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419B1 -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419B1
KR102325419B1 KR1020190159061A KR20190159061A KR102325419B1 KR 102325419 B1 KR102325419 B1 KR 102325419B1 KR 1020190159061 A KR1020190159061 A KR 1020190159061A KR 20190159061 A KR20190159061 A KR 20190159061A KR 102325419 B1 KR102325419 B1 KR 10232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d clothes
clothes
old
sort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354A (ko
Inventor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호 filed Critical 정민호
Priority to KR1020190159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4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4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63Using robo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에 있어서, 헌옷이 담긴 수거용기가 컨베이어를 통해 진입하면, 헌옷을 배출한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수거된 헌옷의 중량을 측정하는 헌옷 중량 측정 장치, 그리고 상기 헌옷 중량 측정 장치를 통과한 수거용기가 컨베이어를 통해 진입하면, 헌옷의 촬영영상 및 레이저 투과율을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헌옷을 종류 또는 재질별로 분류하는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고된 헌옷에 대하여 자동으로 중량을 측정하고, 각각의 헌옷의 종류 및 재질을 학습하여 판단함으로써, 정확하게 헌옷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헌옷의 수거부터 중량측정 및 선별까지 무인화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OLD CLOTHES SORTIONG SYSTEM FOR SORTING AND SEPARATING OLD CLOTHES}
본 발명은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헌옷의 촬영영상과 빛 투과율을 학습하여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산업화의 영향으로 대량의 물품이 생산 및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대량 생산 및 대량 소비 특징에 따라 생활 폐기물의 발생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생활 폐기물의 경제적 가치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부족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 또한 크게 증가되고 있어 이러한 생활 폐기물에 대한 재활용 또는 재사용을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버려지는 의류를 수거할 수 있는 의류 수거함을 설치하는 지역이 늘어가는 추세이다. 그러나 의류 폐기 물을 배출하는 사람들의 경제적 인식의 부재, 분리 배출의 번거로움, 의류 수거 시스템의 영세성, 의류 재활용 또는 재사용에 대한 보상 체계의 미비, 의류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 부재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의류에 대한 재활용 또는 재사용 비율은 매우 낮은 실정이다.
생활 폐기물 가운데 의류는 사용자의 취향 변화 내지 유행하는 패션의 변화과 같은 심리상의 이유로 멀쩡하게 사용 가능한 상태로 배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계절에 변화에 따른 기온차이로 인하여 계절별 다수의 의류가 필요하나, 보관에 따른 문 제(예를 들어 주거 공간의 협소)로 인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버려지는 의류가 많은 편이다.
재사용이 가능한 의류는 주로 수출되는데, 종래 방식은 의류 수거함을 통해 수집된 의류를 한 곳에 모아, 다수 의 작업자를 통해 사용 가능한 의류와 사용 불가능한 의류를 분류하고, 분류된 사용 가능한 의류는 또다시 종류 별로 분류하고 포장 하여 출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 방식은 의류의 분류를 모두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종류별이나 상태별로 세밀하게 분류하려 면 인건비가 추가로 발생한다. 즉, 종래의 수작업 분류에 따르면 분류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이 적을 경우, 분류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어 그에 따라 제값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의 의류가 폐기 대상으로 분류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동으로 의류를 종류 또는 재질에 맞게 분류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1858호(2019.02.13.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헌옷의 촬영영상과 빛 투과율을 학습하여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에 있어서, 헌옷이 담긴 수거용기가 컨베이어를 통해 진입하면, 헌옷을 배출한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수거된 헌옷의 중량을 측정하는 헌옷 중량 측정 장치, 그리고 상기 헌옷 중량 측정 장치를 통과한 수거용기가 컨베이어를 통해 진입하면, 헌옷의 촬영영상 및 레이저 투과율을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헌옷을 종류 또는 재질별로 분류하는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헌옷 중량 측정 장치는, 상기 수거용기 또는 헌옷에 부착된 태그와 기 설치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헌옷을 배출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바닥에 설치된 복수의 중량 측정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헌옷의 중량에 대한 평균 값을 산출하는 중량 측정부, 그리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정보 및 중량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정보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 측정부는, 바닥에 설치된 복수의 중량 측정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헌옷의 중량에 대한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는, 내측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된 헌옷을 집어올리는 복수의 로봇 팔, 상기 복수의 로봇 팔이 양측에서 상기 헌옷을 펼쳐든 상태에서, 상기 헌옷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복수의 로봇 팔이 양측에서 상기 헌옷을 펼쳐든 상태에서, 상기 헌옷에 레이저를 투과시키는 레이저 조사부, 상기 헌옷의 촬영 영상 및 레이저 투과율을 이용하여 상기 헌옷의 종류 또는 재질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헌옷을 종류별 또는 재질별로 분리하도록 상기 로봇 팔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헌옷의 분류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 그리고 기 촬영된 복수의 옷에 대한 각각의 촬영 영상과 레이저 투과율을 입력 값으로 하고, 옷의 종류 또는 재질을 출력값으로 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학습시키는 학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분류되어 적재된 헌옷의 중량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관리서버에 수거를 요청하는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별로 최근 수거 정보, 헌옷 중량 누적 정보, 헌옷 배출 이력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헌옷의 특정 부분에서의 레이저 투과율과 다른 부분의 레이저 투과율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해당되는 특정 부분에는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 알람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물질의 제거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헌옷에 존재하는 구멍 또는 찢어진 부분이 일정범위 이상이면 재활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 알람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헌옷을 다시 회수해 갈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고된 헌옷에 대하여 자동으로 중량을 측정하고, 각각의 헌옷의 종류 및 재질을 학습하여 판단함으로써, 정확하게 헌옷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헌옷의 수거부터 중량측정 및 선별까지 무인화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선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중량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중량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선별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선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선별 시스템은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 헌옷 분류 장치(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먼저, 수거용기(10)는 헌옷(20)을 담기 위한 용기이며,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어 이동한다. 또한, 수거용기(10)는 사용되는 장소 또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플라스틱, 나무, 상자 및 종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박스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헌옷(20)은 헌옷 수거함 또는 헌옷 수거 가방을 통하여 수거된 옷이며, 수거용기(10)에 담긴 상태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한다.
여기서, 헌옷(20)의 종류는 입는 형태에 따라 패딩, 티셔츠, 바람막이, 셔츠, 레깅스, 청바지, 슬랙스 및 니트등 이며, 헌옷(20)의 재질은 면, 나일론, 인견, 모,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린넨, 기모 및 코로듀이등이다.
다음으로, 헌옷(20)이 담긴 수거용기(10)가 컨베이어를 통해 진입하면,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는 헌옷을 배출한 사용자를 인식하고, 수거된 헌옷의 중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를 통과한 수거용기(10)가 컨베이어를 통해 진입하면,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200)는 헌옷의 촬영영상 및 레이저 투과율을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헌옷을 종류 또는 재질별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별로 최근 수거 정보, 헌옷 중량 누적 정보, 헌옷 배출 이력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관리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중량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중량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인식부(110), 중량 측정부(120) 및 정보 전달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인식부(110)는 수거용기(10) 또는 헌옷(20)에 부착된 태그와 기 설치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헌옷(20)을 배출한 사용자를 인식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모듈은 10cm 이내의 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듈을 통칭한다.
이때,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NFC, RFID,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적외선 통신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를 근거리 통신 모듈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거용기(10)와 헌옷(20)에는 태그(tag)가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헌옷이 담긴 수거용기(10)를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에 진입시키면,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모듈은 태그(tag)를 통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량 측정부(120)는 복수의 중량 측정 로드셀(121,122)을 포함하며, 복수의 중량 측정 로드셀(121,122)은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의 바닥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컨베이어를 통해 헌옷이 담긴 수거용기(10)가 진입하여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를 통과하는 동안, 복수의 중량 측정 로드셀(121,122)은 각각 헌옷이 담긴 수거용기(10)의 중량을 측정하며, 중량 측정부(120)는 복수의 중량 측정 로드셀(121,122) 각각이 측정한 중량의 평균 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중량 측정부(120)는 수거용기(10) 자체의 무게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므로, 측정된 중량의 평균 값에서 수거용기(10)의 무게를 차감함으로써 헌옷(20)의 순수한 중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를 통과하기 위한 길이를 고려하여 중량 측정 로드셀의 개수는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 전달부(130)는 인식된 사용자 정보 및 중량 정보를 관리 서버(미도시)에 전달한다.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정보 전달부(130)는 헌옷 중량 측정 장치(100)의 상측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위치는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정보 전달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인식된 사용자 정보 및 중량 정보를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200)는 로봇 팔(210), 촬영부(220), 레이저 조사부(230), 학습부(240), 판단부(250), 제어부(260) 및 통신부(270)를 포함한다.
먼저, 로봇 팔(210)은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200) 내측의 양단에 설치되며,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된 헌옷을 집어올린 후(lift up), 양측의 로봇 팔(210)을 이용하여 도 5와 같이 펼치도록 한다.
여기서, 로봇 팔(210)이 수거용기(10)에 담긴 여러 벌의 헌옷을 하나씩 선택하여 들어올리는 동작, 헌옷을 펼치는 동작, 분류된 헌옷을 해당되는 적재함에 적재시키는 동작등은 미리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의해서 학습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로봇 팔(210)은 헌옷 선별 분류 장치(200)의 내측면의 양단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헌옷 선별 분류 장치(200)의 크기, 규모 및 헌옷의 종류에 따라 로봇 팔(21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촬영부(220)는 카메라 형태로 구현되며, 복수의 로봇 팔(210)이 양측에서 헌옷을 펼쳐든 상태에서, 헌옷의 외관을 촬영한다.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촬영부(220)는 헌옷 선별 분류 장치(200)의 내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로봇 팔(210)에 의해 들어올려진 헌옷(20)을 촬영한다.
여기서, 촬영부(220)는 헌옷(20)을 촬영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이저 조사부(230)는 헌옷 선별 분류 장치(200)의 내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로봇 팔(210)에 의해 들어올려진 헌옷(20)에 레이저를 투과시킨다.
즉,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레이저 조사부(230)는 헌옷(20)에 레이저를 투과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를 설치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부(240)는 기 촬영된 복수의 옷에 대한 각각의 촬영 영상과 레이저 투과율을 입력 값으로 하고, 옷의 종류 또는 재질을 출력값으로 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학습시킨다.
여기서,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패턴인식과 컴퓨터 학습이론으로부터 파생된 분야이다. 머신 러닝은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여 예측하고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이며, 머신 러닝의 알고리즘들은 엄격하게 정해진 정적인 프로그램 명령들을 수행하는 것이라기보다,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이나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정한 모델을 구축한다.
이때,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학습 대상이 되는 시스템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형태에 따라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및 강화 학습으로 나뉜다.
따라서, 학습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촬영된 복수의 옷에 대한 각각의 촬영 영상과 레이저 투과율과 옷의 종류 또는 재질의 상관관계를 학습한다.
다음으로, 판단부(250)는 헌옷(20)의 촬영 영상 및 레이저 투과율을 이용하여 헌옷의 종류 또는 재질을 판단한다.
즉, 판단부(250)는 헌옷(20)의 촬영 영상 및 레이저 투과율을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헌옷의 종류 또는 재질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레이저 투과율이 90%이고 촬영 영상이 반팔 상의면, 판단부(250)는 헌옷의 종류를 반팔 상의로 판단하고, 헌옷의 재질은 면으로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250)는 헌옷의 특정 부분에서의 레이저 투과율이 헌옷(20)의 다른 부분에서의 레이저 투과율의 평균 값의 차이가 기준 값 이상이면 특정 부분에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이물질은 사용자들의 지갑, 명함, 지폐 또는 귀중품 등을 포함하는 물질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헌옷의 특정 부분에서의 레이저 투과율이 다른 부분의 레이저 투과율보다 현격하게 낮거나 높은 경우, 판단부(250)는 해당되는 특정 부분에는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해당되는 특정 부분이 주머니에 해당하는 경우, 주머니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250)는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헌옷에 구멍 또는 찢어진 부분이 일정범위 이상인 것으로 인식되면, 해당되는 헌옷은 재활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촬영 결과, 헌옷(20)의 60%정도에 해당하는 부분이 찢어진 것으로 인식되면, 판단부(250)는 해당 헌옷을 재활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판단부(250)는 헌옷에 이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재활용이 불가능한 헌옷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60)는 음성을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헌옷을 다시 회수해 갈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60)는 판단 결과에 따라 헌옷을 종류별 또는 재질별로 분리하도록 로봇 팔(210)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60)는 헌옷의 재질에 따라 면, 나일론, 인견, 모,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린넨, 기모 및 코로듀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헌옷의 종류에 따라 패딩, 티셔츠, 바람막이, 셔츠, 레깅스, 청바지, 슬랙스 및 니트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헌옷의 종류와 재질을 융합하여 티셔츠&면, 티셔츠&나일론 및 티셔츠&폴리에스테르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어부(260)는 로봇 팔(210)을 제어하여 분류된 헌옷(21,22)을 각각 적재한다.
다음으로, 통신부(270)는 헌옷의 분류 결과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
그리고, 통신부(270)는 분류되어 적재된 헌옷의 중량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 관리서버(300)에 수거를 요청하는 호출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준치가 100Kg인 경우, 적재된 헌옷의 총 중량이 100Kg을 초과하면, 통신부(270)는 관리서버(300)에 수거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별로 최근 수거 정보, 헌옷 중량 누적 정보, 헌옷 배출 이력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관리하고 해당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고된 헌옷에 대하여 자동으로 중량을 측정하고, 각각의 헌옷의 종류 및 재질을 학습하여 판단함으로써, 정확하게 헌옷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헌옷의 수거부터 중량측정 및 선별까지 무인화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헌옷 수거용기, 20: 헌옷
21, 22: 분류된 헌옷, 100: 헌옷 중량 측정 장치,
110: 사용자 인식부, 120: 중량 측정부,
130: 정보 전달부, 200: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
210: 로봇 팔, 220: 촬영부,
230: 레이저 조사부, 240: 학습부
250: 판단부, 260: 제어부,
270: 통신부

Claims (7)

  1.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에 있어서,
    헌옷이 담긴 수거용기가 컨베이어를 통해 진입하면, 헌옷을 배출한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수거된 헌옷의 중량을 측정하는 헌옷 중량 측정 장치, 그리고
    상기 헌옷 중량 측정 장치를 통과한 수거용기가 컨베이어를 통해 진입하면, 헌옷의 촬영영상 및 레이저 투과율을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헌옷을 종류 또는 재질별로 분류하는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헌옷 선별 및 분류 장치는,
    내측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된 헌옷을 집어올리는 복수의 로봇 팔,
    상기 복수의 로봇 팔이 양측에서 상기 헌옷을 펼쳐든 상태에서, 상기 헌옷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복수의 로봇 팔이 양측에서 상기 헌옷을 펼쳐든 상태에서, 상기 헌옷에 레이저를 투과시키는 레이저 조사부,
    상기 헌옷의 촬영 영상 및 레이저 투과율을 이용하여 상기 헌옷의 종류 또는 재질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헌옷을 종류별 또는 재질별로 분리하도록 상기 로봇 팔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헌옷의 분류 결과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되, 분류되어 적재된 헌옷의 중량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관리 서버에 수거를 요청하는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그리고
    기 촬영된 복수의 옷에 대한 각각의 촬영 영상과 레이저 투과율을 입력 값으로 하고, 옷의 종류 또는 재질을 출력값으로 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학습시키는 학습부를 포함하는 헌옷 선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헌옷 중량 측정 장치는,
    상기 수거용기 또는 헌옷에 부착된 태그와 기 설치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헌옷을 배출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바닥에 설치된 복수의 중량 측정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헌옷의 중량에 대한 평균 값을 산출하는 중량 측정부, 그리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정보 및 중량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정보전달부를 포함하는 헌옷 선별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별로 최근 수거 정보, 헌옷 중량 누적 정보, 헌옷 배출 이력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헌옷 선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헌옷의 특정 부분에서의 레이저 투과율과 다른 부분의 레이저 투과율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해당되는 특정 부분에는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 알람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물질의 제거를 요청하는 헌옷 선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헌옷에 존재하는 구멍 또는 찢어진 부분이 일정범위 이상이면 재활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 알람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헌옷을 다시 회수해 갈 것을 요청하는 헌옷 선별 시스템.
KR1020190159061A 2019-12-03 2019-12-03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 KR10232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061A KR102325419B1 (ko) 2019-12-03 2019-12-03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061A KR102325419B1 (ko) 2019-12-03 2019-12-03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354A KR20210069354A (ko) 2021-06-11
KR102325419B1 true KR102325419B1 (ko) 2021-11-11

Family

ID=7637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061A KR102325419B1 (ko) 2019-12-03 2019-12-03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4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71Y1 (ko) * 2015-06-15 2015-12-28 방옥희 자판기형 의류 수거장치
KR101921858B1 (ko) * 2018-04-05 2019-02-13 박성찬 중고 의류 분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127B1 (ko) * 2018-04-10 2019-11-26 (주)오엔에스커뮤니케이션 영상 인식을 이용한 의류 생산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71Y1 (ko) * 2015-06-15 2015-12-28 방옥희 자판기형 의류 수거장치
KR101921858B1 (ko) * 2018-04-05 2019-02-13 박성찬 중고 의류 분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354A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742721U (zh) 一种智能物品回收装置
CA31176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earning to extrapolate optimal object routing and handling parameters
KR101040177B1 (ko) 의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CN106573276A (zh) 用于分类废物的方法、设备及系统
CN111222949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社区废旧资源共享方法和系统
KR101181888B1 (ko)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CN107816781A (zh) 空调的控制方法和装置
CN108985126A (zh) 智能行李识别系统
KR102278724B1 (ko) 배달음식용 포장물품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CN108861186B (zh) 一种自动垃圾分类的多功能垃圾桶及其工作方法
KR101921858B1 (ko) 중고 의류 분류 시스템
KR102325419B1 (ko) 헌옷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헌옷 선별 시스템
CN110725097A (zh) 一种洗衣、烘干、叠衣一体机智能控制系统
CN110516625A (zh) 一种垃圾识别分类的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JP2020135494A (ja) 画像検索装置および教師データ抽出方法
KR20220091227A (ko) 재활용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워드 포인트 지급 방법
CN108328154A (zh) 一种智能垃圾分类回收系统及方法
US20210272259A1 (en) Smart textile items dispensing and return systems
CN107597608B (zh) 一种用于衣物智能回收的方法及智能衣物回收装置
KR102201061B1 (ko) 스마트 헌옷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2718A (ko) 서버 장치, 데이터 제공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
CN107671002A (zh) 基于视觉检测的服装分拣方法及其装置
KR20220128151A (ko) 스마트 분리 수거 장치
TWI641543B (zh) 垃圾收集系統及其方法
CN110451122A (zh) 一种分类垃圾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