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051B1 - 점착 부여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 부여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051B1
KR102327051B1 KR1020180041200A KR20180041200A KR102327051B1 KR 102327051 B1 KR102327051 B1 KR 102327051B1 KR 1020180041200 A KR1020180041200 A KR 1020180041200A KR 20180041200 A KR20180041200 A KR 20180041200A KR 102327051 B1 KR102327051 B1 KR 102327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roleum resin
pressure
tackifier
composition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061A (ko
Inventor
변도현
김지연
성필제
윤경준
장영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0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J1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 부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수지 (A); 및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를 특정한 조합으로 포함하여, 감압 접착제에 우수한 점착, 접착 물성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광 흡수에 따른 색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감압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 부여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TACKIFIER AND PRESSURE SENSE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압 접착제 조성물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착 부여제, 및 상기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압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비닐계 단량체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감압 접착제에는, 접착제 조성물의 응집 강도 및 접착 시 전단 접착력 등, 접착 물성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되는 단량체에 따라, 비극성 표면, 혹은 매끈하지 않은 표면을 가지는 기재에 대해서는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접착제에 점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용도로, 로진 에스터 등의 로진계 화합물이 사용되는데, 로진계 화합물은, 송진 등을 원료로 하는 혼합물의 형태로 다양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주성분인 아비에트산이 분자 중에 이중 결합을 구비하고 있어, 접착제의 중합 반응에서 중합 저해를 일으킬 수 있고, 이중 결합의 광 흡수에 따라 특유의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후 빛에 의한 열화 또는 황변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별도의 자외선 흡수제나 광 안정제를 첨가하여, 중합체 수지의 내광성을 개선하는 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광 안정 효과를 얻기 위해, 충분한 양의 광 안정제를 사용하는 경우, 단량체의 중합 과정에서, 중합 반응의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조되는 중합체의 점착, 접착 물성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우수한 점착, 접착 물성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색상 등, 광학적 물성 역시 우수한 감압 접착제, 혹은 그에 사용되는 점착 부여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감압 접착제에 우수한 점착, 접착 물성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 색상 등, 광학적 물성 역시 우수한 점착 부여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수지 (A), 및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를 포함하고;
상기 (B)에 대한 (A)의 중량비 A:B 가, 2:8 내지 8:2이며;
연화점이 90 내지 120℃인;
점착 부여제(Tackifier)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전이 금속 촉매 존재 하에, 상기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상기 중합 석유 수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는, 2:8 내지 8: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점착 부여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점착 부여제 조성물; 및
i)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계 공중합체, ii)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iii) 올레핀계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베이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etive Adhesives)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점착 부여제(Tackifier) 조성물은,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수지 (A); 및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를 특정한 조합으로 포함하여, 감압 접착제에 우수한 점착, 접착 물성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광 흡수에 따른 색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감압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점착 부여제 조성물은,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수지 (A), 및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를 포함하고;
상기 (B)에 대한 (A)의 중량비 A:B 가, 2:8 내지 8:2이며;
연화점이 90 내지 12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점착 부여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전이 금속 촉매 존재 하에, 상기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상기 중합 석유 수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는, 2:8 내지 8:2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감압 접착제는,
상기 점착 부여제 조성물; 및
i)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계 공중합체, ii)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iii) 올레핀계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베이스 폴리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란, 구조 접착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접착제를 피착체의 대상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압력이 가해질 때 접착력이 발생하는 접착제를 모두 포함하며, 용제형이나 무용제형, 핫멜트형 등, 제조 과정에서 용매 혹은 용제의 사용 유무나, 가열 여부에 관계 없이, 접착 발생이 압력의 영향을 받는 접착제, 혹은 점착제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점착 부여제 조성물은,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수지 (A), 및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를 포함하고;
상기 (B)에 대한 (A)의 중량비 A:B 가, 2:8 내지 8:2이며;
연화점이 90 내지 120℃이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로진이라 함은, 아비에트산(Abietic acid), 아비에트산에서 수소가 제거된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Dehydro-), 및 2개 또는 4개의 수소가 첨가된 디하이드로, 또는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Dihydro-, Tetrahydro-)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아비에트산과 수소가 2개 첨가된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은, 이중 결합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이성질체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수소가 제거된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의 경우, 하기 화학식 1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35286265-pat00001
즉,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은, 두 개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아비에트산 구조에서, 두 개의 수소가 제거되며, 방향족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의 로진류 화합물 중 가장 안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게 된다.
그리고, 로진류 화합물의 기본 형태로 볼 수 있는 아비에트산의 경우, 하기 화학식 2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8035286265-pat00002
즉, 아비에트산은, 3중 고리 화합물에서, 두 개의 이중 결합이 컨쥬게이션 되어, 안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컨쥬게이션 2중 결합에 의해, 특유의 색상이 발현된다. 또한, 아비에트산은, 위 구조에서, 이중 결합의 위치가 쉽게 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이성질체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이성질체들 역시 대부분 컨쥬게이션 된 이중 결합을 가지게 되어, 그로 인한 특유의 색상을 가지게 된다.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의 경우, 위 아비에트산 이성질체에 2개의 수소가 첨가되어, 분자 내에 1개의 이중 결합만을 가지게 되는데, 그 이중 결합의 위치는, 수소 첨가 전, 아비에트산의 이성질체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아비에트산에 4개의 수소가 첨가된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의 경우, 모든 이중 결합에 수소가 첨가되어, 포화된 지방족 3중 고리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이중 결합을 구비하는 아비에트산 유도체에 비해, 안정성이 높고, 색상이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말하는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은, 상술한 아비에트산, 혹은 수소 첨가된 아비에트산 구조를 기본으로, 아비에트산의 카르복실기를, 알콜, 또는 폴리올의 OH기와 반응시켜 에스터화 한 것으로, 이 역시, 천연 로진 또는 변성 로진의 에스터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알콜 또는 폴리올은, 예를 들어, 탄소 수 1 내지 20의 지방족 알콜로, 모노 알코올, 디올, 트리올, 테트라올, 펜타올의 형태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등일 수 있다. 폴리올이 사용되는 경우, 아비에트산은, 폴리올의 하이드록실기 전체 혹은 일부와 에스터화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노에스터, 다이에스터, 터너리 에스터, 또는 쿼터너리 에스터 등의, 다가 에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부여제 조성물이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함은, 상술한 아비에트산,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및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이 가지는 특유의 노란 색상은, 보통, 아비에트산 분자 구조 중에서 컨쥬게이션된 이중 결합의 존재로 인해 형성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의대부분은,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및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어, 감암 접착제에 우수한 점착 물성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색상을 거의 띄지 않아,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합 석유 수지 (B)는, 원유를 정제해 얻어지는 납사(Naphtha)를 고온에서 분해하는 납사 크래킹 공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C5유분과, C9유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C5-C9 공중합 석유 수지를 의미한다.
납사 크래킹 공정에서 발생되는 시클로펜타디엔은, 대개의 경우, 이량화되어 디시클로펜타디엔 구조로 존재하는데, 시클로펜타디엔과 그 이량체인 디시클로펜타디엔은 디엘즈-알더 반응 및 레트로 디엘즈-알더 반응에 의해, 상호 전환이 가능하며, 특히, 시클로펜타디엔은, 열중합 또는 촉매 중합에 의해 디시클로펜타디엔으로 중합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시클로펜타디엔 성분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성분을 포함하는 지방족 혼합물을 모두 C5 유분으로 지칭하며, 상기 C5-C9 공중합 석유 수지는, 상기 C5 유분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와 C9 유분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부여제 조성물이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를 포함한다 함은, 상술한 C5-C9 공중합 석유 수지에 포함된 각 반복 단위의 이중 결합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수소가 첨가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는, C5 유분 유래 반복 단위 약 50 내지 약 90wt%, 및 C9 유분 유래 반복 단위 약 10 내지 약 50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5 유분 유래 반복 단위 약 70 내지 약 90wt%, 및 C9 유분 유래 반복 단위 약 10 내지 약 30wt%를 포함할 수 있다.
C9 유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밀도는 감소하고, 분자 내 방향족 성분 증가로, 극성이 커지게 되며, C9 유분의 함량이 감소하면, 밀도가 증가하고, 분자 내 방향족 성분 감소로, 극성 또한 작아지게 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여제 조성물은, 스티렌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점착제 등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점착 부여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 내에서, 고무 성질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스티렌의 함량이 일정량 이상인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여제 조성물은, C5 및 C9으로부터 유래되는 반복 단위를 상기 범위로 유지하여,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에 높은 점착력을 부여하여, 우수한 성능의 감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는; C5 유분 및 C9 유분을 포함하는 전체 혼합물 기준 중량 평균 분자량 값이 약 300 내지 약 1,000g/mol, 또는 약 300 내지 약 700이고, 분자량 분포(PDI) 값이 약 1.0 내지 약 2.0 또는 약 1.5 내지 약 1.8로, 저분자량 특성 및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가지게 되어, 특히 감압 접착제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용도에 매우 적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합 석유 수지(B)는, 연화점이 약 9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110℃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A 성분, 즉,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B 성분, 즉,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시클로펜타디엔계 중합 석유 수지의 중량비는, 2:8 내지 8:2, 바람직하게는, 약 2.5:7.5 내지 약 7.5:2.5일 수 있다. 배합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지의 색상을 나쁘게 하고, 접착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 부여제 조성물은, 연화점이 약 90 내지 약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110℃일 수 있다. 연화점이 너무 낮아지는 경우, 핫멜트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에 내열성이 부족할 수 있고, 연화점이 너무 높은 경우, 비닐계 혹은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수지에 이용했을 경우에 상용성을 저하되는 문제점 및 열가소성와 혼합하여 사용할 시, 용융과 관련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 부여제 조성물은, ASTM D1209 기준에 따라 측정한 APHA 색 지수 값이 약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50 이하, 또는 약 10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부여제 조성물은, ASTM D1544 기준에 따라 측정한, 가드너(Gardner) 색 표준에 따른 색 지수 값이 약 2.0 이하, 또는 0 내지 약 2.0, 또는, 약 0.3 내지 약 1.7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점착 부여제 조성물은,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과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를, 특정 조합으로 사용하여, 해당 화합물 내부에 컨쥬게이션 이중 결합에 의한 색상이 발현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과 비교하였을 때, 색상이 크게 개선된 점,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점착 부여제 조성물은,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전이 금속 촉매 존재 하에, 상기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상기 중합 석유 수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는, 2:8 내지 8: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 촉매는, 불포화 이중 결합의 수소화 반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팔라듐(Pd), 백금(Pt), 로듐(Rh), 루테늄(Ru), 니켈(Ni), 아연(Zn), 및 망간(Mn) 등을 포함하는 촉매, 혹은 촉매 조성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에 담지된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이 금속 촉매는, 수소화 대상물,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약 5중량부, 또는 약 0.01 내지 약 1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수소화 반응의 반응물인,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를 혼합한 형태로, 반응에 참가시켜,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를 동시에 수소화 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 경우, 점착 부여제 제조, 혹은 감압 접착제 제조에 있어서, 전체 공정을 더욱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면서도, 기존 공정에 비해, 색상 관련 물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소화 반응은, 예를 들면, 상술한 수소화 촉매의 존재 하에, 약 200 내지 약 280℃의 온도 조건 및 약 50 내지 약 150bar의 압력 조건 하에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수소화 반응은, 상기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과 상기 중합 석유 수지를 용매에 용해한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반응 효율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용매는, 반응에서 활성을 보이지 않고, 상술한 화합물을 용해하기 쉬운 것으로, 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산, n-헥산, n-헵탄, 데칼린(decalin),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점착 부여제 조성물; 및
i)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계 공중합체, ii)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iii) 올레핀계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베이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점착 부여제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신한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스티렌, 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류와 이소프렌 등의 단량체를,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공중합한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 때, 스티렌 함량은, 약 10 내지 약 20wt%인 선형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다이블록의 함량이 약 20wt% 미만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공중합체의 이소프렌 성분을 수소화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다이블록 함량(Diblock Contents)이라 함은,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에 대하여 커플링 반응을 진행시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트리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커플링이 이루어지지 않아, 스티렌-이소프렌 다이블록의 형태로 잔존하는 공중합체의 함량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트리 블록 공중합체는, 중합 반응 및 커플링 반응이 완전히 진행되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트리 블록만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트리 블록, 상술한 다이블록, 및 미반응 모노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트리 블록 공중합체에서 다이블록의 함량은, GPC 등,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여, 전체 중량 대비(100wt%), 그에 포함된 다이블록의 비율(wt%)을 의미한다.
다이블록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점도가 감소하는 현상이 뚜렷하게 확인될 수 있고, 이러한 점성의 증가로 인하여, 점, 접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감압 접착제 조성물 제조 시, 고연화점 및 고유동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계열의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이러한 첨가제의 함량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점도 외 다른 물성에 변화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의 경우, 상술한 트리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점도 등의 물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다른 물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각종 용도에 따라 그 조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형태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교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점착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예를 들어 비닐아세테이트, 스티렌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상기 단량체 중 적어도 일종을 중합해 얻어진 중합성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않고, 괴상 중합, 용액 중합, 분산 중합, 유화 중합 등, 공지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며, 열중합 혹은, 광중합에 의한 방법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액 중합 시, 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 중합에 이용되는 공지의 용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톨루엔, 에틸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화 중합을 이용할 시, 통상 공지의 음이온계 유화제 및/또는 비이온계 유화제 등을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올레핀의 호모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올레핀 단량체는, 비닐기를 제외하는 탄소-탄소 불포화 이 중결합을 가지는 탄화수소로, 중합 가능한 성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부틸렌, 이소프렌, 펜텐, 펜타디엔, 부타디엔, 옥텐, 이소옥텐, 헥센이나 헥사디엔 등, 선형 알파올레핀이나,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노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등 고리형 올레핀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상술한 올레핀계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올레핀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나, 상기 기술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압 접착제 조성물은, 가소성 오일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소성 오일은, 석유계 광물유를 포함할 수 있다.
석유계 광물유(Mineral oil)는, 원유를 석유로 정제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액체 부산물로서 액체 파라핀으로도 불리우며, 대표적으로 n-알칸을 기반으로 한 파라핀계 오일(Paraffinic oil), 시클로알칸을 기반으로 한 나프텐계 오닐(Naphthenic oil), 방향족 탄화수소를 기반으로 아로마틱계 오일(Aromatic oil)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석유계 광물유는 상술한 오일 및 이를 개질한 오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석유계 광물유는 파라핀계 오일(Paraffinic oil)인 것이 바람직하고, 촉매 존재 하에 수소 처리(Hydrotreated) 및/또는 탈왁스 처리(Dewaxed)에 의해 개질된 화이트 오일 등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소 처리 및/또는 탈왁스 처리에 의해 개질된 파라핀계 오일(Paraffinic oil)은 수소 처리된 중 파라핀 증류액(Hydrotreated heavy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64742-54-7) 또는 수소 처리된 경 파라핀 증류액(Hydrotreated light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64742-55-8), 용제-탈왁스화 된 중 파라핀 증류액(Solvent-dewaxed heavy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64742-65-0), 용제-탈왁스화 된 경 파라핀 증류액(Solvent-dewaxed light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64742-56-9), 수소 처리 및 탈왁스화 된 중 파라핀 증류액(Hydrotreated and dewaxed heavy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91995-39-0), 및 수소 처리 및 탈왁스화 된 경 파라핀 증류액(Hydrotreated and dewaxed light paraffinic distillate; CAS 등록번호 91995-40-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압 접착제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점착 부여제 조성물 약 40 내지 약 70중량%, 상기 베이스 폴리머 약 15 내지 약 30중량%, 및 가소성 오일 약 15 내지 약 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 조성물이 지나치게 적게 포함되는 경우, 점착 부여 효과가 미진하여, 접착제 조성물에서, 점, 접착 관련 물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점착 부여제 조성물이 지나치게 많이 포함되는 경우, 베이스 폴리머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역시, 접착 관련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르면, 상기 감압 접착제 조성물은, JIS Z 0237-1991 기준에 따라 제조한 시편에서 측정한, 180도(Degree) 박리 강도가, 1.2kgf 이상으로, 매우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접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공지의 광 안정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점착 부여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내지 3
C5-C9 중합 석유 수지(C5 이량체인, 디시클로펜타디엔(DCPD) 함량: 약75%; 중량 평균 분쟈랑: 약 500; PDI: 약 1.6; 연화점: 약 103℃) 와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라톤코리아, DX-700)을 혼합하여, 수소화 반응을 위한 반응물을 준비하고, 사이클로헥산에 30wt%가 되도록 용해시켰다.
0.5% Pd 촉매가 충진된 Trickle bed 반응기를 준비하고, 반응 온도 240℃, 반응 압력 100bar, 사이클로헥산에 용해된 반응물 유량 30ml/min, 수소 유량 4NLPM 조건에서 수소 첨가 반응을 진행하였다.
수소화 반응 반응물 중량 대비 0.45phr의 산화 방지제(IRGANOX 1010)를 첨가한 뒤 탈기하여, 연화점 105±2℃의 점착 부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시 사용한, 중합 석유 수지와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중합 석유 수지와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라톤코리아, DX-700)을 혼합하였다. 중량 대비 0.45phr의 산화 방지제(IRGANOX 1010)를 첨가한 뒤 탈기하여, 연화점 105±2℃의 점착 부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시 사용한, DCPD계 수소 첨가 석유 수지와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4
중합 석유 수지 만을 사용하고,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점착 부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시 사용한, DCPD계 수소 첨가 석유 수지와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5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만을 사용하고, 중합 석유 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점착 부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성 평가:
연화점 측정:
ASTM E28 의 기준에 따라, Ring and Ball 방법으로 연화점을 측정하였다.
APHA 및 가드너 색상 지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 부여제 조성물을, 톨루엔에 1:1의 중량 비율로 용해시킨 후, 10mm 큐벳에 넣고, HunterLab 사의 UltraScan VI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관련 표준: ASTM D1209 및 ASTM D1544).
측정한 물성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배합비율 수첨
유무
연화점
(℃)
Color
석유수지 Rosin Ester APHA Gardner
실시예 1 75 25 O 105 108 0.5
실시예 2 50 50 O 104 218 1.2
실시예 3 25 75 O 107 242 1.5
비교예 1 50 50 X 104 430 2.8
비교예 2 25 75 X 105 621 3.7
비교예 3 0 100 X 106 904 4.7
비교예 4 100 0 O 103 15 0.1
비교예 5 0 100 O 107 645 3.7
감압 접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제조
i)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Kraton, D1161ISP);
ii)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 부여제 조성물;
iii) 가소성 오일(Merck 사, Paraffin liquid Reg. PhEur)을;
25:57:18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위 혼합물 4g을, 톨루엔 6g과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PET Film 상에 바 코팅 방법으로 도포하였다. (Bar coater Number: 16; wetting thickness 36.6㎛)
도포 후, 110℃에서 30분 간 건조하여 점착 테이프 시편을 제조하였다. (drying thickness 13㎛)
물성 평가:
박리 강도 측정:
상기에서 제조한 점착 필름을, 2.5cm * 10.0cm 규격으로 재단하였다. 이를 SUS plate 위에 놓고, 2kgf 롤러를 이용하여 3번 왕복시켜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부착시켰다.
이를,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180도(Degree)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관련 표준: JIS Z 0237-1991)
측정한 물성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Loop tack 강도 측정:
상기에서 제조한 점착 필름을, 2.5cm * 10.0cm 규격으로 재단하고, 양쪽 끝을 맞추어 루프 형상으로 준비하였다.
이를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Loop tack 강도를 측정하였다.
(관련 표준: ASTM D6195-03)
측정한 물성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박리 강도
(kgf)
Loop tack 강도
(kgf)
실시예 1 1.34 1.40
실시예 2 1.39 1.41
실시예 3 1.71 1.40
비교예 1 1.18 1.40
비교예 2 0.87 1.32
비교예 3 0.13 0.21
비교예 4 0.90 1.47
비교예 5 1.58 1.27
상기 표 1 및 2를 참고하면, 본원의 점착 부여제 조성물은, 기존에 비해, APHA 및 가드너 색상 지수 값이 현저히 작으면서도, 접착제 제조 시 매우 우수한 접착 관련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로진 에스터계 수지와 중합 석유 수지를 혼합하고, 동시에 수소 첨가 반응을 진행하는, 기존보다 단순화된 공정에 의해, 물성 역시 우수한 점착 부여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원 실시예와 달리,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수지 (A), 및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 중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수첨 공정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 APHA 색 지수 값이 대부분 300을 초과하고, 특히 비교예 2, 3, 5 등의 경우, 매우 큰 APHA 색 지수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비해, 본원의 경우,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수지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를 혼합 사용함에 따라, APHA 색 지수 값이 크게 감소한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의 감압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 필름으로 제조 시, 박리 강도 값이 대부분 1kgf 미만인 것에 비해, 실시예에 따른 감압 접착제 조성물의 경우, 박리 강도 값이 모두 1.3 kgf를 초과하여, 매우 우수한 접착 물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로진 에스터계 수지 (A), 및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를 포함하고;
    상기 (A)는, 아비에트산,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및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B)에 대한 (A)의 중량비 A:B 가, 2:8 내지 8:2이며;
    ASTM E28의 기준에 따라 측정한 연화점이 90 내지 120℃인;
    점착 부여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C5 유분 50 내지 90wt%, 및 C9 유분 10 내지 50wt%를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는;
    중량 평균 분자량 값이 300 내지 1,000g/mol이고,
    분자량 분포(PDI) 값이 1.0 내지 2.0인,
    점착 부여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된 중합 석유 수지 (B)는;
    연화점이 90 내지 120℃인,
    점착 부여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ASTM D1209 기준에 따라 측정한 APHA 색 지수 값이 300 이하인, 점착 부여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ASTM D1544 기준에 따라 측정한 가드너 색 표준에 따른 색 지수 값이 2.0 이하인, 점착 부여제 조성물.
  7. 삭제
  8.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전이 금속 촉매 존재 하에, 상기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상기 중합 석유 수지에 대하여, 수소 첨가 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진 에스터계 화합물 및 중합 석유 수지는, 2:8 내지 8: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제1항의 점착 부여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첨가 반응은, 200 내지 280℃의 온도 조건 및 50 내지 150bar의 압력 조건 하에 진행되는, 점착 부여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1항의 점착 부여제 조성물; 및
    i)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계 공중합체, ii)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iii) 올레핀계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베이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i)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총 중량 대비 스티렌 함량이 10 내지 20wt%이고, 다이블록 함량이 20wt% 미만인,
    감압 점착제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JIS Z 0237-1991 기준에 따라 측정한, 180도(Degree) 박리 강도가, 1.2kgf 이상인,
    감압 점착제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 조성물 40 내지 70중량%;
    상기 베이스 폴리머 15 내지 30중량%; 및
    가소성 오일 15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KR1020180041200A 2018-04-09 2018-04-09 점착 부여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 KR102327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00A KR102327051B1 (ko) 2018-04-09 2018-04-09 점착 부여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00A KR102327051B1 (ko) 2018-04-09 2018-04-09 점착 부여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61A KR20190118061A (ko) 2019-10-17
KR102327051B1 true KR102327051B1 (ko) 2021-11-15

Family

ID=6842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200A KR102327051B1 (ko) 2018-04-09 2018-04-09 점착 부여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0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0922A (zh) * 2010-10-11 2011-07-13 上海晶华粘胶制品发展有限公司 耐高温美纹胶带用粘合剂及耐高温美纹胶带
JP2014080533A (ja) 2012-10-17 2014-05-08 Asahi Kasei Chemicals Corp 粘接着剤組成物
JP2015165023A (ja) 2014-02-28 2015-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46429A (en) * 2007-03-22 2008-12-01 Arakawa Chem Ind Polymelyzed rosin, polymerized rosin ester, these hydride,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soldering flux, solder paste, tackifier resin, tackifier resin emulsion, and adhesive composition of matter
US20140235127A1 (en) * 2013-02-21 2014-08-21 Henkel Corporation Elastic attachment adhesive and use thereof
KR101805892B1 (ko) * 2015-06-30 2017-12-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수소첨가 석유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JP6586473B2 (ja) * 2015-06-30 2019-10-02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石油樹脂、石油樹脂の製造方法及び接着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0922A (zh) * 2010-10-11 2011-07-13 上海晶华粘胶制品发展有限公司 耐高温美纹胶带用粘合剂及耐高温美纹胶带
JP2014080533A (ja) 2012-10-17 2014-05-08 Asahi Kasei Chemicals Corp 粘接着剤組成物
JP2015165023A (ja) 2014-02-28 2015-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61A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5365B2 (en) Combinations of tackifier and polyalphaolefin oil
EP1299495B1 (en) Adhesives with improved die-cutting performance
KR102397831B1 (ko)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EP0500646B1 (en) Resin use for tackification
EP0666273A2 (en) Hydrogenated resins, adhesive formulation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resins
WO2002000806A2 (en) Adhesives with improved die-cutting performance
KR102327051B1 (ko) 점착 부여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
KR20080086362A (ko) 중합로진, 중합로진에스테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및 이들의제조방법, 납땜용 플럭스, 솔더페이스트, 점착부여수지,점착부여수지에멀젼 및 점·접착제조성물
TW202222975A (zh) 增黏樹脂、其製備方法以及包括其之組成物
KR100906168B1 (ko) 점착부여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점착제 조성물
KR102507153B1 (ko) 핫 멜트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7516B1 (ko)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KR20140087203A (ko) 석유수지 및 그 제조방법
RU2808429C1 (ru) Композиция термоплавкого кле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111527174B (zh) 热熔粘合剂组合物
KR102245614B1 (ko)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에 대한 수첨 석유수지의 상용성 평가 방법
KR20210041214A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JP2023142599A (ja) 重合体、粘着付与剤、粘着性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DE112020004613T5 (de) Harz auf Olefinbasis und Heißschmelzkleber
KR20190079380A (ko)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KR20190125092A (ko) 핫멜트 접착제
KR20140043217A (ko) 초기 점착력이 향상된 액상 점착부여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