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560B1 -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560B1
KR102327560B1 KR1020190037627A KR20190037627A KR102327560B1 KR 102327560 B1 KR102327560 B1 KR 102327560B1 KR 1020190037627 A KR1020190037627 A KR 1020190037627A KR 20190037627 A KR20190037627 A KR 20190037627A KR 102327560 B1 KR102327560 B1 KR 102327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iving unit
unit
rota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207A (ko
Inventor
최인규
송청
Original Assignee
최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규 filed Critical 최인규
Priority to KR102019003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5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0Constructively simple tooth shapes, e.g. shaped as pins,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력을 입력받은 후, 회전 출력은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장치가 사용되지 않고 정지 및 구동이 가능하여,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낮아 경제성이 높은 효과 및 소정의 물체를 승하강 시킴으로써 안정된 수직이동과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A driving device for periodically repeating rotation and stopping}
본 발명은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회전력을 입력받은 후, 회전 출력은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장치는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피니언에 동력을 전달하여 특정 물체를 움직이거나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때, 상기 특정 물체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고자 할 경우, 상기 구동장치에는 추가적으로 브레이킹유닛을 필요로 하게된다.
이러한 브레이킹유닛에는 유압실리던등이 사용되어 장치를 복잡하게 만들고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
종래의 잭업장치로는 수직이동이 완료된 스퍼드를 고정할 때 기어에 과도한 부하가 걸릴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고정을 위한 홀을 구성하여도 이에 대한 불안정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를 적용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용도 고가여서 이에 대한 해결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0-0033294호에서는 광디스크 회전정지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98-5225호에서는 회전식 작업대의 정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회전과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면서 회전력을 출력하는 장치는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주기적인 회전 및 정지 구동이 가능한 구동장치 개발이 현재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0-0033294호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98-522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 발명은, 회전력을 주기적으로 회전 및 정지를 반복하여 출력하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하에 따라 그 형태를 다양하게 확장하여 회전 및 정지 구동을 통해 이동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회전하면서 주기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유닛(120); 상기 구동유닛의 일측면과 주기적으로 접촉하면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동유닛(130);을 포함하는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력이 중심축을 통해 입력 전달되어 회전구동하는 제1구동부(121);
상기 제1구동부와 중심축을 공유하며 일면에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바(123)가 형성된 제2구동부(122);를 포함하는 구동유닛(120); 및 상기 구동유닛의 일측면과 주기적으로 접촉하면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동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력이 중심축을 통해 입력 전달되어 회전구동하는 제1구동부(121);
상기 제1구동부와 중심축을 공유하며 일면에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바(123)가 형성된 제2구동부(122);를 포함하는 구동유닛(120); 상기 제1구동부의 접촉부와 주기적으로 접촉하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하나 이상의 만곡부(131); 상기 만곡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출력바가 주기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132);를 포함하는 피동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의 상기 출력바의 일단 또는 양단에 제1구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기 출력바의 양 끝단이 상기 제1구동부의 양면에 접하면서 형성되는 복수의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동유닛과 접촉하는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피동유닛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로 형성된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수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에 주기적으로 삽입되는 상기 구동유닛의 상기 제1구동부상에 형성되는 상기 출력바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피동유닛의 회전 및 정지 주기는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이 1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부의 접촉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피동유닛의 만곡부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의 진입단에는 상기 출력바가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한 삽입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에 의하면, 장치의 구성중에 유압장치가 사용되지 않고 정지 및 구동이 가능하여,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낮아 경제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소정의 물체를 승하강 시킴으로써 안정된 수직이동과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유닛과 피동유닛을 복수개 적용함으로써 높은 하중의 물체도 승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력 전달은 한곳에서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구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단일 회전력이 입력되는 복수로 구성된 구동유닛 및 피동유닛을 포함하는 구동장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로 회전력이 입력되는 복수로 구성된 구동유닛 및 피동유닛을 포함하는 구동장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로 회전력이 입력되는 복수로 구성된 구동유닛 및 피동유닛을 포함하는 구동장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를 적용한 구동 시스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의 구동유닛의 회전에 따른 피동유닛의 회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를 단일 입력축 복수 적층 구동유닛 및 단일 출력축 복수 피동유닛을 적용한 구동 시스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를 복수 입력축 복수 적층 구동유닛 및 단일 출력 축 복수 피동유닛을 적용한 구동 시스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중심축을 통해 입력 전달되어 회전구동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와 중심축을 공유하며 일면에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바가 형성된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상기 제1구동부의 일측면과 주기적으로 접촉하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하나 이상의 만곡부; 상기 만곡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출력바가 주기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를 포함하는 피동유닛으로 구성된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소정 두께는 갖는 평판형태일 수 있다.
상기 평판은 삼각이상의 정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평판은 원호를 형성하는 일부분이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형태는 도 1과 같다.
상기 평판의 중심축에서 최외각을 형성하는 점, 호 또는 면은 회전하면서 주기적으로 상기 피동유닛의 만곡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출력바는 상기 제2구동부의 일면에 도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바의 단면은 삼각이상의 정다각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일 수 있다.
회전하는 상기 구동유닛의 출력바가 상기 피동유닛의 삽입부에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력은 상기 피동유닛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상기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는 주기적으로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1회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바의 개수 및 상기 만곡부의 개수가 증가할 수 록 상기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의 회전과 정지 주기는 짧아지고, 상기 출력바의 개수 및 상기 만곡부의 개수가 줄어들수록 상기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의 회전과 정지의 주기는 길어진다.
상기 제2구동부는 소정 두께를 갖는 평판형태일 수 있다.
상기 평판은 삼각이상의 정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의 평판상에 형성된 상기 출력바는 상기 제2구동부의 중심축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 형성된 상기 출력바는 상기 제2구동부의 중심축에서 동일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하는 상기 제2구동부의 중심축에서 어느 하나의 출력바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구동부와 중심축을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의 일측면상에 상기 제1구동부가 도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의 최외각으로부터 상기 제2구동부에 형성된 출력바까지는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의 두께를 형성하는 최외각 측면상의 점, 호, 또는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피동유닛의 만곡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할 때, 상기 구동유닛의 제2구동부의 일부는 상기 피동유닛의 하부로 겹쳐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2구동부의 일측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구동유닛의 상기 제1구동부상에 돌출 형성된 출력바가 상기 삽입부에 주기적으로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하고, 탈리되어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동선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의 상기 출력바의 일단 또는 양단에 제1구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기 출력바의 양 끝단이 상기 제1구동부의 양면에 접하면서 형성되는 복수의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동유닛과 접촉하는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피동유닛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로 형성되는 구동유닛은 도 3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피동유닛의 상기 출력바의 양단에 2개의 제1구동부가 형성된다면 상기 출력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출력바는 도 3에서와 같이 복수의 제1구동유닛을 관통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바가 형성된 구성유닛이 복수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동유닛도 복수로 형성됨은 자명하다.
또한, 복수로 형성된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수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로 형성된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수가 일정하지 않다면, 상기 구동장치를 원할히 동작하지 않음은 자명하다.
상기 피동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피동유닛의 만곡부에 접촉하는 구동유닛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도 4 및 도5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간의 간섭이 없다면 구동유닛의 형성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삽입부에 주기적으로 삽입되는 상기 구동유닛의 상기 제1구동부상에 형성되는 상기 출력바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피동유닛의 회전 및 정지 주기는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이 1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부의 접촉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피동유닛의 만곡부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의 진입단에는 상기 출력바가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한 삽입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구동유닛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피동유닛의 회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동유닛이 2회전 하는 동안 상기 피동유닛은 1회전하게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피동유닛이 주기적으로 회전을 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구동장치
110: 구동유닛중심축
120: 구동유닛
121: 제1구동부
122: 제2구동부
123: 출력바
124: 접촉부
125: 비접촉부
130: 피동유닛
131: 만곡부
132: 삽입부
133: 삽입유도부
140: 피동유닛중심축
150: 피니언
160: 랙기어
200: 기둥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동력이 중심축을 통해 입력 전달되어 회전구동하는 제1구동부(121);
    상기 제1구동부와 중심축을 공유하며 일면에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바(123)가 형성된 제2구동부(122);를 포함하는 구동유닛(120);
    상기 제1구동부의 접촉부와 주기적으로 접촉하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하나 이상의 만곡부(131);
    상기 만곡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출력바가 주기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132);를 포함하는 피동유닛(130);
    상기 구동유닛의 상기 출력바의 양단에 제2구동부가 형성되며,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기 출력바의 양 끝단이 상기 제2구동부의 양면에 접하면서 형성되는 복수의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동유닛과 접촉하는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피동유닛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로 형성된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수는 동일하며,
    상기 피동유닛의 상기 만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의 진입단에는 상기 출력바가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한 삽입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정다각형인 것을 포함하는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주기적으로 삽입되는 상기 구동유닛의 상기 제1구동부상에 형성되는 상기 출력바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피동유닛의 회전 및 정지 주기는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이 1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부의 접촉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피동유닛의 만곡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
  10. 삭제
KR1020190037627A 2019-04-01 2019-04-01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 KR102327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27A KR102327560B1 (ko) 2019-04-01 2019-04-01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27A KR102327560B1 (ko) 2019-04-01 2019-04-01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07A KR20200116207A (ko) 2020-10-12
KR102327560B1 true KR102327560B1 (ko) 2021-11-17

Family

ID=7288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627A KR102327560B1 (ko) 2019-04-01 2019-04-01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5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9158A (en) * 1980-10-17 1982-04-27 Fuji Kikai Seizo Kk Geneva mechanism
JPH074953U (ja) * 1993-06-21 1995-01-24 新明工業株式会社 変則ゼネバ
KR100407489B1 (ko) 1996-06-08 2004-02-25 파츠닉(주) 무권선 편향 요크의 평판 코일 성형방법
KR100296618B1 (ko) 1998-11-19 2001-10-26 구자홍 광디스크회전정지장치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07A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83821U (zh) 一种工位转台
US11052477B2 (en) Slag removal apparatus
JP2023054259A5 (ko)
ES2187337B2 (es) Transmision continuamente variable para vehiculos de motor.
CN105464347A (zh) 一种动力与工作装置分离的抹灰机构
KR102327560B1 (ko) 회전 및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장치
CN103644271A (zh) 摩擦圆板变速机构
CN103758958A (zh) 端面凸轮机构
KR20130005056U (ko) 원통형 구조물의 용접용 롤링 장치
EP2216495B1 (en) Drilling apparatus
KR20080080979A (ko) 볼쐐기식 감속기
CN210120480U (zh) 一种无形轮齿啮合动力的传动机构及升降机构
CN210936546U (zh) 一种钢丝绳矫直装置
CN106638379B (zh) 一种六杆机构传动的道闸机芯
CN204572994U (zh) 一种应用鼓形滚子的单片式沟槽型分度凸轮机构
CN103047381A (zh) 一种六杆圆轨迹生成机构
KR102169192B1 (ko) 기어 박스 내의 클러치 구조
KR101961697B1 (ko) 동력전달 기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러닝보드 구동용 엑추에이터 유닛
CN210887144U (zh) 一种水利用闸门提升装置
CN107237870A (zh) 一种直线往复运动机构
KR200381933Y1 (ko) 로봇암의 무하중 회동 구조
CN215567759U (zh) 一种升降牙及机器
US1770601A (en) Counterbalance
CN104864070A (zh) 一种便携式皮带驱动机构
KR20130019896A (ko) 크레인용 익스텐션 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