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486B1 - Coffee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Coffee vend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6486B1 KR102326486B1 KR1020150037954A KR20150037954A KR102326486B1 KR 102326486 B1 KR102326486 B1 KR 102326486B1 KR 1020150037954 A KR1020150037954 A KR 1020150037954A KR 20150037954 A KR20150037954 A KR 20150037954A KR 102326486 B1 KR102326486 B1 KR 1023264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sule
- hole
- coffee
- capsule receiving
- hot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00)에 캡슐수용구(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캡슐받침대(4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컵(c)이 안착되는 컵받침대홀(415)을 형성하되,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캡슐(500)을 안착할 수 있는 캡슐수용공(3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슐수용공(321a)에는 하부통공(550b)이 형성되어 온수공급원판(200a)이 승강수단에 의하여 압착시에 캡슐(500)에 온수가 공급되어 원두커피 원액을 캡슐(500)의 통공(515a)을 통함과 동시에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통공(550b)을 통하여 하부 컵으로 배출하게 되거나,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캡슐(500)을 안착할 수 있는 캡슐수용공(32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캡슐의 저부를 개봉하는 개봉핀(550)이 형성되어 온수공급원판(200a)이 승강수단에 의하여 압착시에 이를 개봉하여 원두커피 원액을 캡슐수용공(321a)의 통공(329a)을 통하여 하부 컵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capsule holder 410 is formed so that the capsule receiving port 300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dy 1000, a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to form a cup holder hole 415 in which the cup (c) is seated. However, the capsule receiving port 300 has a capsule receiving hole 321a that can seat the capsule 500 is formed, and a lower through hole 550b is formed in the capsule receiving hole 321a, so that the hot water supply disk ( 200a),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capsule 500 at the time of compression by the elevating means, so that the raw coffee bean solution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515a of the capsule 500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lower through hole 550b of the capsule receiving hole 321a. It is discharged to the lower cup, or the capsule receiving port 300 has a capsule receiving hole 321a that can seat the capsule 500 is formed, and the opening pin 550 for opening the bottom of the capsule is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When the hot water supply disk 200a is formed and pressed by the lifting means, it is opened and the raw coffee bean solution is discharged into the lower cup through the through hole 329a of the capsule receiving hole 321a.
Description
본 발명은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캡슐로 만들어진 원두커피를 정수기나 자동판매기에 의하여 판매할 수 있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sule coffee bean extra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sule coffee bean extraction apparatus capable of selling coffee beans made into capsules by a water purifier or a vending machine.
종래 도면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050호에는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가 개시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prior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33050 discloses an instant vending machine for coffee beans in capsules.
상기 발명에 개시된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는 다수개의 커피캡슐을 보관하는 캡슐보관박스와, 캡슐보관박스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캡슐 및 컵을 지지하는 캡슐지지체와, 온수가 보관되는 압착물통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instant vending machine for instant coffee bean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sule storage box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ffee capsules, a capsule support for supporting coffee capsules and cups discharged from the capsule storage box, and a compressed water container for storing hot water. Consists of.
이와 같이 구성된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는 캡슐지지체로 공급된 커피캡슐로부터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하여 캡슐지지체가 상승하고, 원두커피의 추출이 완료되면 캡슐지지체가 하강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나, 추출된 원두커피가 컵에 보관된 상태에서 캡슐지지체의 하강이 이루어지는 바, 캡슐지지체가 하강하는 과정 그리고 캡슐지지체의 하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컵내의 원두커피가 컵의 바깥으로 흘러넘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캡슐지지체가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instant coffee vending mach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psule support rises in order to extract coffee beans from the coffee capsules supplied to the capsule support, and the capsule support descends when the extraction of coffee beans is completed. When the coffee is stored in the cup, the capsule support is descended, and the coffee beans in the cup overflow to the outside of the cup due to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capsule support is descended and the capsule support is descended.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psule support is easily contaminated.
또한, 캡슐보관박스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캡슐은 안내구를 통하여 캡슐지지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캡슐걸림턱에 놓이는 방식으로, 경사진 안내구를 타고 커피캡슐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커피캡슐의 자세가 흐트러질 경우, 캡슐지지체의 상단부에 커피캡슐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게 되므로, 원두커피의 추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capsule discharged from the capsule storage box is placed on the capsule engaging jaw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support through the guide hole. , since the coffee capsule cannot be stably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suppo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traction of coffee beans is not performed smoothly.
더구나, 종래 개발한 국내 특허 10-1418505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두커피 자동판매기는 온수공급부(100)와, 컵적재부(200)와, 커피캡슐 적재부(300)와, 구동부(400)와, 케이스(500)와,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이에 더하여 컵뚜껑을 저장하여 두고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하나씩 배출하는 컵뚜껑 적재부(700)와, 시럽과 같은 첨가물이 저장된 캡슐을 저장하여 두고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하나씩 배출하는 첨가물 적재부(미도시됨)와, 빨대를 적재하고 두고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하나씩 배출하는 빨대 적재부(미도시됨)가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the conventionally developed Korean Patent No. 10-1418505, the coffee bean vending machine includes a hot
상기 커피캡슐 적재부(300)는 다수개의 커피캡슐 카트리지(310)와, 회전 프레임(320)과, 지지 프레임(330)과, 회전구동유닛(340)으로 구성된다.The coffee
상기 각각의 커피캡슐 카트리지(310)는 다수개의 커피캡슐을 한 줄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커피캡슐 카트리지(310)는 원형의 배열구조로 배치된다.Each of the
상기 회전 프레임(320)은 원형의 배열구조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커피캡슐 카트리지(310)와 결합되어 커피캡슐 카트리지(310)를 지지하며, 커피캡슐 카트리지(31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 프레임(320)은 커피캡슐 카트리지(310)의 상부로 커피캡슐을 투입하고, 각 커피캡슐 카트리지(310)의 하부로 커피캡슐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면, 그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한편, 도 2에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321,322)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처럼 상호 이격된 2개의 지지 플레이트(321,322)가 다수개의 연결봉(323)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다수개의 커피캡슐 카트리지(3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회전 프레임(3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ure 2, two support plates (321, 32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two support plates (321, 3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way are boun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23) and a plurality of coffee capsule cartridges (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상기 지지 프레임(330)은 회전 프레임(3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50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320)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324)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이러한 지지 프레임(330)에는 커피캡슐 카트리지(310)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캡슐을 하부로 배출하여 후술될 홀더유닛(410)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배출구(33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3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판(332)의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개폐판(332)은 배출구(3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지 프레임(330)에 설치되며, 지지 프레임(3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개폐판(332)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배출구(331)를 개방하고,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배출구(331)를 폐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한편, 개폐판(332)은 홀더유닛(410)이 커피캡슐을 투입 받기 위하여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홀더유닛(410)에 의해 밀려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구(331)를 개방하게 되며, 커피캡슐을 투입받은 홀더유닛(410)이 빠져나가게 되면 스프링(333)의 탄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구(331)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회전구동유닛(340)은 지지 프레임(330)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324)과 연결되어 회전축(324)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 모터는 회전축과 직접 연결되거나, 벨트 또는 체인 또는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유닛을 매개로 하여 회전축과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회전구동유닛(340)은 제어부(6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하여 회전 모터가 구동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종류의 커피캡슐이 보관된 커피캡슐 카트리지(310)가 배출구(331)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회전 프레임(320)을 회전시키게 된다.Such a
상기 구동부(400)는 커피캡슐 적재부(300)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캡슐을 제공받아 컵의 수직 상부로 커피캡슐을 운반한 후, 커피캡슐내의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 이때 홀더유닛(411~415)과 구동유닛(421~4211) 및 추출유닛(431~436)은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하며 함께 거동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The
상기 홀더유닛은 커피캡슐 적재부(300)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캡슐을 받아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 홀더(411)와 이동 홀더(412) 및 이동홀더 구동유닛(413)으로 구성된다.The holder unit receives and supports the coffee capsules discharged from the coffee
한편, 상기 고정 홀더(411)는 구동유닛에 설치되어 구동유닛과 함께 거동하는 구조를 가지며, 커피캡슐의 일부를 삽입받아 커피캡슐을 지지하는 제1 지지홈(4111)이 일측면(411a)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이동 홀더(412)는 제1 지지홈(4111)이 형성된 고정 홀더(411)의 측면(411a)과 마주하도록 고정 홀더(411)의 측면(411a)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홈(4111)과 마주하는 측면(412a)에는 제1 지지홈(4111)과 대응하여 커피캡슐의 나머지 부분을 삽입받아 지지하는 제2 지지홈(4121)이 형성된다. 결국 고정 홀더(411)와 이동 홀더(412)가 서로 마주한 채 밀착되는 경우, 제1 지지홈(4111)과 제2 지지홈(4121)이 서로 만나 원형의 홈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홈으로 커피캡슐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커피캡슐의 상단부는 고정 홀더(411)와 이동 홀더(412)의 상면에 걸치게 된다.The
한편, 상기 고정 홀더(411)와 이동 홀더(412)의 하단부에는 커피캡슐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4112, 4122)가 각각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ends of the
이때, 상기 이동 홀더(412)에 형성되는 받침부(4122)에는 커피캡슐로부터 추출되는 원두커피를 하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추출구(4123)가 형성되고, 고정 홀더(411)와의 밀착시 고정 홀더(411)에 형성된 받침부(4112)로 삽입되는 돌출부(4124)가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이처럼 이동 홀더(412)에 형성되는 받침부(4122)는 고정 홀더(411)에 형성되는 받침부(4112)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이동 홀더(412)가 고정 홀더(411)로부터 멀어질 때, 커피캡슐이 고정 홀더(411)와 함께 이동하지 않고 고정 홀더(411)에 형성된 받침부(4112)에 잔류하도록 구성된다.As such, the
한편, 상기 고정 홀더(411)에는 이동 홀더(412)가 멀어질 때, 받침부(4112)에 잔류한 커피캡슐을 밀어내어 홀더유닛(410)으로부터 커피캡슐을 배출하는 취출로드(414)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취출로드(414)는 제1 지지홈(4111)에 위치한 커피캡슐을 이동 홀더(412)측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고정 홀더(411)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취출로드(414)의 설치를 위하여 고정 홀더(411)에는 제1 지지홈(4111)의 안쪽으로 노출되는 수평홀(4113)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평홀(4113)의 내측에는 스프링(4141)이 설치되어 취출로드(41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취출로드(414)는 이동 홀더(412)가 고정 홀더(411)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커피캡슐을 통하여 전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스프링(4141)을 압축하면서 수평홀(4113)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후 이동 홀더(412)가 고정 홀더(411)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스프링(4141)의 탄력에 의하여 제1 지지홈(4111)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커피캡슐을 밀어내어 홀더유닛(410)으로부터 배출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상기와 같이 이동 홀더(412)가 고정 홀더(411)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 홀더(412)는 고정 홀더(411)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2개의 가이드 봉(415,416)을 매개로 고정 홀더(411)와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프레임(421)은 구동부(400)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적인 골격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421)에 제2 가이드 레일(4221)이 결합되어 제2 가이드 레일(4221)을 따라 이동한다.The
상기 추출유닛(431~436)은 홀더유닛(410) 및 구동유닛(420)에 의하여 컵의 상부로 운반된 커피캡슐을 가압하여 원두커피의 추출을 위한 구멍을 커피캡슐에 형성하는 것과 함께 온수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커피캡슐의 내부로 공급하여 원두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펀치(431)와, 승강부재(432)와, 스프링(433)과, 롤러(434)와, 캠(435)과, 추출구동모터(436)로 구성된다.The
상기 펀치(431)는 승강부재(432)의 하강에 의하여 커피캡슐의 상부로부터 커피캡슐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온수의 유입과 원두커피의 추출을 위한 구멍을 커피캡슐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펀치(431)는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커피캡슐에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구조에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승강부재(432)는 구동유닛(420)을 구성하는 프레임(421)에 설치된 가이드 블록(4211)에 결합되어 가이드 블록(4211)에 의해 지지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이처럼 설치된 승강부재(432)의 하단부에 상기 펀치(431)가 결합된다.The elevating
한편, 상기 승강부재(432)의 하단부에는 온수 유입구(4321)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 유입구(4321)는 플랙시블하게 변형이 가능한 호스(H)를 매개로 하여 온수공급부(100)와 연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수공급부(100)를 구성하는 제2 온수탱크(120)와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온수 유입구(4321)를 통하여 승강부재(432)의 내부로 유입되는 온수는 승강부재(432)와 펀치(431)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4322)를 통하여 커피캡슐의 내부로 분사된다.On the other hand, a
상기 스프링(433)은 승강부재(432)의 상단부와 가이드 블록(42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승강부재(432)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통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The
이러한 스프링(433)은 승강부재(432)의 하강시 압축되면서 승강부재(432)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축적하고, 승강부재(432)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승강부재(432)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게 된다.The
상기 롤러(434)는 승강부재(432)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처럼 설치된 롤러(434)의 외주면은 캠(435)과 접촉하게 된다.The
상기 캠(435)은 구동유닛(420)을 구성하는 프레임(421)에 편심된 구조로 설치되며, 이러한 캠(435)은 롤러(434)와 접촉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한편, 캠(435)과 롤러(434)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하여 캠(435)의 외주면에는 캠(435)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홈(4351)이 형성되고, 상기 홈(4351)의 내부로 롤러(434)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캠(435)과 롤러(434)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for stable contact between the
상기 추출구동모터(436)는 구동유닛(420)을 구성하는 프레임(421)에 설치되고, 감속기(4361)를 통해 캠(435)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추출구동모터(436)은 제어부(6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캠(435)을 회전시키게 된다.The
이러한 구성은 원두커피 자동화 기기로서는 좋으나, 정수기나 가정이나 음식점 내의 미니 자판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소형구조가 아니었고, 캡슐을 캡슐수용부로부터 이동홀더에 옮기기 위하여 아주 정교한 기계적 설비가 필요하고, 이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캡슐이 옮겨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고, 캡슐의 종류에 따라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This configuration is good as an automated coffee machine, but it is not a compact structure that can serve as a water purifier or a mini vending machine in a home or restaurant, and requires very sophisticated mechanical equipment to move the capsule from the capsule receiving unit to the moving holder, and its If an error occurr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apsule was not moved,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be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apsu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구조적 설계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수월하게 작동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하고, 구조를 소형화시켜 미니 자판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특히 정수기 등에 부착함으로써 물이 공급되는 구조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어떠한 캡슐커피라도 간단한 변경에 의하여 이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should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operated easily even if the structural design is not accurate, and the structure should be miniaturized so that it can serve as a mini vending machine, especi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an be used in a structure in which water is supplied by attaching it to a water purifier, and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to use any capsule coffee by a simple change.
본 발명은 본체(1000)에 캡슐수용구(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캡슐받침대(4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컵(c)이 안착되는 컵받침대홀(415)을 형성하되,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캡슐(500)을 안착할 수 있는 캡슐수용공(3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슐수용공(321a)에는 하부통공(550b)커피 원액을 캡슐(500)의 통공(515a)을 통함과 동시에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통공(550b)을 통하 하부 컵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1000)에 캡슐수용구(30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될 수 있도록 캡슐받침대(4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컵(c)이 안착되는 컵받침대홀(415)을 형성하되,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캡슐(500)을 안착할 수 있는 캡슐수용공(32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캡슐의 저부를 개봉하는 개봉핀(550)이 형성되어 온수공급원판(200a)이 승강수단에 의하여 압착시에 이를 개봉하여 원두커피 원액을 캡슐수용공(321a)의 통공(329a)을 통하여 하부 컵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이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슐받침대(300)의 하부에는 안착가이드홈(310)이 형성하여,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안착돌기(411a)(411b)를 수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중앙부분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온수공급원판(200a)은 승강부재(440)와 연결되어 있고, 덮개(202a)의 측부에는 결합부재(203a)를 형성하여 그 하부에서 고정볼트(201a)에 의하여 덮개(202a)를 볼팅하고 있고, 실리콘밀봉고무(210a)가 커팅날(221a)이 형성된 커팅날고정부(220a)를 중심으로 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밀봉고무(210a)에는 실리콘밀봉압착부(211a)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이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온수공급원판(200a)의 승강수단은 승강부재(440)의 상단에 장공(441)을 형성하고, 몸체에 부착되는 측판(443)에 형성된 가이드로울러(442a)(442b)와 함께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하 작동은 상기 승강부재(440)의 측부에 치차(448)를 형성하고, 그 측부에 모터(446)와 감속기어(447)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means of the hot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캡슐수용부(320a)와 캡슐수용몸체부(320b)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sule coffee bean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캡슐수용몸체부(320b)에 형성된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를 개봉하여 여기에 원통부하부판(324a)을 원통결합볼트(325a)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receiving hole (321a) formed in the capsule receiving body portion (320b)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캡슐수용몸체부(320b)에 형성된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를 밀봉하여 제작하고, 원통부하부판(324a)에 개봉핀(550)과 통공(329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sea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부재(432)가 온수공급원판(200a)과 함께 프레임(421)에 설치된 가이드 블록(4211)의 가이드레일(341)에 결합되며, 스프링(433)은 승강부재(432)의 상단부와 가이드 블록(42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승강부재(432)를 탄성지지하며, 롤러(434)는 승강부재(432)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434)의 외주면은 편심된 캠(435)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means is coupled to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부재(432)가 온수공급원판(200a)과 함께 프레임(421)에 설치된 가이드 블록(4211)의 가이드레일(341)에 결합되며, 스프링(433)은 승강부재(432)의 상단부와 가이드 블록(42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승강부재(432)를 탄성지지하며, 승강부재(432)의 상단부에 유압실린더(450)를 설치하고, 이의 유압을 제어하는 라인(453a)(453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이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means is coupled to the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부재(440a)의 상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여기에 회전통(444a)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통(444a)의 상부에 회전축기어(443a)와 모터회전기어(443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이다.In addition, the elevating means forms a screw threa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가 전진되면 벽체(332)에 형성되어 있는 로드(333) 및 상기 로드(333)에 형성된 스프링걸림구(334)가 스프링(331)의 탄발에 의하여 항상 전진 위치로 있다가,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에 의하여 다음 단계의 신호발생여부를 결정하는 장착신호발생부(33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이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조적 설계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수월하게 작동될 수 있는 구조가 되고, 구조를 소형화시켜 미니 자판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정수기 등에 부착함으로써 물이 공급되는 구조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간단히 압력조절 등에 의하여 커피의 종류와 캡슐의 형태가 다소 다르다 할지라도 이를 간단한 변경에 의하여 이를 사용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operated easily even if the structural design is not accurate, and can serve as a mini vending machine by miniaturizing the structure. This is possible, and even if the type of coffee and the shape of the capsule are slightly different by simple pressure control, etc.,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used by a simple change.
도 1은 종래 원두커피 캡슐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원두커피 캡슐을 적재하는 장치의 개략 단면도(a) 및 커피캡슐 적재부의 저면도(b)
도 3은 종래 원두커피 캡슐을 인출하는 장치의 개략 단면도(a) 및 커피캡슐 인출장치의 평면도(b)
도 4는 종래 원두커피 캡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인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6은 본 발명의 도 5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로부터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 6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 6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 6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추출장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추출장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인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14,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온수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 실물사진 2매
도 16는 본 발명의 캡슐의 일실시예에 관한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ffee bean capsule device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 and a bottom view of a coffee capsule loading unit (b) of a device for loading conventional coffee bean capsules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 of a device for withdrawing coffee bean capsules and a plan view (b) of a coffee capsule withdrawal device in the prior art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for extracting coffee from a conventional coffee bean capsul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ystem of a coffee bean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coffee bean capsule receiver of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coffee beans from a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ffee bean capsule receiver of Figure 6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ffee bean capsule receiver of Figure 6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coffee bean capsule receiver of Figure 6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traction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for extracting coffee b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traction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for extracting coffee b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ystem of a coffee bean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schematic isometric real photos showing the structure of a hot water supply unit for extracting coffee b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explain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ccording to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The given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인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로부터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ystem of the coffee bean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coffee bean capsule receiving port of Figure 5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coffee beans from the capsule according to.
도 5,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0)에는 외형으로 캡슐수용구(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캡슐받침대(4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로 컵(c)이 안착되는 컵받침대홀(415)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5, 6, 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상부 또는 측면으로 캡슐(500)을 끼워 안착할 수 있는 개방된 캡슐수용공(32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캡슐의 저부를 개봉하는 개봉핀(550)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압착시에 이를 개봉하여 원두커피 원액을 캡슐수용공(321a)의 통공(329a)을 통하여 하부 컵으로 배출하게 된다.The
도 5의 경우에는 캡슐의 안착이 상부에서 올려 넣을 수 있거나 측부에서 끼워 넣을 수 있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측부에서 끼워 넣는 방법으로는 가이드레일에 캡슐을 하나하나 끼워 운반하면서 하나씩을 압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ure 5, the seating of the capsules can be put on top or can be inserted from the side is shown, and by the method of inserting from the side, the capsules can be pressed one by one while being carried by inserting the capsules into the guide rail one by one. .
그리고, 상기 일실시예인 캡슐받침대(300)의 앞부분에는 이를 인출할 수 있는 손가락걸림공(314)이 통공으로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뒷부분에는 장착신호발생부(330)의 스위치와 접촉되는 스위치접촉부(315)가 형성되어 상기 캡슐받침대(300)가 완전히 끼워져 있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작동할 수 있는 준비신호를 표시하게 되어 있다.And, in the front part of the
또한, 상기 캡슐받침대(300)의 하부에는 안착가이드홈(310)이 형성되고, 뒤편 안쪽 하부에는 안착돌기(3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가이드홈(310)은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안착돌기(411a)(411b)를 수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고, 더 이상 안쪽으로 상기 캡슐받침대(300)를 밀 필요가 없는 위치에 안착돌기(313)를 형성하여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안착홈(413)에 안착됨으로써, 그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중앙부분에는 커피원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부(412a)는 다소 경사지게 하고, 그 중앙에는 배출공(412b)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상기 장착신호발생부(330)는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가 전진되면 벽체(332)에 형성되어 있는 로드(333) 및 상기 로드(333)에 형성된 스프링걸림구(334)가 스프링(331)의 탄발에 의하여 항상 전진 위치로 있다가,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에 의하여 다음 단계의 신호발생여부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진다.The mounting
그리고,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장착을 위하여 몸체 측벽(450)에 가이드홈(451)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측부에 가이드돌기(452)를 형성하여 이를 초기 끼울 단계에서 활용하게 되면, 수월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And, to form a
다음은 캡슐에 온수를 가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how to heat the hot water in the capsule.
이에 대한 기본 원리는 도 7과 함께 우선 설명한 후 이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다시 설명한다(실물 사진으로서 도 13, 14를 참조한다).The basic principle thereof will be firs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and then the mounting structure thereof will be described again (refer to FIGS. 13 and 14 as real photos).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원판(200a)은 승강부재(440)와 연결되어 있고, 덮개(202a)의 측부에는 결합부재(203a)를 형성하여 그 하부에서 고정볼트(201a)에 의하여 덮개(202a)를 볼팅하고 있고, 실리콘밀봉고무(210a)가 커팅날(221a)이 형성된 커팅날고정부(220a)를 중심으로 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밀봉고무(210a)에는 실리콘밀봉압착부(211a)가 형성되어 커팅날고정부(220a)에 형성된 온수배출구(235a)를 통하여 온수가 공급되면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온수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안쪽으로 경사지게 제작이 되어 있다.As shown, the hot
그리고, 상기 커팅날고정부(220a)에는 캡슐커팅날(221a)이 형성되어 온수공급원판(200a)에 의하여 캡슐에 압착시에는 캡슐 상부의 캡슐커버시트(521)를 뚫어 온수를 공급하여 원두커피를 액기스화하여 컵으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이에 따라 순간온수가열기(240a)와 연결하는 연결호스(230a)는 온수공급라인고정부(231a)가 연결하게 되어 있고, 그 위로 온수배출부(235a)가 형성된 온수공급원판(200a)과의 연결은 온수공급라인고정부(233a)가 연결하게 되는 구성이다.Accordingly, the connecting
그리고, 펌프(250a)와 연결호스(230b)의 연결은 측부온수공급라인고정부(231b)가 연결하고, 상기 펌프(250a)에는 물공급부(251a)가 형성되고, 통상의 물통에 연결되어 있다.And, the connection of the
미설명부호 260a, 260b는 전원코드선 및 작동스위칭코드선이다.
상기와 같은 온수공급원판(200a)이 승강부재(44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440)는 상부에 상하승강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상하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부재(440)의 상단에 가까이 장공(441)을 형성하여, 여기에 케이스 몸체에 부착되는 측판(443)에 가이드로울러(442a)(442b)를 설치하여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하 작동은 상기 승강부재(440)의 측부에 치차(448)를 형성하고, 그 측부에 모터(446)와 감속기어(447)를 이용하여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hot
상기 승강부재(44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승강부재의 양 측부에 측판(443)을 이용하여 가이드홈(445)을 형성하여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or smooth operation of the elevating
또한, 상기 승강부재(440)에 의하여 상기 온수공급원판(200a)이 상하 작동시에 이를 안내하는 케이스몸체(1000)의 측부에 가이드레일(341)을 형성하여 상기 온수공급원판(200a)의 체결부겸 가이드부재(203a)를 수용하여 상하 작동이 원활하게 하고 있다.In addition, a
다음은 캡슐수용구(3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도 6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도 6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도 6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ffee bean capsule receiving device of FIG. 6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ffee bean capsule receiving device of FIG. 6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coffee bean capsule receiver of Figure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로서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캡슐수용부(320a)와 캡슐수용몸체부(320b)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이를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as a first embodiment, the
그리고, 제2실시예로서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캡슐수용몸체부(320b)에 형성된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를 개봉하여 여기에 원통부하부판(324a)을 원통결합볼트(325a)에 의하여 체결되는 구성을 형성하였다.And, as a second embodiment, the
또한, 제3실시예로서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캡슐수용몸체부(320b)에 형성된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를 밀봉하여 제작하고, 원통부하부판(324a)에 개봉핀(550)과 통공(329a)을 형성하였다.In addition, as a third embodiment, the
따라서, 이를 종합하여 설명하면, 상기 캡슐수용부(320a)에는 캡슐안착홈(321a)을 둥글게 형성하였으며, 테두리로 형성된 캡슐안착부재(322a) 내에 원두커피캡슐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캡슐안착부재(322a)의 하부에는 원통부하부판(324a)이 원통결합볼트(325a)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고, 상기 원통부하부판(324a)에는 캡슐개봉핀(550)이 형성되어 상기 원두커피캡슐의 캡슐밀봉박판부를 뚫게 되어 있고, 그 하부판 좌우측으로 원액배출공(329a)을 형성하여 커피원액이 내려오게 하였다.Therefore, to summarize this, a
미설명부호 323a는 볼트공으로서, 캡슐수용몸체부와 결합할 때 사용된다.
이하, 그 작용효과를 살펴 보면, 상기 캡슐수용부(320a)는 그 중앙으로 캡슐을 수용하는 캡슐안착홈(321a)을 둥글게 형성하였으며, 상기 캡슐안착홈(321a)의 하부에는 캡슐의 하단중앙부에 형성된 캡슐밀봉박판부(515)를 뚫을 수 있도록 캡슐개봉핀(550)을 형성하였고, 그 주위로 밀봉부(326a)와 밀봉부(327a)를 형성하되, 그 사이에 스프링(5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어 형성하고 있다.Hereinafter, looking at the effect, the
상기 스프링(530)은 캡슐을 이탈시키기 위하여 온수공급원판(200a)이 상승할 경우에 사용되었던 캡슐이 위로 약간 올라오게 되고, 사용된 커피캡슐(500)을 폐기하기 위하여 배출작동시 용이하게하거나, 손으로 제거하기에 수월하게 되는 것이다.The
상기 캡슐은 캡슐안착부재(322a)에 끼워지는데, 여기서 캡슐이 압착시 밀봉작용을 하게 되고, 캡슐안착부재(322a)에는 캡슐안착홈(321a)이 형성되어 캡슐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캡슐개봉핀(550)이 형성되어 캡슐의 캡슐밀봉박판부(515)를 뚫게 되고, 상기 캡슐수용부(320a)의 하단에 형성된 원두커피 원액배출공(329a) 또는 상기 개봉핀(550)의 원액배출공(550a)을 통하여 내려오는 원두커피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The capsule is inserted into the
원두커피캡슐(500)과 밀봉될 수 있도록 캡슐 자체 하부에 캡슐안착가이드부(511)를 형성하였고, 상기 원두커피캡슐(500)의 캡슐하단부(510)에는 캡슐하단돌출부(513)로 돌출형성하였고, 그 하부로 가장자리로 노치부가 형성된 캡슐밀봉박판부(515)를 형성하여 온수 공급부의 가압에 의하여 이를 통하여 커피 액기스가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A capsule
그리고, 물론 사용 후에는 상기 캡슐커버시트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캡슐커버시트손잡이부(521)를 형성하여 사용된 후 캡슐이 뜨겁거나 물기가 있는 경우에는 이의 캡슐커버시트손잡이부(521)를 잡고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nd, of course, after use, the capsule cover
다음은 온수공급원판(200a)의 승강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hot
도 11은 본 발명의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추출장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추출장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traction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for extracting coffee b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traction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for extracting coffee b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21)은 승강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적인 골격구조를 형성하며, 컵의 상부로 운반된 커피캡슐을 가압하여 원두커피의 추출을 위한 구멍을 커피캡슐에 형성하는 것과 함께 온수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커피캡슐의 내부로 공급하여 원두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커팅날(221)과, 승강부재(432)와, 스프링(433)과, 롤러(434)와, 캠(435)과, 추출구동모터(436)로 구성된다.As shown, the
상기 커팅날(221)은 승강부재(432)의 하강에 의하여 커피캡슐의 상부로부터 커피캡슐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온수의 유입과 원두커피의 추출을 위한 구멍을 커피캡슐의 상단부에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커팅날(221)은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커피캡슐에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구조에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승강부재(432)는 온수공급원판(200a)과 함께 프레임(421)에 설치된 가이드 블록(4211)의 가이드레일(341)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341)에 의해 지지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이처럼 설치된 승강부재(432)의 하단부에 상기 온수공급원판(200a)이 결합된다.The elevating
한편, 상기 승강부재(432)의 하단부에는 온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 유입구는 플랙시블하게 변형이 가능한 호스를 매개로 하여 온수공급부(100)와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hot water inle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상기 스프링(433)은 승강부재(432)의 상단부와 가이드 블록(42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승강부재(432)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통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The
이러한 스프링(433)은 승강부재(432)의 하강시 압축되면서 승강부재(432)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축적하고, 승강부재(432)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승강부재(432)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게 된다.The
상기 롤러(434)는 승강부재(432)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처럼 설치된 롤러(434)의 외주면은 캠(435)과 접촉하게 된다.The
상기 캠(435)은 구동유닛(420)을 구성하는 프레임(421)에 편심된 구조로 설치되며, 이러한 캠(435)은 롤러(434)와 접촉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한편, 캠(435)과 롤러(434)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하여 캠(435)의 외주면에는 캠(435)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홈(4351)이 형성되고, 상기 홈(4351)의 내부로 롤러(434)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캠(435)과 롤러(434)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for stable contact between the
상기 추출구동모터(436)는 상기 프레임(421)에 설치되고, 감속기(4361)를 통해 기어(4362)(4363)에 의하여 캠(435)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추출구동모터(436)은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캠(435)을 회전시키게 된다.The
또 다른 승강수단의 실시예로서, 상기 롤러(434)의 위치에 유압실린더(45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승강부재(432)의 상단에 피스톤로드(451)를 결합핀(452)에 의하여 결합하고, 이의 유압을 제어하는 라인(453a)(453b)를 형성하여 이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시간에 승강부재(432)를 승하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lifting means, the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인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4,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온수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 실물사진 2매이며, 도 16, 17는 본 발명의 캡슐의 일실시예의 2가지에 관한 사시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of a coffee bean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Examp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4 and 15 are schematic isometric real photos showing the structure of a hot water supply unit for extracting coffee b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16 and 17 are perspective views of two aspects of one embodiment of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인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시스템은 도 5에 나타난 실시예1과 동일하나, 상부에서의 하강수단과 캡슐의 형태가 상이한 차이점이 있다.The system of the coffee bean extraction apparatus of Examp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IG. 13,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shown in FIG. 5, except that the lowering means at the top and the shape of the capsule are different.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0)에는 외형으로 캡슐수용구(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캡슐받침대(4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로 컵(c)이 안착되는 컵받침대홀(415)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 in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우선 캡슐(500)을 안착할 수 있는 캡슐수용공(3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통공(550b)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압착시에 통상의 부직포(밀봉을 위하여 코팅처리된 것임)를 통과하여 원두커피 원액을 캡슐수용공(321a)의 원액배출공(55b)을 통하여 하부 컵으로 배출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캡슐받침대(300)의 앞부분에는 이를 인출할 수 있는 손가락걸림공(314)이 통공으로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뒷부분에는 장착신호발생부(330)의 스위치와 접촉되는 스위치접촉부(315)가 형성되어 상기 캡슐받침대(300)가 완전히 끼워져 있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작동할 수 있는 준비신호를 표시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art of the
또한, 상기 캡슐받침대(300)의 하부에는 안착가이드홈(310)이 형성되고, 뒤편 안쪽 하부에는 안착돌기(3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가이드홈(310)은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안착돌기(411a)(411b)를 수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고, 더 이상 안쪽으로 상기 캡슐받침대(300)를 밀 필요가 없는 위치에 안착돌기(313)를 형성하여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안착홈(413)에 안착됨으로써, 그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중앙부분에는 커피원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부(412a)는 다소 상광하협으로 경사지게 하고, 그 중앙에는 배출공(412b)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상기 장착신호발생부(330)는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가 전진되면 벽체(332)에 형성되어 있는 로드(333) 및 상기 로드(333)에 형성된 스프링걸림구(334)가 스프링(331)의 탄발에 의하여 항상 전진 위치로 있다가,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에 의하여 다음 단계의 신호발생여부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진다.The mounting
그리고,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장착을 위하여 몸체 측벽(450)에 가이드홈(451)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측부에 가이드돌기(452)를 형성하여 이를 초기 끼울 단계에서 활용하게 되면, 수월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And, to form a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원판(200a)은 승강부재(440)와 연결되어 있고, 덮개(202a)의 측부에는 결합부재(203a)를 형성하여 그 하부에서 고정볼트(201a)에 의하여 덮개(202a)를 볼팅하고 있고, 실리콘밀봉고무(210a)가 커팅날(221a)이 형성된 커팅날고정부(220a)를 중심으로 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밀봉고무(210a)에는 실리콘밀봉압착부(211a)가 형성되어 커팅날고정부(220a)에 형성된 온수배출구(235a)를 통하여 온수가 공급되면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온수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안쪽으로 경사지게 제작이 되어 있다.As shown, the hot
그리고, 상기 커팅날고정부(220a)에는 캡슐커팅날(221a)이 형성되어 온수공급원판(200a)에 의하여 캡슐에 압착시에는 캡슐 상부의 캡슐커버시트(521)를 뚫어 온수를 공급하여 원두커피를 액기스화하여 컵으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와 같은 온수공급원판(200a)이 승강부재(440a)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440a)는 상부에 상하승강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상하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부재(440a)의 상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여기에 회전통(444a)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통(444a)의 상부에 회전축기어(443a)와 모터회전기어(443b)를 형성하여 모터가 회전되면 상기 모터회전기어(443b)가 회전되고, 상기 모터회전기어(443b)는 회전축기어(443a)를 돌려, 결국 상기 승강부재(440a)와 상기 회전통(444a)의 나사산에 의하여 승강부재가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hot
또한, 상기 승강부재(440)에 의하여 상기 온수공급원판(200a)이 상하 작동시에 이를 안내하는 케이스몸체(1000)의 측부에 가이드레일(341)을 형성하여 상기 온수공급원판(200a)의 체결부겸 가이드부재(203a)를 수용하여 상하 작동이 원활하게 하고 있다.In addition, a
그리고, 본 발명의 캡슐의 일실시예1은 상기 캡슐(500)의 중앙부위에 통공을 형성하도록 되어 초기에는 막혀 있다가 개봉핀(515)에 의하여 캡슐밀봉박판부(550)를 뚫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고, 본 발명의 캡슐의 일실시예2는 상기 캡슐(500)의 하부의 전반에 걸쳐 미세통공(515a)을 형성하여 기 형성된 부직포(도면 생략)를 통한 액기스가 상기 미세통공(515a)을 통과할 수 있는 구조가 되며,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설치해야하는 개봉핀(515)을 형성하지 않고도, 막바로 하부통공(550b)으로 액기스가 내려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d, in on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with the knowledge of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온수공급부
200a : 온수공급원판
210a : 실리콘밀봉고무
221a : 커팅날
230a : 온수공급호스
240a : 순간온수가열기
250a : 펌프
300 : 캡슐수용구
310 : 안착가이드홈
330 : 장착신호발생부
340 : 가이드부재
410 : 캡슐받침대
440 : 승강부재
450 : 몸체측벽
500 : 캡슐
515 : 캡슐밀봉박판부
530 : 스프링
550 : 개봉핀
1000 : 몸체100: hot water supply unit
200a: hot water supply plate
210a: silicone sealing rubber
221a: cutting blade
230a: hot water supply hose
240a: Instantaneous hot water heater
250a: pump
300: capsule receiver
310: seating guide groove
330: mounting signal generating unit
340: guide member
410: capsule base
440: elevating member
450: body side wall
500: capsule
515: capsule sealing thin plate part
530: spring
550: opening pin
1000 : body
Claims (12)
또한 상기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에 캡슐을 탄지하는 스프링(530)이 안착되도록 밀봉부를 형성하되,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하부에는 안착가이드홈(310)이 형성하여,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안착돌기(411a)(411b)를 수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중앙부분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끼움에 의하여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가 전진되면 벽체(332)에 형성되어 있는 로드(333) 및 상기 로드(333)에 형성된 스프링걸림구(334)가 스프링(331)의 탄발에 의하여 항상 전진 위치로 있다가,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에 의하여 상기 승강수단이 작동될 수 있도록 신호발생여부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장착신호발생부(3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While the capsule holder 410 is formed so that the capsule receiving port 300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dy 1000, a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to form a cup holder hole 415 in which the cup (c) is seated, Capsule receiving port 300 has a capsule receiving hole 321a that can seat the capsule 500 is formed, the capsule receiving hole 321a is formed with a lower through hole 550b, so that the hot water supply disk 200a is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capsule 500 at the time of compression by the lifting means operated by the mounting signal generating unit 330 to pass the raw coffee bean solu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515a of the capsule 500 and the capsule receiving hole 321a at the same time. It is discharged to the lower cup through the lower through hole (550b) of
In addition, a seal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pring 530 for holding the capsule is se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receiving hole 321a, and a seating guide groove 31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receiving port 300, the capsule holder (410) to accommodate the seating projections (411a) and (411b) so as not to mov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sule support 410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When the switch contact part 315 of the capsule receiving device 300 is advanced by the fitting of the capsule receiving device 300, the rod 333 formed on the wall 332 and the spring locking device formed on the rod 333 A mounting formed to determine whether a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lifting means can be operated by the switch contact part 315 of the capsule receiving device 300 after the 334 is always in the forward position due to the firing of the spring 331 Capsule coffee bean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generator 330 is formed.
또한 상기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에 캡슐을 탄지하는 스프링(5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어 원반형 밀봉부(326a)와 밀봉부(327a)를 형성하되,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하부에는 안착가이드홈(310)이 형성하여,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안착돌기(411a)(411b)를 수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중앙부분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끼움에 의하여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가 전진되면 벽체(332)에 형성되어 있는 로드(333) 및 상기 로드(333)에 형성된 스프링걸림구(334)가 스프링(331)의 탄발에 의하여 항상 전진 위치로 있다가,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에 의하여 상기 승강수단이 작동될 수 있도록 신호발생여부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장착신호발생부(3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While the capsule holder 410 is formed so that the capsule receiving port 300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dy 1000, a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to form a cup holder hole 415 in which the cup (c) is seated, The capsule receiving port 300 is formed with a capsule receiving hole 321a that can seat the capsule 500, and an opening pin 550 for opening the bottom of the capsu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hot water supply disk 200a is formed. When compressed by the lifting means operated by the mounting signal generating unit 330, it is opened and the raw coffee bean solution is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hole 329a of the capsule receiving hole 321a or the discharge hole 550a of the opening pin 550. ) through the lower cup,
In addition, the disk-shaped sealing part 326a and the sealing part 327a are formed at intervals so that the spring 530 for holding the capsule can be se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receiving hole 321a, but the capsule receiving port 300 A seating guide groove 31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support 410 to accommodate the seating projections 411a and 411b, and a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sule support 410 to accommodate the seating projections 411a and 411b. has been made,
When the switch contact part 315 of the capsule receiving device 300 is advanced by the fitting of the capsule receiving device 300, the rod 333 formed on the wall 332 and the spring locking device formed on the rod 333 A mounting formed to determine whether a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lifting means can be operated by the switch contact part 315 of the capsule receiving device 300 after the 334 is always in the forward position due to the firing of the spring 331 Capsule coffee bean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generator 330 is formed.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부재(440)의 상단에 가까이 장공(441)을 형성하여, 케이스 몸체에 부착되는 측판(443)에 가이드로울러(442a)(442b)를 설치하여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하 작동은 상기 승강부재(440)의 측부에 치차(448)를 형성하고, 그 측부에 모터(446)와 감속기어(447)를 이용하여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승강부재(44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승강부재의 양 측부에 측판(443)을 이용하여 가이드홈(445)을 형성하여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evating means forms a long hole 441 close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440, and installs guide rollers 442a and 442b on the side plate 443 attached to the case body to enable vertical operation, but In operation, a gear 448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lifting member 440, and vertical operation is possible using a motor 446 and a reduction gear 447 on the side. Capsul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y forming guide grooves (445)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member (443)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member for smooth operation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부재(440a)의 상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여기에 회전통(444a)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통(444a)의 상부에 회전축기어(443a)와 모터회전기어(443b)를 형성하여 모터가 회전되면 상기 모터회전기어(443b)가 회전되고, 상기 모터회전기어(443b)는 회전축기어(443a)를 돌려, 상기 승강부재(440a)와 상기 회전통(444a)의 나사산에 의하여 승강부재가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evating means forms a screw threa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440a, and forms a rotary tube 444a therein to form a screw thread therein, and a rotary shaft gear 443a and a rotary shaft gear 443a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tube 444a When the motor is rotated by forming the motor rotating gear 443b, the motor rotating gear 443b is rotated, and the motor rotating gear 443b rotates the rotating shaft gear 443a, the lifting member 440a and the rotating tube. (444a) Capsule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member can be operated up and down by the screw threa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954A KR102326486B1 (en) | 2015-03-19 | 2015-03-19 | Coffee vend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954A KR102326486B1 (en) | 2015-03-19 | 2015-03-19 | Coffee vend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2025A KR20150092025A (en) | 2015-08-12 |
KR102326486B1 true KR102326486B1 (en) | 2021-11-16 |
Family
ID=5405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7954A KR102326486B1 (en) | 2015-03-19 | 2015-03-19 | Coffee vend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648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1935B1 (en) * | 2016-02-23 | 2023-05-16 | 주식회사 나조산업 | Coffee vending machine |
KR102545265B1 (en) * | 2016-03-16 | 2023-06-21 | 주식회사 화수 | Coffee vending machine of belt having capsule |
US11224306B2 (en) | 2016-05-18 | 2022-01-18 | Lg Electronics Inc. | Beverage-making apparatus |
US11208621B2 (en) | 2016-05-18 | 2021-12-28 | Lg Electronics Inc. | Beverage-making apparatus |
CN107400586B (en) | 2016-05-18 | 2021-05-28 | Lg电子株式会社 | Beer brewing device |
CN107400583B (en) | 2016-05-18 | 2021-07-13 | Lg电子株式会社 | Beer brewing bag and beer brewing device with same |
CN107400588B (en) | 2016-05-18 | 2021-08-03 | Lg电子株式会社 | Beer brewing device |
CN107400585B (en) | 2016-05-18 | 2021-07-30 | Lg电子株式会社 | Beer brewing device |
KR102259341B1 (en) * | 2017-05-25 | 2021-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everage maker |
KR102184419B1 (en) * | 2017-05-25 | 2020-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everage maker |
KR102187330B1 (en) * | 2017-05-29 | 2020-12-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everage maker |
KR102180141B1 (en) * | 2017-06-14 | 2020-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everage maker |
CN109199103A (en) * | 2017-07-03 | 2019-01-15 | 吴志华 | A kind of intelligent sharing water dispenser with communication module |
KR102571262B1 (en) * | 2020-11-23 | 2023-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everage mak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14337A (en) * | 2004-10-01 | 2008-05-08 | ハウスブラント トリエステ 1892 エスピーエー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supplying beverage using raw material stored in cartridge |
KR101326786B1 (en) * | 2011-12-06 | 2013-11-08 |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 capsule extractor for improving adhension property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339B1 (en) * | 2011-05-03 | 2013-07-29 | 주식회사 다인씨앤에프 | Extraction apparatus of beverage |
-
2015
- 2015-03-19 KR KR1020150037954A patent/KR10232648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14337A (en) * | 2004-10-01 | 2008-05-08 | ハウスブラント トリエステ 1892 エスピーエー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supplying beverage using raw material stored in cartridge |
KR101326786B1 (en) * | 2011-12-06 | 2013-11-08 |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 capsule extractor for improving adhension proper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2025A (en) | 2015-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6486B1 (en) | Coffee vending machine | |
US7059239B2 (en) |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 |
EP1890579B1 (en) | Coffee making apparatus | |
RU2444271C2 (en) | Brewing device to prepare beverages from disposable capsules with capsule alignment device | |
JP403050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extracting capsules for preparing beverages | |
JP3899318B2 (en) | Capsule loading system built-in extraction device | |
KR101591771B1 (en) | Brewed beverage appliance | |
KR101418505B1 (en) | Coffee vending machine | |
AU2008355536B2 (en) | An automatic pod conveyor and brewer assembly for fresh hot beverage | |
US6510783B1 (en) | Machine to produce espresso coffee | |
JP4977680B2 (en) | Extraction system, capsule, and method of using capsule | |
RU2644510C1 (en) | Welding unit | |
KR20160083165A (en) | Coffee vending machine | |
EP1046366A1 (en) | Device for feeding cartridges with grinded coffee to a brewing unit | |
KR102259986B1 (en) |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 |
CN107205579B (en) | Device for perforating a capsule containing an infusion product | |
US6745668B2 (en) | Unit for making beverages by brewing and machine incorporating same | |
US8528464B2 (en) | Brewing facility for a coffee machine | |
CN111839222B (en) | Intelligent beverage extracting machine based on beverage capsules | |
KR20160148777A (en) | Elevatering device of pressing structure for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 |
KR20160148774A (en) | Setting system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 |
KR20160148772A (en) | Coffee vending machine | |
CN212438285U (en) | Transfer extraction device and beverage vending equipment with same | |
KR102531935B1 (en) | Coffee vending machine | |
KR20160148775A (en) | Often device of capsule in coffee vend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