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363B1 - 스틱형 용기 - Google Patents
스틱형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6363B1 KR102326363B1 KR1020200050176A KR20200050176A KR102326363B1 KR 102326363 B1 KR102326363 B1 KR 102326363B1 KR 1020200050176 A KR1020200050176 A KR 1020200050176A KR 20200050176 A KR20200050176 A KR 20200050176A KR 102326363 B1 KR102326363 B1 KR 1023263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haft
- groove
- stick
- driv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piston co-operating with a screw-thread 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45D40/02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consisting of a movable stri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유닛; 외주면에 피니언 기어가 마련된 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내측에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틱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돌출시키는 휠의 회전 방향과 내용물의 돌출 방향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스틱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틱형 용기는 용기의 형태가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며, 용기의 동작에 따라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의 용기이다.
예를 들어, 스틱형 용기는 고체의 자외선 차단제가 담겨지겨나 또는 고체 형태의 풀이 담겨진 용기이다.
이와 같은 자외선 차단제는 크림 형태나 튜브 형태, 펌핑 용기를 이용한 제품, 스프레이와 같은 분사형 제품 등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 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고체 형태의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되어 스틱형 용기를 통해 자외선 차단제를 피부에 직접 문질러 도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틱형 용기는 스틱 형태로써 사용시 손에 자외선 차단제를 묻히지 않고서도 피부에 자외선 차단제를 간편하게 바를 수 있으며,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수시로 덧발라야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사용방법이 요구되지만, 종래의 스틱형 용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용기 본체를 회전시켜 내부에 수용된 자외선 차단제를 상승시켜 외부로 노출되게 한 후 피부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사용이 완료된 경우에 용기 본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에 수용되게 한다.
이러한 종래의 스틱형 용기는 본체를 회전 시키는 방식으로 자외선 차단제가 세로 방향으로 돌출됨에도 불구하고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 시켜야 하기 때문에 한 손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손 조작으로 쉽고 편리하게 스틱형 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용물을 돌출시키는 휠의 회전 방향과 내용물의 돌출 방향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조작 할 수 있는 스틱형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틱형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유닛; 외주면에 피니언기어가 마련된 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내측에 상기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커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유닛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은, 하부에 마련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상기 구동유닛의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관통홈의 양 측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끼워지는 축홈이 형성된 한 쌍의 축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단면이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홈은 단면이 상기 회전축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걸이부는, 상기 축홈에서부터 상기 축 걸이부의 외측까지 절개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축 걸이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마주하는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구동유닛과 반대하는 내측 일면에 상기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는,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리지 않아 상기 슬라이딩유닛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한하는 스톱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돌출시키는 휠의 회전 방향과 내용물의 돌출 방향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스틱형 용기를 조작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버유닛에 구동유닛과 맞물리는 스토퍼부를 구성하여 커버유닛과 본체유닛이 결합되면 구동유닛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의 본체유닛, 구동유닛 및 슬라이딩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구동유닛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에 예시된 구동유닛의 승강 및 하강의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의 축 걸이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의 축 걸이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커버유닛을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의 본체유닛, 구동유닛 및 슬라이딩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구동유닛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에 예시된 구동유닛의 승강 및 하강의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의 축 걸이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의 축 걸이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의 커버유닛을 예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10)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10)의 본체유닛(100), 구동유닛(200) 및 슬라이딩유닛(300)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10)의 구동유닛(200)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에 예시된 구동유닛(200)의 승강 및 하강의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틱형 용기(10)는 본체유닛(100), 구동유닛(200), 슬라이딩유닛(300) 및 커버유닛(400)을 포함한다.
본체유닛(10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체유닛(100)의 수용공간에는 슬라이딩유닛(300)이 위치되고, 슬라이딩유닛(30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유닛(100)은 파지부(110), 파지부(11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 몸체부(120) 및 몸체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축 걸이부(130)로 이루어진다.
파지부(110)는 본체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된다. 파지부(11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구역이며, 파지부(110)의 겉면은 본체유닛(100)과 커버유닛(400)이 결합되어도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면에서 파지부(110)는 단면적이 일정 면적을 가지는 다면체의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파지부(110)의 단면적은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몸체부(120)는 파지부(110)의 상부에 형성된다. 몸체부(120)는 파지부(11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부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몸체부(1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수용공간에는 슬라이딩유닛(300)이 수용되고, 수용공간에 위치된 슬라이딩유닛(300)은 몸체부(120)의 개방된 상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몸체부(120)의 일면에는 구동유닛(200)의 일부가 통과되는 관통홈(122)이 형성된다. 관통홈(122)은 휠 형태의 구동유닛(20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몸체부(120)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관통홈(122)의 양 측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축 걸이부(130)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예컨대, 한 쌍의 축 걸이부(130)의 이격 방향은 몸체부(120)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한 쌍의 축 걸이부(130)는 구동유닛(200)의 회전 기준이 되는 회전축(220)의 양 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축 걸이부(130) 각각에는 회전축(220)의 일단 및 타단이 끼워지는 축홈(131)이 관통 형성 된다.
한 쌍의 축 걸이부(130) 각각은 몸체부(120)의 외측에서 축홈(131)까지 회전축(220)의 인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32)이 형성된다. 회전축(220)은 몸체부(120)의 외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132)의 입구에 끼워진 후 축홈(131)까지 인입되어 최종적으로 축홈(131)에 끼워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20)의 외측에 인접한 한 쌍의 가이드 홈(132)을 연결하는(가이드 홈(132)의 입구를 연결하는) 선폭(d1)은 축홈(131)에 인접한 한 쌍의 가이드 홈(132)을 연결하는 선폭(d2)에 비해 큰 선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축홈(131)에 인접한 한 쌍의 가이드 홈(132)을 연결하는 선폭(d2)은 회전축(220)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회전축(220)은 상대적으로 선폭이 큰 가이드 홈(132)의 외측에서부터 상대적으로 선폭이 작은 가이드 홈(132)의 내측까지 인입된 후 축홈(131)에 완전히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외주면에 피니언기어(210)가 마련된 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축 걸이부(130)의 축홈(131)에 끼워진 회전축(220)에 설치되어 회전축(22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몸체부(120)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축 걸이부(130)에 끼워진 회전축(220)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몸체부(120)의 승강 및 하강 방향(즉, 내용물의 돌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회전축(2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부가 몸체부(120)에 형성된 관통홈(122)을 통과하여 몸체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몸체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동유닛(200)의 일부는 사용자가 구동유닛(200)을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되는 영역이다.
슬라이딩유닛(300)은 내부가 중공되고 일정 높이를 가지는 다면체로 형성되어 본체유닛(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위치된다 슬라이딩유닛(300)은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본체유닛(10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한다.
슬라이딩유닛(300)의 상부에는 내용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320)이 형성된다. 슬라이딩유닛(300)의 안착공간(320)에 안착된 내용물은 슬라이딩유닛(300)이 본체유닛(100)의 내부에서 승강할 때 본체유닛(100)의 상부로 돌출되고, 본체유닛(100)의 내부에서 하강할 때 본체유닛(100)의 내부에 인입된다.
여기서 내용물은 고체 형태의 자외선 차단제, 치약 또는 고체 형태의 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고체 형태의 내용물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300)은 수용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유닛(200)과 마주하는 일면이 개방된다. 그리고 슬라이딩유닛(300)은 구동유닛(200)과 반대하는 내측 일면에 구동유닛(200)에 형성된 피니언기어(210)와 치합되는 랙기어(310)가 형성된다. 랙기어(310)는 수용공간의 높이 방향 즉, 슬라이딩유닛(300)의 승강 및 하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300)이 수용공간에 위치되면 구동유닛(200)의 일부는 슬라이딩유닛(300)의 개방된 일면을 통과하여 랙기어(310)와 치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유닛(300)은 구동유닛(200)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하여 안착공간(320)에 안착된 내용물을 본체유닛(100)의 상부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본체유닛(100)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예컨대, 랙기어(310)는 슬라이딩유닛(300)의 승강 및 하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구동유닛(200)의 회전 방향은 슬라이딩유닛(300)의 승강 및 하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구동유닛(200)은 내용물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내용물을 본체유닛(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돌출 시킬때 구동유닛(200)의 회전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랙기어(310)의 최상단 및 최하단의 기어는 피니언기어(210)에 맞물리지 않는 더 큰 형태의 스톱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톱기어는 슬라이딩유닛(300)이 최대로 승강 또는 하강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구동유닛(200)의 계속된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210)와 랙기어(310)의 치합이 풀려 구동유닛(200)이 공회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300)에는 안착공간(320)에서부터 내부를 관통하는 주입관(330)이 형성된다. 주입관(330)은 내용물이 주입되는 통로이다. 예컨대, 내용물이 액체의 상태로 형성된 경우 주입관(330)을 통해 안착공간(320)에 주입되고 이후 경화되어 안착공간(320)에 구비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회전축(220)의 단면과 축홈(131)의 단면은 서로 대응하는 다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220)의 단면은 8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축홈(131)의 단면은 회전축(220)의 단면과 동일한 8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20)의 단면과 축홈(131)의 단면이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면 회전축(220)은 축홈(131)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각도는 축홈(131)과 회전축(220)의 다각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구동유닛(200)을 회전할 때 구동유닛(200)의 회전량을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축(220)의 단면과 축홈(131)의 단면이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면 회전축(220)에 일정량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축홈(131)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딩유닛(300)이 본체유닛(100)의 상부로 승강한 상태에서 자유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으로 돌아와서 커버유닛(400)은 본체유닛(100)의 상부와 결합하여 본체유닛(100)의 상부를 커버한다. 커버유닛(400)은 하부가 개방된 다면체로 형성된다. 커버유닛(400)의 내부면은 본체유닛(10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유닛(400)은 개방된 하부가 본체유닛(100)의 상부부터 끼워져 본체유닛(100)과 결합될 수 있단. 커버유닛(400)은 본체유닛(100)에 결합될 때 본체유닛(100)의 파지부(110)와 몸체부(120)의 경계선 즉, 파지부(110)로부터 단차진 부분까지 끼워질 수 있다.
커버유닛(400)은 하부 내측에 고정홈(4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홈(402)에 대응하는 몸체부(120)의 외측에는 고정홈(402)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유닛(400)이 본체유닛(100)에 결합되면 고정돌기(121)가 고정홈(402)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커버유닛(400)은 본체유닛(100)과 결합될 때 구동유닛(200)과 마주하는 일면에 수용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410)은 본체유닛(100)의 외부로 노출된 구동유닛(200)의 일부를 수용한다. 커버유닛(400)과 본체유닛(100)은 결합과정에서 수용홈(410)이 구동유닛(200)의 일부를 수용하기 때문에 커버유닛(400)과 본체유닛(100)의 상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커버유닛(400)은 외면에 반사부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커버유닛(400)에 부착된 반사부재는 사용자가 얼굴을 비추고, 사용자는 얼굴을 확인하면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아질 있다. 그리고 커버유닛(400)의 상부 외측에는 제조사 또는 판매자 중 어느 하나의 로고나 상표명이 부착되는 네이밍홈(40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예시된 스틱형 용기(10)의 축 걸이부(130)의 변형된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축 걸이부(130)는 축홈(131)에서부터 축 걸이부(130)의 외측까지 절개된 탄성절개홈(133)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절개홈(133)은 회전축(220)이 일정 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져 회전할 때 축 걸이부(130)에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회전축(220)의 회전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 걸이부(130)는 회전축(220)이 회전할 때 탄성절개홈(133)을 기준으로 양 측으로 팽창되어 벌어지고, 회전축(220)의 회전이 멈추면 다시 탄성절개홈(133)을 향해 압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용기(10)의 커버유닛(400)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모든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버유닛(400)은 구동유닛(2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420)는 커버유닛(400)의 수용홈(410)의 일측에서부터 구동유닛(200)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420)의 연장된 단부는 구동유닛(200)의 피니언기어(210)의 사이에 끼워진다.
커버유닛(400)이 본체유닛(100)에 결합되면 스토퍼부(420)의 단부는 구동유닛(200)의 피니언기어(210)에 끼워져 구동유닛(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부(420)의 연장된 단부는 구동유닛(200)의 피니언기어(210)에 끼워지는 형태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420)는 커버유닛(400)과 본체유닛(100)이 체결된 상태에서 구동유닛(20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여 본체유닛(100)으로부터 내용물이 돌출되어 커버유닛(400)과 접촉함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유닛
110: 파지부
120: 몸체부
200: 구동유닛
300: 슬라이딩유닛
400: 커버유닛
110: 파지부
120: 몸체부
200: 구동유닛
300: 슬라이딩유닛
400: 커버유닛
Claims (8)
-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유닛;
외주면에 피니언기어가 마련된 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구동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내측에 상기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슬라이딩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하단부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형성된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유닛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의 양측에서 내부를 향해서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이 결합하는 한 쌍의 축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마주하는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구동유닛과 반대하는 내측 일면에 상기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유닛의 단면은 상기 본체유닛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그 외면이 상기 본체유닛의 내면과 접하면서 승하강하고,
상기 축걸이부는 상기 슬라이딩유닛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틱형 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걸이부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홈을 구비하고,
상기 축홈은 단면이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단면이 상기 축홈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홈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스틱형 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 걸이부는,
상기 축홈에서부터 상기 축 걸이부의 외측까지 절개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축 걸이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절개홈이 형성된 스틱형 용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리지 않아 상기 슬라이딩유닛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한하는 스톱기어를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0176A KR102326363B1 (ko) | 2020-04-24 | 2020-04-24 | 스틱형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0176A KR102326363B1 (ko) | 2020-04-24 | 2020-04-24 | 스틱형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2283A KR20210132283A (ko) | 2021-11-04 |
KR102326363B1 true KR102326363B1 (ko) | 2021-11-16 |
Family
ID=7852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0176A KR102326363B1 (ko) | 2020-04-24 | 2020-04-24 | 스틱형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636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6846B1 (ko) * | 2005-08-01 | 2006-12-14 | 변재삼 | 승강장치를 구비한 립스틱 용기 |
KR101251987B1 (ko) * | 2011-12-26 | 2013-04-08 | 박현진 | 각도조절형 화장용 브러시 |
US20180014625A1 (en) | 2016-07-15 | 2018-01-18 | Shantou Kinhwa Plastic Industry Co., Ltd. | Cosmetic container |
KR102157040B1 (ko) | 2019-05-03 | 2020-09-18 | (주)신영화학 | 휠 승강식 립스틱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3242A (ko) * | 2011-06-30 | 2013-01-09 | 코웨이 주식회사 | 회전 진동형 전동 마스카라 |
-
2020
- 2020-04-24 KR KR1020200050176A patent/KR1023263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6846B1 (ko) * | 2005-08-01 | 2006-12-14 | 변재삼 | 승강장치를 구비한 립스틱 용기 |
KR101251987B1 (ko) * | 2011-12-26 | 2013-04-08 | 박현진 | 각도조절형 화장용 브러시 |
US20180014625A1 (en) | 2016-07-15 | 2018-01-18 | Shantou Kinhwa Plastic Industry Co., Ltd. | Cosmetic container |
KR102157040B1 (ko) | 2019-05-03 | 2020-09-18 | (주)신영화학 | 휠 승강식 립스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2283A (ko) | 2021-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12658B2 (ja) | リップスティック容器 | |
KR101175604B1 (ko) | 주사 기구 | |
EP3542666B1 (en) | Rotating open-and-closed type cosmetic container | |
KR101218741B1 (ko) | 디스펜서 용기 | |
EP3305125A1 (en) |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having absorption member | |
KR200400078Y1 (ko)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
KR200458967Y1 (ko) | 슬라이드 타입의 립스틱 용기 | |
KR101503239B1 (ko) |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 |
KR200495563Y1 (ko) | 스틱용기 | |
EP3289914A1 (en) | Compact container | |
EP3228211A1 (en) | Button-type pencil cosmetic dispenser | |
KR101440010B1 (ko) | 다단 나사식 액상화장품용기 | |
KR102011701B1 (ko) | 버튼 출몰식 용기 | |
JP2013517017A (ja) | 化粧品スティックを展開させる機構、関連する装置および方法 | |
KR102005890B1 (ko) | 화장품 용기 | |
KR101247124B1 (ko) | 펜슬형 화장품용기 | |
KR102326363B1 (ko) | 스틱형 용기 | |
KR20200000957U (ko) | 듀얼 타입 립스틱 용기의 립스틱 홀더 승강구조 | |
JP4431188B1 (ja) | 化粧品用容器 | |
KR20120061259A (ko) | 디스펜서 용기 | |
KR200485326Y1 (ko) |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 |
JP5084486B2 (ja) | 可動部材付き容器 | |
CN110811104B (zh) | 一种收纳盒 | |
KR102048224B1 (ko) | 이종 내용물이 저장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 |
KR200491423Y1 (ko) | 립 케어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