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705B1 -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 Google Patents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705B1
KR102324705B1 KR1020210138581A KR20210138581A KR102324705B1 KR 102324705 B1 KR102324705 B1 KR 102324705B1 KR 1020210138581 A KR1020210138581 A KR 1020210138581A KR 20210138581 A KR20210138581 A KR 20210138581A KR 102324705 B1 KR102324705 B1 KR 102324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food
curved surface
handle portio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섭
Original Assignee
김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섭 filed Critical 김희섭
Priority to KR102021013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705B1/ko
Priority to PCT/KR2022/015313 priority patent/WO2023068626A1/ko
Priority to US18/257,747 priority patent/US2024004992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을 뒤집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 사이에 위치한 음식물이 집게가 오므려짐에 따라, 집게의 내부구조를 통해 음식물이 회전하여 뒤집어지도록 종단면이 개방된 반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 집게부가 구비된 제1 집게몸체와, 음식물을 제1 집게부의 곡면을 따라 밀어올리는 제2 집게부가 구비된 제2 집게몸체가 음식물을 향해 오므려짐에 따라 음식물이 뒤집어지는 집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Spatula with tongs}
본 발명은 집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 사이에 위치한 완자, 전, 부침개와 같은 낮으면서 넓은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이 집게가 오므려짐에 따라, 집게의 내부구조를 통해 음식물이 회전하여 뒤집히도록하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는 물건을 집는데 쓰이는 것으로 끝이 두가닥으로 갈라져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고, 손으로 잡기 어려운 물건을 끝이 두가닥으로 갈라져 있는 집게부를 오므려 물건을 집는데 사용하며 가정에서는 조리도구로써 팬 위에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경우 음식물을 집기위하여 많이 사용하고, 집게를 통해 음식물을 뒤집어 골고루 음식물이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집게를 통해 음식물을 뒤집는 경우, 사용자가 음식을 집게로 집은 상태에서 손목을 돌려 음식물을 집고있는 집게를 회전시킴으로써 음식물을 뒤집을 수 있으나 대량의 음식물을 일일이 집게로 집어 넘기는 경우, 음식물을 뒤집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늦게 뒤집히는 음식물이 타게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5265호(이하" 인용발명"이라함)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뒤지게판과 제2 뒤지게판이 상하로 집게 역할을 하면서 음식물을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넓은 판 형상으로 여러 개의 음식을 집은 후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음식물을 뒤집기 위하여 음식을 집은 후, 손목을 돌려 음식물을 뒤집어야 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음식을 가열하는 경우 또는 계속 음식물을 뒤집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목에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완자, 미니돈가스 및 삼겹살과 같은 낮고 넓은 음식은 집게로 뒤집기 위하여 집게를 통해 얇은 음식물을 쉽게 잡은 후 뒤집기게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55265호 '집게 겸용 뒤지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단면이 개방된 반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 집게부가 구비된 제1 집게몸체와, 음식물을 제1 집게부의 곡면을 따라 밀어올리는 제2 집게부가 구비된 제2 집게몸체가 음식물을 향해 오므려짐에 따라 음식물이 뒤집어지는 집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에 제1 집게부가 구비된 제1 집게몸체; 상기 제1 집게부와 대응되도록 일단에 제2 집게부가 구비된 제2 집게몸체;를 포함하여,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 사이에 위치되는 음식물을 향해 오므라들 수 있되, 상기 제1 집게부는, 종단면이 제2 집게부를 향해 개방된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집게몸체 및 제2 집게몸체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2 집게부가 음식물을 상기 제1 집게부의 곡면을 따라 밀어올려 음식물이 뒤집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집게부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집게부는, 수평면으로부터 예각을 이루면서 상기 제1 집게부의 내측 곡면을 마주보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집게부는 상기 경사면의 하방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상기 제1 집게부의 곡면을 따라 밀어올리는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집게몸체 및 제2 집게몸체는, 각각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로부터 상향되게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 및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제2 손잡이부는, 각각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단면이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집게부와 음식물을 밀어주는 지지면이 구비된 제2 집게부가 오므려짐에 따라, 제2 집게부가 음식물을 제1 집게부의 곡면을 따라 밀어올려 음식물을 뒤집게 되면서 손목의 회전 없이 제1 집게몸체와 제2 집게몸체를 오므리는 것을 통해 음식물을 쉽게 뒤집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간단하게 음식을 집는 동작을 통해 완자, 미니돈가스, 삼겹살 등 낮고 넓은 음식들의 상하가 뒤집히게끔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집게의 정면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집게의 측면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집게의 전면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집게의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집게부가 구비된 집게의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종단면이 개방된 반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 집게부가 구비된 제1 집게몸체와, 음식물을 제1 집게부의 내측 곡면을 따라 밀어올리는 제2 집게부가 구비된 제2 집게몸체가 음식물을 향해 오므려짐에 따라 음식물이 뒤집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집게(A)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제1 집게부(110)가 구비된 제1 집게몸체(100)와, 일단에 구비되는 제2 집게부(210)가 제1 집게부(110)와 대응되도록 하는 제2 집게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집게몸체(100) 및 제2 집게몸체(200)는 각각 구비된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210)로부터 각각 상향되게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20)와 제2 손잡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게몸체(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집게부(110)가 구비되고, 제1 집게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제1 집게부(110)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집게몸체(200)와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타단이 제2 집게몸체(200)의 타단과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집게몸체(100)의 타단과 제2 집게몸체(200)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300)는, 제1 집게몸체(100)의 타단과 제2 집게몸체(200)의 타단을 연결하되, 하방이 개방된 반 원을 가지면서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집게몸체(100)와 제2 집게몸체(200)가 외력에 의해 오므려진 후 다시 서로 평행한 형상으로 탄성에 의해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는 하방이 개방된 “U”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집게몸체(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제2 집게부(210)가 구비되고, 제2 집게부(210)는 수평면으로부터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211)이 구비되며, 경사면(211)의 하방에 구비되면서 음식물(10)을 제1 집게부(110) 방향으로 밀어주는 지지면(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집게부(2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2 집게부(210)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게부(110)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집게몸체(100)의 일단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음식물(1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마주보는 제2 집게부(210)를 향해 개방된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집게부(110)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단의 두께가 상단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제2 집게부(210)로부터 밀려지는 음식물(10)이 제1 집게부(110)의 내측 곡면에 밀어올려질 수 있다.
또한, 제1 집게부(110)의 형상은 제2 집게부(210)를 향해 개방된 반 타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집게부(210)를 향해 개방된 내부에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집게부(210)와 대응하여 오므려짐에 따라 음식물(10)이 내측 곡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내부 형상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이 때, 제1 집게부(110)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10)이 제2 집게부(210)를 통해 제1 집게부(110)의 곡면을 따라 밀어올려질 때 음식물(10)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제1 집게부(110)가 변형됨에 따라, 음식물(10)이 압착되거나 형태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래 형태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통하여 음식물(10)이 집게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 집게부(110)의 내측 곡면은 따라 밀어 올려지는 음식물(10)을 낙하시킬 수 있다.
제2 집게부(210)는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으로부터 예각을 이루면서 상기 제1 집게부(110)의 내측 곡면을 마주보는 경사면(211)이 형성되고, 경사면(211)의 하방에 구비되어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210) 사이에 위치한 음식물(10)을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210)가 오므려짐에 따라, 제1 집게부(110)의 내측 곡면을 따라 밀어올리는 지지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면(212)은 음식물(10)의 높이보다 더 높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집게부(110)로부터 상향되게 연장 형성되면서 제1 집게부(110)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손잡이부(120)와 제2 집게로부터 상향되게 연장 형성되면서 제2 집게부(210)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손잡이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손잡이 부에는 사용자가 쉽게 집게를 파지 할 수 있도록 그립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립은 집게의 열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혹은 목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집게(A)의 동작을 도 5 내지 도 1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집게몸체(100)와 제2 집게몸체(200)를 포함하는 집게(A)는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210) 사이에 위치되는 음식물(10)을 향해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210)가 오므려들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집게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제1 손잡이부(120)와 제2 손잡이부(220)를 파지하고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210)를 맞닿게 하기 위하여 외력을 가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10)이 음식물(10)과 수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음식물(1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 제2 집게부(210)의 지지면(212)에 의해 밀려져 하단이 얇게 형성된 제1 집게부(110)의 내측 곡면을 향해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이 후,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210)가 오므려지면서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210)사이에 위치하는 음식물(10)은 지지면(212)에 의해 밀려져 제1 집게부(110)의 내측 곡면을 따라 올려지게되고, 제2 집게부(210)와 제1 집게부(110)가 더 오므려지면서 음식물(10)은 제2 집게부(210)의 경사면(211)에 걸쳐지게끔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집게(A)에 가해지는 외력을 해제하는 경우, 제1 집게몸체(100)와 제2 집게몸체(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의 탄성에 의해 오므려진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21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서, 제2 집게부(210)의 경사면(211)에 걸쳐져 있는 음식물(10)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어, 원래 상태에서 회전된 상태로 바닥에 놓여 질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프라이 팬 위에 복수의 미니 돈가스와 같은 높이가 낮고 넓은 형상을 가진 복수 개의 음식물이 놓여져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집게(A)를 통하여 음식물이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 (210)사이에 위치하도록 집게(A)를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간단하게 집게(A)를 집는 동작을 하게되면, 음식물이 제2 집게부(210)의 지지면(212)에 의해 제1 집게부(110)의 내측 곡면을 따라 밀어 올려지면서 제2 집게부(210)의 경사면(211)에 걸쳐지게 되고, 사용자가 집게(A)를 놓는 동작을 하게되면 제2 집게부(210)의 경사면(211)에 걸쳐있는 음식물이 프라이 팬이 바닥으로 떨어져 뒤집히게 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큰 음식물(10) 또는 단단한 형태의 음식물(10)을 집게(A)를 통해 회전시키는 경우,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집게부(210)의 지지면(212)을 통해 제1 집게부(110)로 음식물(10)이 밀어 올려짐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집게부(110)가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지지면(212)을 통해 밀어 올려진 음식물(10)이 제1 집게부(110) 내측 곡면을 따라 회전할 때 제1 집게부(110)의 내측 곡면이 탄성에 의해 변형되면서 음식물(10)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A: 집게 10: 음식물
100: 제1 집게몸체 110: 제1 집게부
120: 제1 손잡이부
200: 제2 집게몸체 210: 제2 집게부
211: 경사면 212: 지지면
220: 제2 손잡이부
300: 연결부

Claims (5)

  1. 일단에 제1 집게부(110)가 구비된 제1 집게몸체(100);
    상기 제1 집게부(110)와 대응되도록 일단에 제2 집게부(210)가 구비된 제2 집게몸체(200);를 포함하여, 제1 집게부(110)와 제2 집게부(210)사이에 위치되는 음식물(10)을 향해 오므라들 수 있되,
    상기 제1 집게부(110)는, 종단면이 제2 집게부(210)를 향해 개방된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집게몸체(100) 및 제2 집게몸체(200)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2 집게부(210)가 음식물(10)을 상기 제1 집게부(110)의 곡면을 따라 밀어올려 음식물(10)이 뒤집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게부(110)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게부(210)는, 수평면으로부터 예각을 이루면서 상기 제1 집게부(110)의 내측 곡면을 마주보는 경사면(2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게부(210)는 상기 경사면(211)의 하방에 구비되어, 음식물(10)을 상기 제1 집게부(110)의 곡면을 따라 밀어올리는 지지면(2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게몸체(100) 및 제2 집게몸체(200)는, 각각 제1 집게부(110) 및 제2 집게부(210)로부터 상향되게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120) 및 제2 손잡이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손잡이부(120) 및 제2 손잡이부(220)는, 각각 제1 집게부(110) 및 제2 집게부(210)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KR1020210138581A 2021-10-18 2021-10-18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KR10232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581A KR102324705B1 (ko) 2021-10-18 2021-10-18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PCT/KR2022/015313 WO2023068626A1 (ko) 2021-10-18 2022-10-11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US18/257,747 US20240049920A1 (en) 2021-10-18 2022-10-11 Tongs for turning over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581A KR102324705B1 (ko) 2021-10-18 2021-10-18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705B1 true KR102324705B1 (ko) 2021-11-11

Family

ID=7851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581A KR102324705B1 (ko) 2021-10-18 2021-10-18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49920A1 (ko)
KR (1) KR102324705B1 (ko)
WO (1) WO20230686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626A1 (ko) * 2021-10-18 2023-04-27 김희섭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265Y1 (ko) 2004-04-24 2004-07-05 주식회사 해피콜 집게 겸용 뒤지게
KR20070000034U (ko) * 2006-12-13 2007-01-05 이현진 뒤집개
KR20130032774A (ko) * 2011-09-23 2013-04-02 맹주한 호떡용 조리기구
KR200478419Y1 (ko) * 2014-06-02 2015-10-02 (주)장업시스템 에어쿠션용기의 스펀지 교체용 집게
JP2021058581A (ja) * 2019-10-04 2021-04-15 竹内 常雄 ピザ等を切るピザカッタートン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705B1 (ko) * 2021-10-18 2021-11-11 김희섭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265Y1 (ko) 2004-04-24 2004-07-05 주식회사 해피콜 집게 겸용 뒤지게
KR20070000034U (ko) * 2006-12-13 2007-01-05 이현진 뒤집개
KR20130032774A (ko) * 2011-09-23 2013-04-02 맹주한 호떡용 조리기구
KR200478419Y1 (ko) * 2014-06-02 2015-10-02 (주)장업시스템 에어쿠션용기의 스펀지 교체용 집게
JP2021058581A (ja) * 2019-10-04 2021-04-15 竹内 常雄 ピザ等を切るピザカッタート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626A1 (ko) * 2021-10-18 2023-04-27 김희섭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49920A1 (en) 2024-02-15
WO2023068626A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993A (en) Food handling tongs
US5403052A (en) Egg spatula
US6000739A (en) Barbeque grill handle and utility tool
KR102324705B1 (ko) 음식물을 뒤집는 집게
US5487330A (en) Taco baking and serving pan
US5649728A (en) Tong-like eating utensil
US6312030B1 (en) Food manipulating tool
US9220363B2 (en) Grilling utensil that doubles as a removable handle
US5076628A (en) Food handling tongs with serrated blade slots
US4182032A (en) Combination fork device
TWM560781U (zh) 自動料理蛋裝置
US4088360A (en) Kitchen utensil
US967263A (en) Turner.
US2587133A (en) Spit-handling device
US2767565A (en) Platter and supporting handles
US10993564B1 (en) Retention device for low-structure food item
CN210910054U (zh) 一种碗盘抓手
JP2018050713A (ja) フィンガートング
US2959442A (en) Kitchen appliance
CN211582786U (zh) 碗盘抓手
US2100080A (en) Utensil
US1670732A (en) Pan lifter
US20230172397A1 (en) Food Handling Device
US1511128A (en) Pan lifter
JP2006230999A (ja) さじ挟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