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414B1 -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 Google Patents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414B1
KR102328414B1 KR1020200017179A KR20200017179A KR102328414B1 KR 102328414 B1 KR102328414 B1 KR 102328414B1 KR 1020200017179 A KR1020200017179 A KR 1020200017179A KR 20200017179 A KR20200017179 A KR 20200017179A KR 102328414 B1 KR102328414 B1 KR 10232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discharge
disposed
uni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753A (ko
Inventor
김종규
최위영
Original Assignee
(주) 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웅 filed Critical (주) 세웅
Priority to KR102020001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4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4Dropping-boards; Devices for removing exc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닭을 사육하는 계사(鷄舍)의 바닥에 쌓인 왕겨와 계분을 파쇄한 후 계분만을 분리하여 적재함에 수거 후 배출함으로써, 왕겨의 재사용을 통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리 수거된 계분은 거름으로 재활용할 수 있고, 자주식(自走式)으로 구성되어 대형계사는 물론 소형계사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수거된 계분을 별도의 수거용 장비로 공급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되어 배출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계사의 바닥에 쌓인 왕겨와 계분을 파쇄하고, 파쇄된 왕겨와 계분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수거부; 상기 수거부로부터 공급된 왕겨와 계분을 상방으로 이송하되, 이송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왕겨는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승강부;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로부터 이송된 계분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개구된 상단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계분의 위치 및 높이를 정렬하는 레벨유지수단을 포함한 적재부;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배치되어 계분을 상기 적재함의 일측단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하도록 이송하는 배출블레이드를 포함한 배출부; 상기 몸체프레임의 하방에 배치되어 메인엔진 및 조향장치를 통해 구동되는 트랙부; 상기 수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트랙부와 상기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높이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배출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모듈은, 상기 적재함이 안치되는 안치프레임과, 상기 안치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리프트과, 상기 안치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리프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Self-propelled cage cleaner with discharge module}
본 발명은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닭을 사육하는 계사(鷄舍)의 바닥에 쌓인 왕겨와 계분을 파쇄한 후 계분만을 분리하여 적재함에 수거 후 배출함으로써, 왕겨의 재사용을 통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리 수거된 계분은 거름으로 재활용할 수 있고, 자주식(自走式)으로 구성되어 대형계사는 물론 소형계사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수거된 계분을 별도의 수거용 장비로 공급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되어 배출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을 키우는 계사 중 닭을 소정의 공간에 풀어 놓고 사육하는 계사에서는 토양을 부드럽게 하고 닭이 활동 중 다치는 것을 예방하고 계사 내부의 습기 조절 등을 위하여 왕겨를 계사의 바닥에 소정의 두께로 깔아주고 있으며, 근래에는 발효된 왕겨를 깔아주거나 계사 내부의 암모니아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왕겨에 황산알루미늄을 살포하기도 한다.
이러한 계사 중 동시에 수백에서 수천마리의 닭을 사육하는 계사의 경우 닭의 배변 즉, 계분(鷄糞)이나 털 등이 왕겨와 혼합되면 이를 수거한 후 배출하고 새로운 왕겨를 계사 바닥에 다시 깔아주었다.
종래에 수거된 왕겨와 계분이 혼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분리장치 혹은 작업자가 이를 분리하고, 분리된 왕겨는 계사에 재투입하고 계분은 거름으로 재활용하였다.
그러나, 왕겨와 계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수거된 왕겨와 계분의 혼합물을 분리장치까지 이송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종래 계분에 혼합된 왕겨가 퇴비로서 농도가 낮기 때문에 퇴비로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며, 왕겨는 자주 교체하여 주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계사의 바닥을 청소하기 위한 기술로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1210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계사의 바닥을 긁어내는 스크래퍼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계사의 바닥을 긁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긁은 이후 계사의 바닥을 작업자가 이를 수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계사의 바닥 중 표면만을 긁어내기 때문에 대형 계사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5980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계사의 바닥을 파쇄하고 파쇄된 왕겨와 계분을 상부로 퍼 올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수거된 계분을 보관하는 수집통에서 계분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수집통의 개구된 상단이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뒤집히도록 회전시키기 때문에 수집통이 회전함과 동시에 그 직하부에 수집통에서 배출되는 계분을 저장하는 별도의 통을 배치하지 않으면 계사청소기로 계분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수집통이 180°로 뒤집히기 때문에 형태가 제한적이고 크기 또한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따라서 소형 계사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나 중형, 대형의 계사에서는 사용이 어렵고, 수집통을 비워야 하는 시간이 짧고, 횟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 무게 이상의 계분이 저장되면 계분의 무게에 의해 수집통을 뒤집을 수 없고, 만약 이를 뒤집기 위해서는 제1실린더, 제2실린더의 용량을 크게 하거나 추가적인 실린더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장치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양계 농장에서는 수거된 계분을 저장하기 위한 시설이 없기 때문에 저장 또는 처분하기 위한 장비가 구비된 시설로 수거된 계분을 이송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종래기술은 수집통에 수집된 계분을 트럭 또는 트레일러 등의 적재부에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없어 포크레인 등과 같은 추가적인 장비나 인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거나 수거된 계분을 바닥에 먼저 쏟은 이후 이를 트럭 또는 트레일러의 적재부에 다시 퍼 담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12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59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자주식으로 구성되어 활용도가 높고, 왕겨와 계분을 파쇄한 후 계분만을 분리하여 적재함에 수거 후 배출함으로써, 왕겨의 재사용을 통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리 수거된 계분은 거름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계사의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청결한 계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재함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배출모듈이 구비되어 적재함에 수거된 계분을 트럭 또는 트레일러의 적재부에 직접 배출할 수 있어 수거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제공하여 수거 작업과 이동 작업시 수거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트랙부를 제외한 전 구성이 필요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파쇄-분리-이송-적재-배출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계사의 바닥에 쌓인 왕겨와 계분을 파쇄하고, 파쇄된 왕겨와 계분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수거부; 상기 수거부로부터 공급된 왕겨와 계분을 상방으로 이송하되, 이송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왕겨는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승강부;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로부터 이송된 계분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개구된 상단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계분의 위치 및 높이를 정렬하는 레벨유지수단을 포함한 적재부;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배치되어 계분을 상기 적재함의 일측단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하도록 이송하는 배출블레이드를 포함한 배출부; 상기 몸체프레임의 하방에 배치되어 메인엔진 및 조향장치를 통해 구동되는 트랙부; 상기 수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트랙부와 상기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높이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배출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모듈은, 상기 적재함이 안치되는 안치프레임과, 상기 안치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리프트와, 상기 안치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리프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치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장형지지바와, 양단이 상기 장형지지바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단형지지바와, 상기 장형지지바의 상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면에 구비된 한 쌍의 탑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평리프트은, 상기 트랙부의 상면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고정레일과,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출입하는 로드가 구비된 수평실린더와, 상기 트랙부의 외측에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바텀레일과, 상기 바텀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로드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이동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리프트는, 한 쌍이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교차된 부위에 배치된 센터핀을 통해 결합되며, 한 쌍이 상기 안치프레임의 하부에서 대칭되게 배치된 승강바와, 양단이 상기 승강바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된 승강지지바와, 상기 승강바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안치프레임의 탑레일에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 탑캐스터와, 상기 승강바 중 다른 하나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리프트의 고정레일에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 바텀캐스터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출입하고, 선단부가 상기 승강지지바에 결합된 승강로드가 배치된 리프트실린더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계사의 바닥에 쌓인 왕겨와 계분을 파쇄하고, 파쇄된 왕겨와 계분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수거부; 상기 수거부로부터 공급된 왕겨와 계분을 상방으로 이송하되, 이송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왕겨는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승강부;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로부터 이송된 계분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개구된 상단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계분의 위치 및 높이를 정렬하는 레벨유지수단을 포함한 적재부; 상기 몸체프레임의 하방에 배치되어 메인엔진 및 조향장치를 통해 구동되는 트랙부; 상기 수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트랙부와 상기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높이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배출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모듈은, 상기 적재함이 안치되는 안치프레임과, 상기 안치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리프트와, 상기 적재함의 배출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배출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출각도 조절수단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각도조절로드를 출입시키는 배출각도 조절용 실린더와, 상기 적재함과 상기 장형지지바를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로드의 선단부가 상기 적재함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로드가 외부로 인출되면서 적재함의 일단이 하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몸체프레임과 상기 수거부를 연결하는 힌지프레임과, 상기 힌지프레임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수거부를 밀거나 당기는 신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함에는, 상기 배출공이 구비된 일단을 개폐하는 게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장형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게이트의 일단면과 당접하는 부분이 절곡되어 게이트가 상기 배출공을 폐쇄하도록 지지하는 게이트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모듈에는 상기 안치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리프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승강리프트는, 한 쌍이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교차된 부위에 배치된 센터핀을 통해 결합되며, 한 쌍이 상기 안치프레임의 하부에서 대칭되게 배치된 승강바와, 양단이 상기 승강바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된 승강지지바와, 상기 승강바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안치프레임의 탑레일에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 탑캐스터와, 상기 승강바 중 다른 하나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리프트의 고정레일에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 바텀캐스터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출입하고, 선단부가 상기 승강지지바에 결합된 승강로드가 배치된 리프트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트랙부는 환형의 무한궤도 또는 다수개의 이동용 캐스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각도조절부를 통해 수거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파쇄 작업과 이동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거된 계분을 트럭 또는 트레일러의 적재부에 직접 배출할 수 있도록 계분이 저장되는 적재함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되어 수거된 계분의 처리 효율을 높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왕겨와 계분을 수거함과 동시에 분리하고 이를 통해 왕겨는 계사와 분리됨과 동시에 살포됨으로써 재살포에 따른 추가 작업이 없어 시간을 단축하고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랙부를 제외한 전 구성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각 구성간의 간격이나 위치가 변화되지 않아 오동작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분해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안치프레임을 확대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평리프트와 승강리프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평리프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승강리프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분해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출각도 조절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출각도 조절수단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게이트와 게이트락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도 14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분해 도시한 예시도.
도 16 및 도 17은 제3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8 및 1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의 일부 구성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트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도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1)는, 몸체프레임(10)과, 수거부(20)와, 승강부(30)와, 적재부(40)와, 배출부(50)와, 트랙부(60)와, 각도조절부(70) 및 배출모듈(80)을 포함한 것으로, 이를 통해 계사 바닥에서 왕겨와 계분이 혼합된 혼합물을 파쇄하고, 파쇄된 혼합물에서 왕겨를 분리하여 재사용함과 동시에 계분은 별도로 수거한 후 일정량이 수거되면 이를 배출하되, 적재함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트럭 또는 트레일러로 적재함에 저장된 계분을 직접 배출할 수 있어 배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트랙부를 통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고 각도조절부를 통해 이동 중 수거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트랙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구성간의 결합 부위 및 간격, 위치 등이 변경되지 않아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이하의 설명 중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각각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을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1)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1)는 몸체프레임(10)의 전방에 수거부(20)가 배치되고, 상기 수거부(20)의 후방에 승강부(30)가 배치되어 수거부(20)를 통해 파쇄된 왕겨와 계분의 혼합물을 이송시키되 왕겨만을 분리하여 계사의 바닥으로 다시 낙하시킨다.
이후, 분리 수거된 계분은 적재부(40)의 적재함(41)에 적재되고, 일정량이 적재되면 배출부(50)를 통해 적재함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하방에는 메인엔진에 의해 구동되고, 운전석에 배치된 조향장치(WL)를 통해 동작이 제어되는 트랙부(60)가 구비되어 위치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적재함(41)에 수거된 계분을 배출함에 있어 적재함(41)의 높이 및 각도를 배출모듈(80)을 통해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트럭 또는 트레일러에 직접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엔진(MV)은 컨베이어 방식으로 계분을 배출할 때는 적재함의 후방측에 배치하고(도 1 내지 4 참조), 덤프 방식으로 계분을 배출할 때는 운전자의 우측에 배치되는데(도 9 및 12 참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거부(20), 승강부(30), 적재부(40)가 동작 중 발생시키는 분진, 이물질 등이 메인엔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엔진을 적재함의 측방하단 또는 후방중단에 배치하고 상기 보호용커버(14)가 메인엔진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수거부(20)와 승강부(30)가 배치된 방향을 전방 또는 전단이라 하고, 이에 대향되는 방향을 후방 또는 하단이라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혼합물'은 왕겨와 계분이 섞여 있는 상태의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몸체프레임(10)은 상방에 적재부(40)를 구성하는 적재함(41)이 배치되고, 하방에는 트랙부(60)가 결합되며, 일측에는 수거부(20)와 승강부(30)가 배치된다.
상기 수거부(20)는 몸체프레임(10)의 전방에 배치되어 계사의 바닥에 쌓인 왕겨와 계분의 혼합물을 파쇄하고, 파쇄된 이들을 승강부(3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왕겨와 계분이 혼합된 계사의 바닥을 파쇄하는 파쇄블레이드(21)와,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왕겨와 계분이 혼합된 계사의 바닥을 파쇄함과 동시에 파쇄 후 이를 승강부(30)로 이송하는 이송블레이드(22)와, 상기 파쇄블레이드(21)의 길이 방향 양측단부에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쇄블레이드(21)를 통해 파쇄된 왕겨와 계분이 혼합된 혼합물이 파쇄블레이드(21)의 측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혼합물유도판(23)과, 상기 이송블레이드(22)의 외측에 배치되어 이송블레이드(22)가 회전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망(24)을 포함한다.
상기 파쇄블레이드(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블레이드(22)의 선단부에 비해 하방에 위치하여 수거부(20)가 동작을 위해 지면측으로 배치될 때 지면을 파고 들어간 상태로 대기하고, 이후 트랙부(60)가 동작하면서 전체 계사청소기(1)가 이동할 때 계사의 바닥을 파서 들어올린다. 이를 위해 파쇄블레이드(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쐐기 형태를 이루고 후단이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파쇄된 혼합물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쇄블레이드(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편평한 플레이트를 절곡 형성한 것으로, 여기서 길이 방향이란 본 발명에 따른 계사청소기의 좌우폭 방향을 지칭한다.
상기 이송블레이드(22)는 구동수단(M)을 통해 인가된 동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혼합물을 파쇄하고 상기 파쇄블레이드(21)에 의해 들어 올려진 혼합물을 승강부(30)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블레이드(2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봉에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다른 이송블레이드(22)와 상호 다른 각도에서 배치되어 인접한 이송블레이드(22)에 걸쳐지는 혼합물을 다른 위치에서 파쇄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이송블레이드(22)를 통과한 혼합물이 발생하더라도 인접한 타 이송블레이드(22)가 이를 파쇄할 수 있어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고, 파쇄효율이 높을수록 왕겨를 계분으로부터 분리하는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이송블레이드(22)를 통해 왕겨와 계분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혼합물유도판(23)은, 상기 파쇄블레이드(21)의 길이 방향 양측단부에서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것으로, 계사의 바닥에 쌓인 혼합물을 파쇄블레이드(21) 및 상기 이송블레이드(22)가 파쇄하는 과정에서 파쇄 중인 혼합물에 연결된 부위가 파쇄블레이드(21)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혼합물은 왕겨와 계분이 혼합된 것으로 비록 경도가 일반 흙에 비해서 딱딱하기는 하나, 어느 일부분이 파쇄되면 이와 연결된 부위가 동시에 파괴되는 정도의 경도이기 때문에 파쇄블레이드(21)가 일부를 들어올리면 이와 연결된 소정 거리내의 혼합물도 동시에 파쇄된다.
그러나 파쇄되는 혼합물의 크기가 항상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파쇄블레이드(21)의 전방 또는 측방의 혼합물이 파쇄되고 이렇게 파쇄된 혼합물은 파쇄블레이드(21)의 이동에 따른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가 이송블레이드(22)에 걸리지 않고 그대로 바닥에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혼합물유도판(23)을 통해서 이러한 혼합물이 파쇄블레이드(21)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파쇄된 혼합물이 계사의 바닥에 잔존하는 것을 최소화한 것이다.
상기 안전망(24)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이송블레이드(22)와 맞닿아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이송블레이드(22)의 회전 범위내에서 작업 중인 경우 이에 맞닿아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계사의 바닥에 돌, 금속재 등의 이물질이 이송블레이드(22)에 맞닿지 못하도록 하여 이러한 이물질을 이송블레이드(22)가 타격하여 이송블레이드가 파손되거나 스파크로 인한 화재, 폭발 등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수거부(20)를 통해 이송된 혼합물을 적재부(40)로 이송함과 동시에 왕겨와 계분을 이송과정에서 분리하여 왕겨는 하방 즉, 계사의 바닥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구동수단(M)에 의해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승강컨베이어(31)와, 상기 승강컨베이어(31)에 다수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승강블레이드(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30)에는 상기 승강컨베이어(31)에 진동을 주어 승강블레이드(32)를 통해 이송되는 혼합물을 털어주는 진동수단(33)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승강컨베이어(31)는 구동수단, 그리고 이에 연결된 구동브라켓 및 피동브라켓, 그리고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장력유지브라켓 등에 결합되어 일정한 속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상기 승강블레이드(32)의 길이 방향 양단이 각각 결합하도록 한 쌍의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승강블레이드(32)와 일체로 결합되는 다공성 철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블레이드(32)는 승강컨베이어(31)에 다수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수거부(20)를 통해 수거 후 이송된 왕겨와 계분의 혼합물을 후술하는 적재부(40)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블레이드(32)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방으로 절곡된 낙하방지부(321)가 형성되어 이송 중인 계분이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진동수단(33)은 상기 승강컨베이어(31) 또는 상기 승강블레이드(32)의 중심축을 서로 어긋나게 형성하여 회전되면서 승강컨베이어(31)를 진동시켜 혼합물에서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가벼운 왕겨를 분리하는 것으로, 진동수단은 고정형으로 외부의 전원 또는 동력이 인가되지 않아도 승강컨베이어(31)를 진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승강컨베이어가 이동하는 궤도에 배치되어 동작하면서 승강컨베이어를 타격함으로써 진동을 형성하는 진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수단(33)의 구조 및 상기 진동모터의 위치, 개수는 승강컨베이어의 길이 및 형태 그리고 이동하는 혼합물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적재부(40)는, 상기 승강부(30)를 통해 이동된 계분을 소정 용량만큼 저장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계분이 저장되도록 상단에 개구된 상단투입구(411)가 형성되고, 저장된 계분을 배출하기 위하여 하단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412)이 형성된 함체 형상의 적재함(41)과, 상기 적재함(41)의 상단투입구(411)의 상측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계분의 위치 및 높이를 정렬하는 레벨유지수단(42)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40)는, 개구된 상단투입구측은 넓고 하부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형으로 형성되어 계분의 투입은 용이하도록 하고, 투입된 계분을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일측으로 모아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적재함(41)은 저장하고자 하는 계분의 용량에 따라 형태 및 크기가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레벨유지수단(42)은 인가된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레벨유지컨베이어(421)와, 상기 레벨유지컨베이어(421)에 다수개가 결합되어 일정 속도로 이동하면서 상기 적재함에 투입되는 또는 투입된 계분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게 하고 동시에 레벨유지컨베이어(42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타격블레이드(422)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유지수단(42)은 적재함에 투입되는 계분이 상기 승강부(30)와 인접한 위치부터 쌓이고 승강부(30)로부터 먼 위치의 공간에는 쌓아지 않아 공간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고, 계분이 일정 높이 이상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레벨유지컨베이어(421)는 상기 승강부(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결합된 타격블레이드(422)가 계분을 승강부(30)로부터 먼 위치로 이동시켜 적재함의 전체적인 저장 위치를 형성하고, 적재함의 상단투입구(411)의 상측으로 계분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동작 중 발생하는 분진을 최소화하고, 계사청소기가 이동 중 적재함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적재함(41)의 바닥측에 배치되어 적재함에 저장된 계분을 적재함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수단으로부터 인가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배출컨베이어(51)와, 상기 배출컨베이어(51)에 다수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적재함의 바닥면에 쌓인 혼합물을 이동시키는 배출블레이드(52)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51)는 구동수단, 구동스프로켓, 피동스프로켓, 장력유지스프로켓 등을 통해 이송하는 체인으로서, 이러한 컨베이어의 구성 및 동작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배출블레이드(52)는 배출컨베이어(51)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일측단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적재함의 바닥면에 쌓인 계분을 이동시킨다.
상기 트랙부(60)는,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하방에 배치된 것으로, 메인엔진과 조향장치를 통해 제어되면서 전체 계사청소기(1)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다수개의 바퀴가 환형궤도를 통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 궤도타입 또는 다수개의 캐스터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바퀴타입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타입(typ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트랙부(60)를 통해 본 발명은 자주식(自走式)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면적이 작은 계사에서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고,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계분을 별도의 수거트럭까지 이동한 후 배출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자주식이 아닌 견인(牽引)식으로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으나, 견인식의 경우 구동장치의 크기 때문에 중형 또는 대형의 계사에서만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형, 중형, 대형을 구분하는 기준 중 가장 단순한 기준으로 계사의 면적을 사용할 수 있는데, 소형 계사의 경우 1000㎡이하를 지칭하고, 중형 계사는 1000 ~ 3000㎡의 면적을 가진 계사이고, 대형 계사는 3000㎡을 초과하는 면적을 가진 계사이다.
상기 각도조절부(70)는, 상기 수거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혼합물을 수거하는 작업 중에는 수거부가 하한점에 배치되도록 하고 위치 이동을 위해 주행 중에는 수거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수거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각도조절부(70)는, 상기 몸체프레임(10)과 상기 수거부(20)를 연결하는 힌지프레임(71)과, 상기 힌지프레임(71)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수거부(20)를 밀거나 당기는 신축수단(7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70)는, 수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실시예와 상기 트랙부(60)를 제외한 전 구성의 각도를 조절하는 실시예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수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프레임(71)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바(711)와, 상기 수직바(711)를 연결하는 수평바(712)와, 상기 수직바(711)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2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축공(714)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체결플랜지(713)와, 상기 수평바(712)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수단(72)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축공(716)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체결플랜지(715)와, 상기 수평바(712)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0)과 결합하는 결합플랜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수단(72)은 메인엔진으로부터 인가된 전원 및 조향장치를 통해 인가된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체결플랜지(715)의 제2축공(716)에 결합하는 신축바디(721)와, 상기 신축바디(721)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승강부에 결합하는 로드(7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신축수단(72)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메인엔진을 이용하거나 유압모터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신축수단으로 공급되는 동력수단 및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수단 등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711)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수거부(20)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몸체프레임(10)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711)의 상단에 각각 구비된 제1체결플랜지(713)는 제1축공(714)이 수거부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722)가 신축될 때 수거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수평바(712)는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수직바(711)에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하며 동시에 몸체프레임(10)에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712)에 결합된 제2체결플랜지(715)에 신축수단(72)의 신축바디(7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로드(722)가 신축될 때 신축바디(721)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712)의 상방에는 수평바(712) 및 수직바(711)로 전달되는 하중 압력을 분산하여 지지하기 위한 보조바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조바는 도시된 위치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개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을 도 18 및 도 19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18은 혼합물을 수거하는 작업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수거부에서 파쇄블레이드(21)가 계분 혼합물을 뚫고 들어가 계사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트랙부(60)의 이동에 따라 이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파쇄하고, 파쇄된 혼합물은 이송블레이드를 통해 승강부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신축수단(72)은 수거부(20)를 당겨서 파쇄블레이드(21)가 하한점에 도달하도록 회전시키고, 여기서 제1축공(714)에 결합된 수거부(20)의 일단이 제1축공(714)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상기 수직바(711) 및 수평바(714)가 수거부(20)의 하중을 지지하고 동작 중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한다.
도 19는 상기 신축수단(72)의 로드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거부(20)를 계사의 바닥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계사청소기(1)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과정에서 파쇄블레이드(21) 또는 이송블레이드(22) 등이 계사 외부의 콘크리트 바닥 등에 맞닿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트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랙부(60)를 다수개의 바퀴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도조절부(7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랙부(6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2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도조절부(70)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몸체프레임(10)과 결합하고, 상기 트랙부(6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경사각조절실린더(77)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거부(20)와 몸체프레임(10)을 상기 트랙부(60)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프레임(10)과 상기 트랙부(6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수거부(20) 하부의 고정판과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몸체프레임(10)과 일체로 결합하는 다수개의 고정판(731)이 구비된 각도조정바디(73)와, 상기 트랙부(60)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각각 제3축공(741)이 형성된 한 쌍의 제3체결플랜지(74)와, 상기 트랙부(60)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각조절실린더(77)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4축공(751)이 형성된 한 쌍의 제4체결플랜지(75) 및 상기 각도조정바디(73)에 배치되되, 상기 제3축공(7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회전지지체(76)를 포함한다.
전체 각도조절부는 수거부(20)와 몸체프레임(10)이 각도조정바디(73)와 일체로 조립되어 트랙부(60)와 힌지핀으로 조립되는 회전지지체(76)의 홀을 기준으로 신축수단(72)에 의해 제3축공(741)과 제4축공(751) 사이의 길이 변화로 각도가 조정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각도조절부(70)는 경사각조절실린더(77)의 로드가 당겨지면 수거부(20)를 전단을 하방으로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몸체프레임(10)을 회전시킴으로써 몸체프레임(10)의 상방에 배치된 적재부(40)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트랙부(60)를 제외한 각 구성요소간의 간격이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어 동작 중 유격 발생에 따른 혼합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정바디(73)를 다수개의 금속각관을 용접하여 형성함으로써 상방에서 가해지는 하중 압력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회전에 의해 선단측으로 집중되는 하중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 중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각도조정바디(73)에 복수개의 횡바를 배치하여 하중 압력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재부(40)를 구성하는 적재함(41)의 위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배출모듈(80)이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에 수거된 계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하는데, 특히 수거된 계분을 트럭 또는 트레일러로 직접 배출함으로써 계분 수거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다음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41)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고, 적재함에 수거된 계분을 외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실시예이다.
이를 위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8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배출모듈(80)은 상기 적재함(41)이 안치되는 안치프레임(81)과, 상기 안치프레임(8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리프트(82)과, 상기 안치프레임(81)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리프트(83)를 포함한다.
상기 안치프레임(81)은 도 2,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장형지지바(811)와, 양단이 상기 장형지지바(811)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단형지지바(812)와, 상기 장형지지바(811)의 상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면에 구비된 한 쌍의 탑레일(8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형지지바(811)와 단형지지바(812)는 적재함(41)이 안치되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적재함 및 적재함에 수건된 계분의 하중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형지지바(812)는 한 쌍의 장형지지바(811) 사이에 배치되되 양단이 장형지지바(811)에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일체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단형지지바(812)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적재함(41)이 안치프레임(8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형지지바(811)의 상면에 결합되어 적재함(41)의 일측 외주면이 맞닿아 멈추는 스톱퍼의 기능도 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탑레일(813)은 상기 장형지지바(811)의 내측에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승강리프트(83)에 구비된 탑캐스터(833)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탑레일(813)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는 면을 향해 즉, 안치프레임의 중앙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탑캐스터(833)가 구름 이동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호 마주보는 중앙측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레일(8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캐스터(833)의 이동을 제한하되 상기 탑캐스터(833)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측은 개구되고 타측은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안치프레임(81)은 적재함(41)의 하부에 배치되어 적재함(41)이 안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수평리프트(82)를 통해 트랙부(60)의 상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수평리프트(82)는 도 2,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랙부(60)의 상면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고정레일(821)과,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출입하는 로드(823)가 구비된 수평실린더(822)와, 상기 트랙부의 외측에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바텀레일(824)과, 상기 바텀레일(82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로드(823)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이동체(825)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8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술하는 승강리프트(83)의 바텀캐스터(834)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트랙부(60)의 상면에서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된다.(도 4 및 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821)은 상기 탑레일(813)과 동일한 형태, 즉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바텀캐스터(834)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개구된 일측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중앙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바텀캐스터(834)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평실린더(822)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출입하는 로드(823)가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수평실린더(822)의 내부 구조 및 동작 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수평실린더(822)는 로드(823)를 동작시켜 이동체(82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로드(823)가 외부로 인출된 후 후술하는 승강바(831)가 상승할 때 또는 상승한 이후에 상방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용량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되, 이러한 소정 용량은 적재함 및 적재함에 저장되는 계분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바텀레일(824)은 상기 트랙부(60)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821)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바텀레일(824)은 후술하는 승강리프트(83)를 구성하는 승강바(831)의 하단이 배치되되 후술하는 이동체(8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시 상기 승강바(831)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체(825)는 상기 바텀레일(82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823)의 선단부가 결합되며 후술하는 승강바(831)의 일단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체(825)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823)의 선단부가 결합되며 바텀레일(82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로드(823)의 신축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에 승강바(8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수평리프트(82)는 안치프레임(81)을 트랙부(60)로부터 상방으로 상승시키기 이전에 후방으로 먼저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는 안치프레임(81) 및 이에 안치된 적재함(41)이 트랙부(60)에서 직상방으로 상승하는 경우 승강부(30)와 부딪힘으로써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즉, 안치프레임(81) 및 이에 안치된 적재함(41)을 트랙부(60)로부터 후방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후술하는 승강리프트(83)를 통해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승 또는 하강 중 승강부 등과 같은 다른 구성과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상기 승강리프트(83)는 도 2,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프레임(81)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안치프레임(81)에 안치된 적재함(4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이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교차된 부위에 배치된 센터핀(837)을 통해 결합되며, 한 쌍이 상기 안치프레임(81)의 하부에서 대칭되게 배치된 승강바(831)와, 양단이 상기 승강바(831)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된 승강지지바(832)와, 상기 승강바(831)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안치프레임(81)의 탑레일(813)에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 탑캐스터(833)와, 상기 승강바(831) 중 다른 하나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리프트(82)의 고정레일(821)에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 바텀캐스터(834)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출입하고, 선단부가 상기 승강지지바(832)에 결합된 승강로드(836)가 배치된 리프트실린더(835)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바(831)는 한 쌍이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되 교차된 부위에 센터핀(837)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한 쌍이 안치프레임(81)과 수평리프트(82) 사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승강바(831)는 안치프레임 및 적재함과 적재함에 수거된 계분의 하중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剛性) 소재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지지바(832)는 상기 승강바(831)가 일체로 이동하도록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대칭되게 배치된 승강바(831) 사이에서 양단이 승강바(831)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고, 승강바(831)로 전달되는 하중 압력을 분산하여 지지한다.
이러한 승강지지바(832)는 도시된 위치 및 개수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하중 압력의 크기에 따라 위치 및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탑캐스터(833)는 상기 승강바(83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탑레일(813)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승강바(831)가 수평리프트(8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바텀캐스터(834)는 상기 승강바(831)의 하단에 구비되어 수평리프트(82)의 고정레일(821)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승강바(831)가 상승할 때 동시에 이동하면서 'X'자 형태로 교차 배치된 한 쌍의 승강바(831)의 상호간의 상단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면서 안치프레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승강바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8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한 쌍씩 모두 2 쌍이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4개의 단품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탑캐스터(833)는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승강바(831) 중 어느 하나의 승강바 상단에 구비되고, 바텀캐스터(834)도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승강바(831) 중 다른 하나의 승강바 하단에 구비된다.
여기서 탑캐스터(833)가 구비된 승강바(831)의 하단은 상기 수평리프트(82)를 구성하는 이동체(8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텀캐스터(834)가 구비된 승강바(831)의 상단은 안치프레임(81)을 구성하는 단형지지바(8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도 4 및 도 6 참조)
상기 리프트실린더(835)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선단부가 상기 승강지지바(832)에 결합된 승강로드(836)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실린더(835)는 상기 승강바(831) 또는 승강지지바(832)에 브라켓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승강바(831)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리프트실린더(835)도 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드(836)는 승강지지바(832)에 결합되어 이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승강바(8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승강리프트(8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실린더(835)가 동작하면서 승강로드(836)가 승강지지바(832)를 밀어서 승강바(831)를 상승시키고, 동시에 승강바(831)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된 탑캐스터(833)와 바텀캐스터(834)가 승강바(831)의 상승 동작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센터핀(8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바가 회전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1실시예를 통해 적재함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승시킴으로써 적재함이 상승 또는 하강시 승강부와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고, 적재함 내부에 배출부가 구비되어 적재함에 수거된 계분을 외부로 일정한 속도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는 적재함의 위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적재함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적재함(4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출모듈(80)에는 배출각도 조절수단(84)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각도 조절수단(84)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각도조절로드(842)를 출입시키는 배출각도 조절용 실린더(841)와 상기 적재함(41)과 상기 장형지지바(811)를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843)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로드(842)의 선단부가 상기 적재함(41)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로드(842)가 외부로 인출되면서 적재함(41)의 일단이 하방을 향해 기울어진다.
상기 배출각도 조절용 실린더(841)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각도조절로드(842)를 출입시키고, 상기 각도조절로드(842)의 선단부가 적재함(41)의 외면에 결합되어 외부로 인출시 적재함을 밀어냄으로써 적재함에서 배출공(412)이 구비된 후방이 하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다.(도 12의 (b) 참조)
상기 한 쌍의 링크(84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게이트락(44)이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링크(843)의 일측은 상기 장형지지바(8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적재함(41)의 외면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각도 조절용 실린더(841)를 통해 적재함(41)이 기울어질 때 적재함(41)이 회전해야 하는 방향을 안내한다.
즉, 상기 링크(843)는 적재함(41)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적재함(41)이 후단 하방을 향하여 회전할 때 적재함(41)에 결합된 링크(843)에 의해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적재함(41)에는, 상기 배출공(412)이 구비된 일단을 개폐하는 게이트(43)가 구비되고, 상기 장형지지바(81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게이트(43)의 일단면과 당접하는 부분이 절곡되어 게이트(43)가 상기 배출공(412)을 폐쇄하도록 지지하는 게이트락(44)이 더 구비된다.(도 10 내지 도 12 참조)
상기 게이트(43)는 적재함(41)의 일단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되 상단이 절곡 형성되어 적재함(4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게이트(43)를 통해 적재함에 수거된 계분이 이동 중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적재함이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면 게이트(43)는 적재함의 일단에서 이격됨으로써 저장된 계분이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게이트락(44)은 상기 게이트(43)가 적재함(41)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장형지지바(81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게이트(43)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일단이 게이트(43)와 맞닿아 이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락(4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843)에 일체로 결합되어 링크가 회전시 동시에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후, 적재함(41)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843)가 회전하면서 게이트락(44)을 게이트(43)로부터 밀어냄으로써 게이트(43)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게이트(43) 및 게이트락(44)을 통해 적재함에 저장된 계분이 이동 및 청소 과정에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공을 통해 계분을 배출하고자 적재함의 각도를 기울일 때 링크(843)가 게이트락(44)을 밀어냄으로써 게이트(43)가 적재함에서 이격되어 계분이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배출모듈(8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프레임(81)에 안치된 적재함(41)의 위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재함에 저장된 계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2실시예의 동작 상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프레임(81)을 수평리프트(82)를 통해 적재함(41)을 수평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승강리프트(83)를 구동시켜 안치프레임(81)을 상승시켜 적재함(41)을 상승시킨다.
여기서 적재함(41)을 수평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적재함(41)을 승강리프트(83)를 통해 상승시킬 때, 수거부(20)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적재함(41) 상승시 충돌 없이 원할히 작동시키기 위함이다
이후, 배출각도 조절수단(84)을 통해 적재함(41)을 후방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이고, 이때 적재함의 배출공(412)을 폐쇄하고 있는 게이트(43)가 적재함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저장된 계분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승강리프트가 없는 상태에서 적재함에 저장된 계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실시예이다.
즉 제3실시예는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리프트와 배출각도 조절수단이 구비되되, 승강리프트가 제외된 것으로, 수평리프트(83)를 통해 적재함(4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배출각도 조절수단(84)이 동작하면서 적재함(41)을 경사지게 배치하여 수거된 계분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제3실시예는 적재함에 저장된 계분을 별도의 수거 장소에 수거하고자 할 때 즉, 트럭 또는 트레일러에 직접 배출하지 않고 지면에 배출하는 경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10 : 몸체프레임
20 : 수거부
30 : 승강부
40 : 적재부
41 : 적재함 42 : 레벨유지수단
43 : 게이트 44 : 게이트락
50 : 배출부
60 : 트랙부
70 : 각도조절부
80 : 배출모듈
81 : 안치프레임
811 : 장형지지바 812 : 단형지지바
813 : 탑레일
82 : 수평리프트
821 : 고정레일 822 : 수평실린더
823 : 로드 824 : 바텀레일
825 : 이동체
83 : 승강리프트
831 : 승강바 832 : 승강지지바
833 : 탑캐스터 834 : 바텀캐스터
835 : 리프트실린더 836 : 승강로드
837 : 센터핀
84 : 배출각도 조절수단
841 : 배출각도 조절용실린더 842 : 각도조절로드
843 : 링크

Claims (10)

  1. 몸체프레임(10);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계사의 바닥에 쌓인 왕겨와 계분을 파쇄하고, 파쇄된 왕겨와 계분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수거부(20);
    상기 수거부(20)로부터 공급된 왕겨와 계분을 상방으로 이송하되, 이송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왕겨는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이송블레이드(22)가 구비된 승강부(30);
    상기 몸체프레임(10)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30)로부터 이송된 계분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적재함(41)과, 상기 적재함(41)의 개구된 상단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계분의 위치 및 높이를 정렬하는 레벨유지수단(42)을 포함한 적재부(40);
    상기 적재함(41)의 바닥에 배치되어 계분을 상기 적재함(41)의 일측단에 형성된 배출공(412)을 통해 배출하도록 이송하는 배출블레이드(52)를 포함한 배출부(50);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하방에 배치되어 메인엔진 및 조향장치(WL)를 통해 구동되는 트랙부(60);
    상기 수거부(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70); 및
    상기 트랙부(60)와 상기 적재부(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함(41)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는 배출모듈(80);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모듈(80)은,
    상기 적재함(41)이 안치되는 안치프레임(81)과,
    상기 안치프레임(8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리프트(82)와,
    상기 안치프레임(81)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리프트(8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치프레임(8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장형지지바(811)와,
    양단이 상기 장형지지바(811)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단형지지바(812)와,
    상기 장형지지바(811)의 상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면에 구비된 한 쌍의 탑레일(81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리프트(82)는,
    상기 트랙부(60)의 상면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고정레일(821)과,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출입하는 로드(823)가 구비된 수평실린더(822)와,
    상기 트랙부의 외측에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바텀레일(824)과,
    상기 바텀레일(82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로드(823)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이동체(82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리프트(83)는,
    한 쌍이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교차된 부위에 배치된 센터핀(837)을 통해 결합되며, 한 쌍이 상기 안치프레임(81)의 하부에서 대칭되게 배치된 승강바(831)와,
    양단이 상기 승강바(831)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된 승강지지바(832)와,
    상기 승강바(831)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안치프레임(81)의 탑레일(813)에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 탑캐스터(833)와,
    상기 승강바(831) 중 다른 하나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리프트(82)의 고정레일(821)에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 바텀캐스터(834)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출입하고, 선단부가 상기 승강지지바(832)에 결합된 승강로드(836)가 배치된 리프트실린더(83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5. 몸체프레임(10);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계사의 바닥에 쌓인 왕겨와 계분을 파쇄하고, 파쇄된 왕겨와 계분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수거부(20);
    상기 수거부(20)로부터 공급된 왕겨와 계분을 상방으로 이송하되, 이송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왕겨는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이송블레이드(22)가 구비된 승강부(30);
    상기 몸체프레임(10)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30)로부터 이송된 계분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적재함(41)과, 상기 적재함(41)의 개구된 상단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계분의 위치 및 높이를 정렬하는 레벨유지수단(42)을 포함한 적재부(40);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하방에 배치되어 메인엔진 및 조향장치(WL)를 통해 구동되는 트랙부(60);
    상기 수거부(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70); 및
    상기 트랙부(60)와 상기 적재부(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함(41)의 위치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배출모듈(80);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모듈(80)은,
    상기 적재함(41)이 안치되는 안치프레임(81)과,
    상기 적재함(41)의 배출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배출각도 조절수단(8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출각도 조절수단(84)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각도조절로드(842)를 출입시키는 배출각도 조절용 실린더(841)와,
    상기 적재함(41)과 장형지지바(811)를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843)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로드(842)의 선단부가 상기 적재함(41)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로드(842)가 외부로 인출되면서 적재함(41)의 일단이 하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41)에는 배출공(412)이 구비된 일단을 개폐하는 게이트(43)가 구비되고,
    장형지지바(81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게이트(43)의 일단면과 당접하는 부분이 절곡되어 게이트(43)가 상기 배출공(412)을 폐쇄하도록 지지하는 게이트락(4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출모듈(80)은, 상기 안치프레임(8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리프트(82)와 상기 안치프레임(81)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리프트(83)가 더 구비되되,
    상기 승강리프트(83)는,
    한 쌍이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교차된 부위에 배치된 센터핀(837)을 통해 결합되며, 한 쌍이 상기 안치프레임(81)의 하부에서 대칭되게 배치된 승강바(831)와,
    양단이 상기 승강바(831)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된 승강지지바(832)와,
    상기 승강바(831)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안치프레임(81)의 탑레일(813)에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 탑캐스터(833)와,
    상기 승강바(831) 중 다른 하나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리프트(82)의 고정레일(821)에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 바텀캐스터(834)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출입하고, 선단부가 상기 승강지지바(832)에 결합된 승강로드(836)가 배치된 리프트실린더(83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리프트(82)는,
    상기 트랙부(60)의 상면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고정레일(821)과,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출입하는 로드(823)가 구비된 수평실린더(822)와,
    상기 트랙부의 외측에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바텀레일(824)과,
    상기 바텀레일(82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로드(823)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이동체(82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60)는, 환형의 무한궤도 또는 다수개의 이동용 캐스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KR1020200017179A 2020-02-12 2020-02-12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KR10232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79A KR102328414B1 (ko) 2020-02-12 2020-02-12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79A KR102328414B1 (ko) 2020-02-12 2020-02-12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53A KR20210102753A (ko) 2021-08-20
KR102328414B1 true KR102328414B1 (ko) 2021-11-18

Family

ID=7746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179A KR102328414B1 (ko) 2020-02-12 2020-02-12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83567A (zh) * 2022-09-06 2023-01-10 江阴市安海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防坠落的水平旋转自动化升降吊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403A (en) 1986-03-10 1987-12-08 Gregory Sr Charles E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chicken manure from chicken houses
US5901911A (en) 1996-12-26 1999-05-11 Davis; Thomas W.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caked litter from a poultry facil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16U (ja) * 1992-09-25 1994-04-26 スター農機株式会社 野菜粉砕機
JPH0752109Y2 (ja) * 1993-06-30 1995-11-29 株式会社メイキコウ トラック荷台用のリフト装置
KR200241210Y1 (ko) 2001-05-14 2001-10-15 안억근 양계장의 계분 청소를 위한 스크레이퍼 이송용 복합재로우프
KR100855667B1 (ko) * 2007-02-05 2008-09-03 권태영 볏짚자동이송장치
KR100985980B1 (ko) 2010-05-31 2010-10-06 김정식 계사 자동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403A (en) 1986-03-10 1987-12-08 Gregory Sr Charles E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chicken manure from chicken houses
US5901911A (en) 1996-12-26 1999-05-11 Davis; Thomas W.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caked litter from a poultry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53A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970B1 (ko) 자주식 계사청소기
US11691831B2 (en) Portable conveyor system including pivotable and extendable feed conveyors for feeding particulate material into an elevating assembly
US20140158798A1 (en) Apparatus for sizing and separating particulate material
DE3621420C1 (de) Tagebau-Fraesgeraet
KR102328414B1 (ko) 배출모듈이 구비된 자주식 계사청소기
CN111742687A (zh) 履带式油莎豆收获机
DE3807738A1 (de) Vorrichtung zum aufnehmen, transportieren, zerkleinern und ausbringen von futtermittelbloecken
WO2015022112A1 (en) Main frame for mobile bulk processing apparatus
CA2724473C (en) Mechanic extractor of dry grains stored in silage bag with discharge accelerator
AU3155899A (en) Material processing plant
CN103464451B (zh) 垃圾分选系统和方法
KR102051404B1 (ko) 구근류 채굴장치
KR102363599B1 (ko) 자주식 계사청소기
US20230054592A1 (en) Grain cart with access and safety element for maintenance, inspection or cleaning operator
US5590842A (en) Conveyor with extending shroud
JP2006122800A (ja) 回転式除礫装置
US4635544A (en) Module builder with a flared top and with attachments
JP3215214B2 (ja) 路上走行可能な破砕プラント車
DE10124016A1 (de) Mobile Aufbereitungsanlage
DE19505909C2 (de) Mobile Anlage zur Zerkleinerung von Bauschutt oder dgl.
CN220836017U (zh) 一种支撑梁分解设备
CN111099264B (zh) 一种采矿用矿石连续提升机
CN212381689U (zh) 一种履带式油莎豆收获机
DE2521241A1 (de) Zerkleinerungsmaschine fuer mineralische materialien
CN213127116U (zh) 一种具有高度调节功能的履带式油莎豆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