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895B1 - 유도 가열판 및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인덕션 가열 기기용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판 및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인덕션 가열 기기용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895B1
KR102325895B1 KR1020210069072A KR20210069072A KR102325895B1 KR 102325895 B1 KR102325895 B1 KR 102325895B1 KR 1020210069072 A KR1020210069072 A KR 1020210069072A KR 20210069072 A KR20210069072 A KR 20210069072A KR 102325895 B1 KR102325895 B1 KR 10232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coupling hole
heating plate
edg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젠
Priority to KR1020210069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가장 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1열로 복수 배열되는 제1 결합공; 상기 몸체부에 다양한 패턴의 형태로 복수로 배열되는 제3 결합공; 상기 몸체부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판과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도 가열판 및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인덕션 가열 기기용 조리 용기{Induction Heating Plate and Cooking Container for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the Induction Heating Plate}
본 발명은 열변형 및 열손실이 최소화되는 유도 가열판 및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인덕션 가열 기기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인덕션 가열 기기를 이용하는 조리 용기의 외측 저면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코일을 통한 자장을 발생시켜서 가열되는 금속재의 유도 가열판이 마련될 수 있다.
유도 가열판은 조리 용기에 부착시, 유도 가열판의 테두리부가 조리 용기 외측 저면과 확실하게 밀착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판은 제조 과정중 또는 조리 용기에 부착후 사용시 가열됨에 따라 열팽창이 되며, 이러한 열팽창시 중심 위치와 가장자리가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유도 가열판은 타공 공정 및 블랭킹 공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공정을 통해 가공된 유도 가열판은 조리 용기의 본체부 외측 저면에 결합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것은 유도 가열판의 타공 공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에는 한쪽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부는 본체부의 외측 저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와 대면되면서 결합공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 가열판은 가열시 또는 제조시 본체부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압착하여 결합하더라도 유도 가열판의 테두리부인 가장자리부가 본체부의 외측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조리 용기 본체부는 코팅 작업을 하게 되는데, 양호한 코팅을 위해 코팅을 하기 전에 샌드 블라스팅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샌드 블라스팅 공정후 코팅을 하고 조리 용기의 사용시, 조리 용기 바닥면과 유도 가열판의 테두리부 사이에서 미세한 분말 형태의 샌드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조리 용기 외측 저면에 유도 가열판 부착시 틈새로 인해 미세한 샌드 성분이 침투하여 쉽게 배출되지 못하고, 조리 용기의 사용을 위해 가열시 미세한 샌드 성분이 흘러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 용기의 외측 저면에 유도 가열판 부착시, 유도 가열판의 테두리부가 밀착되어서 틈이 생기지 않고, 한쪽면으로 복수의 돌출부가 돌출되도록 하며, 이러한 돌출부는 조리 용기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코팅 공정 전에 실시하는 샌드 블라스팅 공정에 의한 샌드 성분의 침투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유도 가열판이 가열되더라도 조리 용기의 저면에서 열변형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으며,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유도 가열판 및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인덕션 가열 기기용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가장 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1열로 복수 배열되는 제1 결합공; 상기 몸체부에 다양한 패턴의 형태로 복수로 배열되는 제3 결합공; 상기 몸체부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판과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는 유도 가열판; 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가열판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가장 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1열로 복수 배열되는 제1 결합공; 상기 몸체부에 다양한 패턴의 형태로 복수로 배열되는 제3 결합공; 상기 몸체부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3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 상기 유도 가열판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 을 포함하는 조리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리 용기의 저면에 결합되는 유도 가열판이 프레스에 의해 강력히 압착되어 조리 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조리 용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 가열판은 가장 자리부 또는 중앙에 소정의 곡률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에지부를 마련하고, 조리 용기를 이루는 본체부의 외측 저면에 결합시, 본체부의 외측 저면에 형성된 매립홈안에 에지부가 매립홈의 밖으로 돌출되지 않고약간 경사진 상태로 펴지면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의 외측 저면과 유도 가열판과의 사이에 틈새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 용기의 사용중 물속에 담구거나 샌드 블라스팅 공정 을 수행하더라도 수분 또는 미세한 분말 형태의 샌드 성분(금강석 등)이 유도 가열판의 에지부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 가열판은 조리 용기 본체부의 저면에 결합후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조리 용기의 상면에 사용시 충돌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용기의 저면에 결합되는 유도 가열판의 결합공을 유도 가열판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형성하지 않고 적절한 위치에만 형성하여 최적화함으로써 유도 가열판의 단면적이 증대되어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열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도 가열판의 외곽 가장 자리와 중앙에 형성되는 위치 설정공의 내측면에 절곡된 구조의 에지부의 안쪽면에 1열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결합공을 형성함으로써, 조리 용기를 이루는 본체부의 저면에 충분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개수의 결합공으로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결합공 개수에 의해 가열시 열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 가열판을 조리 용기의 일면에 볼록한 돌출부 및 연속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면되는 조리 용기의 저면도 오목한 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유도 가열판의 돌출부 및 연속 돌출부가 조리 용기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리 용기에 의한 가열시 열팽창율이 감소됨으로써 유도 가열판의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판이 결합된 조리 용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반대편에서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판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의 유도 가열판이 조리 용기의 본체부 저면에 결합하기 전 상태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결합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도 가열판의 제1 에지부와 본체부 저면의 매립홈의 각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판의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판이 결합된 조리 용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판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반대편에서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리 용기(1)는 본체부(10), 본체부(10)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는 유도 가열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용기(1)는 프라이팬, 냄비 등 조리 가능한 여러 가지 용기일 수 있다.
본체부(10)는 예를 들어 비자성 재질로서 알루미늄 소재로 다이캐스팅 또는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본체부(10)의 형상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도 가열판(100)은 조리 용기(1)를 인덕션 가열 기기(도시되지 않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 합금 등과 같은 자성을 띄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의 외측 저면에는 유도 가열판(100)이 압착되어 결합될 수 있고, 유도 가열판(100)은 예를 들어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몸체부에는 조리 용기의 본체부(10)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압착되게 하는 결합공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유도 가열판(100)의 몸체부에 배열 형성되는 결합공의 위치 및 개수를 열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적절히 설정하여 배치함에 특징이 있다.
즉, 유도 가열판(100)의 최외곽 가장 자리의 에지부인 제1 에지부(110)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에 형성되는 위치 설정공(100a)의 둘레에는 제2 에지부(112)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판(100)의 제1 에지부(110)의 안쪽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결합공(101)이 1열로 형성되어 배열될 수 있고, 또한 제2 에지부(112)의 바깥쪽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결합공(102)이 1열로 형성되어 배열될 수 있으며, 제1 결합공(101)과 제2 결합공(102)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서로 복수의 열로 제3 결합공(1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공(103)은 다양한 패턴의 형태로 배열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결합공(103)을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배열할 수 있고, 또는 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배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오각형, 원형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3 결합공(103)에 의해 삼각형 패턴을 이루는 경우, 삼각형 패턴의 안쪽면에 해당하는 부분은 돌출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04)는 본체부(10)에 대면되는 위치에는 볼록부(104a), 그 반대면에는 오목부(104b)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결합공(103)의 배열 형태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는 삼각돌기, 사각 돌기, 오각 돌기, 원형 돌기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공(103)과 제3 결합공(103)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연결 돌출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돌출부(105)는 돌출부(104)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에 대면되는 위치에는 볼록부(105a)가 형성되고, 그 반대면에는 오목부(105b)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유도 가열판(100)은 조리 용기(1)의 본체부(10)에 대면되는 부분에는 볼록부 구조를 형성하고, 그 반대면은 오목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며, 본체부(10)의 저면에는 돌출부(104)의 볼록부(104a), 연결 돌출부(105)의 볼록부(105a)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인 제1 결합홈(11)과 제2 결합홈(12)이 형성되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체부(10)의 저면에는 복수의 결합 돌기(13)가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서, 결합 돌기(13)는 제1 결합공(101) 내지 제 3 결합공(103)에 각각 결합되어 압착될 수 있다.
유도 가열판(100)의 중앙에 형성된 위치 설정공(100a)은 본체부(10)의 저면 중앙에 돌출된 중앙 돌기부(14)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유도 가열판(100)에 있어서, 돌출부(104)의 볼록부(104a)와 오목부(104b), 연결 돌출부(105)의 볼록부(105a)와 오목부(105b)에 도시된 라인(line)은 복수의 곡면 형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구조가 포함된 것이 아니다.
인덕션 가열 기기로서 조리 용기(1)의 본체부(10) 저면에 유도 가열판(100)은 필수적으로 부착되어야 하고, 부착된 상태에서 가열되면 열팽창이 발생하며, 이러한 열팽창 현상에 의해 영향을 덜 받고 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도 가열판(100)은 가열에 의한 열팽창을 대폭 감소시키고, 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13)와 결합되는 결합공의 개수를 종래보다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유도 가열판(100)의 한쪽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그 반대면에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된 제1 결합홈(11)과 제2 결합홈(12)에 결합한 구조로서, 조리 용기(1)의 사용시 가열되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유도 가열판(100)은 열팽창이 일어날 수 있지만, 볼록부(104a)(105a)에 의한 결합 상태로 인해 열팽창율을 줄여줄 수 있다.
만일, 본 발명과 같이 유도 가열판(100)에 볼록부(104a)(105a)가 형성되지 않고 평평한 면으로만 이루어진 상태에서 본체부(1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한 열팽창이 잘 일어나서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또는 그 반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열변형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을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소위 말하는 엠보싱 구조로 이루어져서 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가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가운데 부분이 솟아오르는 열변형 현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10)의 저면에 유도 가열판(100)을 결합할 때, 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돌기(13)가 삽입되어 압착되도록 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데, 유도 가열판(100)의 최외곽의 제1 에지부(110)의 바로 안쪽에 원주 방향을 따라 1열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결합공(101)이 형성되고, 위치 설정공(100a)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에지부(112)의 바로 안쪽에 원주 방향을 따라 1열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2 결합공(102)이 형성되며, 1열의 제1 결합공(101)과 1열의 제2 결합공(102) 사이에는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소정 개수의 제3 결합공(103)이 마련되더라도 확실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결합공(103)을 유도 가열판(100)의 1열의 제1 결합공(101)과 1열의 제2 결합공(102) 사이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촘촘하게 형성하지 않고, 간단히 말해서 듬성듬성 만들고, 그 사이의 여백에 해당하는 부분은 볼록부(104a)(105a)를 형성하여 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된 제1 결합홈(11)과 제2 결합홈(12)에 결합함으로써, 충분한 결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결합공(103)은 다양한 패턴 즉,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배열할 수 있고, 하나의 패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면서 소정의 면적을 이루므로, 이러한 돌출부의 면적 및 개수에 의해 제3 결합공(103)의 개수가 제한되므로, 이러한 다양한 패턴에 의핸 배열 구조를 통해 제3 결합공(103)의 개수를 종래보다 적어지게 마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서, 제3 결합공(103)의 배열 형태를 달리하여 다른 패턴을 형성한 구조로서, 사각형 패턴으로 마련한 것이다.
이외에도 제3 결합공(103)의 또 다른 배열 형태로서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도 가열판(100)은 최외곽의 제1 에지부(110)를 절곡하여 형성한 구조로서, 본체부(10)의 저면에 결합시 프레스 공정에 의해 압착되면 제1 에지부(110)는 절곡된 상태에서 약간 펴지면서 본체부(100)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고, 이러한 밀착 상태에 의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위치 설정공(100a)의 내측면에도 절곡된 구조의 제2 에지부(11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제2 에지부(112)는 프레스 공정에 의해 압착되면 펼쳐지면서 밀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샌드 블라스팅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미세한 분말 형태의 샌드 성분(금강석 등)이 본체부(10)의 저면과 유도 가열판(200)의 제1 에지부(110) 및 제2 에지부(112)와의 틈새로 침투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0)의 저면에는 유도 가열판(100)의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가 압착시 약간 펼쳐지면서 매립되게 하는 매립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매립홈(15)에 의해 유도 가열판(100)의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는 압착된 상태로 매립되어서 본체부(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된 매립홈(15)은 단면상 수평 상태의 홈이 아니고,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경사진 구조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매립홈(15)에 결합되는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의 절곡된 경사 각도(a)는 매립홈(15)의 경사 각도(b)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매립홈(15)안에 삽입되어 결합시,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의 절곡된 경사 각도(a)는 작아지면서 매립홈(15)안에 밀착될 수 있다.
가상의 수평선에 대한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의 경사진 경사 각도(a)는 동일한 가상의 수평선에 대한 매립홈(15)의 경사 각도(b)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는 매립홈(15)에 결합되면, 매립홈(15)의 경사면과 차이나는 경사 각도(a-b) 만큼 펼쳐지면서 밀착될 수 있다.
즉,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는 매립홈(15)안에 밀착되더라도, 완전히 수평되게 펴지지 않고 약간 절곡되어 경사진 상태로 매립홈(15)안에 밀착될 수 있다.
도면상 매립홈(15)은 제1 에지부(110)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해서만 도시했으나, 유도 가열판(100)의 중앙에 형성된 위치 설정공(100a)에 결합되는 중앙 돌기부(14)와 제2 에지부(112)가 만나는 부분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유도 가열판(100)의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가 본체부(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에는, 돌출된 부분에 의해 조리 용기의 상면(세라믹판)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의 돌출된 부분과의 충돌에 의해 조리 용기의 상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도 가열판(100)의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는 본체부(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인덕션 조리 용기에 사용시, 조리 용기 표면과 충돌하여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 가열판(100)의 제1 에지부(110)와 제2 에지부(112)가 본체부(10)의 저면에 틈새없이 밀착되어 있으므로, 조리 용기의 사용중 물속에 담구는 경우에도 유도 가열판(100)의 에지부 사이로 수분의 침투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1... 조리 용기 10... 본체부
11... 제1 결합홈 12... 제2 결합홈
13... 결합 돌기 14... 중앙 돌기부
15... 매립홈
100... 유도 가열판 100a... 위치 설정공
101... 제1 결합공 102... 제2 결합공
103... 제3 결합공 104... 돌출부
104a... 볼록부 104b... 오목부
105... 연결 돌출부 105a... 볼록부
105b... 오목부
110... 제1 에지부 112... 제2 에지부
a,b... 경사 각도

Claims (14)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가장 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1열로 복수 배열되는 제1 결합공;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위치 설정공;
    상기 위치 설정공의 주변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1열로 복수로 배열되는 제2 결합공;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결합공의 사이 부분의 전체 면적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열되는 제3 결합공;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결합공의 사이 부분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제3 결합공의 배열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상기 몸체부의 한쪽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3 결합공과 제3 결합공을 연결하는 가상선상에 몸체부의 한쪽면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 돌출부; 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판.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공은 상기 몸체부에 배열시,
    복수의 상기 제3 결합공의 배치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원형중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는 상기 돌출부가 마련되는 유도 가열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한쪽면은 볼록부, 반대면은 오목부로 형성되는 유도 가열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결합공으로부터 바깥 방향의 최외곽 가장 자리에는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 에지부가 형성되는 유도 가열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공의 내주면에는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2 에지부가 형성되는 유도 가열판.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한쪽면에는 볼록부, 반대쪽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유도 가열판.
  9.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는 유도 가열판; 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가열판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가장 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1열로 복수 배열되는 제1 결합공;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위치 설정공;
    상기 위치 설정공의 주변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1열로 복수 배열되는 제2 결합공;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결합공의 사이 부분의 전체 면적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열되는 제3 결합공;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결합공의 사이 부분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제3 결합공의 배열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상기 몸체부의 한쪽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3 결합공과 제3 결합공을 연결하는 가상선상에 몸체부의 한쪽면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결합공, 상기 제2 결합공 및 상기 제3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
    상기 유도 가열판의 돌출부와 상기 연결 돌출부가 각각 삽입되는 결합홈; 을 포함하는 조리 용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면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볼록부,
    상기 볼록부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판의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결합공으로부터 바깥 방향의 최외곽 가장 자리에는 본체부쪽으로 절곡된 제1 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제1 에지부가 매립되는 매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도 가열판을 상기 본체부에 결합하고 압착하면, 상기 제1 에지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매립홈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되는 조리 용기.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판의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결합공으로부터 바깥 방향의 최외곽 가장 자리에는 본체부쪽으로 절곡되어 경사진 제1 에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제1 에지부가 매립되는 매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매립홈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에지부의 경사 각도는 상기 매립홈의 경사면 경사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지부가 상기 매립홈에 삽입되면, 제1 에지부의 경사 각도가 작아지면서 상기 매립홈에 밀착되는 조리 용기.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공에는 본체부쪽으로 절곡되어 경사진 제2 에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 설정공에는 본체부의 저면에 돌출되는 중앙 돌기부가 결합되고,
    상기 중앙 돌기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에지부가 결합되는 매립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매립홈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지부의 경사 각도는 상기 매립홈의 경사면 경사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에지부가 상기 매립홈에 삽입되면, 제1 에지부의 경사 각도가 작아지면서 상기 매립홈에 밀착되는 조리 용기.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면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볼록부, 상기 볼록부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KR1020210069072A 2021-05-28 2021-05-28 유도 가열판 및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인덕션 가열 기기용 조리 용기 KR10232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72A KR102325895B1 (ko) 2021-05-28 2021-05-28 유도 가열판 및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인덕션 가열 기기용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72A KR102325895B1 (ko) 2021-05-28 2021-05-28 유도 가열판 및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인덕션 가열 기기용 조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895B1 true KR102325895B1 (ko) 2021-11-12

Family

ID=7849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072A KR102325895B1 (ko) 2021-05-28 2021-05-28 유도 가열판 및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인덕션 가열 기기용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8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819A (ja) * 2001-08-24 2003-03-04 Yokoyama:Kk 加熱調理容器
KR100745028B1 (ko) * 2005-12-13 2007-08-02 김남용 유도가열기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9421A (ko) * 2012-09-21 2014-04-02 정소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2002152B1 (ko) * 2018-03-06 2019-07-23 주식회사 썬하우스 인덕션용기용 발열체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819A (ja) * 2001-08-24 2003-03-04 Yokoyama:Kk 加熱調理容器
KR100745028B1 (ko) * 2005-12-13 2007-08-02 김남용 유도가열기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9421A (ko) * 2012-09-21 2014-04-02 정소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2002152B1 (ko) * 2018-03-06 2019-07-23 주식회사 썬하우스 인덕션용기용 발열체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0612U (ja) 調理器
KR102349011B1 (ko) 부분적으로 코팅된 스테인레스강 내부면을 포함하는 요리 용기 및 요리 용기의 제조 방법
CN104814673B (zh) 在感应式或传统式表面上烹饪食物的容器及其形成方法
KR102325895B1 (ko) 유도 가열판 및 이러한 유도 가열판이 구비된 인덕션 가열 기기용 조리 용기
JP2004524054A (ja) 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調理用容器
WO2013142151A1 (en) Cookware with metal mesh embedded in the base
JPH11253304A (ja) 底部にスチ―ルキャップを備えた調理器具、並びにそれを製造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0986247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WO2021039086A1 (ja) 金属板、金属樹脂複合体、半導体デバイス及び、金属板の製造方法
EP2105071B1 (en) Induction heated cooking utensil and manufacturing method
JPH11262453A (ja) 非固着コ―ティングを備える調理器具物品及びその形成方法
JP3639173B2 (ja) 炊飯器用内釜
JP7416967B2 (ja) 底部に埋め込まれた金属メッシュを備える調理器具
JP3782082B2 (ja) 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JP4139682B2 (ja) 調理用容器
KR102318147B1 (ko) 인덕션용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93698A (en) Process of plating.
US6933027B2 (en) Composite and vessels including the composite
JP2001321269A (ja) 電磁調理用調理器具の製造方法
US6296169B1 (en) Flux-application fixture for a ball-grid-array (BGA) assembly process
KR101922667B1 (ko) 동 도금을 이용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JP3475956B2 (ja) 電磁誘導加熱炊飯器
JP3116675U (ja) 調理用容器の底部に配設される金属板及び該金属板を備えた調理用容器
CN107072438A (zh) 用于感应炉的烹饪器皿和用于制造该烹饪器皿的方法
WO2017203428A1 (en)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cooking st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