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489B1 -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489B1
KR102328489B1 KR1020190159290A KR20190159290A KR102328489B1 KR 102328489 B1 KR102328489 B1 KR 102328489B1 KR 1020190159290 A KR1020190159290 A KR 1020190159290A KR 20190159290 A KR20190159290 A KR 20190159290A KR 102328489 B1 KR102328489 B1 KR 102328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olant tank
disposed
sliding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454A (ko
Inventor
임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4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out-buildings or cellars; Other simple closures not designed to be close-f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38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e.g. flow rate, quality
    • B23Q11/1061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e.g. flow rate, quality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ly selected composition or state of aggre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1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with lubricating effect for reducing friction
    • B23Q11/122Lubricant suppl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 B23Q11/141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using a closed fluid circuit for cooling 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900/602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공작기계의 쿨런트 탱크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쿨런트 탱크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선택개폐형 도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쿨런트 탱크 내부의 유지/보수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DOOR STRUCTURE FOR COOLANT TANK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쿨런트 탱크 내부의 보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쿨런트 탱크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에는 터닝센터,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가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작기계의 주축에는 절삭가공시 공구와 공작물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공구와 공작물을 냉각하며, 칩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쿨런트(coolant, 절삭유)가 공급되어야 한다.
사용된 쿨런트는 공작기계의 하부로 낙하 배출되며 공작기계의 하부에 배치된 쿨런트 탱크로 취합된다.
작업자는 필요한 시기에 쿨런트 탱크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쿨런트 탱크에는 절삭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 잔존, 유수 분리기의 폐유 잔존, 펌프 등의 장치가 배치되어 있어, 이물질 및 폐유 제거 청소 및 펌프 등 장치의 보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작업자는 쿨런트 탱크를 개폐하는 도어를 조작해야 한다. 도 1,2에는 종래 일 형태의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1)가 개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쿨런트 탱크를 형성하는 베이스(2)상에는 절삭유, 절삭칩, 이물질, 폐유 등이 취합되는 취합공간(2a)과 펌프(2b)가 배치되어 있다. 종래의 도어 구조의 경우, 작업자가 취합공간(2a)의 청소 또는 펌프(2b)의 유지보수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어프레임에서 볼트(4)를 제거하고 손잡이(5)를 잡고 도어(3) 전체를 개방하여 작업을 수행하였다.
즉 종래 구조는 펌프(2b) 유지보수를 위해 펌프(2b)가 배치된 공간만을 개방하거나 또는 이물질 등의 청소를 위해 취합공간(2a)의 개방이 불가능하고, 전체 도어(3)를 개방해야 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어(3) 전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된 도어(3)로 인해 취합공간(2a) 또는 펌프(2b)까지의 작업거리가 증가되어 작업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매 작업마다 일일이 볼트(4)를 해체/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소요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쿨런트 탱크 내부의 보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쿨런트 탱크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공작기계의 쿨런트 탱크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상기 베이스의 쿨런트 탱크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선택개폐형 도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개폐형 도어부재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부;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양측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전 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부까지 이동되는 제1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타측부까지 이동되는 제2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슬라이딩레일; 및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안착되는 롤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안착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를 상기 샤프트에 고정하는 스냅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는,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가 서로 접촉할 때 접촉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1 회전 도어;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타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 회전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부는, 상기 제1,2 회전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회전 도어의 회전 개폐를 고정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2 회전 도어에 배치되고, 중앙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락킹바디; 상기 제1,2 회전 도어에서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락킹바; 및 상기 제1,2 회전 도어에서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측에 배치되고, 상기 락킹바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링크축으로 연결되는 락킹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절삭유, 절삭칩, 이물질, 폐유 등의 제거/청소 또는 펌프 등의 장치의 유지보수와 같은 필요한 작업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쿨런트 탱크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면 개방을 방지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쿨런트 탱크의 도어가 작업자의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며 개방되지 않고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개방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거리가 증가되지 않아 작업부하 또한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 작업마다 일일이 볼트를 해체/체결하지 않아도 되고, 도어 자체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작업속도 또한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작업이 필요한 부위만을 개방하므로 쿨런트 탱크 내부의 절삭칩, 이물질 등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비교적 작업공간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개시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개시된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개시된 본 발명에서 회전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쿨런트 탱크의 내측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롤러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마그네트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서 락킹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개시된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개시된 본 발명에서 회전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쿨런트 탱크의 내측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롤러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마그네트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서 락킹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는 베이스(20), 도어프레임(30) 및 선택개폐형 도어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공작기계의 하부에서 쿨런트 탱크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내부 중앙측에는 절삭유, 절삭칩, 이물질, 폐유 등이 취합되는 취합공간(20a)이 배치되고,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내부 양측에는 펌프(20b)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사양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0)은 상기 베이스(20)의 쿨런트 탱크공간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택개폐형 도어부재(40)는 상기 도어프레임(30)에 배치되고,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선택개폐형 도어부재(40)는 슬라이딩 도어부(50) 및 회전 도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50)는 상기 도어프레임(3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50)는, 상기 도어프레임(3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30)의 일측부까지 이동되는 제1 슬라이딩 도어(51) 및, 상기 도어프레임(3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30)의 타측부까지 이동되는 제2 슬라이딩 도어(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53)를 잡고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를 움직여서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7를 참고하면, 상기 도어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레일(58)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에는 상기 슬라이딩레일(58)에 안착되는 롤러유닛(5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유닛(54)은 샤프트(55), 롤러(56) 및 스냅링(56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55)는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56)는 상기 샤프트(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레일(58)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스냅링(56a)은 상기 롤러(56)를 상기 샤프트(55)에 고정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롤러(56)의 단부에서 상기 샤프트(55)에 체결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53)를 잡고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를 움직이면 상기 롤러(56)가 상기 슬라이딩레일(58)을 따라 이동하며 슬라이딩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다음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에는 각각 ㄱ 자 형태의 브라켓(57a,57b)이 배치되고, 이 중 일측 브라켓(57b)에는 마그네트(5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57a,57b)은 금속 재질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어느 하나의 브라켓(57b)에만 마그네트(57)가 배치되더라도,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가 서로 접촉할 때, 자력에 의해 접촉력이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양측의 브라켓(57a,57b) 모두에 서로 반대극을 형성하는 마그네트(57)가 배치될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마그네트(57)가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는 쿨런트 탱크공간을 폐쇄시에는 자력에 의해 접촉상태를 유지하며 쿨런트 탱크공간의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별도의 볼트체결과 같은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간편하게 여닫는 작업만이 요구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은 더욱 수월하게 된다.
다음 상기 회전 도어부(60)는 상기 도어프레임(30)의 양측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3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 도어부(60)는, 상기 도어프레임(30)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63) 연결되는 제1 회전 도어(61) 및 상기 도어프레임(30)의 타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63) 연결되는 제2 회전 도어(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 회전 도어(61,62)는 상기 도어프레임(30)의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는 상기 도어프레임(3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취합공간(20a)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를 양쪽으로 개방하여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 중 취합공간(20a)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펌프(20b)를 보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2 회전 도어(61,6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 개방하여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 중 펌프(20b)가 배치된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다음 도 9a, 9b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 도어부(60)는 상기 제1,2 회전 도어(61,62)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회전 도어(61,62)의 회전 개폐를 고정하는 락킹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락킹부(64)는 락킹바디(67), 락킹바(65) 및 락킹탭(6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바디(67)는 상기 제1,2 회전 도어(61,62)에 배치되고, 중앙측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바(65)는 상기 제1,2 회전 도어(61,62)에서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는 부분일 수 있다.
다음 상기 락킹탭(66)은 상기 제1,2 회전 도어(61,62)에서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측에 배치되고, 상기 락킹바(65)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링크축(미도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락킹바(65)를 잡고 90도 정도 돌리면, 링크축으로 연결된 상기 락킹탭(66)이 90도 정도를 회전하면서, 락킹탭(66)의 단부가 도 9b에서와 같이 도어프레임(30)상으로 이동하고, 제1,2 회전 도어(61,62)는 잠겨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며 열리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을 바탕으로 한 작동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공작기계를 작동하고 공구와 공작물 사이의 마찰 감소, 냉각 및 절삭칩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주축으로 쿨런트(절삭유)를 공급한다. 공급된 쿨런트는 절삭칩 및 각종 이물질과 함께 쿨런트 탱크로 유입되게 된다.
통상 쿨런트 탱크는 공작기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쿨런트 탱크의 내부공간 중앙측에 절삭유, 절삭칩, 이물질, 폐유 등이 취합되는 취합공간(20a)가 배치되고, 양측에 펌프(20b)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부품이 배치되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취합공간(20a)만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손잡이(53)를 잡고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취합공간(20a)만이 개방되고 작업자는 필요한 위치만을 개방한 상태에서 청소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 작업자가 펌프(20b)만을 보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제1,2 회전 도어(61,62)만을 개방하면 된다. 이에 따라 쿨런트 탱크공간의 양측에 배치된 펌프(20b)만이 개방되어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에서는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가 일측으로 모두 슬라이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펌프(20b)를 보수한 이후에 바로 취합공간(20a)을 청소하고자 할 때, 간편하게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를 일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취합공간(20a)을 개방하여 청소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도 5에 개시된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 개방 구조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편리하게 쿨런트 탱크 내부공간을 개방할 수 있는 다른 위치로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의 이동도 가능하다.
이렇듯 작업자는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 및 제1,2 회전 도어(61,62)를 적절히 조합하여 슬라이딩시키거나 또는 회전시켜 쿨런트 탱크의 내부 공간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필요 위치만을 개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도 1,2에 개시된 종래 도어 구조와 달리, 도어가 작업자 방향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며 개방되는 구조가 아니고, 제1,2 슬라이딩 도어(51,52)는 슬라이딩레일(58)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2 회전 도어(61,62)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개방되므로, 작업거리가 멀어져 작업방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작업이 필요한 부위만을 개방하므로 쿨런트 탱크 내부의 절삭칩, 이물질 등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도 않게 되므로, 비교적 작업공간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쿨런트 탱크의 도어 20:베이스
30:도어프레임 40:선택개폐형 도어부재
50:슬라이딩 도어부 51:제1 슬라이딩 도어
52:제2 슬라이딩 도어 53:손잡이
54:롤러유닛 55:샤프트
56:롤러 56a:스냅링
57:마그네트 57a,57b:브라켓
58;슬라이딩레일
60;회전 도어부 61:제1 회전 도어
62:제2 회전 되어 63:힌지
64:락킹부 65:락킹바
66:락킹탭 67:락킹바디

Claims (9)

  1. 공작기계의 쿨런트 탱크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쿨런트 탱크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선택개폐형 도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개폐형 도어부재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부;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양측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전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부까지 이동되는 제1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타측부까지 이동되는 제2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도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1 회전 도어;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타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 회전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도어프레임상에서 상기 제1 회전도어의 단부와 상기 제1 슬라이딩 도어의 단부가 접촉하고, 상기 제2 회전도어의 단부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도어의 단부가 접촉하며,
    상기 제1 회전도어와 상기 제2 회전도어는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슬라이딩레일; 및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안착되는 롤러유닛;을 포함하는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안착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를 상기 샤프트에 고정하는 스냅링;을 포함하는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는,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가 서로 접촉할 때 접촉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2 슬라이딩 도어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는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도어부는,
    상기 제1,2 회전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회전 도어의 회전 개폐를 고정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2 회전 도어에 배치되고, 중앙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락킹바디;
    상기 제1,2 회전 도어에서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락킹바; 및
    상기 제1,2 회전 도어에서 상기 쿨런트 탱크공간측에 배치되고, 상기 락킹바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링크축으로 연결되는 락킹탭;을 포함하는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KR1020190159290A 2019-12-03 2019-12-03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KR10232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290A KR102328489B1 (ko) 2019-12-03 2019-12-03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290A KR102328489B1 (ko) 2019-12-03 2019-12-03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454A KR20210069454A (ko) 2021-06-11
KR102328489B1 true KR102328489B1 (ko) 2021-11-18

Family

ID=7637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290A KR102328489B1 (ko) 2019-12-03 2019-12-03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4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374B1 (ko) * 2018-07-11 2018-10-22 문희선 슬라이딩 도어용 개스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61Y1 (ko) * 2010-12-15 2013-02-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스크린도어의 미닫이 방식 비상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374B1 (ko) * 2018-07-11 2018-10-22 문희선 슬라이딩 도어용 개스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454A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6363B2 (en) Vertical machining center
US20060194682A1 (en) Column moving type machine tool with shield machining space
DE102006052933B3 (de) Werkzeugmaschine für manuelle Beladung
CA2852206A1 (en) Machine for machining crankshafts
KR101969499B1 (ko) 딥홀 가공장치
EP1775070A1 (en) Grinding machine
KR102328489B1 (ko) 공작기계 쿨런트 탱크의 도어 구조
EP1795298A1 (de) Werkzeugmaschine mit Beladeeinrichtung
JP2009130173A (ja) ダイシング装置
KR102109211B1 (ko) 공작기계
KR20140095160A (ko)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 장치
US9914190B2 (en) Blast gate for vacuum system
SE525948C2 (sv) Fleroperationsmaskin
KR20140030533A (ko) 브레이커의 부품 선반 가공용 유압 방진구
JP2006346806A (ja) 工作機械のシャッタ装置
KR20190063757A (ko) 밀링머신의 절삭칩 수거장치
KR100935210B1 (ko) 키홈의 정밀 가공장치
KR20130072418A (ko) 공작기계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CN108381286B (zh) 一种可实现二次开门的机床防护罩
KR101314499B1 (ko) 공작 기계용 도어 조립체
ES2854734T3 (es) Dispositivo para mecanizar piezas de trabajo en forma de barras tales como perfiles de ventana o perfiles de puerta
KR101871851B1 (ko) 공작기계용 도어의 이탈 방지장치
KR100274143B1 (ko) 볼트와 너트 청소장치
CN219703569U (zh) 一种耐磨轴承加工用钻床
KR102432634B1 (ko) 머시닝 센터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