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415B1 -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 Google Patents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415B1
KR102323415B1 KR1020200112726A KR20200112726A KR102323415B1 KR 102323415 B1 KR102323415 B1 KR 102323415B1 KR 1020200112726 A KR1020200112726 A KR 1020200112726A KR 20200112726 A KR20200112726 A KR 20200112726A KR 102323415 B1 KR102323415 B1 KR 10232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rone
fixing
coupled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모
Original Assignee
박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모 filed Critical 박준모
Priority to KR102020011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0Parts of fuselage relatively movable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의 본체에 대한 암의 회전 시 가스스프링을 이용하는 드론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Drone with folding arm structure}
제안기술은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의 본체에 대한 암의 회전 시 가스스프링을 이용하는 드론에 관한 발명이다.
현재, 관절을 통해 서로 결합한 몸체 및 회전체를 갖는 기기(이하, "관절 기기"라 함)들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절 기기들이 관절을 갖는 이유는 다양한데, 그 중 하나가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이다. 즉, 관절 기기가 사용될 때 회전체가 몸체에 대하여 펴진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상태로 관절 기기가 보관되거나 운반되면 불편이 따르므로 관절 기기의 보관 및 운반시에는 회전체를 접어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을 꾀하는 것이다.
프로펠러를 구비한 암이나 꼬리가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인 소형 무인 항공기는 보관이나 운반 시 불편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소형 무인 항공기를 상기 관절 기기로 구성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소형 무인 항공기의 비행 시에는 암을 본체에 대하여 펴진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소형 무인 항공기의 보관이나 운반 시에는 암을 본체에 대하여 접힌 상태로 만들 수 있는데, 그러면 소형 무인 항공기의 부피가 줄어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형 무인 항공기를 관절 기기로 구성하려면 암의 펴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야만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암의 펴진 상태가 소형 무인 항공기의 비행 시 우발적으로 해제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형 무인 항공기의 본체에 대한 암의 펴진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167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드론의 본체에 대해 암을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암의 폴딩 시 가스스프링을 이용하여 드론의 본체에 대한 암의 펼침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에 있어서,
본체;
본체의 둘레에 외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암;
암의 단부에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본체를 부양하는 회전익;을 포함하며,
암은 본체에 대해 회전하여 외향으로 펼쳐지거나 하향으로 접히게 되고,
암은 회전 시 회전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의 본체에 대해 암을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드론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의 폴딩 시 가스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암의 파손 및 사용자의 부상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론의 본체에 대한 암의 펼침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암(arm) 접힘 시 상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암(arm) 펼침 시 상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암(arm)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암(arm) 폴딩 시 사용되는 가스스프링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의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의 접힘을 위한 고정핀의 회전 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의 접힘을 위한 고정핀의 완전 회전 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암에 결합된 스냅링의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본체 도어 열림 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본체와 스키드 모듈의 분해 시 하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본체와 스키드 모듈의 결합 시 하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모듈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결합되는 인덱스 플런저의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플런저(index plunger)의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모듈 결합 시 인덱스 플런저의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모듈의 탈거 시 인덱스 플런저의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모듈 결합부의 전방 측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의 본체에 대한 암의 회전 시 가스스프링을 이용하는 드론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암(arm) 접힘 시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암(arm) 펼침 시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드론은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둘레에 외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암(4)과, 상기 암(4)의 단부에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2)를 부양하는 회전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암(4)은 상기 본체(2)에 대해 회전하여 외향으로 펼쳐지거나 하향으로 접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암(4)의 펼침 상태로 진행되는 소형 무인 항공기의 비행 시 우발적으로 상기 암(4)의 펼침이 해제되는 경우 사고가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4)의 접힘이 자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파손 및 사용자의 부상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4)의 회전 시 회전부재(106)에 의해 탄성지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암(arm)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암(4)은 후측 하단이 상기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6)와, 상기 고정부(6)의 후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2)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106)의 일단이 결합되는 브라켓(8)과, 후단이 상기 고정부(6)의 전단에 일정 길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암로드부(18)와, 상기 암로드부(18)의 길이 방향 일정 길이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106)의 타단이 결합되는 회전부재 결합부(20)와, 상기 암로드부(18)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회전익(40)이 결합되는 회전익 결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8)은 상면의 전단이 상기 고정부(6)로부터 연장되는 제1플레이트부(10)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10)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부(12)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12)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6)의 전단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3플레이트부(14)와, 상기 제3플레이트부(14)의 전단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는 회전부재 회전축(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플레이트부(14)에는 상기 회전부재(106)의 일단과의 결합을 위한 일단브라켓(24)이 결합된다.
상기 일단브라켓(24)은 내측면이 상기 제3플레이트부(14)의 외측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제1결합부(26)와, 상기 제1결합부(26)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제1결합부(26)의 외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며, 전면에 상기 회전부재(106)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2결합부(28)와, 상기 제1결합부(26)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 회전축(1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축삽입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 결합부(20)에는 상기 회전부재(106)의 타단과의 결합을 위한 타단브라켓(32)이 결합된다.
상기 타단브라켓(32)은 상기 일단브라켓(24)과 동일한 형상인 것으로, 내측면이 상기 회전부재 결합부(20)의 외측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제3결합부(34)와, 상기 제3결합부(34)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3결합부(34)의 외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며, 후면에 상기 회전부재(106)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4결합부(36)와, 상기 제3결합부(34)의 양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부재 결합부(20)의 외측면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타단브라켓고정핀(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의 둘레에는 상기 암(4)과의 결합을 위한 암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암결합부는 상기 본체(2)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6)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고정부(6)의 후단이 일정 길이 삽입되는 플랜지부(90)와, 외측면이 상기 플랜지부(90)의 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랜지부(90)의 양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돌출부(92)와, 상기 플랜지돌출부(92)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고정부결합홀(9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6)의 양측면 각각에서 후측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결합홀(94)을 관통한 고정부결합핀(96)이 결합된다.
상기 암(4)의 회전은 상기 고정부결합핀(96)에 대한 상기 고정부(6)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암(4)과 상기 암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제1플레이트부(10)의 상면은 상기 플랜지부(90)의 하면에 맞닿아 고정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암(arm) 폴딩 시 사용되는 가스스프링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106)로는 가스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스프링은 질소 등의 비활성 가스가 소정의 압력으로 충전된 가스 챔버를 갖는 실린더튜브(100)와, 상기 실린더튜브(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로드(102)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스프링과 상기 본체(2) 및 상기 암(4)의 결합 시, 상기 실린더튜브(100)의 일단이 상기 일단브라켓(24)의 제2결합부(28)에 고정되고, 피스톤로드(102)의 일단이 상기 타단브라켓(32)의 제4결합부(36)에 고정된다.
상기 가스스프링은 외부에서 상기 피스톤로드(102)로 가해지는 힘이 피스톤에 가해지는 상기 가스 챔버 내의 가스 반발력보다 클 때 상기 피스톤로드(102)가 후진 이동하고, 이후 외부의 힘보다 상기 가스 챔버 내의 가스 반발력이 클 때 상기 피스톤로드(102)가 전진 이동하면서 원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로드(102)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실린더튜브(100) 내의 작동 유체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반발력이 발생되고, 이 탄성 반발력이 상기 피스톤로드(102) 측에 전달되면서 상기 암(4)의 회전을 가이드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2)에 대한 상기 암(4)의 회전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암(4)의 펼침 상태에서 상기 암(4)의 접힘을 위한 회전 시, 상기 고정부(6)가 상기 고정부결합핀(96)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플랜지부(90)와 맞물려 고정되어있던 상기 고정부(6)의 양측 및 상측은 상기 플랜지부(90)로부터 탈착된다.
상기 암(4)의 펼침 시 상기 피스톤로드(102)는 가장 멀리 후진 이동한 상태이며, 상기 암(4)의 접힘에 따라 점차 전진 이동하다가 상기 암(4)의 회전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이 되면 상기 실린더튜브(100) 내의 가스 반발력에 의해 일정 길이 후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암(4)의 접힘 상태에서 상기 암(4)의 펼침을 위한 회전 시, 상기 고정부(6)가 상기 고정부결합핀(96)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플랜지부(90)로부터 탈착되어있던 상기 고정부(6)의 양측 및 상측은 상기 플랜지부(90)와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 암(4)의 접힘 시 상기 피스톤로드(102)는 일정 길이 후진 이동한 상태이며, 상기 암(4)의 펼침에 따라 점차 전진 이동하다가 상기 암(4)의 펼침이 일정 각도 이상이 되면 다시 점차 후진 이동하여 상기 암(4)의 펼침 완료 시 가장 멀리 후진 이동한 상태가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암의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암의 접힘을 위한 고정핀의 회전 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암의 접힘을 위한 고정핀의 완전 회전 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암의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암을 탄성지지하는 상기 회전부재(106)를 보조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6)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고정핀(114)이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114)은 일정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본체(2)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6)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114)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핀(114)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본체(2)에 고정되는 고정축(116)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114)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6)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114)은 상기 고정축(116)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핀(114)이 상기 암의 펼침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106)를 보조하는 상태일 때, 상기 고정핀(114)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6)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암의 접힘을 위해 상기 고정핀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6)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고정핀(114)의 타단이 분리되면, 상기 고정핀(114)은 상기 고정축(116)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핀(114)이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고정핀(114)의 타단이 상기 고정부(6)의 상면으로부터 탈거됨으로써 상기 고정핀(114)은 상기 고정부(6)와 분리된다.
상기 고정핀(114)과 상기 고정부(6)가 분리되면 상기 암의 접힘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14)은 상기 고정부(6)와의 분리 이후 계속 회전하여 상기 본체(2)의 상면에 안착되면 회전을 중지하게 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고정핀(114)은 슬라이딩하여 상기 고정부(6)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상면에 일정 길이의 레일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114)의 일단 일정 길이 부분은 상기 레일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핀(114)의 타단 일정 길이 부분은 상기 고정부(6)의 상면 측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핀(114)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6)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114)이 상기 암의 펼침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106)를 보조하는 상태일 때, 상기 고정핀(114)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6)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암의 접힘을 위해 상기 고정핀(114)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6)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고정핀(114)의 타단이 분리되면, 상기 고정핀(114)은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핀(114)의 일단 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핀(114)이 일정 거리 이동하여 상기 고정핀(114)의 타단이 상기 고정부(6)의 상면으로부터 탈거됨으로써 상기 고정핀(114)은 상기 고정부(6)와 분리된다.
상기 고정핀(114)과 상기 고정부(6)가 분리되면 상기 암의 접힘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14)은 상기 고정부(6)와의 분리 이후 계속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본체(2)의 상면에 안착되면 이동을 중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핀(114)은 막대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고정핀(114)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암에 결합된 스냅링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돌출부(92)의 외측면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결합핀(96)에는 상기 고정부결합핀(96)을 고정시키는 스냅링(snap ring)(98)이 결합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본체 도어 열림 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2)의 상면에는 일측이 상기 본체(2)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2)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104)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106)는 상기 도어(104)의 개폐 시에도 적용된다.
즉, 가스스프링의 실린더튜브(100)의 일단이 상기 도어(104)의 내측에 고정되고, 피스톤로드(102)의 일단이 상기 도어(104)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2)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가스스프링은 상기 도어(104)의 열림 시 상기 암(4)의 펼침 시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상기 도어(104)의 닫힘 시 상기 암(4)의 접힘 시와 동일하게 작동하게 된다.
상기 도어(104)의 내부에는 상기 드론의 비행 시 필요한 전자 통신 장비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본체와 스키드 모듈의 분해 시 하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본체와 스키드 모듈의 결합 시 하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2)의 하부에는 상기 드론을 다양한 분야에서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스키드 모듈(42)이 구성된다.
상기 스키드 모듈(42)에는 상기 드론의 임무에 따른 장비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스키드 모듈(42)을 상기 본체(2)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드론을 단일 용도가 아닌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모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키드 모듈(42)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상단 플레이트(44)와,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단 플레이트(52)와,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와 상기 하단 플레이트(5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레그부(64)와, 상기 레그부(64)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대(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 플레이트(44)는 중앙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일정 크기의 중앙홀(46)과, 각 모서리부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상단고정부(48)와, 상기 상단고정부(48)와 수직하도록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상단회전축(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단 플레이트(52)는 각 모서리부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하단고정부(54)와, 상기 하단고정부(54)의 양면을 관통하며, 중심축이 상기 상단회전축(50)과 평행인 하단고정홀(56)과, 상기 하단 플레이트(52)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하단고정홀(56)을 관통하는 하단회전축(58)과, 상기 하단회전축(58)의 양단 각각에 형성된 레그고정부(60)와, 상기 레그고정부(6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레그관통홀(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그부(64)는 상기 상단회전축(50)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상단회전축(50)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부(66)와, 상기 상단회전축(50)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회전부(66)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해당 상기 상단회전축(50)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레그관통홀을 관통하는 로드부(68)와, 상기 로드부(68)의 하단에 형성되는 지지대 결합부(70)와, 중심축이 상기 상단회전축(50)과 평행이며, 상기 지지대 결합부(70)의 양단을 관통하는 지지대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드부(68)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일정 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로드부(68)의 절첩은 상기 로드부(68)의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하측 부분이 상측 부분의 내부로 삽입되는 슬라이딩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로드부(68)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레그부(64)의 총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레그부(64)는 상기 상단 플레이트(44) 및 상기 하단 플레이트(52)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와 상기 하단 플레이트(52)의 단면형상을 사각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레그부(64)가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와 상기 하단 플레이트(52)의 각 모서리마다 배치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지지대(74)는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대 관통홀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지지로드부(76)와, 상기 지지로드부(76)의 양단 각각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지지부(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74)에 의해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상기 레그부(64)는 서로 결합된다.
상기 레그부(64)는 상기 상단회전축(50)에 대한 상기 회전부(66)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폭방향으로 해당 상기 레그부(64)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상기 레그부(64) 사이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상단회전축(50)에 대한 상기 회전부(66)의 회전 시, 해당 상기 회전부(66)와 동일한 레그부(64)가 결합 된 상기 하단회전축(58)은 상기 하단고정홀(56)에 대해 상기 회전부(66)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상기 레그부(64)는 상기 지지대(74)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폭방향 일단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64)를 해당하는 상단회전축(50)에 대해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폭방향 타단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64)를 해당하는 상단회전축(50)에 대해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폭방향 양단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64)는 서로 점차 멀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폭방향 일단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64)를 해당하는 상단회전축(50)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폭방향 타단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64)를 해당하는 상단회전축(50)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폭방향 양단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64)는 서로 점차 가까워지게 된다.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결합되는 인덱스 플런저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2)의 하부에는 상기 스키드 모듈(42)이 탈착되기 위한 스키드 모듈 결합부(80)가 형성된다.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는 상기 본체(2)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제1연장부(82)와, 상기 본체(2)의 하면과 평행하며, 상기 제1연장부(82)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제2연장부(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연장부(84)에는 상기 제2연장부(84)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결합홀(86)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84)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홀(86)과 간섭되지 않는 인덱스 플런저 결합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86)에는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와 상기 본체(2)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된다.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가 상기 본체(2)의 하면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에 대해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된 각각의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의 상기 제2연장부(84)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수직하여 서로를 향해 연장된다.
두 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는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서로 대칭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는 한 쌍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복수 개의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가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될 때, 어느 한 쌍의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는 다른 한 쌍의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와 서로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각각의 쌍을 이루는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 사이의 중심선이 상기 본체(2)의 하면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일 필요는 없다. 즉, 각각의 쌍을 이루는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 사이의 중심선을 서로 평행이거나 서로 수직일 수도 있으며,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스키드 모듈(42)은 상기 본체(2)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탈착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상단 플레이트(44)는 한 쌍의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에 대해 슬라이딩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키드 모듈(42)과 상기 본체(2)의 결합 시, 상기 상단 플레이트(44)는 폭방향 양단이 한 쌍의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와 서로 평행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전단부터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44)가 한 쌍의 스키드 모듈 결합부(80) 사이에 끼워맞춤 된다.
이때,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폭방향 일단은 한 쌍의 스키드 모듈 결합부(80) 중 어느 하나의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에서 상기 제2연장부(84)의 상면과 상기 본체(2)의 하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폭방향 타단은 한 쌍의 스키드 모듈 결합부(80) 중 다른 하나의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에서 상기 제2연장부(84)의 상면과 상기 본체(2)의 하면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키드 모듈(42)이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에 결합되면,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와 상기 스키드 모듈(42)의 고정을 위해 상기 인덱스 플런저 결합홀(112)에는 인덱스 플런저(index plunger)(88)가 결합된다.
상기 인덱스 플런저(88)는 상기 제2연장부(84)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인덱스 플런저 결합홀(112)과 상기 상단 플레이트(44)를 관통하여 상기 스키드 모듈(42)과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를 서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인덱스 플런저(88)는 상기 상기 인덱스 플런저 결합홀(1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인덱스 플런저(88)는 상기 인덱스 플런저(88)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레버 조작을 통해 상기 인덱스 플런저(88) 하부의 핀(108)이 상기 인덱스 플런저(88)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잠복된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플런저(index plunger)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모듈 결합 시 인덱스 플런저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모듈의 탈거 시 인덱스 플런저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에 상기 스키드 모듈(42) 결합 시, 상기 상단 플레이트(44)를 상기 제2연장부(84)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슬라이딩시켜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양단 각각이 상기 제2연장부(84)와 상기 본체(2)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인덱스 플런저(88)의 레버를 밀림 조작하여 상기 핀(108)을 돌출시키게 되고, 상기 핀(108)은 상기 상단 플레이트(44)를 관통하여 상기 스키드 모듈(42)과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를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2)에 결합되어있던 상기 스키드 모듈(42)의 탈거 시, 상기 인덱스 플런저(88)의 레버를 당김 조작하여 상기 핀(108)을 잠복시키고, 상기 상단 플레이트(44)를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에 대해 결합 시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스키드 모듈 결합부(80)로부터 탈거시키게 된다.
도 1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모듈 결합부의 전방 측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연장부(84)의 일단에는 상기 제2연장부(84)의 전면과 상면이 연결되는 모서리에 경사면(110)이 형성된다. 상기 스키드 모듈(42)의 결합을 위한 상기 상단 플레이트(44)의 슬라이딩 시 상기 상단 플레이트(44)는 상기 경사면(110)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제2연장부(84)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키드 모듈(42)에는 상기 드론의 임무에 따라 카메라, 소방장비, 농약 등의 장비가 장착되어 상기 드론을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본체
4 : 암
6 : 고정부
8 : 브라켓
10 : 제1플레이트부
12 : 제2플레이트부
14 : 제3플레이트부
16 : 회전부재 회전축
18 : 암로드부
20 : 회전부재 결합부
22 : 회전익 결합부
24 : 일단브라켓
26 : 제1결합부
28 : 제2결합부
30 : 회전축삽입부
32 : 타단브라켓
34 : 제3결합부
36 : 제4결합부
38 : 타단브라켓고정핀
40 : 회전익
42 : 스키드 모듈
44 : 상단 플레이트
46 : 중앙홀
48 : 상단고정부
50 : 상단회전축
52 : 하단 플레이트
54 : 하단고정부
56 : 하단고정홀
58 : 하단회전축
60 : 레그고정부
62 : 레그관통홀
64 : 레그부
66 : 회전부
68 : 로드부
70 : 지지대 결합부
74 : 지지대
76 : 지지로드부
78 : 탄성지지부
80 : 스키드 모듈 결합부
82 : 제1연장부
84 : 제2연장부
86 : 결합홀
88 : 인덱스 플런저(index plunger)
90 : 플랜지부
92 : 플랜지돌출부
94 : 고정부결합홀
96 : 고정부결합핀
98 : 스냅링
100 : 실린더튜브
102 : 피스톤로드
104 : 도어
106 : 회전부재
108 : 핀
110 : 경사면
112 : 인덱스 플런저 결합홀
114 : 고정핀
116 : 고정축

Claims (17)

  1. 본체;
    상기 본체의 둘레에 외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암;
    상기 암의 단부에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를 부양하는 회전익;을 포함하며,
    상기 암은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하여 외향으로 펼쳐지거나 하향으로 접히게 되고,
    상기 암은 회전 시 회전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암은, 후측 하단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후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브라켓; 후단이 상기 고정부의 전단에 일정 길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암로드부; 상기 암로드부의 길이 방향 일정 길이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회전부재 결합부; 상기 암로드부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회전익이 결합되는 회전익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면의 전단이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플레이트부;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전단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3플레이트부; 상기 제3플레이트부의 전단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는 회전부재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플레이트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과의 결합을 위한 일단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브라켓은,
    내측면이 상기 제3플레이트부의 외측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제1결합부의 외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며, 전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 회전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축삽입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과의 결합을 위한 타단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브라켓은,
    내측면이 상기 회전부재 결합부의 외측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제3결합부;
    상기 제3결합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3결합부의 외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며, 후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4결합부;
    상기 제3결합부의 양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부재 결합부의 외측면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타단브라켓고정핀;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둘레에는 상기 암과의 결합을 위한 암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고정부의 후단이 맞물려 고정되는 플랜지부;
    외측면이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양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돌출부;
    상기 플랜지 돌출부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고정부결합홀;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 각각에서 후측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결합홀을 관통한 고정부결합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회전은 상기 고정부결합핀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돌출부의 외측면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결합핀에는 상기 고정부결합핀을 고정시키는 스냅링(snap ring)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상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맞닿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14.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가스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스프링은,
    실린더튜브의 일단이 상기 일단브라켓의 제2결합부에 고정되고,
    피스톤로드의 일단이 상기 타단브라켓의 제4결합부에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일측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폐 시에도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KR1020200112726A 2020-09-04 2020-09-04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KR10232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726A KR102323415B1 (ko) 2020-09-04 2020-09-04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726A KR102323415B1 (ko) 2020-09-04 2020-09-04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415B1 true KR102323415B1 (ko) 2021-11-05

Family

ID=7850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726A KR102323415B1 (ko) 2020-09-04 2020-09-04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043B1 (ko) * 2021-12-01 2023-03-15 우리랩스 주식회사 다용도 드론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564A (ko) * 2000-05-15 2001-11-26 사태형 무선 영상 촬영장치의 방진구조
US20140145026A1 (en) * 2012-11-28 2014-05-29 Hans Skjersaa Unmanned Aerial Device
US20150232181A1 (en) * 2010-08-26 2015-08-20 Leptron Industrial Robotic Helicopters, Inc. Helicopter with multi-rotors and wireless capability
US20150259066A1 (en) * 2012-10-19 2015-09-17 Aeryon Labs Inc. Hover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60244160A1 (en) * 2013-08-09 2016-08-25 FourthWing Sensors, LLC Convertible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70217571A1 (en) * 2016-01-29 2017-08-03 SZ DJI Technology Co., Ltd Uav with transformable arms
KR20170109985A (ko) * 2016-03-22 2017-10-10 김하얀 단일 모터에서 동력을 분배하는 무인항공기
US20190161190A1 (en) * 2016-04-29 2019-05-30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of photo matching and photo confirmation for parcel pickup and delivery
KR20190116748A (ko) 2018-04-05 2019-10-15 (주)비씨디이엔씨 폴딩 가능한 랜딩기어 및 이를 구비한 무진동 짐벌 장치
US20200023999A1 (en) * 2019-09-04 2020-0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unmanned aerial robot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in unmanned aerial system
KR20200015959A (ko) *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네스앤텍 탈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드론
US20200079488A1 (en) * 2018-09-06 2020-03-12 Airspace System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isolated components
KR20200032997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티지에스코리아 접이식 무인비행체
US20200158822A1 (en) * 2018-09-06 2020-05-21 Airspace System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radar detection
CN111572761A (zh) * 2020-05-25 2020-08-25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无人机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564A (ko) * 2000-05-15 2001-11-26 사태형 무선 영상 촬영장치의 방진구조
US20150232181A1 (en) * 2010-08-26 2015-08-20 Leptron Industrial Robotic Helicopters, Inc. Helicopter with multi-rotors and wireless capability
US20150259066A1 (en) * 2012-10-19 2015-09-17 Aeryon Labs Inc. Hover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40145026A1 (en) * 2012-11-28 2014-05-29 Hans Skjersaa Unmanned Aerial Device
US20160244160A1 (en) * 2013-08-09 2016-08-25 FourthWing Sensors, LLC Convertible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70217571A1 (en) * 2016-01-29 2017-08-03 SZ DJI Technology Co., Ltd Uav with transformable arms
KR20170109985A (ko) * 2016-03-22 2017-10-10 김하얀 단일 모터에서 동력을 분배하는 무인항공기
US20190161190A1 (en) * 2016-04-29 2019-05-30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of photo matching and photo confirmation for parcel pickup and delivery
KR20190116748A (ko) 2018-04-05 2019-10-15 (주)비씨디이엔씨 폴딩 가능한 랜딩기어 및 이를 구비한 무진동 짐벌 장치
KR20200015959A (ko) *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네스앤텍 탈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드론
US20200079488A1 (en) * 2018-09-06 2020-03-12 Airspace System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isolated components
US20200158822A1 (en) * 2018-09-06 2020-05-21 Airspace System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radar detection
KR20200032997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티지에스코리아 접이식 무인비행체
US20200023999A1 (en) * 2019-09-04 2020-0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unmanned aerial robot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in unmanned aerial system
CN111572761A (zh) * 2020-05-25 2020-08-25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无人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043B1 (ko) * 2021-12-01 2023-03-15 우리랩스 주식회사 다용도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93764A (en) Folding rack
JP7285847B2 (ja) 無人航空機
EP3025927B1 (en) Folding travel stroller latch and wheel positioning mechanism
KR101679716B1 (ko) 무인비행체
KR102323415B1 (ko) 폴딩 암 구조를 갖는 드론
CA2704291C (e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foldable tent or awning
US9456580B2 (en) Foldable bag frame and pet bag using same
EP3878713B1 (en) Rotational joint and product for children provided with same
WO2018228033A1 (zh) 无人机及其起落架
WO2019061100A1 (zh) 机翼组件及无人飞行器
WO2019084815A1 (zh) 无人机
DK149146B (da) Haengselforbindelse mellem et redskab, isaer et jordbrugsredskab, og sammenklappelige arme af redskabet
CN111099011A (zh) 一种飞行器
KR102110911B1 (ko)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무인항공기
EP3677502A1 (en) Frame assembly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5025517A (en) Collapsible structure suitable for use as a portable play yard
KR101545944B1 (ko) 무인 항공기용 잠금 장치
KR102333831B1 (ko) 스키드 모듈 탈착형 드론
US9365970B2 (en) Ironing board with expandable legs
US20220227485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folding landing gear
US5645249A (en) Helicopter stowable horizontal stabilizer
CN108674642A (zh) 一种无人机
CN208915423U (zh) 一种飞行器
WO2020010539A1 (zh) 折叠伸缩机构、螺旋桨保护装置及旋翼无人机
KR100692237B1 (ko) 폴딩식 테일붐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