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920B1 -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920B1
KR102326920B1 KR1020190155273A KR20190155273A KR102326920B1 KR 102326920 B1 KR102326920 B1 KR 102326920B1 KR 1020190155273 A KR1020190155273 A KR 1020190155273A KR 20190155273 A KR20190155273 A KR 20190155273A KR 102326920 B1 KR102326920 B1 KR 10232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front panel
receiving plate
tachograph
card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263A (ko
Inventor
김선욱
송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프
Priority to KR102019015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9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2Analysing tachograph ch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식전방패널이 카드수납부의 수납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타코그래프의 본체에 따라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를 따로 설계할 필요가 없어서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결합식전방패널이 수납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수납판의 넓은 부분이 노출되어 스마트카드를 삽입하거나 빼내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Smart card interface for tachograph}
본 발명은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변경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키고, 스마트카드의 삽입과 인출이 편리해지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운행기록계라고도 부르는 타코그래프(Digital Tachograph)는 영업용 차량이나 운수차량의 내부에 설치하여 차량의 ECU와 센서를 통해 운행 차량의 속도, RPM정보, 브레이크 신호의 감지, GPS를 통한 위치정보, 가속도, 주행거리, 충격감지 등의 운행데이터를 전송받아 지정된 플랫폼에 저장하는 장치이다. 운행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스마트카드에 저장된다.
국내에서는 교통안전법 시행규칙에 그 기능이 명시되어 있고,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과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등에 의해 상용 차량인 택시나 화물 트럭 혹은 버스에는 의무적으로 타코그래프를 장착해야 한다. 물론 국외에서도 현지 사정에 맞게 타코그래프를 의무 장착하도록 법으로 규정해 놓고 있다.
즉 타코그래프는 상용 차량 내부에 설치하여 차량의 운행정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주기적으로 관계 기관에 제출함으로써, 운전자가 과도한 운행으로 대형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사전에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타코그래프에서 운행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마트카드는 운전자마다 개별적으로 소지하고 있으며, 운행을 시작하기 전 스마트카드를 타코그래프에 삽입해야 한다. 타코그래프에서 스마트카드의 삽입과 인출 기능을 담당하고 삽입된 스마트카드에서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부분을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이러한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는 방식에 따라 소켓 타입과 서랍 타입으로 구분된다.
미국등록특허 제7,938,332호(2011.05.10. 'Pushmatic smart card connector')에서는 소켓 타입의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가 다루어지고 있다. 소켓 타입의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는 투입구가 타코그래프 본체 전면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면 로킹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데이터 기록 중에는 스마트카드가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운행을 마치고 스마트카드 인출 명령이 입력되면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스마트카드의 로킹이 해제된 후 스마트카드가 인출된다.
하지만 소켓 타입의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에서는 투입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독일등록특허 제10339931호(2019.03.14. 'Smart card with sealed drawer')와 같이 서랍식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가 개발된 바 있다. 서랍식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를 도1 및 도2를 통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서랍식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종래의 타코그래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타코그래프에서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50)는 내부에 스마트카드(1)가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51)과, 스마트카드(1)가 안착되는 카드수납부(55)를 포함한다.
카드수납부(55)는 스마트카드(1)를 받쳐주는 판 형상의 수납판(57)과, 수납판(57)의 전방에 형성되어 투입구를 막아주는 전방패널(59)을 포함한다. 또한 전방패널(59) 둘레에는 실링부(60)가 마련되어 있어서, 카드수납부(55)가 하우징(51) 내부로 인입되었을 시 실링부(60)가 하우징프론트(52)와 전방패널(59) 사이의 틈을 밀폐시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도2의 (a)는 서랍식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50)에서 카드가 카드수납부(55)에 안착된 상태로 하우징(51)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의 (a) 상태에서는 별도의 로킹수단(미도시)에 의해 카드수납부(55)가 고정되고, 카드 인출 명령이 외부에서 입력되면 로킹이 해제됨으로써 도2의 (b)와 같이 스프링(54)의 탄성에 의해 카드수납부(55)가 하우징프론트(52) 전방으로 일정 거리 밀려남으로써 운전자가 스마트카드(1)를 꺼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서랍식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50)에서는 스마트 카드가 안착되는 수납판(57)과 하우징프론트(52) 사이의 투입구를 막아주는 전방패널(59)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타코그래프(10) 완제품을 제작하는 업체와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50)를 제작하여 납품하는 업체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50)를 제작하는 업체에서는 타코그래프(10) 본체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카드수납부(55)의 전방패널(59)을 설계해야 한다. 즉 다른 종류의 타코그래프(10)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전방패널(59)의 디자인을 변경하여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50)를 제작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수납부(55)는 하우징(51)에서 일정 길이만 인출된다. 따라서 수납판(57) 위쪽으로 일부 노출된 부분을 통해 스마트카드(1)를 삽입해야 하는데, 수납판(57)의 전방에는 수납판(57)보다 높게 전방패널(59)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카드(1)를 삽입할 시 스마트카드(1)가 휘어지게 된다. 즉 좁은 틈을 통해 스마트카드(1)를 진입시켜야 해서 스마트카드(1)가 휘어질 수 밖에 없고, 이 때문에 스마트카드(1)의 삽입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랍식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에서 전방패널은 타코그래프 완제품 제작 업체에서 본체의 디자인에 맞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코그래프의 본체에 따라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를 따로 설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의 전방패널이 추가 인출 가능토록 함으로써 넓은 공간을 통해 스마트카드의 삽입과 인출이 편리해지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카드수납부; 및 상기 카드수납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카드수납부는, 스마트카드가 안착되는 판 형상의 수납판; 및 상기 수납판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는 스프링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판의 전방으로 결합식전방패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판의 전방에 끼워지는 결합부가 형성된 상기 결합식전방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식전방패널의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식전방패널이 상기 수납판에 끼워졌을 시 상기 수납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판에는 상기 안착돌기가 안착되는 일정 길이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식전방패널은 상기 수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는 투입구를 가려주는 전방패널이 제거된 상태로 제작된다. 이후 타코그래프 완제품 제작 업체에서 타코그래프 본체의 디자인에 맞게 설계된 결합식전방패널을 카드수납부의 수납판에 끼워주면 되기 때문에,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제작 업체에서는 타코그래프의 본체 디자인이 바뀔 때마다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의 설계를 바꿔줄 필요가 없어서 범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결합식전방패널이 수납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면, 스마트카드 삽입에 방해가 되는 결합식전방패널을 투입구로부터 최대한 멀리 빼낼 수가 있어서 스마트카드를 삽입하거나 빼내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1은 종래의 서랍식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타코그래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타코그래프에서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에서 결합식전방패널이 다단으로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는 하우징(21), 스프링(24) 및 카드수납부(25)를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된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는 도1에 도시된 타코그래프(10)에서 기존의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50)를 대체하여 설치된다.
하우징(21)에는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의 다른 구성들이 실장되며, 내측으로 카드수납부(25)가 진입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21) 내부의 후방에는 스프링(24)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1)의 전방에는 하우징프론트(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프론트(22)의 내측에는 투입구가 개방되어 있어서 하우징(21) 내부 공간과 하우징프론트(22) 전방의 외부 공간이 연결된다.
카드수납부(25)는 스마트카드(1)가 안착되는 판 형상의 수납판(27)과, 수납판(27)의 후방에 형성되어 스프링(24)을 지지하는 스프링연결부(26)를 포함한다.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는 하우징프론트(22) 내측의 개방된 투입구를 가려주는 전방패널이 없는 상태로 제작된 후 타코그래프 완제품 제작 업체에 납품된다. 이후 타코그래프 완제품 제작 업체에서 타코그래프(10)의 본체 디자인에 맞게 결합식전방패널(30)을 제작한 후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의 카드수납부(25)에 결합시켜 제품을 완성한다.
즉 타코그래프(10)의 본체 디자인에 맞게 제작된 결합식전방패널(30)에는 수납판(27)에 끼워지는 형태의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수납부(25)가 돌출된 상태에서 수납판(27)의 전방에 결합식전방패널(30)의 결합부(31)를 끼워주면 도3의 (b)와 같이 서랍식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가 완성된다.
도3의 (b)와 같이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의 카드수납부(25)가 인출된 상태에서, 수납판(27)의 위쪽 공간으로 스마트카드(1)를 삽입시킨 후 결합식전방패널(30)을 눌러주거나 타코그래프(10)에서 별도의 명령을 입력시키면 도3의 (c)와 같이 카드수납부(25) 전체가 하우징(21)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게 되고, 결합식전방패널(30)은 하우징프론트(22) 내측의 개방된 투입구를 완전히 막아주게 된다.
도3의 (c)와 같이 카드수납부(25)가 하우징(21) 내에 진입하면 별도의 로킹수단(미도시)에 의해 카드수납부(25)가 고정되어, 운행 중 타코그래프(10)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카드수납부(25)가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별도의 데이터기록수단(미도시)에 의해 스마트카드(1)에 운행 데이터가 기록된다.
운행을 마치고 타코그래프(10)에서 별도의 명령을 입력하면 로킹수단이 해제되며, 로킹수단의 해제에 따라 스프링지지부(23)와 스프링연결부(26)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4) 탄성력이 작용하여 카드수납부(25) 전체가 도3의 (b)와 같은 상태로 인출되어 스마트카드(1)를 빼낼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에 적용된 카드수납부(25)에는 따로 전방패널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전방패널이 제거된 상태의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가 타코그래프 완제품 제작 업체에 납품되면, 완제품 제작 업체에서 타코그래프(10)의 본체 디자인에 맞게 설계된 결합식전방패널(30)을 수납판(27)에 끼워주게 된다. 따라서 타코그래프(10)의 본체 디자인이 바뀔때마다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를 따로 설계할 필요가 없어서 범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5는 도4에 도시된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에서 결합식전방패널이 다단으로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는 하우징(21), 하우징프론트(22), 스프링지지부(23), 스프링(24) 및 카드수납부(25)를 포함한다.
하우징(21), 하우징프론트(22), 스프링지지부(23) 및 스프링(24)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동일 구성 설명으로 대체한다.
카드수납부(25)는 판 형태의 수납판(27)과, 수납판(27) 후방에 형성되어 스프링(24)이 연결되는 스프링연결부(26)를 포함한다. 또한 수납판(27)의 저면에는 전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안착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 역시 전방패널은 제거된 상태로 납품된다. 이후 타코그래프 완제품 제작 업체에서 본체 디자인에 맞게 결합식전방패널(30)을 제작한 후 수납판(27)의 전방에 결합식전방패널(30)의 결합부(31)를 끼워주게 된다.
이때 적용되는 결합식전방패널(30)에 형성된 결합부(31)에는 수납판(27)의 안착홈(28)에 안착되는 안착돌기(32)가 안착홈(28)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부(31)는 결합식전방패널(30)의 측면에서 수납판(27) 전방의 위쪽과 아래쪽을 잡아주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되, 아래쪽 결합부(31)의 종단에는 위쪽 결합부(31)를 향하도록 안착돌기(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31)는 합성수지 재질의 사출성형으로 제작되는 것이어서 일정 수준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판(27)의 전방으로 결합식전방패널(30)의 결합부(31)를 끼워주면 결합부(31)가 위 아래로 벌어지면서 수납판(27)의 후방으로 진입하게 되고, 안착돌기(32)가 수납판(27)의 안착홈(28)까지 진입하게 되면 결합부(31)의 탄성복원에 의해 안착돌기(32)가 안착홈(28) 내에 안착됨으로써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식전방패널(30) 전체가 수납판(27)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의 동작 과정을 도5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판(27)에 스마트카드(1)가 안착된 채로 카드수납부(25)가 하우징(21) 내에 삽입된 상태라면, 로킹수단(미도시)에 의해 카드수납부(25)가 잠금되고 데이터기록수단(미도시)에 의해 스마트카드(1)에 운행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후 타코그래프(10) 본체에서 별도의 명령을 입력하면 카드수납부(25)의 잠금이 해제되고, 이후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해 도5의 (b)와 같이 카드수납부(25) 전체가 전방으로 인출된다. 카드수납부(25)가 도5의 (b)와 같은 위치까지 인출되더라도 스마트카드(1)를 빼내거나 삽입시킬 수는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에서는 결합식전방패널(30)이 수납판(27)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다.
즉,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수납부(25)가 일차적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결합식전방패널(30)을 잡아 당기면, 도5의 (c)와 같이 결합부(31)에 형성된 안착돌기(32)가 수납판(27)의 안착홈(28)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결합식전방패널(30) 전체가 전방으로 추가 인출된다.
따라서 도5의 (c)와 같이 수납판(27)의 전방에 결합된 결합식전방패널(30)이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프론트(22)로부터 더욱 멀어지게 되어 수납판(27)이 노출되는 면적도 커지게 된다. 즉 넓은 공간을 통해 스마트카드(1)를 편리하게 빼내거나 삽입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5의 (c)와 같이 결합식전방패널(30) 전체가 추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결합식전방패널(30)의 결합부(31)에 형성된 안착돌기(32)가 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어 안착돌기(32)를 수납판(27)의 안착홈(28)에서 이탈시켜 결합식전방패널(30)을 수납판(27)에서 분리할 수 있다.
만약 도5의 (c) 상태에서 스마트카드(1)를 삽입하면 운전자는 결합식전방패널(30)을 밀어 도5의 (b)와 같이 결합부(31)의 안착돌기(32)가 수납판(27)의 안착홈(28) 후방까지 진입하도록 하고, 이후 결합식전방패널(30)을 추가로 밀어주거나 타코그래프(10) 본체에서 별도의 명령을 입력하면, 도5의 (a)와 같이 카드수납부(25) 전체가 하우징(21) 내부 공간으로 진입함으로써 결합식전방패널(30)은 투입구를 가려주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는 투입구를 가려주는 전방패널이 제거된 상태로 제작된다. 이후 타코그래프 완제품 제작 업체에서 타코그래프(10) 본체의 디자인에 맞게 설계된 결합식전방패널(30)을 카드수납부(25)의 수납판(27)에 끼워주면 되기 때문에,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제작 업체에서는 타코그래프(10)의 본체 디자인이 바뀔 때마다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의 설계를 바꿔줄 필요가 없어서 범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결합식전방패널(30)이 수납판(2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면, 스마트카드(1) 삽입에 방해가 되는 결합식전방패널(30)을 투입구로부터 최대한 멀리 빼낼 수가 있어서 스마트카드(1)를 삽입하거나 빼내는 것이 용이해진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 결합식전방패널(30)은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제작 업체에서 제작하지 아니하고 타코그래프 완제품 제작 업체에서 제작한다고 설명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제작 업체에서 타코그래프(10)의 본체 디자인에 맞게 결합식전방패널(30)도 제작한 후 수납판(27)에 끼워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20)는 수납판(27)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식전방패널(30)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도 타코그래프(10)의 본체 디자인에 따라 결합식전방패널(30)만 따로 설계하면 되는 것이며, 나머지 구성은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서 범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는 동일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스마트카드
10 : 타코그래프
20 :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21 : 하우징
22 : 하우징프론트
23 : 스프링지지부
24 : 스프링
25 : 카드수납부
26 : 스프링연결부
27 : 수납판
28 : 안착홈
30 : 결합식전방패널
31 : 결합부
32 : 안착돌기

Claims (3)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카드수납부; 및
    상기 카드수납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수납부는,
    스마트카드가 안착되는 판 형상의 수납판; 및
    상기 수납판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는 스프링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판의 전방에 끼워지는 결합부가 형성된 결합식전방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식전방패널의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식전방패널이 상기 수납판에 끼워졌을 시 상기 수납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판에는 상기 안착돌기가 안착되는 일정 길이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식전방패널은 상기 수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으로써,
    상기 카드수납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식전방패널을 잡아 당기면, 상기 결합식전방패널 전체가 추가 인출될 수 있고, 상기 결합식전방패널 전체가 추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식전방패널의 결합부에 형성된 안착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안착돌기를 상기 수납판의 안착홈에서 이탈시켜 상기 결삽식전방패널을 상기 수납판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2. 삭제
  3. 삭제
KR1020190155273A 2019-11-28 2019-11-28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KR10232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73A KR102326920B1 (ko) 2019-11-28 2019-11-28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73A KR102326920B1 (ko) 2019-11-28 2019-11-28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63A KR20210066263A (ko) 2021-06-07
KR102326920B1 true KR102326920B1 (ko) 2021-11-16

Family

ID=7637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273A KR102326920B1 (ko) 2019-11-28 2019-11-28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9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4016A1 (de) * 2003-08-29 2005-04-14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mart card connector mit abgedichteter schublade
WO2006093294A1 (ja) 2005-03-04 2006-09-08 Nec Corporation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1217B (zh) * 2015-06-16 2020-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卡托、卡连接装置和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4016A1 (de) * 2003-08-29 2005-04-14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mart card connector mit abgedichteter schublade
WO2006093294A1 (ja) 2005-03-04 2006-09-08 Nec Corporation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63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856B2 (en) Hitch cover including adapter
US20080020633A1 (en) Ruggedized USB port
CN103917790A (zh) 固定件、固定件拆除结构及帘式安全气囊固定装置
US20150143858A1 (en) Obd connector protective cover
KR102326920B1 (ko) 타코그래프용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CN112593788B (zh) 电动机动车辆及用于锁定其充电盖的锁定装置
CN101097593B (zh) 信息写入装置
CN101456402B (zh) 气囊充气器的爆管连接器连接结构
EP0075078A1 (en) Cipher reading device preventing unauthorized vehicle use
EP2879244A1 (en) OBD connector protective cover
DE102012216310B4 (de) Fahrzeugpositionsreportvorrichtung
US20110045684A1 (en) Extraction preventing device for connector
KR102658503B1 (ko) 차량의 차량 부품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 베이스 부품, 카메라 하우징 및 카메라 시스템
CN109263565B (zh) 用于将远程信息处理模块紧固到机动车辆车顶的系统
US9409524B2 (en) Narrow sliding storage bin
US8220820B2 (en) Trailer hitch immobilizer
EP1914119A1 (fr) Dispositif de rangement intérieur pour véhicule automobile
WO2003021522A1 (de) Lesegerät für unterschiedliche kartentypen
KR20110096705A (ko) 자동차용 하이패스 단말기
US6935905B2 (en)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 jig, and a method for withdrawing a terminal in a connector
JPH0810025Y2 (ja) 車両用カード収納ケース
CN108463372B (zh) 使扶手装配在车辆车门上的配置
US20200010042A1 (en) Airbag device for interior trim element of a motor vehicle
CN216053653U (zh) 模组安装结构、车载显示屏和模组
JP5566075B2 (ja) 車載機器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