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273B1 -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273B1
KR102327273B1 KR1020190128419A KR20190128419A KR102327273B1 KR 102327273 B1 KR102327273 B1 KR 102327273B1 KR 1020190128419 A KR1020190128419 A KR 1020190128419A KR 20190128419 A KR20190128419 A KR 20190128419A KR 102327273 B1 KR102327273 B1 KR 102327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block
information
production
ship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093A (ko
Inventor
김용희
이상협
성새날
조재성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2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체제 하에,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의 생산공장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일정정보, 각 선박블록의 예상 배치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의 예상 반출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공정진행 순위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선박블록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의 공사명 정보, 각 선박블록의 우선순위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시작일 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종료일 정보, 각 선박블록의 타입정보, 각 선박블록의 가로/세로 길이정보, 각 선박블록의 무게 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예컨대, 정반의 수량, 정반의 사이즈, 설비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중량, 또는, 블록생산공장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선박블록정보 등을 판독한 후, 판독 완료된 내용을 참조하여,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배치가능 선박블록 및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을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기간(예컨대, 1일 등) 단위로 선별하고, 선별 완료된 배치불가능 선박블록 내역 및 배치가능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배치모습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외부 출력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제공하고, 이를 통해, 선박 생산주체 의한 블록생산계획의 수립과정에,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즉,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실제 배치 가능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물리적 제약조건)이 세밀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 선박블록의 실질적인 배치가능 여부를 손쉽게 파악/예상하면서(즉, 선박블록에 대한 생산 공기의 조정, 공정 착수 일자의 조정 등을 선박블록의 실질배치 가능여부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절/통제/진행하면서), 각 선박블록에 대한 블록생산공정(예컨대, 블라스팅 공정, 도장공정 등)을 좀더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The system which supports a managing process about a production schedule of a ship block}
본 발명은 선박 생산주체에 의한 선박블록 생산관리절차를 지원해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체제 하에,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의 생산공장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일정정보, 각 선박블록의 예상 배치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의 예상 반출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공정진행 순위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선박블록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의 공사명 정보, 각 선박블록의 우선순위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시작일 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종료일 정보, 각 선박블록의 타입정보, 각 선박블록의 가로/세로 길이정보, 각 선박블록의 무게 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예컨대, 정반의 수량, 정반의 사이즈, 설비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중량, 또는, 블록생산공장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선박블록정보 등을 판독한 후, 판독 완료된 내용을 참조하여,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배치가능 선박블록 및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을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기간(예컨대, 1일 등) 단위로 선별하고, 선별 완료된 배치불가능 선박블록 내역 및 배치가능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배치모습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외부 출력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제공하고, 이를 통해, 선박 생산주체 의한 블록생산계획의 수립과정에,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즉,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실제 배치 가능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물리적 제약조건)이 세밀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 선박블록의 실질적인 배치가능 여부를 손쉽게 파악/예상하면서(즉, 선박블록에 대한 생산 공기의 조정, 공정 착수 일자의 조정 등을 선박블록의 실질배치 가능여부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절/통제/진행하면서), 각 선박블록에 대한 블록생산공정(예컨대, 블라스팅 공정, 도장공정 등)을 좀더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다수의 선박블록을 조립하여, 대형의 선박을 건조/생산하게 된다. 최근, 선박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상기 선박블록과 관련된 기술 또한 빠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5049호(명칭: 선박 블럭 운반용 지지장치)(2013.08.23.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16478호(명칭: 선박용 대형 선체 블록의 건조공법)(2014.02.10.자 공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4-2712호(명칭: 선박블록 운반차량의 안전장치)(2014.05.0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125226호(명칭: 선체 블록 간격 조절 치구 및 그를 이용한 선박의 용접 방법)(2014.10.28.자 공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4-6017호(명칭: 선체 블록 지지용 서포터)(2014.12.02.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선박블록 관련기술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각 블록생산공장(K)(예컨대, 블라스팅 공장, 도장공장 등) 내에 선박블록(1)을 배치시킨 후, 일련의 선박생산일정에 따라, 각 선박블록(1)에 대한 블록생산공정(예컨대, 블라스팅 공정, 도장공정 등)을 진행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록생산공정 체제 하에서,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블록생산공장(K)의 운영상황을 토대로 하여, 예컨대, 어떤 선박블록의 생산일정을 조정해야 하는지, 특정 선박블록의 생산일정을 조정하여야 한다면, 그 조정정도는 얼마 만큼이어야 하는지 등과 같은 내역에 대한 의사결정을 진행한 후, 해당 의사결정 결과가 반영된 블록생산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블록생산계획의 수립과정 하에서, 예컨대, 정반(2)의 수량, 정반(2)의 사이즈, 크레인 등과 같은 설비(3)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1)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1)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K)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1)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1)의 한계중량, 블록생산공장(K)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 등과 같은 각 블록생산공장(K)(예컨대, 블라스팅 공장, 도장공장 등)의 물리적 제약조건은 선박블록(1)의 실제 배치 가능여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만약, 상기 각 블록생산공장(K)(예컨대, 블라스팅 공장, 도장공장 등)의 물리적 제약조건이 면밀하게 고려/해결되지 못한다면, 선박 생산주체에 의한 블록생산계획의 수립과 무관하게, 선박블록(1)의 블록생산공장(K) 내 실제 배치가 아예 불가능해질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경우,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각 블록생산공장(K)(예컨대, 블라스팅 공장, 도장공장 등)의 물리적 제약조건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체, 단지, 각 선박블록(1)의 생산공기, 작업자의 정성적인 경험 등만을 바탕으로 하여, 블록생산계획을 수립하였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배치대상 선박블록(1)의 실질적인 배치가능 여부를 전혀 파악/예상하지 못한 체, 예를 들어, <정반(2)의 사이즈 한계로 인하여, 배치대상 선박블록(1)을 제대로 배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설비(3)의 가동능력 한계로 인하여, 배치대상 선박블록(1)을 제대로 배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기 세팅되어 있던 선박블록(1)과 배치대상 선박블록(1) 사이의 배치간격 문제로 인하여, 배치대상 선박블록(1)을 제대로 배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처럼, 실행 가능한 블록생산계획의 수립 불가 상황 하에서,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각 선박블록(1)에 대한 블록생산공정(예컨대, 블라스팅 공정, 도장공정 등)을 좀더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없게 되며(즉, 생산 공기의 조정, 공정 착수 일자의 조정 등을 체계적으로 조절/통제/진행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선박 생산품질이 대폭 저하되는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5049호(명칭: 선박 블럭 운반용 지지장치)(2013.08.23.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16478호(명칭: 선박용 대형 선체 블록의 건조공법)(2014.02.10.자 공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4-2712호(명칭: 선박블록 운반차량의 안전장치)(2014.05.0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125226호(명칭: 선체 블록 간격 조절 치구 및 그를 이용한 선박의 용접 방법)(2014.10.28.자 공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4-6017호(명칭: 선체 블록 지지용 서포터)(2014.12.02.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체제 하에,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의 생산공장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일정정보, 각 선박블록의 예상 배치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의 예상 반출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공정진행 순위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선박블록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의 공사명 정보, 각 선박블록의 우선순위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시작일 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종료일 정보, 각 선박블록의 타입정보, 각 선박블록의 가로/세로 길이정보, 각 선박블록의 무게 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예컨대, 정반의 수량, 정반의 사이즈, 설비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중량, 또는, 블록생산공장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선박블록정보 등을 판독한 후, 판독 완료된 내용을 참조하여,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배치가능 선박블록 및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을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기간(예컨대, 1일 등) 단위로 선별하고, 선별 완료된 배치불가능 선박블록 내역 및 배치가능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배치모습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외부 출력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제공하고, 이를 통해, 선박 생산주체 의한 블록생산계획의 수립과정에,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즉,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실제 배치 가능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물리적 제약조건)이 세밀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 선박블록의 실질적인 배치가능 여부를 손쉽게 파악/예상하면서(즉, 선박블록에 대한 생산 공기의 조정, 공정 착수 일자의 조정 등을 선박블록의 실질배치 가능여부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절/통제/진행하면서), 각 선박블록에 대한 블록생산공정(예컨대, 블라스팅 공정, 도장공정 등)을 좀더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정보출력모듈 및 정보입력모듈을 구비한 상태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매개로 하여, 기간계 서버 및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와 통신하는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모듈, 기간계 서버, 또는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를 취득하는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정보입력모듈, 기간계 서버, 또는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정반의 수량, 정반의 사이즈, 설비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중량, 또는, 블록생산공장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을 포함하는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를 취득하는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정보입력모듈, 기간계 서버, 또는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선박블록정보를 취득하는 선박블록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및 선박블록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참조하여, '특정 선박블록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에 구비된 정반의 사이즈가 해당 선박블록의 사이즈보다 적은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선박블록을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으로 선별하는 절차', '특정 선박블록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에 구비된 정반의 수량이 해당 선박블록을 수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선박블록을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으로 선별하는 절차', '특정 선박블록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에 구비된 설비의 가동가능용량이 해당 선박블록을 핸들링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선박블록을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으로 선별하는 절차', '특정 선박블록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에 구비된 선박블록 간 배치간격을 고려해 볼 때, 해당 선박블록을 배치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선박블록을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으로 선별하는 절차', 또는 '특정 선박블록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가 해당 선박블록을 통과시키기 어려울 정도로 좁은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선박블록을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으로 선별하는 절차'를 통해,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배치가능 선박블록 및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을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기간 단위로 선별하고, 선별된 배치불가능 선박블록 내역 및 상기 배치가능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배치모습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모듈 또는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를 통해 출력시키는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체제 하에,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의 생산공장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일정정보, 각 선박블록의 예상 배치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의 예상 반출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공정진행 순위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선박블록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의 공사명 정보, 각 선박블록의 우선순위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시작일 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종료일 정보, 각 선박블록의 타입정보, 각 선박블록의 가로/세로 길이정보, 각 선박블록의 무게 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예컨대, 정반의 수량, 정반의 사이즈, 설비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중량, 또는, 블록생산공장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선박블록정보 등을 판독한 후, 판독 완료된 내용을 참조하여,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배치가능 선박블록 및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을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기간(예컨대, 1일 등) 단위로 선별하고, 선별 완료된 배치불가능 선박블록 내역 및 배치가능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배치모습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외부 출력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선박 생산주체 의한 블록생산계획의 수립과정에는,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즉,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실제 배치 가능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물리적 제약조건)이 세밀하게 반영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선박블록의 실질적인 배치가능 여부를 손쉽게 파악/예상하면서(즉, 선박블록에 대한 생산 공기의 조정, 공정 착수 일자의 조정 등을 선박블록의 실질배치 가능여부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절/통제/진행하면서), 각 선박블록에 대한 블록생산공정(예컨대, 블라스팅 공정, 도장공정 등)을 좀더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블록 생산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의 배치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출력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각 블록생산공장(K)(예컨대, 블라스팅 공장, 도장공장 등) 내에 선박블록(11)을 배치시킨 후, 일련의 선박생산일정에 따라, 각 선박블록(11)에 대한 블록생산공정(예컨대, 블라스팅 공정, 도장공정 등)을 진행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생산공정 체제 하에서도,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블록생산공장(K)의 운영상황을 토대로 하여, 예컨대, 어떤 선박블록의 생산일정을 조정해야 하는지, 특정 선박블록의 생산일정을 조정하여야 한다면, 그 조정정도는 얼마 만큼이어야 하는지 등과 같은 내역에 대한 의사결정을 진행한 후, 해당 의사결정 결과가 반영된 블록생산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블록생산계획의 수립과정 하에서, 예컨대, 정반(12)의 수량, 정반(2)의 사이즈, 크레인 등과 같은 설비(13)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11)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11)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K)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11)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11)의 한계중량, 블록생산공장(K)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 등과 같은 각 블록생산공장(K)(예컨대, 블라스팅 공장, 도장공장 등)의 물리적 제약조건은 선박블록(11)의 실제 배치 가능여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만약, 상기 각 블록생산공장(K)(예컨대, 블라스팅 공장, 도장공장 등)의 물리적 제약조건이 면밀하게 고려/해결되지 못한다면, 선박 생산주체에 의한 블록생산계획의 수립과 무관하게, 선박블록(11)의 블록생산공장(K) 내 실제 배치가 아예 불가능해질 수도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30)의 통신 체계 하에, 정보입력모듈(100a), 정보출력모듈(100b) 등을 구비한 본 발명 고유의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100)을 추가 배치하고, 이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100)을 기간계 서버(30),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예컨대, 스마트 폰,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 등과 통신 연결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하여, 기간계 서버(20),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 정보입력모듈(100a), 정보출력모듈(100b) 등과 통신 연결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2),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03),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취득모듈(104),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취득모듈(105), 선박블록정보 취득모듈(106),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 제공모듈(108)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운영정보 저장모듈(102) 측에서는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를 들어, 기간계 서버(20)의 등록정보,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의 등록정보, 가이드 프레임(200)(도 4에 도시)의 생성/운영에 필요한 문자/그림/숫자/링크 소스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프로그램 소스정보, 통신 세션의 생성/운영에 필요한 소스정보 등을 저장/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03) 측에서는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를 전산 조작하여,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 측으로부터 일련의 프로그램 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운영정보 저장모듈(102)에 기 저장되어 있던 운영정보(예컨대, 문자/그림/숫자/링크 소스정보 등)를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200)을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가이드 프레임(200)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40)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신에게 필요한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 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취득모듈(104)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정보입력모듈(100a), 기간계 서버(20),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예컨대, 각 선박블록(11)의 생산공장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일정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예상 배치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예상 반출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공정진행 순위정보 등을 취득하고, 취득 완료된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를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취득모듈(105)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정보입력모듈(100a), 기간계 서버(20),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들로부터 입력되는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예컨대, 정반(12)의 수량, 정반(12)의 사이즈, 설비(13)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11)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11)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K)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11)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11)의 한계중량, 블록생산공장(K)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 등을 취득하고, 취득 완료된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를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5 참조).
나아가, 선박블록정보 취득모듈(106)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30) 등을 매개로 정보입력모듈(100a), 기간계 서버(20),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들로부터 입력되는 선박블록정보, 예컨대, 각 선박블록(11)의 공사명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우선순위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시작일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종료일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타입정보, 각 선박블록(11)의 가로/세로 길이정보, 각 선박블록(11)의 무게 정보 등을 취득하고, 취득 완료된 선박블록정보를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상술한 각 절차를 통해, 각종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11)의 생산공장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일정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예상 배치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예상 반출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공정진행 순위정보 등),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정보(예컨대, 정반(12)의 수량, 정반(12)의 사이즈, 설비(13)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11)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11)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K)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11)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11)의 한계중량, 블록생산공장(K)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 등), 선박블록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11)의 공사명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우선순위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시작일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종료일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타입정보, 각 선박블록(11)의 가로/세로 길이정보, 각 선박블록(11)의 무게 정보 등) 등이 취득/저장 완료되면,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측에서는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취득모듈(104),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취득모듈(105), 선박블록정보 취득모듈(106)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취득/저장 완료되어 있던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선박블록정보 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렇게 하여,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취득모듈(104),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취득모듈(105), 선박블록정보 취득모듈(106) 등에 의해 취득/저장 완료되어 있던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선박블록정보 등이 판독 완료되면,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측에서는 판독 완료된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선박블록정보 등을 참조하면서,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각종 배치대상 선박블록(11) 중에서,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배치가능 선박블록(11) 및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11)을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기간 단위(예컨대, 일 단위)로 선별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특정 선박블록(11)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K)에 구비된 정반(12)의 사이즈가 해당 선박블록(11)의 사이즈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분석되는 경우,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측에서는 해당 선박블록(11)을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11)으로 선별하게 된다.
다른 예로, 특정 선박블록(11)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K)에 구비된 정반(12)의 수량이 해당 선박블록(11)을 수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족한 것으로 판단/분석되는 경우,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측에서는 해당 선박블록(11)을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11)으로 선별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특정 선박블록(11)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K)에 구비된 설비(13)의 가동가능용량이 해당 선박블록(11)을 핸들링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족한 것으로 판단/분석되는 경우,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측에서는 해당 선박블록(11)을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11)으로 선별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특정 선박블록(11)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K)에 구비된 선박블록(11) 간 배치간격을 고려해 볼 때, 해당 선박블록(11)을 배치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분석되는 경우,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측에서는 해당 선박블록(11)을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11)으로 선별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특정 선박블록(11)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가 해당 선박블록(11)을 통과시키기 어려울 정도로 좁은 것으로 판단/분석되는 경우,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측에서는 해당 선박블록(11)을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11)으로 선별하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각종 배치대상 선박블록(11) 중에서,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배치가능 선박블록(11) 및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11)이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기간 단위(예컨대, 일 단위)로 선별/완료되면,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선별 완료된 배치불가능 선박블록 내역 및 배치가능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배치모습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렇게 하여, 배치불가능 선박블록 내역 및 배치가능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배치모습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측에서는 정보출력모듈(100b),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 등과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정보출력모듈(100b),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 등을 통해 외부 출력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도 5 참조), 결국,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단지, 정보출력모듈(100b),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 등을 주시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선박블록(11)의 실제 배치 가능여부가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 극복 가능성에 따라 면밀하게 선별된 고 품질의 데이터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체제 하에,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의 생산공장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일정정보, 각 선박블록의 예상 배치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의 예상 반출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공정진행 순위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선박블록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의 공사명 정보, 각 선박블록의 우선순위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시작일 정보, 각 선박블록의 생산종료일 정보, 각 선박블록의 타입정보, 각 선박블록의 가로/세로 길이정보, 각 선박블록의 무게 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일련의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예컨대, 정반의 수량, 정반의 사이즈, 설비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중량, 또는, 블록생산공장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선박블록정보 등을 판독한 후, 판독 완료된 내용을 참조하여,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배치가능 선박블록 및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을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기간(예컨대, 1일 등) 단위로 선별하고, 선별 완료된 배치불가능 선박블록 내역 및 배치가능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배치모습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외부 출력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선박 생산주체 의한 블록생산계획의 수립과정에는,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즉,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실제 배치 가능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물리적 제약조건)이 세밀하게 반영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선박블록의 실질적인 배치가능 여부를 손쉽게 파악/예상하면서(즉, 선박블록에 대한 생산 공기의 조정, 공정 착수 일자의 조정 등을 선박블록의 실질배치 가능여부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절/통제/진행하면서), 각 선박블록에 대한 블록생산공정(예컨대, 블라스팅 공정, 도장공정 등)을 좀더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 제공모듈(108) 측에서는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취득모듈(104),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취득모듈(105), 선박블록정보 취득모듈(106),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107)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이들에 의해 취득/생성 완료된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11)의 생산공장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일정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예상 배치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예상 반출일자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공정진행 순위정보 등), 블록생산공장(K)의 물리적 제약조건정보(예컨대, 정반(12)의 수량, 정반(12)의 사이즈, 설비(13)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11)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11)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K)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11)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K)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11)의 한계중량, 블록생산공장(K)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 등), 선박블록정보(예컨대, 각 선박블록(11)의 공사명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우선순위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시작일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생산종료일 정보, 각 선박블록(11)의 타입정보, 각 선박블록(11)의 가로/세로 길이정보, 각 선박블록(11)의 무게 정보 등),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예컨대, 배치불가능 선박블록 내역 및 배치가능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배치모습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정보)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렇게 하여,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선박블록정보,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 등이 판독 완료되면,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 제공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예컨대, 기준기간 당일 미 배치된 선박블록 내역, 기준기간 당일까지 비 배치된 선박블록 누적 내역, 기준기간 당일 블록생산공정에 착수한 선박블록 내역, 기준기간 당일 반출된 선박블록 내역, 블록생산공정 진행중인 선박블록 내역, 각 블록생산공장에 배치된 선박블록의 수, 각 블록생산공장에 배치된 선박블록의 중량, 각 블록생산공장에 배치된 선박블록의 면적 합 등을 포함하는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 제공모듈(108) 측에서는 정보출력모듈(100b),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 등과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를 정보출력모듈(100b),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21) 등을 통해 외부 출력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도 5 참조), 결국, 선박 생산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단지,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를 주시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다양한 참고내역, 예컨대, 기준기간 당일 미 배치된 선박블록 내역, 기준기간 당일까지 비 배치된 선박블록 누적 내역, 기준기간 당일 블록생산공정에 착수한 선박블록 내역, 기준기간 당일 반출된 선박블록 내역, 블록생산공정 진행중인 선박블록 내역, 각 블록생산공장에 배치된 선박블록의 수, 각 블록생산공장에 배치된 선박블록의 중량, 각 블록생산공장에 배치된 선박블록의 면적 합 등을 파악하면서, 좀더 효과적으로 고 품질의 블록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 관련 생산계획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K: 블록생산공장
1,11: 선박블록
2,12: 정반
3,13: 설비
20: 기간계 서버
21: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
30: 유/무선 온라인망
100: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
100a: 정보입력모듈
100b: 정보출력모듈
101: 인터페이스 모듈
102: 운영정보 저장모듈
103: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
104: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취득모듈
105: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취득모듈
106: 선박블록정보 취득모듈
107: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
108: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 제공모듈

Claims (3)

  1. 정보출력모듈 및 정보입력모듈을 구비한 상태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매개로 하여, 기간계 서버 및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와 통신하는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모듈, 기간계 서버, 또는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를 취득하는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정보입력모듈, 기간계 서버, 또는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정반의 수량, 정반의 사이즈, 설비의 가동가능용량, 선박블록 간 배치간격, 선박블록의 사이즈 및 중량, 블록생산공장의 가로/세로 크기,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 사이즈,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한계중량, 또는, 블록생산공장의 선박블록 배치불가지역 분포내역을 포함하는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를 취득하는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정보입력모듈, 기간계 서버, 또는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선박블록정보를 취득하는 선박블록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및 선박블록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참조하여, '특정 선박블록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에 구비된 정반의 사이즈가 해당 선박블록의 사이즈보다 적은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선박블록을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으로 선별하는 절차', '특정 선박블록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에 구비된 정반의 수량이 해당 선박블록을 수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선박블록을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으로 선별하는 절차', '특정 선박블록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에 구비된 설비의 가동가능용량이 해당 선박블록을 핸들링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선박블록을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으로 선별하는 절차', '특정 선박블록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에 구비된 선박블록 간 배치간격을 고려해 볼 때, 해당 선박블록을 배치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선박블록을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으로 선별하는 절차', 또는 '특정 선박블록이 배치되어야 할 특정 블록생산공장의 입/출구가 해당 선박블록을 통과시키기 어려울 정도로 좁은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선박블록을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으로 선별하는 절차'를 통해,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배치가능 선박블록 및 블록생산공장의 물리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없는 배치불가능 선박블록을 기 설정되어 있던 기준기간 단위로 선별하고, 선별된 배치불가능 선박블록 내역 및 상기 배치가능 선박블록의 블록생산공장 내 배치모습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모듈 또는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를 통해 출력시키는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취득모듈,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취득모듈, 선박블록정보 취득모듈, 또는, 선박블록 배치 시뮬레이션 실행모듈과 통신하면서, 선박블록 생산계획정보, 블록생산공장 물리적 제약조건정보, 선박블록정보, 선박블록 배치시뮬레이션 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역을 토대로, 기준기간 당일 미 배치된 선박블록 내역, 기준기간 당일까지 비 배치된 선박블록 누적 내역, 기준기간 당일 블록생산공정에 착수한 선박블록 내역, 기준기간 당일 반출된 선박블록 내역, 블록생산공정 진행중인 선박블록 내역, 각 블록생산공장에 배치된 선박블록의 수, 각 블록생산공장에 배치된 선박블록의 중량, 또는 각 블록생산공장에 배치된 선박블록의 면적 합을 포함하는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모듈 또는 선박 생산주체 정보기기를 통해 출력시키는 블록생산계획 참고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
KR1020190128419A 2019-10-16 2019-10-16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 KR102327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419A KR102327273B1 (ko) 2019-10-16 2019-10-16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419A KR102327273B1 (ko) 2019-10-16 2019-10-16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093A KR20210045093A (ko) 2021-04-26
KR102327273B1 true KR102327273B1 (ko) 2021-11-17

Family

ID=7573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419A KR102327273B1 (ko) 2019-10-16 2019-10-16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273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7986A (ko) * 2008-10-30 2010-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시 정반배치 관리시스템
KR20130005049U (ko) 2012-02-15 2013-08-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럭 운반용 지지장치
KR101392575B1 (ko) * 2012-05-29 2014-05-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조선해양 생산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기반 블록 및 물류 관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40016478A (ko) 2012-07-30 2014-0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대형 선체 블록의 건조공법
KR20140002712U (ko) 2012-10-30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블록 운반차량의 안전장치
KR101491662B1 (ko) 2013-04-18 2015-0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블록 간격 조절 치구 및 그를 이용한 선박의 용접 방법
KR20140006017U (ko) 2013-05-22 2014-12-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블록 지지용 서포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093A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abat et al. A hybrid genetic algorithm based heuristic for an integrated supply chain problem
US7702411B2 (en) Integration of job shop scheduling with discreet event simulation for manufacturing facilities
CN106662857B (zh) 控制程序维护装置、控制程序维护方法以及程序
Zammori et al. Harmony search algorithm for single-machine scheduling problem with planned maintenance
CN109643264A (zh) 利用补充资源动态地促进无边界、高可用性m..n工作配置管理的方法、系统和设备
JP4690893B2 (ja) 生産・物流スケジュール作成装置及び方法、生産・物流プロセス制御装置及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721257B2 (en) Method for effecting software maintenance in a software system landscape and computer system
TW201835821A (zh) 工作計劃最佳化裝置及工作計劃最佳化方法
CN110175822A (zh) 一种设备台账管理方法和系统
KR101674101B1 (ko) Ict 기반의 공정관리 시스템
KR102327273B1 (ko) 선박블록 생산관리 지원시스템
JP2009140022A (ja) 設備メンテナンス計画作成支援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Grznar et al. Quick workplace analysis using simulation
CN110069826A (zh) 一种基于bim的项目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de Ugarte et 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a reactive real-time decision support system in the aluminum industry
Creighton et al. Application of discrete event simulation for robust system design of a melt facility
Ghaleb et al. Dynamic shop-floor scheduling using real-time information: A case study from the thermoplastic industry
Pritsker et al. Production scheduling using FACTOR
Emery An approach to job shop scheduling using a large-scale computer
CN109408047A (zh) 集成电路测试信息化管理系统中的资源管理系统
JP2005322206A (ja) 設備稼働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CN107272623A (zh) 智能车间零件作业指导视频系统
Kostić et al. Optimization of spare parts in a multilevel maintenance system
Ho et al. Solving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optimization problem by a global approach
Bookwalter et al. Pansophy enhancements for SRF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inputs/outputs to further project efficiency in reporting and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