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566B1 -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566B1
KR102323566B1 KR1020190067398A KR20190067398A KR102323566B1 KR 102323566 B1 KR102323566 B1 KR 102323566B1 KR 1020190067398 A KR1020190067398 A KR 1020190067398A KR 20190067398 A KR20190067398 A KR 20190067398A KR 102323566 B1 KR102323566 B1 KR 102323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ydrophilic
hydrophobic
fib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566B9 (ko
KR20200140583A (ko
Inventor
우상혁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5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566B1/ko
Publication of KR10232356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56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를 이용한 다층 구조의 에어콘 필터 및 다층 구조의 마스크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친수성 필터층과 소수성 필터층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의 필터로, 친수성 필터 표면에 안정적으로 구현된 물 층(외부서 공급 혹은 수증기가 액화되어 형성)이 미세먼지와의 높은 흡착력을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높은 통기성에서도 효율적인 먼지포집 및 유해가스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공기 중 수증기의 응축(액화)을 바탕으로 함께 이용되는 정전기 필터의 공기중 수증기로부터 야기되는 효율 감소를 완화시켜 정전기 필터의 지속성을 확보한다. 소수성 필터는 미세먼지를 추가적으로 포집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층 역할을 하게 된다.

Description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MULTI LAYERED DUST FILTER}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를 이용한 다층 구조의 에어콘 필터 및 다층 구조의 마스크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효율적인 집진을 위해 먼지필터는 높은 집진효율과 함께 우수한 통기성이 요구된다. 지금까지의 고체필터는 집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작은 기공의 섬유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압력손실의 증가와 함께 통기성을 낮추는 주요 요인이다. 때문에 먼지와의 흡착력을 높여 기공의 크기를 줄이지 않으면서도 집진효율을 높이는 기술은 마스크 이용 시 더욱 효과적인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기술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정전기 필터를 이용한 집진이 있으나 정전기 필터는 유분이나 물에 정전기력이 급속히 감소하기 때문에 높은 습도에서의 이용에는 장기 지속성에 한계가 있어왔다.
최근 본 발명자는 고체와 액체와의 강한 흡착을 이용하기 위해 수백 나노미터의 비휘발성 액상박막을 계면에너지 조절을 통해 기공성 기판 표면에 구현하여 고체먼지를 액상막에 효과적으로 포집하는 액상박막 필터를 개발하였다. 액상박막 필터는 고체먼지-고체필터에 비해 10~30배 이상 강한 흡착력을 바탕으로 우수한 통기성의 기판에서도 효과적인 집진이 가능하였으나, 액상박막의 구현을 위해 액상물질을 도입해야 하고 이는 함께 활용되는 정전식 필터 등의 효율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액상물질의 외부로의 유출을 막는 추가적인 틀 등이 반드시 요구되어 기존의 필터들과 함께 사용 시 공정의 복잡성 및 단가 상승의 이슈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친수성 필터, 소수성 필터 및 정전기 필터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먼지의 집진 효율을 극대화하고, 친수성 필터에 의해 공기 중 수증기를 액화시키므로 정전기 필터가 수분에 취약한 점을 보완하며, 소수성 필터를 친수성 필터와 정전기 필터 사이에 둠으로써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3가지 필터의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는, 친수성 필터부; 소수성 필터부; 및 정전기 필터부를 포함하고, 친수성 필터부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소수성 필터부는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친수성 필터부는 액상 박막을 형성하여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소수성 필터부는 상기 친수성 필터부에 응축된 물이 액체 상태로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친수성 섬유는 수산화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면에 존재하며, 50mN/m 이상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종이와 같은 셀룰로스(cellulose) 기반 섬유, 유리 섬유, 고분자, 금속망(metal grid) 및 산화 금속망(metal oxide grid)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섬유는 40mN/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에어콘 필터는, 프리 필터; 미디움 필터 및 고효율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로 친수성 필터가 이용되며, 상기 미디움 필터로 소수성 필터가 이용되고, 상기 고효율 필터로 정전기 필터가 이용되며, 상기 프리 필터는 액상 박막을 형성하여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미디움 필터는 상기 프리 필터에 응축된 물이 액체 상태로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친수성 섬유는 수산화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면에 존재하며, 50mN/m 이상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종이와 같은 셀룰로스(cellulose) 기반 섬유, 유리 섬유, 고분자, 금속망(metal grid) 및 산화 금속망(metal oxide grid)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섬유는 40mN/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마스크 필터는, 외부로부터 차례대로 친수성 필터부; 소수성 필터부; 정전기 필터부; 소수성 필터부; 친수성 필터부; 및 소수성 필터부를 포함하고, 친수성 필터부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소수성 필터부는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친수성 필터부는 액상 박막을 형성하여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소수성 필터부는 상기 친수성 필터부에 응축된 물이 액체 상태로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친수성 섬유는 수산화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면에 존재하며, 50mN/m 이상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종이와 같은 셀룰로스(cellulose) 기반 섬유, 유리 섬유, 고분자, 금속망(metal grid) 및 산화 금속망(metal oxide grid)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섬유는 40mN/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수성 필터, 소수성 필터 및 정전기 필터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먼지의 집진 효율을 극대화하고, 친수성 필터에 의해 공기 중 수증기를 액화시키므로 정전기 필터가 수분에 취약한 점을 보완하며, 소수성 필터를 친수성 필터와 정전기 필터 사이에 둠으로써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3가지 필터의 효율을 극대화하였다.
에어컨의 경우 특히 높은 습도의 환경에서 가동되는 경우가 많으며, 마스크는 날숨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층 구조의 필터는 특히 이러한 응용분야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에어콘 필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마스크 필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친수성 필터층과 소수성 필터층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의 필터로, 친수성 필터 표면에 안정적으로 구현된 물 층(외부서 공급 혹은 수증기가 액화되어 형성)이 미세먼지와의 높은 흡착력을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높은 통기성에서도 효율적인 먼지포집 및 유해가스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공기 중 수증기의 응축(액화)을 바탕으로 함께 이용되는 정전기 필터의 공기중 수증기로부터 야기되는 효율 감소를 완화시켜 정전기 필터의 지속성을 확보한다. 소수성 필터는 미세먼지를 추가적으로 포집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층 역할을 하게 된다.
공기중의 물(수증기)은 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 및 마스크에 주로 이용되는 정전기 필터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대표적 요인이다. 때문에 습도가 높은 날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를 구동하게 되면 정전기 필터의 효율이 급감하게 되며, 마스크의 경우 호흡 시 발생하는 수증기로 인해 정전기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어 지속적인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정전기 필터는 1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입자를 포집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터로 이러한 효율 감소는 필터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의 개략도이다.
도 1a에서 처럼,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는 친수성 필터부(10); 및 소수성 필터부(20)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외피층이 되는 친수성 필터에 물을 공급 시 필터 표면에는 액상의 수막이 형성된다. 물(수돗물, 생수 등)을 적시거나 뿌려주어 공급할 수 있고, 마스크로의 이용시 호흡 시 배출되는 수증기가 응축(액화)되어 공급될 수 있다(친수성 표면의 경우 낮은 액화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빠르고 효과적인 수증기 응축이 가능함). 이렇게 형성된 수막은 고체먼지와의 강한 흡착을 보이게 되어 같은 기공을 갖는 기판(동일한 통기성)에서 보다 효과적인 집진이 가능해진다. 내피층인 소수성 필터들은 기존의 마스크용 고체필터들과 같이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기능과 더불어 물에 젖지 않기 때문에 외피에 있는 물의 마스크로의 이용시 피부에의 직접접촉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친수성 외피 수막에 흡착된 먼지는 흐르는 물에 세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재사용이 용이하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로서, 이러한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는 친수성 필터부(10); 소수성 필터부(20); 및 정전기 필터부(30)를 포함한다.
친수성 필터부(10)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친수성 섬유는 수산화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면에 존재하며, 50mN/m 이상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종이와 같은 셀룰로스(cellulose) 기반 섬유, 유리 섬유, 고분자, 금속망(metal grid) 및 산화 금속망(metal oxide grid)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소수성 필터부(20)는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소수성 섬유는 40mN/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친수성 필터는 수산화기(Hydroxyl Group),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아민기(Amine Group) 등이 표면에 다수 존재하는 높은 표면에너지의 기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때문에 공기중의 기체상태의 물(수증기)이 쉽게 응축(Condensation)되며 이는 정전기 필터로 도달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친수성 필터에 응축되어 구현된 액상 박막으로 인해 고체먼지-액상 박막 간 강한 흡착을 바탕으로 더욱 높은 집진 효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물은 황산화물(SOx) 등 많은 종류의 유해가스를 높은 용해도로 용해시키기 때문에 먼지입자(Particulate Matter)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체필터들에는 없는 가스에 대한 차단성도 확보하게 된다. 친수성 필터와 함께 사용되는 소수성 필터는 친수성 필터에 응축된 물이 액체상태로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안정적인 물 박막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친수성 필터부(10)는 액상 박막을 형성하여 먼지를 집진하고, 소수성 필터부(20)는 친수성 필터부에 응축된 물이 액체 상태로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며, 이 경우 정전기 필터부(30)로의 차단을 막고 공기 중 수분을 친수성 필터부(10)가 수집함으로써 수분에 약한 정전기 필터부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에어컨의 경우 특히 높은 습도의 환경에서 가동되는 경우가 많으며, 마스크는 날숨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층 구조의 필터는 특히 이러한 응용분야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에어콘 필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위의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에어콘 필터는, 프리 필터(10); 미디움 필터(20) 및 고효율 필터(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로 친수성 필터가 이용되며, 상기 미디움 필터로 소수성 필터가 이용되고, 상기 고효율 필터로 정전기 필터가 이용되며, 상기 프리 필터는 액상 박막을 형성하여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미디움 필터는 상기 프리 필터에 응축된 물이 액체 상태로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친수성 섬유는 수산화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면에 존재하며, 50mN/m 이상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종이와 같은 셀룰로스(cellulose) 기반 섬유, 유리 섬유,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소수성 섬유는 40mN/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마스크 필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역시, 위의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마스크 필터는, 외부로부터 차례대로 친수성 필터부; 소수성 필터부; 정전기 필터부; 소수성 필터부; 친수성 필터부; 및 소수성 필터부를 포함하고, 친수성 필터부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소수성 필터부는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친수성 필터부는 액상 박막을 형성하여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소수성 필터부는 상기 친수성 필터부에 응축된 물이 액체 상태로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친수성 섬유는 수산화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면에 존재하며, 50mN/m 이상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종이와 같은 셀룰로스(cellulose) 기반 섬유, 유리 섬유,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소수성 섬유는 40mN/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실시예 1은 먼지 필터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2는 에어콘 필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은 마스크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는 종이, 펄프, 셀룰로즈, 폴리알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레이온(Rayon) 등의 친수성 섬유와 실리콘고분자(Polysilicone), Polyvinylidene Fluoride(PVDF), Polyacrylonitrile(PAN), 불소수지의 Polytetrafluoroethylene(PTFE), 폴리에스터(Polyester) 등 소수성의 섬유를 접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친수성 섬유는 위에서 제시한 섬유 외에도 수산화기(Hydroxyl Group),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아민기(Amine Group) 등이 표면에 다수 존재하는 높은 표면에너지의 종이와 같은 셀룰로스(cellulose) 기반 섬유, 유리 섬유, 고분자 섬유 혹은 기공성 금속망(Metal grid) 및 산화금속망(Metal-oxide grid)이 이용될 수 있으며, 소수성 필터의 경우도 섬유 외에 낮은 표면에너지로 처리된 금속망 및 산화금속망이 이용 가능하다.
에어컨 필터로 이용 시, 프리필터 및 미디움필터를 친수성 섬유로 구현하고 안쪽의 고효율 정전기 필터와 외부 쪽의 친수성 필터 사이에 소수성 필터가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외부 높은 습도의 공기에 다량 존재하는 수증기를 정전기 필터 이전에 응축시켜 정전기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프리 및 미디움 필터 표면에 수증기가 응축된 물 박막이 구현 됨으로써 1~10마이크로미터 이상 크기의 먼지 입자에 대해 더욱 높은 먼지포집 효과 및 유해가스 차단효과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외부의 친수성 프리 및 미디움 필터는 물로 세척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사용에 더욱 효과가 있다.
마스크 필터로 이용 시, 소수성 필터를 내피로 친수성 필터를 외피로 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외피의 친수성 필터에는 날숨이나 물을 적심으로 바로 물 박막이 구현 가능하고 세척을 통한 지속적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 다른 구조로 외피부터 친수성-소수성-정전기-소수성-친수성-소수성 필터의 다층 구조로 이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는 더욱 우수한 포집 성능 뿐만 아니라 날숨으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차단하여 정전기 필터의 성능을 오래 유지시키고 마스크 내부의 습도를 낮추는 효과를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축시켜 액상 물 박막을 구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먼지 및 유해가스 차단 뿐만 아니라 함께 활용되는 정전기 필터의 지속성을 높이는 효과를 바탕으로 특히 높은 습도에서 구동되는 에어컨 및 마스크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또한 세척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여 필터의 우수한 장기 지속성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공기의 유입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친수성 필터부; 소수성 필터부; 및 정전기 필터부를 포함하고,
    친수성 필터부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소수성 필터부는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친수성 필터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액상 박막을 형성하여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소수성 필터부는 상기 친수성 필터부에 응축된 물이 액체 상태로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정전기 필터부로 수분이 퍼지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소수성 섬유는 40mN/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친수성 필터부의 액상 박막에 흡착된 먼지는 흐르는 물에 세척이 가능하여 지속적 재사용이 가능한,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는 수산화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면에 존재하며, 50mN/m 이상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셀룰로스(cellulose) 기반 섬유, 유리 섬유, 고분자, 금속망(metal grid) 및 산화 금속망(metal oxide grid)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3. 삭제
  4. 공기의 유입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프리 필터; 미디움 필터 및 고효율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로 친수성 필터가 이용되며, 상기 미디움 필터로 소수성 필터가 이용되고, 상기 고효율 필터로 정전기 필터가 이용되며,
    상기 친수성 필터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 필터는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 필터에 수분을 공급하여 액상 박막을 형성하여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미디움 필터는 상기 프리 필터에 응축된 물이 액체 상태로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의해 상기 고효율 필터로 수분이 퍼지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소수성 섬유는 40mN/m 이하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프리 필터의 액상 박막에 흡착된 먼지는 흐르는 물에 세척이 가능하여 지속적 재사용이 가능한,
    다층 구조의 에어콘 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는 수산화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면에 존재하며, 50mN/m 이상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셀룰로스(cellulose) 기반 섬유, 유리 섬유, 고분자, 금속망 및 산화 금속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에어콘 필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67398A 2019-06-07 2019-06-07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KR102323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398A KR102323566B1 (ko) 2019-06-07 2019-06-07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398A KR102323566B1 (ko) 2019-06-07 2019-06-07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83A KR20200140583A (ko) 2020-12-16
KR102323566B1 true KR102323566B1 (ko) 2021-11-05
KR102323566B9 KR102323566B9 (ko) 2022-12-27

Family

ID=7404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398A KR102323566B1 (ko) 2019-06-07 2019-06-07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152B1 (ko) * 2020-12-28 2021-06-28 주식회사 한새 나노섬유를 이용한 세척가능한 미세먼지필터 모듈
KR102511800B1 (ko) * 2021-04-12 2023-03-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필터, 이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612A (ja) * 2001-10-31 2003-05-13 Hakugen:Kk マスク用フィルタ及び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7636B2 (en) * 2001-11-01 2003-08-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rewetting multi-fiber hand towel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170115830A (ko) * 2016-04-08 2017-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612A (ja) * 2001-10-31 2003-05-13 Hakugen:Kk マスク用フィルタ及び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566B9 (ko) 2022-12-27
KR20200140583A (ko)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9425B2 (ja) タービン空気吸入口フィルター
RU2652217C2 (ru) Коалесцирующий фильтр
KR102323566B1 (ko)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WO2019000602A1 (zh) 防霾防有害气体空气滤膜、其制备方法及应用
US11668222B2 (en) Catalytic composite
JP2016093805A (ja) Hepa効率および臭気制御のためのフィルター媒体構築物
JP2009501438A (ja) 電子部品冷却用ファン冷却ユニット
KR102270152B1 (ko) 나노섬유를 이용한 세척가능한 미세먼지필터 모듈
JP2008531279A (ja) 複合フィルタ媒体
KR101922518B1 (ko) 집진필터 및 집진장치
JP2012086183A (ja) 圧縮空気用の空気清浄器
KR102291196B1 (ko) Cmp 슬러리 여과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14144421A (ja) 脱臭・ガス除去用フィルタ
CN1997437A (zh) 结合空气输送装置的化学过滤设备
CN214209746U (zh) 一种液体过滤用复合滤材和滤芯
JP2006000838A (ja) 空調用フィルタ
KR100366378B1 (ko) 다공 금속박막으로 구성된 필터
KR20160135022A (ko) 중·고온 배가스의 입자상 먼지 및 가스상 중금속 제거용 여과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921764A (zh) 复合涂层水过滤膜及其制备方法
CN112807851A (zh) 一种复合结构滤芯、多层复合结构滤材、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837616A (zh) 一种废气过滤膜
KR101766872B1 (ko) 중·고온 배가스의 입자상 먼지 및 가스상 중금속 제거용 여과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96429A (ko) 상이한 특성을 갖는 다수의 불소수지 다공질막을 구비한 다공성 불소수지 복합체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유닛
KR20220096430A (ko) 전자빔으로 표면 처리된 불소수지 다공질막을 구비한 다공성 불소수지 복합체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유닛
KR102551154B1 (ko) 하이브리드 다층필터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