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717B1 -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717B1
KR102327717B1 KR1020210075751A KR20210075751A KR102327717B1 KR 102327717 B1 KR102327717 B1 KR 102327717B1 KR 1020210075751 A KR1020210075751 A KR 1020210075751A KR 20210075751 A KR20210075751 A KR 20210075751A KR 102327717 B1 KR102327717 B1 KR 102327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lining
filter sheet
mask body
out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장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미아이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미아이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미아이엔디
Priority to KR102021007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07Stacking
    • A41H43/0221Stacking folded over a stacker ro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장방형의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 겉감을 착색한 상태에서 상하측 각 단부를 바깥쪽으로 접어서 가장자리 부분을 융착시키더라도 마스크의 외면 전체가 착색된 겉감만 노출되도록 하고, 나아가 일회용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시 좌우 양측 가장자리가 얼굴에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겉감(11), 얼굴과 접촉되는 안감(12) 및 상기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개재되는 1개층 또는 복수 층의 필터 시트(13)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10)를 포함하는 장방형의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소정 폭만큼 바깥쪽으로 접혀서 중첩된 부분이 초음파 융착으로 고정되되, 상기 겉감(11)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안감(12) 및 필터 시트(13)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겉감(11)의 상하측 각 단부가 다시 접혀서 바깥쪽으로 접힌 상기 안감(12)의 외측 면을 커버하게 됨으로써 마스크 본체의 외면이 착색된 겉감만 노출되게 한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크 중 얼굴과 접촉되는 안감은 착색되지 않고 마스크의 겉감 전체 면이 착색된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마스크는 의료용, 보건위생용, 방독용, 방한용, 방진용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특히, 보건위생용 마스크는 에어로졸상의 병균이나 먼지 따위가 호흡기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리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보건위생용 마스크는 개인의 보건 위생과 방호를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코와 입을 가려 에어로졸상의 병균이나 바이러스의 확산이나 감염을 막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마스크는 미세입자의 차단 정도에 따라 등급이 정해져 있다.
보건위생용 마스크 중에서 가장 대중적이고 흔히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마스크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9307호(특허문헌 1)에서는, 겉감, 필터 및 안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얼굴 착용시 마스크면을 늘릴 수 있도록 가소 방향으로 접어 포갠 장방형의 마스크 바디와, 상기 마스크 바디의 양측면에 초음파 열융착되는 이어 밴드와, 상기 마스크 바디의 짧은 변을 감쌈과 동시에 초음파 열융착되는 측면보강대로 구성된 일회용 마스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이 3개의 시트(겉감, 필터, 안감)가 포개진 일회용 마스크는, 가장자리의 끝단부까지 열융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끝단이 벌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최근에는 마스크의 상하측 단부를 바깥쪽으로 접은 다음, 중첩된 부분을 초음파 융착함으로써 마스크의 상하측 단부가 벌어지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마스크는 마스크의 짧은 변, 즉 양쪽 측면에 측면보강대가 일체화되어 그 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했을 때 마스크의 양쪽 측면이 얼굴에 밀착되지 않아 들뜨게 되어 외부 공기가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단순한 백색 마스크를 탈피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마스크가 출시되고 있는데, 착색 마스크의 경우 착색제의 유해성 우려로 인해서 얼굴과 직접 접촉되는 안감은 착색하지 않고 겉감만 착색하고 있으나,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의 상하측 단부를 바깥쪽으로 접으면 착색된 겉감의 상하측 가장자리에 백색 안감이 노출됨으로써 마스크의 외면이 2가지 색상으로 이루어져서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9307호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방형의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 겉감을 착색한 상태에서 상하측 각 단부를 바깥쪽으로 접어서 가장자리 부분을 융착시키더라도 마스크의 외면 전체가 착색된 겉감만 노출되도록 하고, 나아가 일회용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시 좌우 양측 가장자리가 얼굴에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는,
겉감, 얼굴과 접촉되는 안감 및 상기 겉감과 안감 사이에 개재되는 1개층 또는 복수 층의 필터 시트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를 포함하는 장방형의 일회용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소정 폭만큼 바깥쪽으로 접혀서 중첩된 부분이 초음파 융착으로 고정되되, 상기 겉감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안감 및 필터 시트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겉감의 상하측 각 단부가 다시 접혀서 바깥쪽으로 접힌 상기 안감의 외측 면을 커버하게 됨으로써 마스크 본체의 외면이 착색된 겉감만 노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좌우측 각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진 초음파 융착부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융착부는 접힘부의 폭 부분이 상하측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착색된 겉감, 얼굴과 접촉되는 안감 및 상기 겉감과 안감 사이에 1개층 또는 복수 층의 필터 시트를 개재시키되 상기 겉감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상기 안감 및 필터 시트보다 길게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겉감, 안감 및 필터 시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소정 폭만큼 바깥쪽으로 접는 단계;
접힌 부분에서 연장된 상기 겉감을 다시 접어서 안감의 외측 면을 커버하여 중첩시키는 단계;
중첩된 부분을 초음파 열융착하여 융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좌우측 각 단부를 각각 소정 폭으로 초음파 융착하여 융착부를 형성되되, 마스크 본체의 융착부는 접힘부의 폭 부분이 상하측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에 따르면, 겉감, 필터 및 안감이 중첩된 장방형의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 겉감을 착색한 상태에서 상하측 각 단부를 바깥쪽으로 접어서 가장자리 부분을 융착시키더라도 겉감의 폭을 더 길게 형성하여 그 가장자리 부분이 안감의 바깥쪽을 덮어서 마스크의 외면 전체가 착색된 겉감만 노출되기 때문에 마스크의 미관을 해치치 않게 된다.
또한, 마스크의 좌우 양측 단부의 열융착부는 특히 접힙부의 융착부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마스크의 착용시 좌우 양측 가장자리가 얼굴에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외부 공기의 직접적인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요부(귀 걸이 끈 제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확대 부분을 이루기 위한 제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요부(귀 걸이 끈 제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는 장방형으로서, 마스크 본체(10), 금속 심재(30), 이어 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겉감(11), 안감(12) 및 상기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개재되는 1개층 또는 복수 층의 필터 시트(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테두리 부분은 초음파 융착된 융착부(2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의 일회용 마스크는 공지된 형태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소정 폭만큼 바깥쪽으로 접혀서 중첩된 부분이 초음파 융착으로 고정되며, 이때 상기 겉감(11)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안감(12) 및 필터 시트(13)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겉감(11)의 상하측 각 단부가 다시 접혀서 바깥쪽으로 접힌 상기 안감(12)의 외측 면을 커버한 후, 이렇게 중첩된 부분을 초음파 융착하여 융착부(2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소정 색상으로 겉감(11)만 착색한 경우에도 마스크 본체(10)의 외면이 착색된 겉감(11)만 노출되기 때문에 마스크를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 얼굴과 접촉되는 안감(12)의 착색을 방지하는 동시에 마스크의 외측 면 전체가 동일한 색상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접힌 부분의 내측에는 통상의 금속 심재(30)가 내입될 수 있고, 마스크 본체(10)의 가운데 부분은 가로 방향으로 접힘부(1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요소로서 본 발명의 핵심이 아니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좌우측 각 단부에는 각각 소정 폭을 가진 초음파 융착된 융착부(20)가 형성되며, 이때 마스크 본체(10)의 좌우측 각 단부의 상기 융착부(20)는 접힘부(10a)의 폭 부분이 그것의 상하측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마스크 본체(10)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이 얼굴에서 들뜨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확대 부분을 이루기 위한 제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로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시하여, 그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좌측 그림과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착색된 겉감(11), 얼굴과 접촉되는 안감(12) 및 상기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1개층 또는 복수 층의 필터 시트(13)를 개재시키되 상기 겉감(11)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상기 안감(12) 및 필터 시트(13)보다 길게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도 4의 중간 그림과 같이 상기 겉감(11), 안감(12) 및 필터 시트(13)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소정 폭만큼 바깥쪽으로 접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겉감(11)이 안감(12) 및 필터 시트(13)보다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접힌 부분에서 겉감(11)만 더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도 4의 우측 그림과 같이 접힌 부분에서 연장된 상기 겉감(11)을 다시 접어서 안감(12)의 외측 면을 커버하여 중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마스크 본체(10)의 외측 면은 모두 겉감(11)이 형성되므로 겉감(11)의 색상만 노출되고, 착색되지 않은 안감(1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중첩된 부분을 초음파 열융착하여 융착부(2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도 3 참조).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좌우측 각 단부를 각각 소정 폭으로 초음파 융착하여 융착부(20)를 형성되되, 상기 융착부(20)는 접힘부(10a)의 폭 부분이 그것의 상하측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하면,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 본체(10)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이 얼굴에서 들뜨지 않게 된다.
도 4에서 예시하지 않았으나, 마스크 본체(10)의 상측에는 금속 심재(30)가 내입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좌우측 단부에 이어밴드(40)가 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의 요소로서 본 발명의 요부가 아니므로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마스크 본체
10a... 접힘부
11... 겉감
12... 안감
13... 필터 시트
20... 융착부
30... 금속 심재
40... 이어 밴드(ear band)

Claims (4)

  1. 겉감, 얼굴과 접촉되는 안감 및 상기 겉감과 안감 사이에 개재되는 1개층 또는 복수 층의 필터 시트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를 포함하는 장방형의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소정 폭만큼 바깥쪽으로 접혀서 중첩된 부분이 초음파 융착으로 고정되되, 상기 겉감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안감 및 필터 시트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겉감의 상하측 각 단부가 다시 접혀서 바깥쪽으로 접힌 상기 안감의 외측 면을 커버하게 됨으로써 마스크 본체의 외면이 착색된 겉감만 노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좌우측 각 단부에 각각 소정 폭으로 초음파 융착된 융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융착부는 접힘부의 폭 부분이 상하측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3. 착색된 겉감, 얼굴과 접촉되는 안감 및 상기 겉감과 안감 사이에 1개층 또는 복수 층의 필터 시트를 개재시키되 상기 겉감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상기 안감 및 필터 시트보다 길게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겉감, 안감 및 필터 시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소정 폭만큼 바깥쪽으로 접는 단계;
    접힌 부분에서 연장된 상기 겉감을 다시 접어서 안감의 외측 면을 커버하여 중첩시키는 단계;
    중첩된 부분을 초음파 열융착하여 융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좌우측 각 단부를 각각 소정 폭으로 초음파 융착하여 융착부를 형성되되, 상기 융착부는 접힘부의 폭 부분이 상하측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20210075751A 2021-06-10 2021-06-10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2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51A KR102327717B1 (ko) 2021-06-10 2021-06-10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51A KR102327717B1 (ko) 2021-06-10 2021-06-10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717B1 true KR102327717B1 (ko) 2021-11-17

Family

ID=7870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751A KR102327717B1 (ko) 2021-06-10 2021-06-10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7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07Y1 (ko) 2000-04-14 2000-10-02 주식회사한 송 일회용 마스크
JP3166806U (ja) * 2011-01-11 2011-03-24 富士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マスク
JP2012161370A (ja) * 2011-02-03 2012-08-30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JP2015065995A (ja) * 2013-09-26 2015-04-13 優 今泉 衛生マスク
JP2018003207A (ja) * 2016-07-05 2018-01-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マスク
KR20180050678A (ko) * 2015-09-04 2018-05-15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07Y1 (ko) 2000-04-14 2000-10-02 주식회사한 송 일회용 마스크
JP3166806U (ja) * 2011-01-11 2011-03-24 富士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マスク
JP2012161370A (ja) * 2011-02-03 2012-08-30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JP2015065995A (ja) * 2013-09-26 2015-04-13 優 今泉 衛生マスク
KR20180050678A (ko) * 2015-09-04 2018-05-15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마스크
JP2018003207A (ja) * 2016-07-05 2018-01-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マス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7209B1 (en) Mask
KR101782477B1 (ko) 안면 마스크
KR100966272B1 (ko) 일회용 황사 마스크
JP6308297B2 (ja) 水平折り畳み式顔面部濾過式呼吸器
KR100996678B1 (ko) 일회용 황사 마스크
CN110769900B (zh) 呼吸半面罩
JP2007021031A (ja) 立体マスク
KR20200114043A (ko) 김서림 방지패드가 부착된 마스크
KR102594720B1 (ko) 마스크
JP2001204833A (ja) マスク
KR20200001878U (ko) 일회용 의료 마스크
JP2020002510A (ja) マスク
KR102327717B1 (ko)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1052454A1 (ja) マスク
KR101855114B1 (ko) 마스크 및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102387116B1 (ko) 와이어리스 보건 의료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497543Y1 (ko) 일체형 자외선 차단 마스크
JP7437940B2 (ja) マスク
KR102226952B1 (ko) 입체형 접이식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7377A (ko)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528194B1 (ko) 마스크
JP7046386B2 (ja) 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KR20210039590A (ko) 흘러내림 방지기능을 갖는 방진마스크
KR102648765B1 (ko) 제트폴드타입 접이식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WO2023008429A1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