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459B1 -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459B1
KR102327459B1 KR1020170049730A KR20170049730A KR102327459B1 KR 102327459 B1 KR102327459 B1 KR 102327459B1 KR 1020170049730 A KR1020170049730 A KR 1020170049730A KR 20170049730 A KR20170049730 A KR 20170049730A KR 102327459 B1 KR102327459 B1 KR 102327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um
clothes dryer
clothes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876A (ko
Inventor
류병조
권재환
조홍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45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전면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가 처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드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 내로 안내하는 급기덕트;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드럼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내부 습도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FABRIC DRYER AND FABRIC DRY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 및 의류 건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 건조기는 의류가 투입된 드럼 내로 가열 공기를 가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종래의 의류 건조기는 상기 드럼 내의 의류와 접촉되는 전극센서를 구비하였다. 상기 전극센서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의류가 이들 전극과 접촉될 시, 상기 의류에 함유된 수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도통되는 전류값이 가변된다. 따라서, 상기 전류값에 따라 가변되는 한 쌍의 전극 간의 전압차를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상기 의류와 접촉되는 경우와 그렇지 못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압차가 확연하게 다르고, 특히,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드럼 내에서의 상기 의류의 위치 또한 계속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전극과 상기 의류 간의 접촉이 유지될 수 없고, 그로 인해, 상기 전극센서의 양 전극 사이의 전압도 요동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의류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상기 드럼 내에 여러 종류의 의류가 투입된 혼합부하의 경우, 예를 들어, 청바지, 셔츠, 양말, 타올 등은 그 재질과 종류, 두께 등에 따라 동일 조건 하에서 건조가 진행되더라도 잔여 수분의 양은 다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전극센서에 어떤 포가 접촉하느냐에 따라 출력값의 진폭이 심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류 건조기는 의류 건조기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에서 건조를 실시하더라도, 외기의 습도 조건에 따라 최종적으로 의류의 건조 상태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드럼 내에 투입된 의류와 접촉되지 않고도, 상기 의류의 건조도(또는,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내부 습도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내부 습도센서에 부착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린트 제거기를 갖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상기 린트 제거기의 작동이 도어와 연동되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상기 린드 제거기의 작동이 린트 필터의 탈착 동작과 연동되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의류 건조기와, 상기 의류 건조기와 통신 연결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의류 건조기에 상기 내부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값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습도값을 바탕으로 드럼 내에 투입된 의류의 손상 위험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섯째, 외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외기 습도센서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와 상기 의류 건조기와 통신 연결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기 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습도값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습도값을 바탕으로 상기 의류 건조기의 제어가 가능한 의류 건조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전면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가 처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드럼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 내로 안내하는 급기덕트와,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드럼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내부 습도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안내되는 배출유로 상에 내부 습도센서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와, 상기 의류 건조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방법은 (a) 상기 의류 건조기가 운전되는 중에, 상기 의류 건조기에 의해, 상기 내부 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를 바탕으로 의류의 손상 위험이 판단되는 단계와, (b) 상기 의류의 손상 위험을, 상기 의류 건조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지하는 단계와, (c)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의류의 손상 위험을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의류 건조기의 동작 제어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와, (e) 상기 동작 제어 메뉴의 선택에 대응하여 의류 건조기의 동작 제어 명령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의류 건조기로 전송되는 단계와, (f) 상기 의류 건조기의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의류 건조기의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구비한 의류 건조기와, 상기 의류 건조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방법은 (a) 상기 의류 건조기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 외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외기 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값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와, (b) 상기 습도값에 따라, 의류 건조기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선택을 위한 메뉴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와, (c)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메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통신망과 연결된 상기 의류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드럼 내의 의류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 내부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기 때문에, 종래 의류와의 접촉을 통해 건조도를 판단하는 방식에 비해,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건조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은, 상기 의류 건조기에 상기 내부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값이 상기 의류 건조기와 통신 연결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고,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습도값에 따라 최적화된 방식으로 상기 의류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의류의 미건조나 과건조를 방지하여 건조 품질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건조로 인한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건조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은, 의류 건조기에 구비된 외기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외기의 습도를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습도값이 통신망과 연결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습도값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상기 의류 건조기의 작동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이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선택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의류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외기의 습도 조건에 따른 최적의 건조 품질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내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주요 구성들간의 제어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험을 위해 본원 발명의 의류 건조기에 전극센서를 더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드럼 내 의류가 건조되는 동안에 상기 전극센서의 출력값 변화(a)와, 내부 습도센서의 출력값 변화(b)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시스템의 신호 처리도이다.
도 8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4에 표시된 XIV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필터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a)과, 후면 필터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b)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부분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린트 제거기의 피스톤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피스톤의 경사면을 확대한 것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린트 제거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부분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린트 제거기의 피스톤이 상승된 상태(a)와, 하강된 상태(b)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내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주요 구성들간의 제어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험을 위해 본원 발명의 의류 건조기에 전극센서를 더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드럼 내 의류가 건조되는 동안에 상기 전극센서의 출력값 변화(a)와, 내부 습도센서의 출력값 변화(b)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싱(10)은 의류 건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드럼(4)과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싱(10)은 전면 패널(11), 우측판(12), 좌측판(13), 베이스(14), 탑플레이트(15) 및 백 패널(16)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4)는 대략 수평한 판체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 전면 패널(11), 우측판(12), 상기 좌측판(13) 및 백 패널(16)이 설치된다. 전면 패널(11), 우측판(12), 좌측판(13), 탑플레이트(15) 및 백 패널(16)은 각각 케이싱(10)의 전면, 우측면, 좌측면, 상면 및 배면을 구성한다.
전면 패널(11)에는 투입구(11h)가 형성될 수 있고, 투입구(11h)를 여닫는 도어(20)가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는 전면 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프레임(21)에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21)은 대략 중앙부가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에 도어 글래스(22)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 글래스(22)는 사용자가 드럼(4)의 내측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지며, 드럼(4)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이다.
전면 패널(1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9)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9)에는 의류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60, 예를 들어, LCD, LED 패널 등), 사용자로부터 의류 건조기의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제 1 입력부(70, 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통신부(85)는 의류 건조기(100)와 통신망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도 6 참조.). 제 1 통신부(85)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소정의 통신 규약에 따라 무선 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규약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 1 입력부(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제 1 입력부(70)를 통해 의류 건조기(100)의 제어를 위한 각종 명령(예를 들어, 의류 건조기의 동작 설정, 설정된 동작의 실시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81)는 의류 건조기(100)의 작동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81)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코드화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81)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정보(예를 들어, 반송파(carrier wave)를 통해 전송된 정부)를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10) 내에는 드럼(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 내에는 드럼(4)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4)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4)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써, 전면은 투입구(11h)와 연통되어 있다.
드럼(4)의 내주면에는, 의류를 퍼 올리기 위한 리프터(6)가 구비될 수 있다. 리프터(6)는 드럼(4)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리프터(6)는 드럼(4)의 내주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4)이 회전되는 중에, 리프터(6)에 의해 의류가 퍼 올려졌다 낙하되는 것이 반복된다.
케이싱(10) 내에는 드럼(4)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면 커버(5)와 후면 커버(8)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 커버(5)와 후면 커버(8)에는 각각 드럼(4)을 지지하는 롤러(19)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4)의 외주면이 롤러(19)와 접촉될 수 있다.
브래킷(29)은 베이스(14) 상에 고정되고, 모터(24)는 브래킷(2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모터(24)는 드럼(4)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송풍팬(26)을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24)는 양축 모터로써, 송풍팬(26)과 결합되는 제 1 구동축(241)과, 드럼(4)에 감긴 밸트(7)가 걸리는 구동풀리를 갖는 제 2 구동축(242)을 포함할 수 있다.
밸트(7)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들 풀리(idle pulley, 28)가 브래킷(29)에 설치될 수 있다. 밸트(7)는 상기 구동풀리와 아이들 풀리(28)에 걸린 상태로 다시 드럼(4)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모터(24)의 회전 시 상기 구동 풀리에 의해 밸트(7)가 이송되고, 밸트(7)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드럼(4)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송풍팬(26)은 모터(2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송풍팬(26)의 회전에 의해, 드럼(4) 내의 공기가 흡기덕트(41) 내로 유입된다. 보다 상세하게, 전면 커버(5)에는 입구(5h) 하측에 드럼(4) 내의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하는 통로(미도시)가 형성되고, 흡기덕트(41)는 상기 통로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송풍팬(26)으로 안내한다.
송풍팬(26)의 회전 시, 드럼(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흡기덕트(41)에 의해 안내되어 송풍팬(26)으로 공급된다. 흡기덕트(41)는 전면 커버(5)의 전면에 결합되며, 송풍팬(26)의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다.
송풍팬(26)은 모터(24)의 제 1 구동축(241)에 결합된 원심팬(261)과, 원심팬(261)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262)을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262)은 흡기덕트(41)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원심팬(261)에 의해 압송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외기와 연통된 배기덕트(43)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배기덕트(43)를 통해 케이싱(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전면 커버(5)에는 흡기덕트(41)와 드럼(4)을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필터 케이스(32)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2)는 드럼(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흡기덕트(41)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 상에는 린트 필터(31)가 배치될 수 있다.
린트 필터(31)는 필터 케이스(32)에 착탁 가능하게 구비되고, 필터 케이스(32)의 상면에는 린트 필터(31)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린트 필터(31)는 미세한 소공을 갖는 망사 구조의 필터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터 케이스(32)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이 상기 필터 스크린을 통해 채집된다.
필터 케이스(32)는 전면 필터 케이스(32a)와 후면 필터 케이스(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필터 케이스(32a)는 전면 커버(5)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후면 필터 케이스(32b)는 전면 필터 케이스(32a)의 배면에 결합되어, 전면 필터 케이스(32a)와의 사이에 린트 필터(3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 필터 케이스(32b)에는 드럼(4) 내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32h)이 형성될 수 있다.
린트 필터(31)는 미세한 소공을 갖는 망사 구조의 필터 스크린(31a)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공(32h)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필터 스크린(31a)에 의해 걸러진 후, 전면 커버(5)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흡기덕트(41)로 안내된다.
케이싱(10) 내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42)가 구비될 수 있다. 후면 커버(8)에는 급기구(8h)가 형성되고, 드럼(4) 내부는 급기구(8h)를 통해 급기덕트(27)와 연통되어 있다.
급기덕트(27)는 케이싱(10) 내부의 공기를 드럼(4) 내로 안내하는 것으로써, 송풍팬(26)의 흡입력에 의해 드럼(4) 내에 부압이 작용하면, 히터(42)에 의해 가열된 열풍이 급기덕트(27)의 입구(271)로 유입된 후, 출구(272)를 통해 드럼(4) 내로 공급된다.
외기 습도센서(82)는 의류 건조기(100) 주변 공기(즉, 외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외기 습도센서(82)는 케이싱(10)에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습도센서(82)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9)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외기 습도센서(82)는 전기 저항식 또는 정전 용량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서미스터와 습도센서를 함께 구비한 온습도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 습도센서(83)는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내부 습도센서(83)는 드럼(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도 5는 드럼(4) 내의 피건조물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 전극센서를 이용하여 피건조물의 잔여수분 함유량을 파악하는 종래의 방식(a)과, 내부 습도센서(83)를 이용하여 드럼(4)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즉, 드럼(4) 내의 피건조물로부터 습기를 흡수하여 습해진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방식(b)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전극센서의 출력값은 진폭이 크며 특히 피건조물의 완전 건조가 이루어졌음을 지시하는 구간(즉, 전압이 V2로 포화된 구간)이 너무 일찍 도래하기 때문에 건조 시점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렇게 출력값(V)의 변동(fluctuation)이 큰 이유는, 전극센서는 의류의 젖은 상태(또는, 건조 상태)를 두 개의 전극이 의류에 함유된 물기에 의해 도통될 시 양쪽 전극 간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판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전극센서는 양쪽 전극이 드럼(4) 내의 의류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드럼(4)의 회전에 의해 의류의 위치 변동이 계속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극센서의 양쪽 전극에 의류가 항시 닿는 것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옷감의 종류에 따라 저항값이 상이하기 때문에 양쪽 전극 간의 전압차에 변동이 생기기 쉽다.
특히,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옷감들(예를 들어, 청바지, 셔츠, 양말, 타올 등)이 혼합된 상태로 드럼(4)에 투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옷감의 재질과 종류, 두께 등에 따라 동일 조건 하에서 건조가 진행되더라도 각각의 의류의 잔여 수분의 양은 상이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전극 센서의 양쪽 전극에 어떤 재질의 옷감이 접촉되는지가 전극센서의 출력 신호(예를 들어, 전압값)의 변동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에 반해, 내부 습도센서(83)는 드럼(4)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기 때문에, 옷감의 재질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으며, 출력 신호의 변동이 적고,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도 비교적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드럼(4) 내 투입된 전체 의류들의 건조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적합하며, 선형에 가까운 신호 변화를 보이는 특성으로부터, 의류의 건조상태변화(예를 들어, 건조 종료 시점)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의류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고, 일정 수준의 습기를 머금은 상태(축축하게 젖은 상태)에서 건조를 완료하고자 하는 경우(예를 들어, 축축한 상태로 건조가 완료된 의류를 꺼내어 다림질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가 목표한 건조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종래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시스템의 신호 처리도이다. 도 8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시스템은 의류 건조기(100)와,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의류 건조기(100)의 제 1 입력부(70)를 통해 건조 운전의 세부 설정들을 입력하고, 그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의 운전이 실시된다(S1).
모터(24)가 구동되어 드럼(4)이 회전되고, 드럼(4)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중에 히터(42)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송풍팬(26)에 의해 송풍되어 드럼(4) 내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드럼(4)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습도가 내부 습도센서(83)에 의해 감지되고, 이렇게 감지된 습도값을 바탕으로 제어부(81)는 의류의 건조 상태를 감시한다.
제어부(81)는 상기 습도값의 변화 경향을 바탕으로 옷감의 손상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1)는 상기 습도값의 변화 기울기를 바탕으로 옷감의 손상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도값은 의류의 건조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이기도 하기 때문에, 상기 습도값은 다르게는 건조도라고도 정의될 수 있다. 이렇게 온감의 손상 위험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제어부(81)는 기 설정된 한계 습도값(또는, 한계 건조도)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습도값의 변화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준 보다 커(즉, 습도값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우, 또는 건조도가 급격하게 상승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한계 습도값까지 습도가 하강된 경우, 제어부(81)는 드럼(4) 내에 투입된 의류가 열에 취약한 재질 또는 과열로 인한 손상의 우려가 있는 재질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S2). 이 경우, 제어부(81)는 제 1 표시부(60)를 통해 옷감의 손상 위험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통해 옷감의 손상 위험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가 이루어지거나, 스피커나 부저를 통해 알람 등의 청각적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S3).
또한, 제어부(81)는 제 1 통신부(85)를 통해 옷감의 손상 위험을 알리는 통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 이러한 통지는 통신망에 접속된 제 2 통신부(285)를 통해 이동 단말기(200)로 수신되고,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부(미도시)는 제 2 표시부(260)를 통해 옷감의 손상 위험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화면(61)과 같이, 옷감의 손상 위험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611)가 이루어지거나, 스피커나 부저를 통해 알람 등의 청각적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S5).
이후,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의류 건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소정의 명령(이하, "건조기 동작 제어 명령"이라고 함.)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의 입력은, 사용자로부터 제 2 입력부(270)를 통해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S6). 건조기 동작 제어 명령은 히터(42)의 출력을 저감하거나, 히터의 동작을 정지할 것, 건조 운전을 중단할 것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메뉴(612)와 일시정지메뉴(613)를 표시할 수 있다. 송풍메뉴(612)가 선택되면, 송풍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의류 건조기(100)의 제어부(81)는 제 1 통신부(85)를 통해 상기 송풍 명령이 수신되면, 히터(42)의 작동은 정지시키되, 모터(24)의 회전은 유지되어 회전 중인 드럼(4) 내로 가열되지 않은 공기(이하, "냉풍"이라고 함.)를 공급하는 송풍 운전이 실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200)의 제 2 통신부(285)는 건조기 동작 제어 명령을 통신망으로 전송하고(S7), 이를 수신한 의류 건조기(100)는, 제어부(81)의 제어하에, 수신된 건조기 동작 제어 명령에 따른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200)에 탑재된 소정의 건조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1). 이동 단말기(200)와 의류 건조기(100) 간의 통신이 연결되고, 외기 습도센서(82)에 의해 감지된 습도가 의류 건조기(100)로부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부(81)는 수신된 습도로부터 의류 건조기(100)의 주변 환경을 추정할 수 있다(S2). 예를 들어, 제어부(81)는 의류 건조기(100) 주변 환경을 건조, 보통, 습함의 3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건조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저습 프로그램, 기본 프로그램 및 다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제 2 표시부(260)를 통해 표시되면, 사용자가 제 2 입력부(270)를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의 실시를 선택할 수 있다.
의류 건조기(100) 주변 환경의 건조도에 따라 제 2 표시부(260)를 통해 표시되는 프로그램이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S2단계에서 습도가 보통(즉, 외기 습도센서(82)에 의해 감지된 습도값이 기 설정된 습도 범위 내인 경우)인 경우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81)는 제 2 표시부(260)를 통해 의류 건조기(100) 주변의 습도가 보통이라는 알림(예를 들어, 도 10의 화면(62)에 표시된 알림 메시지(621))을 표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81)는 제 2 표시부(260)를 통해 기본 프로그램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본 프로그램 선택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S32), 제어부(81)는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고(S43), 통신망을 통해 상기 기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제어 명령이 의류 건조기(100)로 전송되고, 의류 건조기(100)의 제어부(81)는 제 1 통신부(85)를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의류 건조기(100)의 운전은 기본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된다.
도 10은 S31단계에서 제 2 표시부(26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62)을 도시한 것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회면(62)은 현재 외기의 습도를 표시한 제 1 영역(외기의 상대 습도가 대략 60도임을 지시하고 있음. 621)을 포함할 수 있고, 히터(42)의 파워(또는, 출력)를 유지한다는 메시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면(62)은 최근의 습도 변화가 표시되는 제 2 영역(6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영역(622)에 표시된 습도 변화에 대응하여, 제 1 영역(621)에서 표시되는 습도값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화면(62)에는 통신연결 메뉴(623)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통신연결 메뉴(623)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200)와 의류 건조기(100)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더 나아가, 화면(62)에는 옷감 감시 메뉴(624)가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와 의류 건조기(100)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옷감 감시 메뉴(624)가 선택되면, 의류 건조기(100)의 외기 습도센서(82)에 의해 감지된 습도값이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이렇게 수신된 습도값을 바탕으로, 전술한 각 영역(621, 622)에 해당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단계에서 건조로 판정된 경우, 제어부(81)는 제 2 표시부(260)의 화면(63, 도 11 참조.)을 통해 의류 건조기(100) 주변이 건조하다는 알림(즉, 외기 습도센서(82)에 의해 감지된 습도값이 기 설정된 습도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을 표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81)는 제 2 표시부(260)를 통해 저습 프로그램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S41). 상기 저습 프로그램 선택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81)는 저습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저습 프로그램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가 운전될 수 있다. 상기 저습 프로그램은, 일반 프로그램에 비해 히터(42)의 출력이 저감되도록 구성된다. 즉, 의류 건조기(100)의 주변 환경이 건조한 경우는, 주변 환경의 습도가 보통인 경우에 비해, 드럼(4) 내의 의류가 상대적으로 쉽게 건조되기 때문에, 히터(42)의 출력을 줄여,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의류의 과건조를 방지하는 것이다. 외기가 건조하기 때문에, 히터(42)의 출력이 저감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일반 프로그램과 동일한 시간 내에 건조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1은 S41단계에서 제 2 표시부(26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63)을 도시한 것으로써, 제 1 영역(631)에는 외기의 상대 습도가 대략 40도임이 표시되어 있고, 제 2 영역(632) 역시 대략 40도 부근에서 습도값이 변동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S2단계에서 다습으로 판정된 경우, 제어부(81)는 제 2 표시부(260)의 화면(64, 도 12 참조.)을 의류 건조기(100) 주변이 다습하다는 알림(즉, 외기 습도센서(82)에 의해 감지된 습도값이 기 설정된 습도 범위를 초과한 경우)을 표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81)는 제 2 표시부(260)를 통해 다습 프로그램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S51). 상기 다습 프로그램 선택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81)는 다습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고, 상기 다습 프로그램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가 운전될 수 있다. 상기 다습 프로그램은, 일반 프로그램에 비해 히터(42)의 출력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즉, 의류 건조기(100)의 주변 환경이 다습한 경우는, 주변 환경의 습도가 보통인 경우에 비해, 드럼(4) 내의 의류가 상대적으로 잘 건조되지 못하기 때문에, 히터(42)의 출력을 높이는 것이다. 외기가 다습하다고 하더라도, 히터(42)의 출력이 증가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반 프로그램과 동일한 시간 내에 건조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2는 S51단계에서 제 2 표시부(26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64)을 도시한 것으로써, 제 1 영역(641)에는 외기의 상대 습도가 대략 90도임이 표시되어 있고, 제 2 영역(642) 역시 대략 90도 부근에서 습도값이 변동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 1 영역(641)에 표시된 널어 말리는 것을 추전 드리지 않는다는 메시지는, 의류 건조기(100) 주변 습도가 다습하므로, 일반적으로 행 드라이(hang dry)라고 불리는, 드럼(4)으로부터 의류를 꺼내어 옷걸이 등에 널어 자연 건조시키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특히, 일반 사용자들은, 열로 인한 옷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또는 전기료를 절감하기 위한 목적상의 이유로, 의류 건조기(100)의 운전이 정상적으로 종료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거나, 강제로 종료시킨 후, 드럼(4)으로부터 의류를 꺼내어 헹 드라이를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행 드라이는 의류 건조기(100) 주변이 다습한 경우, 의류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눅눅한 상태로 방치되고, 그로 인해 악취가 베는 등의 문제가 있다. 사용자에게 행 드라이가 적합하지 않다는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4에 표시된 XIV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필터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a)과, 후면 필터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b)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부분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린트 제거기의 피스톤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피스톤의 경사면을 확대한 것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린트 제거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a)는 드럼(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이하, “배출유로”라고 함.)와 연통된 공간을 제공하는 센서 케이스(48)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습도센서(83)는 센서 케이스(4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의류 건조기(100a)는 센서 케이스(48) 내에 압축 공기를 가하여, 센서 케이스(48) 내에 침투한 린트(lint)를 배출유로 상으로 배출시키는 린트 제거기(9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26)의 흡입력에 의해, 드럼(4)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공기는 전면 커버(5)에 설치된 필터 케이스(32)를 통과하며, 린트 필터(31)에 의해 여과된 후, 흡기덕트(41), 송풍팬(26) 및 배기덕트(43)를 차례로 통과한 후, 의류 건조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필터 케이스(32), 린트 필터(31), 흡기덕트(41), 송풍팬(26) 및 배기덕트(43)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배출유로라고 정의한다.
실시예와 다르게, 순환식 의류 건조기의 경우는, 송풍팬(26)에 의해 압송된 공기가 순환덕트(미도시)를 통해 히터(42)로 공급된 후, 히터(42)와 연결된 급기덕트(27)를 통해 다시 드럼(4)으로 공급되며, 이 경우, 배출유로는 드럼(4)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히터(42)로 안내하는 구간까지로 정의될 수 있다.
센서 케이스(48)는 내측으로 내부 습도센서(83)가 수용되는 센서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센서수용공간을 배출유로와 연통시키는 유로 연통구(48h)를 갖는다. 유로 연통구(48h)에 의해 상기 센서수용공간이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기 때문에, 센서 케이스(48) 내부의 습도는 실질적으로 배출유로 내의 습도와 동일하며, 따라서, 내부 습도센서(83)에 의해 감지된 습도는 배출유로 내의 습도를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린트 제거기(90)는 센서 케이스(48) 내로 압축 공기를 토출하며, 이렇게 토출된 공기로 인해, 센서 케이스(48) 내의 공기가 유로 연통구(48h)를 통해 배출유로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유로 연통구(48h)를 통해 센서 케이스(48) 내로 유입된 린트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다시 유로 연통구(48h)를 통해 배출유로로 배출된다. 유로 연통구(48h)는 필터 케이스(32)와 연통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덕트(41)가 필터 케이스(32)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흡기덕트(41)에는 센서 케이스(48)가 통과되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센서 케이스(4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관부(48a)와, 수직관부(48a)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관부(48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평관부(48b)가 상기 관통구를 통과한 후 필터 케이스(32)와 연결된다.
린트 제거기(90)에 의해 센서 케이스(48) 내의 이물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이물질로 인한 내부 습도센서(83)의 오염이 제거되고, 내부 습도센서(83)가 항시 습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케이스(48)는 배출유로 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배출유로의 외측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센서 케이스(48)는 흡기덕트(41)에 고정될 수 있다. 흡기덕트(41)의 전방에 전면 패널(11)이 배치되기 때문에, 흡기덕트(41)와 전면 패널(11) 사이는 공간이 협소하여 센서 케이스(48)의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센서 케이스(48)는 흡기덕트(41)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케이스(48)는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써,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재의 사출물인 흡기덕트(41)와 융착에 의해 결합되거나, 나사, 볼트, 홀더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한 방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린트 제거기(90)는 도어(20)의 개폐 동작과 연동될 수 있다. 즉, 도어(20)의 닫힘 동작에 대응하여, 린트 제거기(90)로부터 압축된 공기(또는, 고압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린트 제거기(90)는 전기 구동 펌프 등으로 구성되어, 도어(20)의 닫힘 시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린트 제거기(90)의 구성이 복잡해 질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도 증가되고, 제조 비용도 증가된다. 따라서, 린트 제거기(90)는 별도의 전자식 구동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도어(20)와 링크 등의 연동기구로 연결되어, 도어(20)의 닫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물리적 힘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린트 제거기(90)는 토출포트(91a, 도 20 참조.)를 통해 센서 케이스(48) 내의 공간과 연통되는 실린더(91)와, 탄성부재(93, 도 17 참조.)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탄성부재(93)를 압축함과 아울러, 실린더(91) 내의 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93)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피스톤(9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스톤(92)을 이동시키는 상기 외력은 도어(20)가 닫힐 시, 후술하는 가동 돌기(221)로부터 가해지는 힘이다. 구체적으로, 가동 돌기(221)는 도어(2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케이싱(10)의 전면 패널(11)에는 가동 돌기(2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돌기 삽입구(112)가 형성되어, 도어(20)가 닫힐 시, 가동 돌기(221)가 제 1 돌기 삽입구(112) 내로 삽입된다.
린트 제거기(90)는 전면 커버(5)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전면 커버(5)에는 제 1 돌기 삽입구(112)를 통과한 가동 돌기(221)가 통과되는 제 2 돌기 삽입구(5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16을 참조하면, 전면 커버(5)는 입구(5h)가 형성된 전면부(51)와, 전면부(51)의 둘레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드럼(4)의 전단과 대응하는 환형을 이루는 림(52)이 형성될 수 있고, 림(52) 상에는 린트 제거기(90)가 통과하는 제거기 설치구(52a)가 형성될 수 있다. 린트 제거기(90)는 제거기 설치구(52a) 내에 배치되고, 피스톤(92)의 경사면(SF1)이 처리 공간(전면 커버(5)와 드럼(4)에 의해 형성되는 의류가 처리되는 공간) 내에서 가동 돌기(221)와 접촉될 수 있다.그리고, 린트 제거기(90)는 상기 처리 공간의 외측에서 센서 케이스(48)와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2)에는 린트 제거기(9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322, 323)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홀더(322, 323)는 전면 필터 케이스(32a)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린트 제거기(90)가 상하 방향으로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322, 323)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전면 필터 케이스(32a)에 위에서 아래로 제 1, 2 홀더(322, 323)가 형성되고, 제 1 홀더(322)의 통공에는 피스톤(92)의 상단부(92b)가 통과하고, 제 2 홀더(323)의 통공에는 실린더(91)가 통과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피스톤(92)은 실린더(91) 내에서 이동되며, 공간을 축소 또는 팽창시키는 헤드(92c)와, 헤드(92c)로부터 연장되어, 실린더(91)의 토출포트(91a)와 반대 쪽에 형성된 연동로드 통과공(미표기)을 통해 실린더(9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동로드(92a, 92b)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92)은, 실린더(91)의 외측으로 돌출된 일단에, 도어(20)가 닫힐 시, 가동 돌기(221)에 의해 가압되는 경사면(SF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가동 돌기(221)로부터 경사면(SF1)에 작용하는 힘(F)은, 그 방향이 경사면(SF1)의 법선(Vn)과 예각(θ)을 이룬다. 따라서, 경사면(SF1)에 작용하는 힘(F)은 경사면(SF)에 대해 예각(θ)을 이루는 분력(Fz)을 갖게 되고, 피스톤(92)은 +Z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경사면(SF1)은 +X방향(예를 들어, 후방)으로 작용하는 힘(F)을 +Z방향(예를 들어, 하방)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연동로드(92a, 92b)는 헤드(92c)와 연결된 제 1 구간(92a)과, 실린더(91)의 외측에서 제 1 구간(9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구간(9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간(92a)은 일단이 헤드(92c)와 연결되고, 타단은 연동로드 통과공을 통과하여 실린더(9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93)은 일단이 실린더(91)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피스톤(92)을 지지할 수 있다. 제 2 구간(92b)은 제 1 구간(92a)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제 1 구간(92a)과 연결되는 부분이 제 1 구간(92a)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외경 차에 의해 형성된 지지면이 스프링(9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경사면(SF1)은 제 2 구간(92b)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구간(92b)는 제 1 구간(92a)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 수직구간(92b1)과, 수직구간(92b1)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는 수평구간(92b2)과, 수평구간(92b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수직구간(92b3)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SF1)은 제 2 수직구간(92b3)에 형성되며, 제 2 수직구간(92b3)이 수평구간(92b2)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제 1 수직구간(92b1)으로부터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거리에 대응하는 만큼 가동 돌기(221)의 길이를 줄여도, 가동 돌기(221)가 경사면(SF1)과 접촉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부분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린트 제거기의 피스톤이 상승된 상태(a)와, 하강된 상태(b)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한다.
도 2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는 린트 제거기(90')가 린트 필터(31)의 착탈 동작에 대응하여 동작된다. 구체적으로, 의류 건조기(100b)는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 기구(89)를 포함할 수 있다. 린트 필터(31)가 필터 케이스(3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동 기구(89)가 린트 필터(31)에 의해 밀려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피스톤(92)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경사면(SF1)과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92)는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고, 탄성부재(93)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가동 기구(89)에는 린트 필터(31)와 접촉되는 부분에 제 2 경사면(SF2)이 형성되고, 린트 필터(31)로부터 제 2 경사면(SF2) 상에 하측방향으로 작용한 힘이 제 2 경사면(SF2)에 의해 측방향(-X)으로 전환됨으로써, 가동 기구(89)가 이동된다.
이후,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 린트 필터(31)를 필터 케이스(32)로부터 분리시키면, 제 2 경사면(SF2)에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기 때문에, 탄성부재(93)의 복원력이 피스톤(92)에 형성된 제 1 경사면(SF1)을 통해 가동 기구(89)의 타단에 전해지고, 따라서 가동 기구(89)가 측방향(+X)으로 이동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b)는 린트 필터(31)가 필터 케이스(32)로부터 분리되었다가 다시 필터 케이스(32)로 삽입될 시, 피스톤(92)이 하강되고, 피스톤(92)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유로 연통구(48h)를 통해 배출유로로 배출된다.

Claims (27)

  1. 전면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가 처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드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 내로 안내하는 급기덕트;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드럼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내부 습도센서;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린트 필터;
    상기 필터 케이스와 연통되어, 상기 린트 필터에 의해 여과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와 연통되는 센서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습도센서는,
    상기 센서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의류 건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여닫고, 배면으로부터 가동 돌기가 돌출된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는 제 1 돌기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돌기가 상기 제 1 돌기 삽입구를 통과하고, 상기 도어가 열릴 시에는 상기 제 1 돌기 삽입구로부터 상기 가동 돌기가 퇴출되고,
    상기 의류 건조기는,
    상기 제 1 돌기 삽입구를 통과한 상기 가동 돌기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센서 케이스 내로 압축 공기를 가하는 린트 제거기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와 연통되는 유로 연통구가 형성된 실린더; 및
    상기 가동 돌기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실린더 내의 공기를 상기 유로 연통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기는,
    상기 가동 돌기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이동될 시, 상기 피스톤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가동 돌기에 의해 이동될 시, 상기 실린더 내의 공기를 압축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를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서, 상기 가동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되는 연동 로드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로드는,
    상기 가동 돌기와 접촉되는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법선은 상기 가동 돌기로부터 작용하는 힘과 소정의 예각을 이루는 의류 건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로드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하방으로 이동할 시, 상기 실린더 내의 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가동 돌기로부터 측방향으로 작용한 힘을 하방으로 전환시키는 의류 건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로드는,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를 통과하는 제 1 구간; 및
    상기 제 1 구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구간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간과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제 1 구간과의 외경과의 차에 의해 형성된 지지면을 구비하는 제 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면을 지지하는 의류 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간은,
    상기 제 1 구간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수직구간;
    상기 제 1 수직구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구간; 및
    상기 수평구간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수직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 2 수직구간에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필터는,
    상기 필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의류 건조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린트 필터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장착될 시, 상기 린트 필터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 기구; 및
    상기 가동 기구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센서 케이스 내로 압축 공기를 가하는 린트 제거기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와 연통되는 유로 연통구가 형성된 실린더; 및
    상기 가동 기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실린더 내의 공기를 상기 유로 연통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가동 기구와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가동 기구로부터 가해진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 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 기구는,
    상기 린트 필터와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린트 필터로부터 가해진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기구는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 경사면은,
    상기 가동 기구가 이동되도록, 상기 린트 필터로부터 작용한 힘을 측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상기 피스톤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도록, 상기 가동 기구로부터 작용한 힘을 하방으로 변환시키는 의류 건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습도센서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송풍팬으로 이송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의류 건조기.
  16. 삭제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 외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외기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70049730A 2017-04-18 2017-04-18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 KR102327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30A KR102327459B1 (ko) 2017-04-18 2017-04-18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30A KR102327459B1 (ko) 2017-04-18 2017-04-18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76A KR20180116876A (ko) 2018-10-26
KR102327459B1 true KR102327459B1 (ko) 2021-11-16

Family

ID=6409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730A KR102327459B1 (ko) 2017-04-18 2017-04-18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03B1 (ko) * 2018-11-16 2020-03-1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단부 고정장치를 이용한 의류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시스템
CN113832684A (zh) * 2020-06-08 2021-12-24 合肥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干衣机远程控制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023B1 (ko) * 2005-06-16 2006-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76119B1 (ko) * 2004-04-23 201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447B1 (ko) * 2010-01-27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습도센서 및 이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102073860B1 (ko) * 2016-04-27 2020-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119B1 (ko) * 2004-04-23 201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24023B1 (ko) * 2005-06-16 2006-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76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72144B2 (en) Mehod for controlling dryer
CA2599375C (en)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CN103161057B (zh) 干衣机及其控制方法
CA2599353C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CA2610132C (en) Dryer with safety function
KR102327459B1 (ko)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
CN103764897B (zh) 控制可转动滚筒式衣物烘干机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可转动滚筒式衣物烘干机
KR20230078964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4935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40073906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40120980A (ko)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873418A (zh) 一种用于智能升降式晾衣架的控制方法及装置
EP2287392A2 (en) Dryer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73023B1 (ko) 의류 건조기
CN107606753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443183B2 (en) Dryer appliance and related methods
AU2016429333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97025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07747798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175884B (zh) 用于洗涤和/或干燥衣物的家用电器
KR102373024B1 (ko) 의류 건조기
KR102621351B1 (ko) 의류 건조기
JP2022540945A (ja) 摩耗検知特徴を含む摺動支持アセンブリを有する乾燥機機器
KR102360869B1 (ko) 의류 건조기
CN110565348A (zh) 一种基于衣物信息的干衣方法及干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