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672B1 - 배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672B1
KR101848672B1 KR1020160178725A KR20160178725A KR101848672B1 KR 101848672 B1 KR101848672 B1 KR 101848672B1 KR 1020160178725 A KR1020160178725 A KR 1020160178725A KR 20160178725 A KR20160178725 A KR 20160178725A KR 101848672 B1 KR101848672 B1 KR 101848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pipe
cas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민
윤덕현
조재현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17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상수압 및 에어를 이용하여 오염된 급수배관을 세척하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배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세척장치{Pip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배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수압 및 에어를 이용하여 오염된 난방 및 급수배관을 세척하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배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도관이나 난방관 등의 파이프 라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금속재질 또는 비금속재질로 제작되고,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산화작용이 시작되어 그 내부면에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축적된다. 이러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은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배관의 내경이 작아지는 효과를 발생시켜 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속의 효율적인 유동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녹물이 발생하는 등 상수의 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난방관의 경우에는 열전도율을 저하시키고 많은 에너지를 소비시키는 문제점도 발생하는데, 배관이 상수도관 또는 난방관인 경우 녹물 등의 이물질이 배관수에 포함되는 경우 상수 사용자의 건강뿐만 아니라 난방효율 분야에도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관을 교체하였으나, 배관을 교체하기 위한 공사기간에는 상수의 공급을 제한하거나 2~3일 정도 집을 비워야 하는데, 배관 교체를 위해서는 굴착공사를 행해야 하므로 공기가 길고 배관수의 공급을 제한하는 기간 역시 매우 길어 사용자들의 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을 교체하는 경우 배관비용과 함께 굴착공사를 위한 공사비까지 소요되므로 경제적으로도 상당히 큰 손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관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워터젯을 이용하여 배관 내부의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이 제시되었으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0780326호에 개시된 기술은 워터젯을 이용한 세척과 마모제를 이용한 조면형성을 함과 아울러 세척수와 마모제를 제거하는 공정을 한꺼번에 행할 수 있는 배관 세척 장치이나, 이 장치는 별도의 고압수 생성을 위한 유닛이 요구되므로 장치의 본체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마모제를 이용함으로써 마모제 처리를 위한 장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0780326호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 증착된 스케일, 슬라임 등 각종 오염물질과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배관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하고자 하는 난방 배관 및 상수에 포함된 불순물로부터 장치의 요소들을 보호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배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상수(上水) 또는 난방수가 공급되는 수압공급관의 수압으로 배관을 세척하는 배관 세척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수압공급관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되는 상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와;
상기 이물질이 여과된 상수를 고속으로 통과시키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공이 형성된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을 통과한 상수의 유량과 압력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인버터 펌프와;
상기 인버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상수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며 외부공기 버블을 미세하게 분할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 사이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과한 상수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에어공급노즐을 가지는 경사버블발생기와;
삭제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 버블을 수용하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 저장탱크와;
상기 마이크로버블 저장탱크를 통과한 상수에 고속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충격파 발생기와;
상기 에어충격파 발생기를 통과한 상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토출시키는 와류발생기;를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는 양단부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통형 몸체와, 상기 통형 몸체의 내부공간을 일정간격으로 분할시키며 각각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격판을 구비하되,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각 격판의 관통공은 상기 수압공급관 측으로부터 상기 세척하고자 하는 배관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되며,
상기 필터부재는
케이싱과;
중앙에는 상수가 유입되는 제1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공 주연에는 상수가 배출되는 제2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봉시키는 밀봉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제1수공과 연통되고 상기 수압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수공과 연통되고 상기 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재에 결합되는 커넥터와;
중앙에는 상기 제1수공으로 유입되는 상수를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밀봉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안내관과;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이 삽입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에 의해 안내되는 상수를 상기 케이싱의 외부면으로 안내하는 제1수로가 형성되게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과 이격되면서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1하부캡과;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면과 이격되어 제2수로가 형성되게 상기 제1하부캡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필터와;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이 삽입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고, 그 주연으로는 상기 제2수로와 연통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제3수공이 형성되며,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면에 밀착되게 상기 제1필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상부캡과;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이 삽입되는 제3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3수공으로 배출되는 상수를 상기 케이싱의 외부면으로 안내하는 제3수로가 형성되게 상기 제1상부캡과 이격되면서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2하부캡과;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면과 이격되어 제4수로가 형성되게 상기 제2하부캡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필터와;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이 삽입되는 제4결합공이 형성되고, 그 주연으로는 상기 제4수로와 연통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수공과 연통되는 제4수공이 형성되며,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면에 밀착되게 상기 제2필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상부캡; 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의 유입구로 유입된 상수는, 상기 제1수공을 통해 상기 안내관의 상기 안내공에 의해 상기 제1수로로 안내되고,
상기 제1수로로 안내된 상수는, 상기 제1수로에 의해 상기 제2수로로 안내되어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제3수공로 배출되며,
상기 제3수공으로 배출된 상수는, 상기 제3수로에 의해 상기 제4수로로 안내되어 상기 제2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제4수공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4수공으로 배출된 상수는, 상기 제2수공을 통해 상기 커넥터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세척장치는 상기 제1필터 및 상기 제2필터 내측에는 상기 제1하부캡과 상기 제1상부캡, 상기 제2하부캡과 상기 제2상부캡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세척장치는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제2필터를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세척장치는 상수압을 이용하여 배관을 세척함으로써 세척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하고 휴대를 간편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 세척장치는 에어공급노즐(151)이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버블 발생기(150)를 구비함으로써, 상수의 유속보다도 빠른 유속으로 에어를 공급하여서 상수의 유동속도를 증가시켜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에서의 마이크로버블 발생을 원할하게 하여 녹, 스케일 및 슬라임과 같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척 장치는 에어 충격파 발생기(180)가 공기조절 레귤레이터(181)를 이용하여 초당 1~10번의 충격 에어압을 발생시키고 세척하고자 하는 배관(300)과 동축으로 공급하여서 배관내에 있는 마이크로버블을 와류발생기(190)를 통하여 원하는 배관 길이까지 도달하도록 하여 마이크로버블이 배관내에서 효과적으로 충격을 받아 터지게 하여 배관 세척효율을 높인다.
또한, 본 발명 세척장치는 필터부재(110)를 구비하여 수압공급관(200) 및 상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킴으로써 벤츄리관(120), 인버터 펌프(130)등의 장치 구성요소이 이물질로 인한 고장발생을 줄이고 원할한 작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터부재(110)는 상기 제2필터(80)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창(11)을 형성함으로써, 오염에 따른 상기 제2필터(80)의 변색여부를 손쉽게 알 수 있게 하여 제1,2필터(50)(80)들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1필터(50)가 보이지 않게 되면서 상기 제1필터(50)가 변색되어도 교체를 하지 않게 되고, 상기 제2필터(80)가 변색되어야 교체를 하게 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교체시기를 알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 세척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장치에 채용되는 벤츄리관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장치에 채용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배관 세척상태를 설명하는 배관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1의 장치에 채용되는 필터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수압, 버블, 충격파 및 와류를 이용하여 녹과 같은 오염된 배관을 세척하기 위한 배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배관 내벽에 형성된 녹, 스케일 및 슬라임 등의 이물질을 고속 및 고압의 수압, 마이크로 버블, 초음파를 작용하게 하고 충격파에 의한 더 많은 와류를 형성하여 토출토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수(上水)가 공급되는 수압공급관(200)의 수압으로 배관(300)을 세척하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세척장치를 나타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수압공급관(200)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배관(300)과 연결되는 연결관(400)과; 상기 연결관(400)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되는 상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110)와; 상기 이물질이 여과된 상수를 고속으로 통과시키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공(121)이 형성된 벤츄리관(120)과; 상기 벤츄리관(120)을 통과한 상수의 유량과 압력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인버터 펌프(130)와; 상기 인버터 펌프(130)로부터 토출되는 상수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140)와; 상기 경사버블발생기(150)로부터 공급된 외부공기 버블을 미세하게 분할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와;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 버블을 수용하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 저장탱크(170)와; 상기 마이크로버블 저장탱크(170)를 통과한 상수에 고속의 에어를 상기 배관(300)에 수평으로 공급하는 에어충격파 발생기(180)와; 상기 에어충격파 발생기(180)를 통과한 상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토출시키도록 내부면에 나선형홈이 형성된 와류발생기(19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0)와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 사이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통과한 상수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에어공급노즐(151)을 가지는 경사버블 발생기(150)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버블 발생기(150)는 복수의 에어공급노즐(151)이 상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서, 에어공급노즐(151)로부터 고압의 에어를 일정한 충격압력으로 공급함으로써 상수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는 양단부가 상기 연결관(400)과 연통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통형 몸체(165)와, 상기 통형 몸체(165)의 내부공간을 일정간격으로 분할시키는 복수의 격판(161)(162)(163)이 형성되고, 각 격판에는 각각 복수의 관통공(161a)(162a)(163a)이 형성된다.
상기 각 격판의 관통공(161a)(162a)(163a)은 상기 수압공급관(200) 측으로부터 상기 세척하고자 하는 배관(300)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버블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마이크로 버블로 형성되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300) 내벽에 형성된 녹등의 미세한 틈새(301)에도 마이크로 버블이 고속으로 침투하게 되어 녹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110)는 수압공급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어서 세척장치의 구성요소들인 벤츄리관(120), 인버터펌프(130), 경사버블 발생기(150) 등의 원할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수압공급관(200)의 내벽에 형성된 녹과 같은 오염물질로 인하여 인버터 펌프(130) 및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 등의 장치 구성들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재(1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재(110)는 케이싱(10)과; 중앙에는 상기 상수가 유입되는 제1수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공(16) 주연에는 상수가 배출되는 제2수공(17)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봉시키는 밀봉부재(15)와; 일측에는 상기 제1수공(16)과 연통되고 상기 수압공급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수공(17)과 연통되고 상기 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재(15)에 결합되는 커넥터(20)와; 중앙에는 상기 제1수공(16)으로 유입되는 상수를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공(31)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밀봉부재(15)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안내관(30)과;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30)이 삽입되는 제1결합공(41)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31)에 의해 안내되는 상수를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면으로 안내하는 제1수로(S1)가 형성되게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과 이격되면서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1하부캡(40)과;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과 이격되어 제2수로(S2)가 형성되게 상기 제1하부캡(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필터(50)와;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30)이 삽입되는 제2결합공(61)이 형성되고, 그 주연으로는 상기 제2수로(S2)와 연통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제3수공(62)이 형성되며,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에 밀착되게 상기 제1필터(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상부캡(60)과;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30)이 삽입되는 제3결합공(71)이 형성되어 상기 제3수공(62)으로 배출되는 상수를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면으로 안내하는 제3수로(S3)가 형성되게 상기 제1상부캡(60)과 이격되면서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2하부캡(70)과;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과 이격되어 제4수로(S4)가 형성되게 상기 제2하부캡(7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필터(80)와;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30)이 삽입되는 제4결합공(91)이 형성되고, 그 주연으로는 상기 제4수로(S4)와 연통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수공(17)과 연통되는 제4수공(92)이 형성되며,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에 밀착되게 상기 제2필터(8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상부캡(90); 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20)의 유입구(21)로 유입된 상수는, 상기 제1수공(16)을 통해 상기 안내관(30)의 상기 안내공(31)에 의해 상기 제1수로(S1)로 안내되고, 상기 제1수로(S1)로 안내된 상수는, 상기 제1수로(S1)에 의해 상기 제2수로(S2)로 안내되어 상기 제1필터(50)를 통과하여 상기 제3수공(62)로 배출되며, 상기 제3수공(62)으로 배출된 상수는, 상기 제3수로(S3)에 의해 상기 제4수로(S4)로 안내되어 상기 제2필터(80)를 통과하여 상기 제4수공(92)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4수공(92)으로 배출된 상수는, 상기 제2수공(17)을 통해 상기 커넥터(20)의 배출구(22)로 배출된다.
상기 제1필터(50) 및 상기 제2필터(80) 내측에는 상기 제1하부캡(40)과 상기 제1상부캡(60), 상기 제2하부캡(70)과 상기 제2상부캡(90)에 의해 공간부(A)(B)가 형성되어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상수의 흐름이 원할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에는 상기 제2필터(80)를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창(11)이 형성되어서, 제2필터(80)의 변색정도를 외부에서 관측하여 교체시기를 알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필터부재(110)의 이물질 여과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20)의 유입구(21)로 유입된 상수는, 상기 제1수공(16)을 통과하여 상기 안내관(30)의 상기 안내공(31)에 의해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에 상기 제1하부캡(4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수로(S1)로 안내된다.
이러한 상기 제1수로(S1)로 안내된 상수는, 상기 제1수로(S1)에 의해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필터(50)의 외부면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에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2수로(S2)로 안내되어 상기 제1필터(50)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10㎛ 크기의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50)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불순물이 여과된 상수는, 공간부(A)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공(62)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3수공(62)으로 배출된 상수는, 상기 제1상부캡(60)과 상기 제2하부캡(7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3수로(S3)에 의해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면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3수로(S3)에 의해 안내된 상수는, 상기 제2필터(80)의 외부면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4수로(S4)로 안내되어 상기 제2필터(80)를 통과하면서 1~5㎛ 크기의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80)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불순을 제거된 상수는, 공간부(B)를 경유하여 상기 제4수공(92)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4수공(92)으로 배출된 상수는, 상기 제2수공(17) 통해 상기 커넥터(20)의 상기 배출구(22)로 배출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수압공급관(200)으로부터 상수가 공급되면 상기 필터부재(110)를 경유하면서 수압공급관(200) 내벽으로부터 탈락된 녹 및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필터부재(110)를 경유한 상수는 벤츄리관(120)으로 유입되고 에어공(121)으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함께 고속으로 인버터 펌프(130)로 공급되고, 인버터 펌프(130)의 가압에 의해서 경사버블 발생기(150)로 공급된다.
상기 경사버블 발생기(150)의 각 에어공급노즐(151)은 연결관(400)에 대하여 45도의 경사로 상기 상수의 유속보다도 빠른 유속으로 에어를 일정한 충격압력으로 공급하여서 상수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게 할 뿐만 아니라, 벤츄리관(120)의 에어공(121)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버블의 이동시 에어커튼 현상(에어공급노즐(151)이 연결관(400)에 대해 수직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경우 발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버블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압공급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압, 인버터 펌프(130)에 의한 가압 및 경사버블 발생기(150)에 의한 가압으로 인하여 연결관(400)을 통하여 진행하는 상수 및 에어 버블은 고속으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킨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각 격판(161)(162)(163)의 관통공(161a)(162a)(163a)들이 상기 수압공급관(200) 측으로부터 상기 세척하고자 하는 배관(300)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서, 버블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마이크로 버블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를 통과하는 마이크로버블들은 초음파발진탱크(170)에 모아지고 프로그램에 의해 초당 1~10번 정도의 에어충격을 발생시키는 에어충격파 발생기(180)를 통하여 고속으로 와류발생기(190)측으로 유동하며, 와류를 형성하면서 세척하고자 하는 배관(300)으로 토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충격파 발생기(180)는 공기조절 레귤레이터(181)의 조절로 프로그램에 의해 초당 1~10번 정도 발생되는 충격 공기압을 배관(300)과 동축으로 공급하여 마이크로버블에 순간적인 충격을 가하게 된다.
상기 에어충격파 발생기(180)는 충격 공기압을 배관(300)에 동축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에어커튼 현상을 방지하여 연결관(400) 내를 고속으로 유동하는 상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증속시킬 수 있게 한다.
와류를 형성하는 상수 및 마이크로 버블은 배관(300)의 내벽에 형성된 녹등의 불순물들을 탈락시키면서 제거시키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세척장치는 상수압을 이용하여 배관을 세척함으로써 세척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하고 휴대를 간편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 세척장치는 에어공급노즐(151)이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버블 발생기(150)를 구비함으로써, 상수의 유속보다도 빠른 유속으로 에어를 공급하여서 상수의 유동속도를 증가시켜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에서의 마이크로버블 발생을 원할하게 하여 녹, 스케일 및 슬라임과 같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 세척장치는 필터부재(110)를 구비하여 수압공급관(200) 및 상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킴으로써 벤츄리관(120), 인버터 펌프(130)등의 장치 구성요소이 이물질로 인한 고장발생을 줄이고 원할한 작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터부재(110)는 상기 제2필터(80)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창(11)을 형성함으로써, 오염에 따른 상기 제2필터(80)의 변색여부를 손쉽게 알 수 있게 하여 제1,2필터(50)(80)들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1필터(50)가 보이지 않게 되면서 상기 제1필터(50)가 변색되어도 교체를 하지 않게 되고, 상기 제2필터(80)가 변색되어야 교체를 하게 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교체시기를 알 수 있게 한다.
100...배관 세척장치 110...필터부재
120...벤츄리관 130...인버터펌프
140...솔레노이드밸브 150...경사버블 발생기
160...마이크로버블 발생기 170...초음파발진탱크
180...에어충격파 발생기 190...와류발생기
200...수압공급관 300...배관
400...연결관

Claims (6)

  1. 상수(上水)가 공급되는 수압공급관(200)의 수압으로 배관(300)을 세척하는 배관 세척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수압공급관(200)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배관(300)과 연결되는 연결관(400)과;
    상기 연결관(400)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되는 상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110)와;
    상기 이물질이 여과된 상수를 고속으로 통과시키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공(121)이 형성된 벤츄리관(120)과;
    상기 벤츄리관(120)을 통과한 상수의 유량과 압력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인버터 펌프(130)와;
    상기 인버터 펌프(130)로부터 토출되는 상수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14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0)와 연결되며 외부공기 버블을 미세하게 분할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0)와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 사이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통과한 상수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에어공급노즐(151)을 가지는 경사버블발생기(150)와;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 버블을 수용하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 저장탱크(170)와;
    프로그램에 의해 초당 1~10번의 충격 공기압을 발생시켜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저장탱크(170)를 통과한 상수에 상기 배관(300)과 동축으로 공급하는 에어충격파 발생기(180)와;
    상기 에어충격파 발생기(180)를 통과한 상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토출시키도록 내부면에 나선형홈이 형성된 와류발생기(190);를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60)는 양단부가 상기 연결관(400)과 연통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통형 몸체(165)와, 상기 통형 몸체(165)의 내부공간을 일정간격으로 분할시키며 각각 복수의 관통공(161a)(162a)(163a)이 형성된 복수의 격판(161)(162)(163)을 구비하되, 상기 각 격판의 관통공은 상기 수압공급관(200) 측으로부터 상기 세척하고자 하는 배관(300)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되며,
    상기 필터부재(110)는
    케이싱(10)과;
    중앙에는 상수가 유입되는 제1수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공(16) 주연에는 상수가 배출되는 제2수공(17)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봉시키는 밀봉부재(15)와;
    일측에는 상기 제1수공(16)과 연통되고 상기 수압공급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수공(17)과 연통되고 상기 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재(15)에 결합되는 커넥터(20)와;
    중앙에는 상기 제1수공(16)으로 유입되는 상수를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공(31)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밀봉부재(15)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안내관(30)과;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30)이 삽입되는 제1결합공(41)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31)에 의해 안내되는 상수를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면으로 안내하는 제1수로(S1)가 형성되게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과 이격되면서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1하부캡(40)과;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과 이격되어 제2수로(S2)가 형성되게 상기 제1하부캡(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필터(50)와;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30)이 삽입되는 제2결합공(61)이 형성되고, 그 주연으로는 상기 제2수로(S2)와 연통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제3수공(62)이 형성되며,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에 밀착되게 상기 제1필터(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상부캡(60)과;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30)이 삽입되는 제3결합공(71)이 형성되어 상기 제3수공(62)으로 배출되는 상수를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면으로 안내하는 제3수로(S3)가 형성되게 상기 제1상부캡(60)과 이격되면서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2하부캡(70)과;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과 이격되어 제4수로(S4)가 형성되게 상기 제2하부캡(7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필터(80)와;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30)이 삽입되는 제4결합공(91)이 형성되고, 그 주연으로는 상기 제4수로(S4)와 연통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수공(17)과 연통되는 제4수공(92)이 형성되며, 외부면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면에 밀착되게 상기 제2필터(8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상부캡(90); 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20)의 유입구(21)로 유입된 상수는, 상기 제1수공(16)을 통해 상기 안내관(30)의 상기 안내공(31)에 의해 상기 제1수로(S1)로 안내되고,
    상기 제1수로(S1)로 안내된 상수는, 상기 제1수로(S1)에 의해 상기 제2수로(S2)로 안내되어 상기 제1필터(50)를 통과하여 상기 제3수공(62)로 배출되며,
    상기 제3수공(62)으로 배출된 상수는, 상기 제3수로(S3)에 의해 상기 제4수로(S4)로 안내되어 상기 제2필터(80)를 통과하여 상기 제4수공(92)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4수공(92)으로 배출된 상수는, 상기 제2수공(17)을 통해 상기 커넥터(20)의 배출구(22)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50) 및 상기 제2필터(80) 내측에는 상기 제1하부캡(40)과 상기 제1상부캡(60), 상기 제2하부캡(70)과 상기 제2상부캡(90)에 의해 공간부(A)(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는 상기 제2필터(80)를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창(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장치.
KR1020160178725A 2016-12-26 2016-12-26 배관 세척장치 KR101848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725A KR101848672B1 (ko) 2016-12-26 2016-12-26 배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725A KR101848672B1 (ko) 2016-12-26 2016-12-26 배관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672B1 true KR101848672B1 (ko) 2018-04-16

Family

ID=6208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725A KR101848672B1 (ko) 2016-12-26 2016-12-26 배관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656B1 (ko) 2018-10-10 2019-08-13 민경국 물과 공기압을 이용하여 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관세척장치가 포함된 배관 세척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316A (ja) * 2002-12-24 2004-07-22 Mitsubishi Chemicals Corp 洗浄用2流体ノズル及び洗浄方法
KR100942589B1 (ko) * 2009-06-02 2010-02-16 (주)엠이씨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KR101529376B1 (ko) * 2013-04-05 2015-06-22 김환홍 배관 세척 장치
JP2016195961A (ja) * 2015-04-02 2016-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316A (ja) * 2002-12-24 2004-07-22 Mitsubishi Chemicals Corp 洗浄用2流体ノズル及び洗浄方法
KR100942589B1 (ko) * 2009-06-02 2010-02-16 (주)엠이씨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KR101529376B1 (ko) * 2013-04-05 2015-06-22 김환홍 배관 세척 장치
JP2016195961A (ja) * 2015-04-02 2016-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656B1 (ko) 2018-10-10 2019-08-13 민경국 물과 공기압을 이용하여 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관세척장치가 포함된 배관 세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13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KR101894875B1 (ko) 무방류 역방향 관로 세척 장치 및 관로 세척 방법
US200701449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WO2018124935A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на основе микрогидроударного эффекта
JP6104399B2 (ja) 微細気泡生成装置および微細気泡生成装置を備える汚染水浄化システム
KR101848672B1 (ko) 배관 세척장치
CN210674451U (zh) 智能反冲洗前置过滤器
CN109154483A (zh) 冷却水循环系统
KR101402528B1 (ko)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
KR20130076178A (ko)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하부집수 조립체
JP5768391B2 (ja) 濾過装置
KR101581682B1 (ko) 전기분해 살균수 제조장치
AR029982A1 (es) Una planta para purificar agua contaminada por gotitas de liquidos hidrocarbonados
JP2017064574A (ja) 水処理装置
KR101786540B1 (ko) 살균수 세척수기
CN1333080A (zh) 外压中空纤维膜分离装置及其使用方法
CN210699147U (zh) 一种水务供水管道过滤装置
KR101184882B1 (ko) 공기배출, 유체 드레인 및 연결배관이 필요없는 연속필터하우징
EP3747534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nanobubbles
KR20100018640A (ko) 고압수를 분사하는 관정 세척장치
CN102861471A (zh) 一种自清洗过滤器
WO19980316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a liquid by means of flotation
KR102624883B1 (ko) 수처리식 공기정화 장치
KR20170064501A (ko) 백워싱 및 다단 복합 필터 장치
CN114504877B (zh) 一种雾化水湍流分离净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