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409B1 - 주차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409B1
KR102328409B1 KR1020150082443A KR20150082443A KR102328409B1 KR 102328409 B1 KR102328409 B1 KR 102328409B1 KR 1020150082443 A KR1020150082443 A KR 1020150082443A KR 20150082443 A KR20150082443 A KR 20150082443A KR 102328409 B1 KR102328409 B1 KR 10232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ousing
parking brake
coupl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083A (ko
Inventor
신충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4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주차 브레이크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하우징부재와, 하우징부재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너트부재와, 너트부재의 일단부로 삽입되고, 너트부재와 나사 결합되며, 브레이크케이블이 결합되는 볼트부재와, 볼트부재를 둘러싸며, 볼트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실린더부재와, 너트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너트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너트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차 브레이크 장치{PARKING BRAKE APPARATUS}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비상 해제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된 차량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한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EPB, Electronic Parking Brake)의 경우 모터부의 회전 이동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여 차륜에 제동력을 전달한다.
즉,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버튼, 스위치, 또는 레버를 조작하여 모터부를 구동하면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웜휠기어부와 너트부재가 회전하고, 너트부재에 관통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부재가 이동되고, 볼트부재에 연결된 브레이크케이블이 잡아당겨져 제동력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모터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잠김 발생, 기어 파손 등이 발생되는 경우 제동력을 해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9056호(2009.04.22.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 및 조작으로 제동력의 비상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너트부재; 상기 너트부재의 일단부로 삽입되고, 상기 너트부재와 나사 결합되며, 브레이크케이블이 결합되는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볼트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너트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너트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일단부로 상기 브레이크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부에서 탈거 시, 상기 너트회전부재를 노출시키는 하우징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캡부는, 상기 하우징부와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캡바디; 및 상기 하우징캡바디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캡바디 사이를 밀폐하는 캡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웜기어부; 및 내측으로 상기 너트부재가 삽입되고, 외주면이 상기 웜기어부와 치합되는 웜휠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웜휠기어부에 삽입되고, 상기 웜휠기어부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너트회전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너트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너트바디부; 및 상기 너트바디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결합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너트바디부는, 상기 웜휠기어부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너트회전부재는, 상기 너트부재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너트회전바디; 및 상기 너트회전바디의 외주면에 각지게 형성되어 공구와 맞물려 회전되는 공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너트회전부재는, 상기 너트부재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너트회전바디; 및 상기 너트회전바디의 내주면에 각지게 형성되어 공구와 맞물려 회전되는 공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잠김, 기어 파손 등을 원인으로 하여,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 해제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수동으로 제동력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캡부가 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하우징캡부를 탈거하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너트회전부재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회전부재가 너트부재와 일체로서 형성되므로 부품의 개수 및 조립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회전부재에 공구결합부가 형성되므로, 공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공구의 회전력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하우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하우징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하우징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공구결합부에 공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공구결합부에 공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하우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1)는 하우징부재(100), 구동부재(200), 너트부재(300), 볼트부재(400), 실린더부재(500) 및 너트회전부재(6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재(100)는 내측에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재(100)는 공간부(111)에 수용된 너트부재(300), 볼트부재(400), 실린더부재(500) 및 너트회전부재(600) 등의 부품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재(100)는 하우징부(110) 및 하우징캡부(13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내측에 양측으로 개방된 공간부(111)가 형성되어 너트부재(300), 볼트부재(400) 등이 수용되며, 일단부(도 3 기준 좌측 단부)에 브레이크케이블(10)이 삽입되고, 타단부(도 3 기준 우측 단부)에 하우징캡부(1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캡부(130)에 의하여 공간부(111)가 개폐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하우징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하우징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공구결합부에 공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공구결합부에 공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하우징캡부(130)는 하우징부(110)의 타단부(도 4 기준 우측 단부)에 나사 결합 방식 또는 볼팅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부(110)에서 탈거 시 너트회전부재(600)를 외부에 노출시켜, 사용자가 공구(Ta, Tb) 등을 이용하여 너트회전부재(6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캡부(130)는 하우징캡바디(131) 및 캡실링부(135)를 포함한다.
하우징캡바디(131)는 하우징부(110)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캡바디(131)는 하우징부(110)의 타단부(도 4 기준 우측 단부)를 덮는 형상인 하우징캡(132)과, 하우징캡(132)에서 돌출 형성되며, 하우징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우징부(110)와 나사 결합되는 캡결합부(134)를 포함한다.
캡실링부(135)는 하우징캡바디(131)와 하우징부(110)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하우징부(110)와 하우징캡바디(131) 사이를 밀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캡실링부(135)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캡결합부(134)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캡결합부(134)와 하우징부(110) 사이를 밀폐한다.
구동부재(200)는 하우징부재(100)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력 등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재(200)는 모터부(210), 웜기어부(230) 및 웜휠기어부(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재(200)는 하중강하보상스프링(30)에 의하여 베어링(60) 등을 매개로 후방(도 4 기준 우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하중 강하 등에 의하여 제동력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모터부(210)는 하우징부재(100)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전기모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부(210)는 ECU 등의 제어에 따라 외부에서 전력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축(211)을 회전시킨다.
웜기어부(230)는 모터부(210)의 회전축(211)에 결합되거나, 회전축(21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회전축(211)과 함께 회전된다.
웜휠기어부(250)는 내측으로 너트부재(300)가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웜기어부(230)와 치합된다. 이에 따라 모터부(2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웜기어부(230), 웜휠기어부(250)를 매개로 너트부재(300)에 전달되어 너트부재(300)를 회전시킨다.
너트부재(300)는 구동부재(200)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부재(300)는 구동부재(200), 특히 웜휠기어부(250)와 별물로 형성되며, 웜휠기어부(250)에 삽입되어, 웜휠기어부(250)와 함께 회전된다. 너트부재(300)가 웜휠기어부(250)와 별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 환경에 따라 웜휠기어부(250)와 이종 재질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웜휠기어부(25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웜기어부(230)와의 작동 중 마모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너트부재(300)는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종 재질의 적용 여부는 제품의 사양, 작동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부재(300)는 너트바디부(310) 및 볼트결합홀부(330)를 포함한다.
너트바디부(310)는 웜휠기어부(250)에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웜휠기어부(250)의 내주면에 맞물려 회전한다. 또한, 너트바디부(310)는 너트회전부재(600)가 결합되어, 너트회전부재(6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바디부(310)는 웜휠기어부(250)와 스플라인 결합되므로, 웜휠기어부(250)에 맞물려 회전하는 동시에 웜휠기어부(250)에 대하여 너트바디부(310)의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볼트결합홀부(330)는 너트바디부(310)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부재(400)와 나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결합홀부(330)는 너트바디부(310)를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너트바디부(310)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재(400)가 볼트결합홀부(3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볼트부재(400)는 너트부재(300)의 일단부(도 4 기준 좌측 단부)로 삽입되고, 너트부재(300)와 나사 결합되며, 브레이크케이블(10)이 용접,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볼트부재(400)는 브레이크케이블(10)을 이동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거나, 제동력을 해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부재(400)는 볼트바디부(410) 및 볼트헤드부(430)를 포함한다.
볼트바디부(410)는 너트부재(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너트부재(300)와 나사 결합된다. 볼트헤드부(430)는 볼트바디부(41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브레이크케이블(10)과 볼팅,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하우징부재(100)의 내측에서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릴리즈스프링(40)은 볼트부재(400)가 너트부재(300)와의 체결이 풀리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볼트부재(400)에 의하여 압축되어, 볼트부재(400) 등의 유동을 방지한다.
실린더부재(500)는 볼트부재(400)와 하우징부재(100) 사이에 개재되며, 내주면에 실린더부재(500)의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부(미도시)에 볼트부재(400)의 볼트돌기부(미도시)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볼트바디부(410) 및 볼트헤드부(430)의 회전을 제한하는 동시에, 볼트바디부(410) 및 볼트헤드부(43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에 따라 볼트부재(400)는 너트부재(300)와의 나사 결합 체결에 따라 대략 직선 왕복 이동하는 방식으로 너트부재(300)의 회전 이동을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한다.
실린더스프링(50)은 실린더부재(500)의 전방 이동에 따라 압축되어, 실린더부재(50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실린더부재(500)의 유동 등을 방지한다.
너트회전부재(600)는 너트부재(300)의 타단부(도 4 기준 우측 단부)에 결합되고, 너트부재(300)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회전부재(600)는 너트회전바디(610) 및 공구결합부(610a, 610b)를 포함한다.
너트회전바디(610)는 너트바디부(310)의 타단부(도 4 기준 우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회전바디(610)는 너트바디부(310)와 일체로서 형성되며, 너트바디부(310)의 타단부(도 4 기준 우측 단부)에 위치하여, 하우징캡부(130)가 하우징부(110)에서 탈거되면 외부에 노출된다.
공구결합부(610a, 610b)는 렌치, 볼트 또는 소켓 등의 공구(Ta, Tb)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공구(Ta, Tb)가 너트회전바디(610)에 맞물려 함께 회전되도록 하여 너트회전바디(610)의 회전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공구(Ta, Tb)의 회전력이 너트회전바디(610)에 손실 없이 전달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공구결합부(610a)는 너트회전바디(610)의 외주면에 각지게 형성되어, 소켓 등의 공구(Ta)에 삽입되며, 소켓 등의 공구(Ta)와 함께 회전된다. 제1 실시예에서의 공구결합부(610a)는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외측 단면이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소켓 등의 공구(Ta)에 삽입되어, 공구(Ta)와 함께 회전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공구결합부(610b)는 너트회전바디(610)의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렌치, 볼트 등의 공구(Tb)가 삽입되고, 렌치, 볼트 등의 공구(Tb)와 맞물린다. 제1 실시예에서 공구결합부(610b)는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내측 단면이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육각 렌치 등의 공구(Tb)가 내측으로 삽입된다.
너트회전바디(610)에는 외측에 각지게 형성되는 공구결합부(610a)와,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구결합부(610b)가 동시에 형성되어, 복수 종류의 공구(Ta, Tb)에 의하여 너트회전바디(6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1)의 작동원리 및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CU 등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부(210)에 전력이 인가되면, 회전축(211)과 함께 웜기어부(230)가 회전된다. 웜기어부(230)의 회전력은 웜휠기어부(250)를 매개로 너트부재(300)에 전달되어, 너트부재(300)를 회전시킨다.
너트부재(300)의 회전력은 너트부재(300)와 나사 결합된 볼트부재(400)에 전달되는데, 볼트부재(400)는 볼트돌기부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므로, 너트부재(300)와의 나사 결합이 풀리거나, 체결됨에 따라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너트부재(300)와 볼트부재(400)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너트부재(300)가 회전되는 경우 볼트부재(40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볼트부재(400)와 결합된 브레이크케이블(10)이 볼트부재(400)와 함께 전방(도 4 기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동력을 해제한다.
반면, 너트부재(300)와 볼트부재(400)의 나사 결합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너트부재(300)가 회전되는 경우 볼트부재(400)는 후방(도 4 기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볼트부재(400)와 결합된 브레이크케이블(10)이 볼트부재(40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다만, ECU에 의한 신호 전달 불량, 모터부(210)의 작동 불량 또는 웜기어부(230)와 웜휠기어부(250)의 내구 진행에 따른 기어파손 등을 원인으로 하여 제동력의 해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너트회전부재(600)를 회전시켜, 주차 브레이크 장치(1)의 제동력을 비상 해제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우선, 하우징부(110)에서 하우징캡부(130)를 탈거시켜 너트회전부재(60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하우징캡부(130)가 탈거되면, 사용자는 육각랜치 또는 소켓 등의 공구(Ta, Tb)를 하우징부(110) 내부에 진입시켜, 너트회전부재(600), 구체적으로 공구결합부(610a, 610b)에 맞물리도록 한다.
공구(Ta, Tb)가 너트회전부재(600)의 공구결합부(610a, 610b)에 맞물리면, 사용자는 공구(Ta, Tb)를 회전시켜 너트부재(300)와 볼트부재(400)의 나사 결합이 풀리도록 한다. 너트부재(300)와 볼트부재(400)가 풀리는 방향으로 너트부재(300)가 회전되면, 볼트부재(400)와 함께 브레이크케이블(10)이 전방(도 4 기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브레이크케이블(10)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주차 브레이크 장치(1)의 제동력이 해제된다.
요컨대, 본 실시예에서 주차 브레이크 장치(1)는, 잠김, 기어 파손 등을 원인으로 하여 주차 브레이크 장치(1)의 제동력 해제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수동으로 제동력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주차 브레이크 장치(1)는 하우징캡부(130)가 하우징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하우징캡부(130)를 탈거하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너트회전부재(600)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주차 브레이크 장치(1)는 너트회전부재(600)가 너트부재(300)와 일체로서 형성되므로 부품의 개수 및 조립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주차 브레이크 장치(1)는 너트회전부재(600)에 공구결합부(610a, 610b)가 형성되므로, 공구(Ta, Tb)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공구(Ta, Tb)의 회전력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주차 브레이크 장치 10: 브레이크케이블
30: 하중강하보상스프링 40: 릴리즈스프링
50: 실린더스프링 60: 베어링
100: 하우징부재 110: 하우징부
111: 공간부 130: 하우징캡부
131: 하우징캡바디 135: 캡실링부
200: 구동부재 210: 모터부
211: 회전축 230: 웜기어부
250: 웜휠기어부 300: 너트부재
310: 너트바디부 330: 볼트결합홀부
400: 볼트부재 410: 볼트바디부
430: 볼트헤드부 500: 실린더부재
600: 너트회전부재 610: 너트회전바디
610a, b: 공구결합부 Ta, Tb: 공구

Claims (8)

  1.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너트부재;
    상기 너트부재의 일단부로 삽입되고, 상기 너트부재와 나사 결합되며, 브레이크케이블이 결합되는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볼트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너트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너트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일단부로 상기 브레이크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부에서 탈거 시, 상기 너트회전부재를 노출시키는 하우징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캡부는,
    상기 하우징부와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캡바디; 및
    상기 하우징캡바디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캡바디 사이를 밀폐하는 캡실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웜기어부; 및
    내측으로 상기 너트부재가 삽입되고, 외주면이 상기 웜기어부와 치합되는 웜휠기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웜휠기어부에 삽입되고, 상기 웜휠기어부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너트회전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너트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너트바디부; 및
    상기 너트바디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결합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바디부는, 상기 웜휠기어부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회전부재는,
    상기 너트부재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너트회전바디; 및
    상기 너트회전바디의 외주면에 각지게 형성되어 공구와 맞물려 회전되는 공구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회전부재는,
    상기 너트부재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너트회전바디; 및
    상기 너트회전바디의 내주면에 각지게 형성되어 공구와 맞물려 회전되는 공구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0150082443A 2015-06-11 2015-06-11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32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443A KR102328409B1 (ko) 2015-06-11 2015-06-11 주차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443A KR102328409B1 (ko) 2015-06-11 2015-06-11 주차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083A KR20160147083A (ko) 2016-12-22
KR102328409B1 true KR102328409B1 (ko) 2021-11-19

Family

ID=5772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443A KR102328409B1 (ko) 2015-06-11 2015-06-11 주차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4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9056A (ko) * 2007-10-17 2009-04-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20130048313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주차 브레이크
KR102122756B1 (ko) * 2013-11-27 2020-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2196148B1 (ko) * 2014-06-09 2020-12-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083A (ko)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0402B1 (de)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eine tragbare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 winkelschleifmaschine
US9707630B2 (en) Power milling machine
CN105015486B (zh) 转向锁
KR102328409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DE102017214119A1 (de)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eine tragbare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 Winkelschleifmaschine
KR102297129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CN108568772B (zh) 包括使反抗转矩转向的支撑支架和动力螺纹驱动器的组件
KR102322481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2010064569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1554709B1 (ko) 파킹케이블 조립장치
KR101176469B1 (ko) 전자식 주차브레이크의 액추에이터
US20210276146A1 (en) Quick Clamping Device for a Portable Machine Tool, in Particular an Angle Grinder, Comprising at Least One Output Shaft That Can Be Rotatably Driven
KR102196148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CN106312955B (zh) 手持式工具及其夹紧装置
CN105658985B (zh) 驻车制动钳
JP6032090B2 (ja) ドラムブレーキ
KR101305987B1 (ko)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JP2019190531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118648B1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161226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1641662B1 (ko) 바퀴 커버 장치
KR101562911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557435B1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비상 해제 장치
KR20120138453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CN106312954B (zh) 手持式工具及其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