1 (ko) 2020-06-23 2021-10-26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28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317A (ko) 2022-04-12 2023-10-19 한국전력공사 항공 장애 표시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150Y1 (ko) * 2002-12-28 2003-03-19 서윤석 선로용 항공장애표시구
KR20120005705U (ko) * 2011-01-31 2012-08-08 한국전력공사 항공 장애 표시구
KR20180052271A (ko) * 2016-11-10 2018-05-18 한국전력공사 항공장애표시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150Y1 (ko) * 2002-12-28 2003-03-19 서윤석 선로용 항공장애표시구
KR20120005705U (ko) * 2011-01-31 2012-08-08 한국전력공사 항공 장애 표시구
KR20180052271A (ko) * 2016-11-10 2018-05-18 한국전력공사 항공장애표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854B1 (ko) 2021-11-22
KR102328855B1 (ko) 2021-11-22
KR102328853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7695B2 (en) Cable holding structure for wind turbine generator
US20140208976A1 (en) Driving wheel of robot moving along the wire and robot having the same
KR102328856B1 (ko)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JP5242920B2 (ja) 風車用分割翼
ES2629706T3 (es) Pala de turbina eólica transportable en secciones
KR102348870B1 (ko) 가공송전선의 진동방지를 위한 가공송전선 고정장치
KR102348872B1 (ko) 가공송전선간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송전 고정장치
KR100753957B1 (ko) 변전소 피뢰기 브라켓 방향조정장치
US9954274B2 (en) Antenna device
CN112854876A (zh) 复合横担及输电杆
KR20130046859A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
KR20180052271A (ko) 항공장애표시구
JP5461499B2 (ja) 気中終端用ポリマー套管及びケーブル終端接続部
JPH0155753B2 (ko)
CN207843344U (zh) 一种无人机航摄相机挂载结构
KR102436932B1 (ko) 2회선용 가공지선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지선 지지대
KR19990049130A (ko) 스페이스 댐퍼
US6012677A (en) Cage-chair which may be coupled to helicopters to perform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ervices in high voltage towers and lines
US6409224B1 (en) Fastening means
CN206116595U (zh) 固定装置、天线组件和无人机
JP2001280563A (ja) ガス配管用絶縁継手
CN220439332U (zh) 一种复合绝缘子伞裙装置
CN215221036U (zh) 一种振动设备接地装置
JPH11205980A (ja) 架空送電線用連結金具
CN212182049U (zh) 有机复合悬式绝缘子专用防脱落连接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