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368B1 - 배관 크리링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크리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368B1
KR102323368B1 KR1020210031705A KR20210031705A KR102323368B1 KR 102323368 B1 KR102323368 B1 KR 102323368B1 KR 1020210031705 A KR1020210031705 A KR 1020210031705A KR 20210031705 A KR20210031705 A KR 20210031705A KR 102323368 B1 KR102323368 B1 KR 102323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hole
air injection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이경희
주식회사 삼영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주식회사 삼영필텍 filed Critical 이경희
Priority to KR102021003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by creating a shock wave in the clean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를 크리닝하기 위한 유체가 공급되는 배관(210)과, 배관(210)에 구비되고, 배관(210)을 흐르는 유체가 통과되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벤추리관(110)과, 벤추리관(110)으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벤추리관(110)은,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111)로 관통 형성되어서 상기 에어공급원(220)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관통홀(111)로 유출하는 에어 분사노즐(113)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에어 분사노즐(113)은, 벤추리관(110)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에어 분사노즐(113)은 원주방향으로 편향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에어 분사노즐(113)로 공급된 에어는 에어 분사노즐(113)을 통과하면서 미세기포로 되면서 동시에 선회류(vortex) 내지 나선류를 형성하면서 관통홀(111)로 빠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배관 내부의 크리닝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관 크리링 장치{PIPE CLENAING DEVICE}
본 발명은 배관 크리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급되는 공기를 일반적인 미세기포가 아닌 100 um 이하의 매우 작은 미세기포로 변환하여서 배관 내부를 크리닝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배관 크리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름(오일)이나 물 등의 유체를 수송하는 오일배관이나 수도관 등의 배관의 내부를 크리닝하기 위한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가장 흔한 방식으로는 에어컴프레셔나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유체를 고압으로 보내서 내부를 세척하는 방식이 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크리닝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크리닝 방식의 경우 실제로 공급되는 공기를 100 um 이항의 매우 작은 마이크로버블로 만들어서 배관으로 공급하는 기술까지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방식은 단순히 마이크로버블을 배관 내부로 공급만을 하였기에 실제 정화 효율이 낮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2076692호(공고일: 2020.02.14) 문헌2: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1700호(공개일: 2004.0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배관 크리링 장치의 목적은,
첫째, 벤추리관에 에어 분사노즐을 형성하고, 이 에어 분사노즐을 통해서 에어를 통과시키되, 특유의 편향 구조에 의해서 통과되는 과정에서 선회류 내지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100 um 이하의 매우 작은 미세기포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선회류 내지 나선류 흐름의 미세기포가 배관의 내주면에서 중심쪽으로 속력이 가속되어서 배관의 내주면(내표면)을 타격하여서 배관을 크리닝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공급되는 에어가 선회류가 형성되도록 에어 분사노즐을 형성하는 극히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배관 내부를 크리닝할 수 있도록 하여서 극히 저렴한 크리닝 비용으로 배관을 크리닝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크리닝을 위한 버블이 마이크로 버블이 되도록 하며,
넷째, 미세기포의 선회류 내지 나선류가 흘러나가는 유체의 속력에 더 편승되어서 속력이 더 가속되어서 배관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미세기포에 의한 선회류의 유출 속력이 가장 빠를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선회류 내지 나선류의 플로어 형성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미세기포의 생성 수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하나의 에어 공급호스만으로도 복수의 에어 분사노즐로 에어를 한번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서 에어의 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여덟째, 벤추리관에 공급되는 미세기포를 가속화시켜서 크리닝 효율이 더욱더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배관 크리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배관 크리링 장치는, 내부를 크리닝하기 위한 유체가 공급되는 배관과, 상기 배관에 구비되고, 배관을 흐르는 유체가 통과되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벤추리관과, 상기 벤추리관으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벤추리관은,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로 관통 형성되어서 상기 에어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관통홀로 유출하는 에어 분사노즐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 분사노즐은, 벤추리관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 분사노즐은 원주방향으로 편향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분사노즐로 공급된 에어는 에어 분사노즐을 통과하면서 미세기포(micro bubble)로 되면서 동시에 선회류(vortex) 내지 나선류를 형성하면서 관통홀로 빠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배관 크리링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벤추리관에 에어 분사노즐을 형성하고, 이 에어 분사노즐을 통해서 에어를 통과시키되, 특유의 편향 구조에 의해서 통과되는 과정에서 선회류 내지 나선류가 형성될 수 있어서 100 um 이하의 매우 작은 미세기포로 변환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선회류 내지 나선류 흐름의 미세기포가 배관의 내주면에서 중심쪽으로 속력이 가속되어서 배관의 내주면(내표면)을 타격하여서 배관을 정밀하게 크리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공급되는 에어가 선회류가 형성되도록 에어 분사노즐을 형성하는 극히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배관 내부를 크리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극히 저렴한 크리닝 비용으로 배관을 크리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특유의 에어 분사노즐의 위치 및 각도에 의해서 크리닝을 위한 버블이 미세기포(마이크로 버블)가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미세기포의 선회류 내지 나선류가 흘러나가는 유체의 속력에 더 편승되어서 속력이 더 가속되어서 배관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미세기포에 의한 선회류의 유출 속력이 가장 빠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동시에 선회류 내지 나선류의 플로어 형성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미세기포의 생성 수율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하나의 에어 공급호스만으로도 복수의 에어 분사노즐로 에어를 한번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에어의 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벤추리관에 공급되는 미세기포를 가속화시켜서 크리닝 효율이 더욱더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링 장치에 있어서 배관 크리닝용 벤추리 어셈블리(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용 벤추리 어셈블리(100)를 구비한 배관 크리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배관 크리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 크리링 장치는, 배관 크리닝용 벤추리 어셈블리(100)와 에어공급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관 크리닝용 벤추리 어셈블리(100)는 벤추리관(110)과 차폐링(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링 장치는, 내부를 크리닝하기 위한 유체(플러싱 유체)가 공급되는 배관(210)과, 상기 배관(210)의 적어도 일개소에 삽입 구비되고, 배관(210)을 흐르는 유체가 통과되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벤추리관(110)과, 상기 벤추리관(110)으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벤추리관(110)은,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111)로 관통 형성되어서 상기 에어공급원(220)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관통홀(111)로 유출하는 에어 분사노즐(113)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벤추리관(110)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 분사노즐(113)은 원주방향으로 편향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도시된 도면의 도 2 및 도 4에서는, 전방에서 볼 때 오른쪽의 원주방향으로 편향되어서(편향각(θ1)) 형성된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로 공급된 에어는 에어 분사노즐(113)을 통과하면서 미세기포(micro bubble)로 되면서 동시에 선회류(vortex) 내지 나선류를 형성하면서 관통홀(111)로 빠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향된 에어 분사노즐(113)을 통과하면서 에어가 미세기포로 되고, 또한 이러한 미세기포가 선회류 내지 나선류를 형성하여서 배관(210) 내부로 공급되므로, 이러한 선회류 내지 나선류 흐름의 미세기포가 내주면에서 중심쪽으로 속력이 가속되어서 배관(210)의 내주면(내표면)을 탕!탕!탕! 타격하게 된다.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 분사노즐(113)을 통과하면서 100 um 이하의 매우 작은 미세기포로 되는데, 이는 원주방향으로 편향되어서 선회류 내지 나선류의 흐름을 형성하면서 공급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크기의 버블이 아닌 100 um 이하의 매우 작은 미세기포이므로 배관 내에서 흘러갈 때에 깨지지 않게 되어서 배관의 이물질 제거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미세기포가 배관 내부를 선회 또는 나선식으로 흘러가게 되면 배관 내의 오염입자의 탈리와 침강 방지 및 부상을 유도하게 되고, 또한 배관(210)에 있는 침전물이나 오염물질(용접 찌꺼기, 쇳가루 등)을 제거하게 되며, 그리고 배관 내의 부식을 예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에어 분사노즐(113)을 통과하면서 만들어지는 미세기포는 직경이 100 um 이하의 미세버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배관(210)을 흐르는 유체는 배관 내부를 크리링하기 위한 플러싱 유체로서, 배관의 본래의 피수송 유체와 동일한 유체이다. 예컨대 배관이 오일 배관이면 플러싱 유체도 플러싱 오일이고, 배관이 물이면 플러싱 유체도 플러싱 물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원주방향으로 편향되어서 형성됨과 동시에, 유체 흐름방향(전방으로서, 도 3을 볼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방향) 하향 경사지게[하향 경사각(θ2)]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미세기포의 선회류 내지 나선류는 흘러가는 유체의 속력에 더 편승되어서 속력이 더 가속되어서 배관(210)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6 개 내지 14 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개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도면에는 10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를 들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유체의 흐름방향인 전방에 대하여 하향 경사각 13 도 ~ 18 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도 하향 경사 형성되어 있고), 동시에 원주방향에 대하여 10 도 편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유출 속력이 가장 빠르고 선회류 내지 나선류가 잘 형성되는 각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의 직경은 0.05 ~ 0.2 mm, 더 바람직하게는 0.05 ~ 0.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미세버블의 생성 수율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 형성되고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편향되는 사선의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 형성되고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편향되는 사선의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가속 거리가 길어서 유출 속력이 더욱더 빨라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의 출구(113b)[즉, 관통홀(111) 측의 끝]가 상기 관통홀(111)의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영역과 관통홀(111)의 내경이 점차 넓어지는 영역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경이 좁아지다가 넓어지는 영역에서는 통과속력이 최대로 되므로, 빠른 속력으로 통과하는 유체에 미세기포가 편승하여서 유출되므로 선회류 내지 나선류의 미세기포의 속력이 더 가속되어서 배관의 내표면을 타격하는 충격력이 더 커지게 되고, 따라서 표면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11)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111a)과, 상기 유입홀(111a)과 연통되는 중앙홀(111b)과, 상기 중앙홀(111b)과 연통되어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홀(111c)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홀(111a)은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즉, 유체 흐름방향으로 내경이 축소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111c)은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즉, 유체 흐름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개 형성되며,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의 출구(113b)는 상기 중앙홀(111b)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홀(111b)의 내경은 도시된 도면과 같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추리관(11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서 홈테(115)가 관통홀(111) 방향으로 즉, 반경방향의 내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의 입구(113a)는 상기 홈테(115)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의 출구(113b)는 상기 중앙홀(111b)에 위치하도록 에어 분사노즐(113)이 벤추리관(1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테(115)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에어 분사노즐(113)을 밀폐하기 위한 차폐링(12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차폐링(120)에는 상기 에어공급원(220)과 연결된 에어 공급호스(221)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링(120)과 벤추리관(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에어 충진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공급원(220)로부터 에어 공급호스(210)를 통해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에어 충진공간(S1)에 충진된 후에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노즐(113)로 동시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에어 공급호스(210)를 통해서 복수의 에어 분사노즐(113)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어서 에어 공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폐링(120)은 중앙홀(12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폐링(120)의 중앙홀(120a)이 상기 벤추리관(110)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차폐링(120)이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을 밀폐하면서 동시에 에어 충진공간(S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테(115)는 유체가 흘러가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경사 형성된 제1 경사면(115a)과, 상기 제1 경사면(115a)과 대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115b)이 형성된 V 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상기 제2 경사면(115b)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링(120)은 상기 제1 경사면(115a)과 제2 경사면(115b)을 모두 외포하면서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노즐(113)을 밀폐하도록 상기 벤추리관(11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에어가 분사되어서 공급되므로 유체의 흐름에 가속하여서 에어를 공급하여 미세기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벤추리관에 공급되는 미세기포를 가속화시켜서 크리닝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111a)의 테이퍼 형성된 내주면과 형합하도록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내주면(131a)이 형성되어 있고, 유입홀(111a) 측의 벤추리관과 체결되어서 벤추리관(110)을 배관(210)과 연결하는 제1 연결링(131)과, 상기 유출홀(111c)의 테이퍼진 내주면과 형합하도록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도록 내주면(132a)이 형성되어 있고, 유출홀(111c) 측의 벤추리관과 체결되어서 벤추리관(110)을 배관(210)과 연결하는 제2 연결링(13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210)으로 플러싱 유체를 공급하는 탱크(230)와, 상기 배관(210)의 유체가 강제로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2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는 본원발명의 배관 크리닝용 벤추리 어셈블리[마이크로 발생 장치]가 적용된 경우의 성능시험 결과이다.
1. 마이크로버블[벤추리 어셈블리][배관] 적용 전/후 유량 변화 성능 시험
(1) 시험기기 : 마이크로버블 발생 시스템[벤추리 어셈블리]
(2) 시험방법 : 오일 플러싱 장비의 토출측에 마이크로버블 발생 장치(벤추리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압축공기(25 LPM)를 공급하여 Test Pilot 배관내 유량 변화 측정
(3) 시험조건 : 정상 작동 중인 오일 플러싱 장비의 마이크로버블 발생 시스템[벤추리 어셈블리]에 압축공기(5 bar/70 LPM) 공급
(4) 성능 기준 : 입구 & 출구측 각각 유량 증가 15 % 이상
(5) 측정 장비 : 유량계 / KOMETER / KOMETER-500-MF-T / K-2004042
Figure 112021028525649-pat00001
[표 1] 압력 변화 시험결과표
2. 마이크로버블[벤추리 어셈블리] 적용 전/후 이물질 제거 성능
(1) 시험기기 : 마이크로버블 발생 장치[벤추리 어셈블리]
(2) 시험방법 : 장비 가동 전 배관 내부에 그리트(Grit) 100 g을 주입하여 일정시간 경과 후 그리트(Grit)가 스트레이너 필터에 걸려 회수되는 량을 측정
(3) 시험조건 : 일 온도 60 ℃ 정상 작동, 1 hr 구동
(4) 성능 기준 : 마이크로버블 적용에 따른 회수율 15 % ↑
(5) 측정 장비 : 전자저울
Figure 112021028525649-pat00002
[표 2-1] 1 Round 이물질 제거 성능
Figure 112021028525649-pat00003
[표 2-2] 2 Round 이물질 제거 성능
Figure 112021028525649-pat00004
[표 2-3] 3 Round 이물질 제거 성능
3. 마이크로버블[벤추리 어셈블리] 적용 전/후 배관 부식 제거 성능
(1) 시험기기 : 마이크로버블 발생 장치[벤추리 어셈블리]
(2) 시험방법 : 부식시험편을 이용한 마이크로버블 적용/미적용시 시험편 내부 부식 단면의 두깨를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측정
(3) 시험조건 : ㆍ 오일 온도 60 ℃로 24 hr 정상 작동
(㈜삼영필텍 자체 기준)
(4) 성능 기준 : 마이크로버블 적용에 따른 제거율 15 % ↑
(5) 측정 장비 : 주사전자현미경(SEM/EDS) / JEOL(JAPAN) / Range(x 160,000)
① 부식시험편의 녹 두께 변화
Figure 112021028525649-pat00005
[표 3-1] Chemical & Sea weter 부식 시료 평균 두께 및 기준값
Figure 112021028525649-pat00006
[표 3-2] 1차 Chemical & Sea water 두께 측정 비교
Figure 112021028525649-pat00007
[표 3-3] 2차 Chemical & Sea water 두께 측정 비교
Figure 112021028525649-pat00008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크리닝용 벤추리 어셈블리
110 : 벤추리관
111 : 관통홀 111a : 유입홀
111b : 중앙홀 111c : 유출홀
113 : 에어 분사노즐
113a : 에어 분사노즐의 입구 113b : 에어 분사노즐의 출구
115 : 홈테
115a : 제1 경사면 115b : 제2 경사면
120 : 차폐링
120a : 중앙홀 121 : 체결공
S1 : 에어 충진 공간
131 : 제1 연결링 131a : 제1 연결링의 내주면
132 : 제2 연결링 132a : 제2 연결링의 내주면
210 : 배관
220 : 에어공급원 221 : 에어 공급호스
230 : 탱크 240 : 펌프

Claims (4)

  1. 내부를 크리닝하기 위한 유체가 공급되는 배관(210)과,
    상기 배관(210)에 구비되고, 배관(210)을 흐르는 유체가 통과되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벤추리관(110)과,
    상기 벤추리관(110)으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벤추리관(110)은,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111)로 관통 형성되어서 상기 에어공급원(220)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관통홀(111)로 유출하는 에어 분사노즐(113)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벤추리관(110)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 분사노즐(113)은 원주방향으로 편향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로 공급된 에어는 에어 분사노즐(113)을 통과하면서 미세기포(micro bubble)로 되면서 동시에 선회류(vortex) 내지 나선류를 형성하면서 관통홀(111)로 빠져나가며,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을 통과하면서 만들어지는 미세기포는 직경이 100 um 이하의 미세버블이며,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원주방향으로 편향되어서 형성됨과 동시에, 유체 흐름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의 직경은 0.05 ~ 0.2 mm이며,
    상기 관통홀(111)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111a)과, 상기 유입홀(111a)과 연통되는 중앙홀(111b)과, 상기 중앙홀(111b)과 연통되어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홀(111c)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홀(111a)은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111c)은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벤추리관(11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서 홈테(115)가 관통홀(111)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의 입구(113a)는 상기 홈테(115)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의 출구(113b)는 상기 중앙홀(111b)에 위치하도록 에어 분사노즐(113)이 벤추리관(1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테(115)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에어 분사노즐(113)을 밀폐하기 위한 차폐링(12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차폐링(120)에는 상기 에어공급원(220)과 연결된 에어 공급호스(221)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링(120)과 벤추리관(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에어 충진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공급원(220)로부터 에어 공급호스(210)를 통해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에어 충진공간(S1)에 충진된 후에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노즐(113)로 동시에 유입되며,
    상기 차폐링(120)에는 중앙홀(12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폐링(120)의 중앙홀(120a)이 상기 벤추리관(110)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차폐링(120)이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을 밀폐하면서 동시에 에어 충진공간(S1)을 형성하며,
    상기 홈테(115)는, 유체가 흘러가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경사 형성된 제1 경사면(115a)과, 상기 제1 경사면(115a)과 대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115b)이 형성된 V 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상기 제2 경사면(115b)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링(120)은 상기 제1 경사면(115a)과 제2 경사면(115b)을 모두 외포하면서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노즐(113)을 밀폐하도록 상기 벤추리관(110)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상기 유입홀(111a)의 테이퍼 형성된 내주면과 형합하도록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내주면(131a)이 형성되어 있고, 유입홀(111a) 측의 벤추리관과 체결되어서 벤추리관(110)을 배관(210)과 연결하는 제1 연결링(131)과,
    상기 유출홀(111c)의 테이퍼진 내주면과 형합하도록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도록 내주면(132a)이 형성되어 있고, 유출홀(111c) 측의 벤추리관과 체결되어서 벤추리관(110)을 배관(210)과 연결하는 제2 연결링(13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크리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유체의 흐름방향인 전방에 대하여 하향 경사각 13 도 ~ 18 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동시에 원주방향에 대하여 10 도 편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크리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의 직경은 0.05 ~ 0.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크리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노즐(113)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 형성되고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편향되는 사선의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크리링 장치.
KR1020210031705A 2021-03-10 2021-03-10 배관 크리링 장치 KR102323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05A KR102323368B1 (ko) 2021-03-10 2021-03-10 배관 크리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05A KR102323368B1 (ko) 2021-03-10 2021-03-10 배관 크리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368B1 true KR102323368B1 (ko) 2021-11-09

Family

ID=7848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705A KR102323368B1 (ko) 2021-03-10 2021-03-10 배관 크리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259A (ko) 2022-06-23 2024-01-02 박신영 상수도관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1008B2 (ja) * 1990-10-03 2002-01-28 ソニー株式会社 気体渦流発生機
KR20040011700A (ko) 2002-07-30 2004-02-11 (주) 피유시스 흡입방식을 이용한 배관 클리닝 시스템
KR102076856B1 (ko) * 2019-07-25 2020-02-12 이승엽 극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극미세기포를 이용한 화학적 탈취제 세정장치
KR102076692B1 (ko) 2013-09-24 2020-02-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1008B2 (ja) * 1990-10-03 2002-01-28 ソニー株式会社 気体渦流発生機
KR20040011700A (ko) 2002-07-30 2004-02-11 (주) 피유시스 흡입방식을 이용한 배관 클리닝 시스템
KR102076692B1 (ko) 2013-09-24 2020-02-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
KR102076856B1 (ko) * 2019-07-25 2020-02-12 이승엽 극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극미세기포를 이용한 화학적 탈취제 세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259A (ko) 2022-06-23 2024-01-02 박신영 상수도관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478B2 (en) Spray nozzle, spr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spray nozzle and a spray device
US4556523A (en) Microbubble injector
EP0324763B1 (en) A method for cleansing gases and apparatus herefor
US8146445B2 (en) Extractive probe for hot flue gas and process measurement
US20110078987A1 (en)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ng liquid particles from a gas flow
JP6104399B2 (ja) 微細気泡生成装置および微細気泡生成装置を備える汚染水浄化システム
KR102323368B1 (ko) 배관 크리링 장치
CA1069309A (en) Apparatus for improved cleaning of pipeline inlets
CN105466502A (zh) 悬堤流量计
JP4520875B2 (ja) 濾過器
GB2590183A (en) Ejector device
CN1101787C (zh) 在水净化器中混合空气和水的装置
CN214635026U (zh) 一种新型的文丘里洗涤器
KR101118220B1 (ko) 마이크로 버블 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CN210033519U (zh) 一种湿式除尘器
US4208276A (en) Flotation plant
KR101848672B1 (ko) 배관 세척장치
DE4207836C2 (de)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Klar- oder Abwasserkanälen oder verlegten Rohrleitungen
WO2001062392A1 (en) Sparging nozzle assembly for aerated reaction vessel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vessels
EP3738667A1 (en) Nozzle in a reactor comprising an outlet insert
RU207725U1 (ru) Фильтр-грязевик вертикальный двухступенчатый
RU2202397C1 (ru) Сепар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RU2113290C1 (ru) Сопловой насадок для гидрокавит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рубопроводов от нежелательных отложений
RU2477646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сепаратор
CN210138470U (zh) 一种进液防冲组件及闪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