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769B1 -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769B1
KR102323769B1 KR1020140130793A KR20140130793A KR102323769B1 KR 102323769 B1 KR102323769 B1 KR 102323769B1 KR 1020140130793 A KR1020140130793 A KR 1020140130793A KR 20140130793 A KR20140130793 A KR 20140130793A KR 102323769 B1 KR102323769 B1 KR 102323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ouch
electrode
circuit board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264A (ko
Inventor
이미정
윤수영
한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7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터치배선전극과 회로기판의 연결관계를 갖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회로기판의 일면에 제1 연결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연결전극이 형성된 회로기판의 다른 일면에 제2 연결전극이 형성된다.
제1 연결전극은 터치전극이 형성된 제1 기판의 제1 패드전극과 연결되고, 제2 연결전극은 제2 기판의 제2 패드전극과 연결된다.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회로기판의 연결구조를 갖으므로 제1 기판의 터치배선전극을 제2 기판으로 연결하는 구조가 필요 없으므로 슬림갭을 갖으면서 터치배선전극의 연결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TOUCH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한 기판을 사용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기판과 회로기판과의 연결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 할 수 있는 터치전극 등을 디스플레이 패널과 일체화한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별도의 터치 감지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가능한 장점이 있다.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기판 중 선택된 기판 상에 터치 감지 전극을 형성하고 터치 배선전극을 패드부로 연장하여 회로 기판과 연결하게 된다.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동작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Resistiv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적외선 방식(IR)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근래에는 정전용량 방식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본적으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ce)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을 사용하여 복수의 터치 전극을 상부 기판에 형성하게 된다.
터치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터치 배선전극은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부로 연장되어 회로부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부는 상부 기판과 대향하는 하부 기판에 주로 형성되고 상부 기판에 형성된 터치 배선전극을 패드부로 연결하기 위하여, 도전볼을 포함하는 ACF(Anisotrotic conductive film)를 상부 기판의 연결 전극과 하부기판의 패드 전극 사이에 형성하고 가열 압착하는 방식(Tab bonding)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彭? 플렉서블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현하기 한 많은 연구과제가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합착할 때 사용되는 도전볼의 크기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그러나, 너무 작은 크기의 도전볼을 사용하는 경우 상부 기판에 형성된 터치 배선전극이 하부 기판으로 잘 연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합착 갭(Gap)에 비하여 크기가 큰 도전볼을 사용하는 경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합착 갭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면서 ?彭? 플렉서블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터치패널 제조용 본딩장치 (특허출원번호 제 10-2011-0137074 호)
?坪만庸? 플렉서블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현하기 위해 터치 배선전극을 상부 기판에서 하부 기판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볼을 사용한 연결방식에서, 도전볼의 크기에 따라 터치 배선전극의 연결 불량 및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합착 갭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터치 배선전극의 연결시 도전볼을 사용하는 연결 방식과 상관없이 하부 기판으로의 터치배선전극의 연결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부 기판과 하부기판 간의 합착 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복수의 터치전극, 복수의 터치 배선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액티브 영역이 정의된 제2 기판을 합착한 상태에서 제1 기판의 터치 배선전극과 회로기판이 연결될 수 있고, 제2 기판에 정의된 패드부와 회로기판이 연결될 수 있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복수의 터치전극이 제1 기판상에 형성되고 제1 기판상에 형성된 터치배선전극은 터치전극과 연결되어 제1 패드영역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고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가 형성된 액티브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영역을 포함하는 제2 기판이 제공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회로기판이 제공된다. 회로기판의 제1 연결영역이 형성된 면과 상이한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영역이 정의된다. 회로기판의 제1 연결영역에는 제1 연결전극이 형성되고, 제2 연결영역에는 제2 연결전극이 형성된다. 제1 패드영역에는 터치배선전극과 연결된 제1 패드전극이 형성되며, 제2 패드영역에 형성된 유기발광소자와 연결된 제2 패드전극이 형성된다. 제1 패드전극과 제1 연결전극은 서로 대향하여 연결되고 제2 패드전극과 제2 연결전극은 서로 대향하여 연결됨으로서 액티브영역에 형성된 유기발광 소자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기판에 형성된 터치전극또한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상에 복수의 컬러필터 및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기판은 제2 패드영역과 대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기판은 상기 제1 패드영역과 대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연결영역과 제2 연결영역은 회로기판의 서로 다른 면에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패드영역과 상기 제1 연결영역은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패드영역과 제2 연결영역은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패드전극과 제1 연결전극은 도전볼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패드전극과 제2 연결전극은 도전볼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기판과 제2 기판 중 선택된 기판은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면에서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회로기판은 플렉서블 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배선홀 및 배선홀을 통해 회로기판의 타측면으로 연장된 회로배선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회로기판과 직접 연결함으로써 터치전극을 대향하는 기판으로 연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기판과 직접 연결가능한 회로기판을 구비함으로서 슬림갭을 갖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위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터치배선전극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전극과 회로기판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회로기판의 회로배선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위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터치전극(111) 및 터치배선전극(112)을 포함하는 제1 기판(110)과 유기발광소자(미도시), TFT(Thin Flim Transistor, 구동소자: 미도시), COG(Chip on Glass: 121) 및 TFT배선전극(123)을 포함하고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120)을 포함한다.
터치전극(111)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전극으로 ITO(인듐주석산화물)나 IZO(인듐아연산화물)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정전용량 방식(Capacityve Type Touch)의 터치감지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정전용량 방식을 예로서 설명하자면, 터치전극(111)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터처전극(111)은 터치배선전극(112)과 연결되고 터치배선전극(112)은 회로기판(130)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은(130)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FPCB(Flexible PCB)일 수 있으며 PET(Polyester), Polyimide(PI)등과 같은 재질이 주로 사용되며 회로관련 칩(Chip) 등이 내장될 수 있다.
터치감지를 위한 회로와의 연결이외에도 디스플레이 관련 구동 신호 등을 전달 및 제어하기 위한 전극 배선도 회로기판(130)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 기판(120)과 회로기판(130)은 서로 연결된다.
회로기판(130)과 제1 기판(110)은 제1 기판(110)상에 정의된 제1 패드영역(140)에서 연결되고, 회로기판(130)과 제2 기판(120) 은 제2 기판(120)상에 정의된 제2 패드영역(150)에서 연결된다.
회로기판(130)과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의 상세한 연결 방법은 후술 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터치배선전극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1의 A-A’에 다른 단면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 기판(110)은 컬러필터(CF) 및 블랙매트릭스(BM)을 포함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기판(110)은 터치전극(111)과 터치배선전극(112)를 포함하며 제1 패드영역(140)이 정의되어 있다.
제1 패드영역(140)은 회로기판(130)과 연결되는 영역으로 도전볼을 포함하는 레진(Resin)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패드영역(140)은 제1 패드전극(141)을 포함한다.
제1 패드전극은(141)은 터치배선전극(112)와 연결되어 터치관련 감지 신호를 회로기판(130)에 전달할 수 있다.
회로기판(130)에는 제1 패드영역(140)에 대응하는 제1 연결영역(131)이 정의되어 있으며, 제1 연결영역(131)은 제1 연결전극(133)을 포함한다.
제1 연결전극(133)과 제1 패드전극(141)은 서로 대향하여 연결되며, 연결시 도전볼 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기판(110)과 대향하는 제2 기판(120)은 구동소자 및 유기발광층(122)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은 서로 대향하되 회로기판(130)과의 제1 기판(110)의 연결을 위한 제1 패드영역(140)과는 중첩 또는 오버랩 구간이 최소화 된다.
회로기판(130)의 두께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이 접합되는 거리보다 두꺼울 수 있으나, 제1 패드영역(140)에서 중첩되는 구간이 최소화 되어 박형의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현함에 있어 회로기판(130)의 두께에 영향이 최소화 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전극과 회로기판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컬러필터(CF), 블랙매트릭스(BM) 및 터치전극(111)을 포함하는 제1 기판(110)과 대향하는 제2 기판(120)이 제공된다.
제2 기판(120)은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122), TFT배선전극(123) 및 COG(121)를 포함하고, 제2 패드영역(150)이 정의되어 있다.
제2 패드영역(150)은 TFT배선전극(123)과 연결된 제2 패드전극(151)을 포함하여 회로기판(130)과 연결되도록 한다.
제2 패드전극(151)은 제2 연결전극(134)와 연결되어 회로기판(130)과 연결되며, 연결을 위한 도전볼 및 레진(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로기판(130)은 제2 연결전극(134)를 포함하는 제2 연결영역(132)가 정의되어 있다.
제2 연결영역(132)는 제1 기판(110)과 중첩 또는 오버랩 되는 구간이 최소화 되어 있다.
오버랩 구간의 최소화로 인하여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의 합착 거리에 영향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판간의 합착 거리에 영향이 없으므로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박형화에 따른 회로기판(130)의 영향이 최소화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회로기판의 회로배선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30)은 제1 기판(110)의 제1 패드영역(140)과 대응하는 제1 연결영역(131)과 제2 기판(120)의 제2 패드영역(150)과 대응하는 제2 연결영역(132)를 포함한다.
제1 연결영역(131)은 제1 연결전극(133)을 포함하고, 제1 패드영역(150)은 제1 패드전극(141)을 포함한다.
제1 연결전극(133)과 제1 패드전극(141)은 연결되며, 연결을 위한 도전볼을 포함하는 Resin층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제2 연결영역(132)은 제2 연결전극(134)을 포함하고, 제2 패드영역(150)은 제2 패드전극(151)을 포함한다.
제2 연결전극(134)과 제2 패드전극(151)은 연결되며, 연결을 위한 도전볼 및 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기판(110)은 터치관련 배선전극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1 패드전극(141)과 연결되어 회로기판(130)과 연결된다.
제2 기판(120)은 TFT등 구동소자의 구동을 위한 TFT배선전극(123)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2 패드전극(151)과 연결되어 회로기판(130)과 연결된다.
회로기판(130)의 제1 연결전극(133) 및 제2 연결전극(134)은 FPC배선전극(136)과 연결되어 있다.
FPC배선전극(136)은 회로기판(130)에서 일면 또는 타 측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컨택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A, 100B, 100C, 100D: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laims (13)

  1. 복수의 터치전극, 복수의 터치배선전극, 적어도 한 쌍의 제1 패드영역 및 상기 한 쌍의 제1 패드영역 사이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액티브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영역을 포함하는 제2 기판;
    상기 액티브영역에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기발광소자;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영역 및 제2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상기 한 쌍의 제1 패드영역에 포함된 상기 터치배선전극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전극;
    상기 제2 패드영역에 포함된 상기 구동소자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전극;
    상기 제1 연결영역에 포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전극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전극; 및
    상기 제2 연결영역에 포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전극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기판 상의 상기 제1 패드전극에 의하여 직접 연결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2 기판 상의 상기 제2 패드전극에 의하여 직접 연결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1 연결 영역은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중 상기 제1 기판과 중첩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은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중 상기 제2 기판과 중첩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패드영역은 상기 제1 기판의 일변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서 상기 제2 기판의 단부보다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패드영역은 상기 개구부로 인해 상기 제1 기판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상에 복수의 컬러필터 및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한 쌍의 제1 패드영역과 대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영역과 상기 제2 연결영역은 상기 회로기판의 서로 다른 면에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패드영역과 상기 제1 연결영역은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영역과 상기 제2 연결영역은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전극과 상기 제1 연결전극은 도전볼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전극과 상기 제2 연결전극은 도전볼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중 선택된 기판은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면에서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플렉서블 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배선홀; 및
    상기 배선홀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의 타측면으로 연장된 회로배선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140130793A 2014-09-30 2014-09-30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KR102323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93A KR102323769B1 (ko) 2014-09-30 2014-09-30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93A KR102323769B1 (ko) 2014-09-30 2014-09-30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264A KR20160038264A (ko) 2016-04-07
KR102323769B1 true KR102323769B1 (ko) 2021-11-09

Family

ID=5578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793A KR102323769B1 (ko) 2014-09-30 2014-09-30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8804A (zh) * 2020-03-13 2020-06-1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0247A1 (en) * 2006-09-19 2010-09-23 Super Elite Technology Company Limited Three-dimensional connector for a coordinate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14B1 (ko) * 2004-11-19 2011-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일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12212A (ko) * 2009-07-30 2011-02-09 아이티엠 주식회사 양면 fpc의 상하 단자 분리로 굴곡없이 터치패널의 상하판을 접합한 구조의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69076A (ko) * 2011-12-16 2013-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용 기판과 fpcb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0247A1 (en) * 2006-09-19 2010-09-23 Super Elite Technology Company Limited Three-dimensional connector for a coordinate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264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8036B2 (en) Display device
TWI686729B (zh) 包含觸控感測器之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9645430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US8994677B2 (en) Touch sensing structure
KR101331964B1 (ko)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US20140184951A1 (en) Touch display device
US20120146919A1 (en) Touch screen panel
JP3198960U (ja) タッチ装置
TWM464736U (zh) 觸控面板
US20140340597A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201426447A (zh) 觸控面板
US9600106B2 (en) Electronic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7007258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
JP5934382B2 (ja) 表示装置
KR102095240B1 (ko) 좁은 베젤영역을 갖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52830B1 (ko) 터치 패널
KR102323769B1 (ko)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US9681545B2 (en) Substrate structure and display panel using same
KR102187925B1 (ko) 터치 패널
US20160103509A1 (en) Touch display device
KR10141442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50039537A (ko) 터치 패널
KR102205878B1 (ko)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497126A (zh) 显示装置
KR20150091725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