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330B1 -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 Google Patents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330B1
KR102323330B1 KR1020190157507A KR20190157507A KR102323330B1 KR 102323330 B1 KR102323330 B1 KR 102323330B1 KR 1020190157507 A KR1020190157507 A KR 1020190157507A KR 20190157507 A KR20190157507 A KR 20190157507A KR 102323330 B1 KR102323330 B1 KR 102323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aw material
supply pipe
electromagnetic force
replacemen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662A (ko
Inventor
문경희
Original Assignee
형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성산업(주) filed Critical 형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157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3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는, 분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재; 상기 원료 공급부재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의 내부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력 발생부재; 상기 원료 공급부재의 단부에 위치되어,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부착시키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원료 공극부재를 공급관에 신속하게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필터부재의 청소나 피치 간격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하며, 필터부재를 자주 청소해줘야 하는 식품 관련 분야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SEPARATOR WITH FILTER QUICK REPLACEMENT FUNCTION}
본 발명은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전자기력으로서 필터링 하는 필터부가 신속하게 교체 가능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상태의 원료 또는 분말 상태의 원료, 예컨대 규사, 운모 연마석, 도자기 석분, 내화물, 2차 전지 원료 등의 분말 원료에 포함된 철 성분을 제거하여 순도 높은 원료를 얻기 위해 마그네틱 선별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아울러, 각종 화학 및 식료품 원료로부터 철분을 자력으로 분리하는 회전드럼식 선별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공급되는 원료에서 철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배출구 측에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롤러형 선별기가 장착되기도 한다.
이러한 선별기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05029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필터가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필터의 청소 또는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05029호(2000.09.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필터부재가 신속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청소나 피치 간격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한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는, 분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재; 상기 원료 공급부재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의 내부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력 발생부재; 상기 원료 공급부재의 단부에 위치되어,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부착시키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원료 공급부재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직립 설치되는 축부; 상기 축부의 일단에 복수 안착되며, 격자 형상의 필터링홀이 다수 형성되는 필터부; 및 상기 축부의 타단에 체결되어 상기 필터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는 분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재(110); 상기 원료 공급부재(110)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공급관(120); 상기 공급관(120)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120)의 내부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력 발생부재(140); 상기 원료 공급부재(110)의 단부에 위치되어,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부착시키는 필터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재(13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는 봉 형상의 축부(132); 및 상기 축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결합부(134a)를 각각 갖는 다수의 필터부(134);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132)에는 상기 축부(132)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다수의 필터부(134) 중 최상측 필터부(134)를 가압하여 상기 다수의 필터부(134)를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136)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134)는 다수의 종바 및 횡바를 격자 구조로 교차시켜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종바 및 횡바는 각각 판상체이며, 각각의 판상체가 벽체 모양으로 세워져 구비됨으로써, 판상체의 면부에 의하여 수직방향의 통로인 필터링홀(134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원료 공극부재를 공급관에 신속하게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필터부재의 청소나 피치 간격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하며, 필터부재를 자주 청소해줘야 하는 식품 관련 분야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에서 필터부재가 장착된 원료 공급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에서 필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에서 필터부재의 필터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에서 필터부재가 장착된 원료 공급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에서 필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에서 필터부재의 필터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100)는 원료 공급부재(110), 공급관(120), 필터부재(130), 전자기력 발생부재(140) 및 진동 발생부재(150)를 포함하며, 필터링 대상물 예컨대, 규사, 운모 연마석, 도자기 석분, 내화물, 2차 전지 원료 등의 분말 원료를 포장하기 전에 그 분말 원료에 포함되어 있는 철 성분의 미세한 금속 분말을 전자기력으로서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필터링 대상물로서 상기와 같은 분말 원료를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필터링 대상물이 유체 상태의 원료일 수도 있다.
원료 공급부재(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 원료를 필터부재(130)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호퍼(hopper)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원료 공급부재(110)는 하단이 공급관(120)의 상단 내부로 삽입되며, 외주면에 상부 지지부(122)에 체결구(B)로 체결될 수 있도록 확경된 플랜지 형태의 연장부(112)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구(B)는 아이너트 등이 이에 적용되며, 상부 지지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첩볼트의 단부에 나선 체결된다. 이때, 연장부(112)의 외주면에는 경첩볼트가 통과하도록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공급관(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된 원통 형상으로 그 상부에 원료 공여기서, 체결구(B)는 아이너트 등이 이에 적용되며, 상부 지지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첩볼트의 단부에 나선 체결된다. 이때, 연장부(112)의 외주면에는 경첩볼트가 통과하도록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급부재(110)의 하단이 삽입되며, 외주면 상부에 상부 지지부(122)가 구비되고, 외주면 하부에 하부 지지부(124)가 구비된다.
이때, 상부 지지부(122)는 원료 공급부재(110)의 연장부(112)를 통해 체결구(B)가 체결될 수 있도록 경첩볼트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급관(120)의 내주면에 필터부재(130) 중 최하측 필터부(134)가 지지되는 지지턱이 구비 가능하다.
필터부재(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 공급부재(110)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위치되어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부착시킨다.
즉, 필터부재(130)는 전자기력 발생부재(140)에 의해 전자기력을 상호 적층된 필터부(134)들로 제공한 상태에서, 분말 원료를 필터부(134)들의 필터링홀(134b)들로 통과시키게 되면, 그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금속 분말이 필터부(134)에 부착됨으로써 분말 원료에서 철 성분의 금속 분말을 필터링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필터부재(130)는 축부(132), 필터부(134) 및 체결부(136)를 포함한다.
축부(132)는 직립 설치되며, 세부적으로 걸림돌기(132a), 연장축(132b), 나선(132c) 및 결합돌기(132d)를 포함한다.
걸림돌기(132a)는 역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 턱에 필터부(134)가 안착된다.
연장축(132b)은 걸림돌기(132a)의 중심부에서 직립 연장되며, 상부 외주면에 나선(132c)이 형성된다.
나선(132c)은 연장축(132b)에 필터부(134)가 다수 결합된 상태에서 최상측 필터부(134)를 체결부(136)에 의해 나선 체결시킬 수 있도록 연장축(132b)의 상부 또는 전체에 형성된다.
결합돌기(132d)는 나선(132c)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부(133)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회전부(133)는 필터부(134)가 설치된 축부(132)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며, 하부에 결합돌기(132d)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선이 연장축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 가능하다. 즉, 나선은 연장축의 외주면에 삽입된 원통 형상의 회전구 외주면에 형성되고, 그 상부에 결합돌기가 일체 형성되어 연장축의 상부에서 자유 회전하도록 구비 가능하다.
이 경우, 나선에 체결부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회전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 체결된 체결부가 하부로 하강하게 되어 필터부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잠그게 되고, 회전부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에 체결된 체결부가 상부로 하강하게 되어 필터부의 상부에서 이격된다.
이렇게, 나선과 연장축이 분리되는 경우 체결부의 체결을 위해 체결부를 회전시켜야 하지만, 나선이 연장축에서 자유 회전되게 구비되면 체결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나선만 회전시키면 회전되는 나선 방향에 따라 체결부가 승강하면서 작업이 용이하다.
필터부(134)는 축부(132)의 하부에 복수 안착되어, 별도 공급되는 분말 원료를 통과시키면서 전자기력 발생부재(14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력을 제공받아 분말 원료 중의 금속 분말을 필터링 하게 되도록 메쉬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필터부(134)는 축부(13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환형 형상의 결합부(134a)가 구비되고, 결합부(134a)가 중심에 위치되면서 종바와 횡바를 교차 형태로 연결하여 격자 형상의 필터링홀(134b)이 다수 형성되게 한다.
더욱이, 필터링홀(134b)은 높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연통)되면서 분말 원료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부(134)는 분말 원료에 대한 접촉 면적을 극대화시켜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효과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134)는 전자기력 발생부재(140)로부터 제공되는 전자기력을 제공받아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금속 분말을 전자기력으로서 부착하여 필터링 하게 된다.
체결부(136)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부(132)의 나선(132c)에 나선 체결되면서 축부(132)의 하부에 다수 안착된 필터부(134) 중 최상측 필터부(134)를 고정시킨다.
전자기력 발생부재(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120)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의 내부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즉, 전자기력 발생부재(140)는 전자 코일을 이용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공급관(120)을 중심으로 권회되는 복수의 코일(142: 솔레노이드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기력 발생부재(140)는 코일(142)로 전원을 인가하여 소정 가우스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공지 기술의 전자석으로서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이, 전자기력 발생부재(140)는 상면과 상부 지지부(122)와의 사이에 제1 탄성부(144)로 연결되고, 하면과 하부 지지부(124)와의 사이에 제2 탄성부(146)로 연결되어, 제1, 2 탄성부(144, 146)에 의해 상, 하부 지지부(122, 124)에 고정된다.
진동 발생부재(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130)에 진동을 발생시키되, 전자기력 발생부재(140)로부터 필터부(134)에 제공되는 전자기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필터부재(130)에 진동력을 제공하여 필터부(134)에 부착된 금속 분말을 떨어뜨려 공급관(12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 발생부재(150)는 전자기력 발생부재(140)로부터 필터부(134)에 전자기력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필터부재(130)에 진동력을 제공하여 분말 원료가 필터부(134)를 보다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진동 발생부재(150)는 무게 중심이 편심된 편심부, 및 그 편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구동 모터가 편심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진동을 유발시키는 공지 기술의 진동수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100)는 공급관(120)의 상부에 원료 공급부재(110)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면서 원료 공급부재(110)의 내부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필터부재(130)를 구비함으로써 필터부(134)의 청소나 피치 간격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하며, 필터부(134)를 자주 청소해줘야 하는 식품 관련 분야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즉, 필터부(134)의 분리가 요구되는 경우, 먼저 원료 공급부재(110)를 상부 지지부(122)에 고정시킨 체결구(B)를 연장부(112)에서 분리 상태에서 원료 공급부재(110)를 공급관(120)에서 분리시킨 후에 원료 공급부재(110)에서 필터부재(130)를 분리시킨다.
그 후에, 체결부(136)를 축부(132)의 나선(132c)에서 분리한 후 필터부(134)를 분리하여 청소 또는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실시하며, 작업을 종료한 다음 역순으로 조립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110: 원료 공급부재
112: 연장부
120: 공급관
122, 124: 상, 하부 지지부
130: 필터부재
132: 축부
134: 필터부
136: 체결부
140: 전자기력 발생부재
142: 코일
150: 진동 발생부재

Claims (3)

  1. 분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재(110);
    상기 원료 공급부재(110)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공급관(120);
    상기 공급관(120)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120)의 내부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력 발생부재(140);
    상기 원료 공급부재(110)의 단부에 위치되어,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부착시키는 필터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재(13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는 봉 형상의 축부(132); 및
    상기 축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결합부(134a)를 각각 갖는 다수의 필터부(134);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132)에는 상기 축부(132)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다수의 필터부(134) 중 최상측 필터부(134)를 가압하여 상기 다수의 필터부(134)를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136)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134)는 다수의 종바 및 횡바를 격자 구조로 교차시켜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종바 및 횡바는 각각 판상체이며, 각각의 판상체가 벽체 모양으로 세워져 구비됨으로써, 판상체의 면부에 의하여 수직방향의 통로인 필터링홀(134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2. 삭제
  3. 삭제
KR1020190157507A 2019-11-29 2019-11-29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KR10232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07A KR102323330B1 (ko) 2019-11-29 2019-11-29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07A KR102323330B1 (ko) 2019-11-29 2019-11-29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662A KR20210067662A (ko) 2021-06-08
KR102323330B1 true KR102323330B1 (ko) 2021-11-08

Family

ID=7639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507A KR102323330B1 (ko) 2019-11-29 2019-11-29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461B1 (ko) * 2023-03-23 2023-07-20 주식회사 강원에너지 금속성 이물질 선별장치
CN116651614B (zh) * 2023-07-28 2023-11-03 唐山鑫丰锂业有限公司 一种碳酸锂提纯下料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029Y1 (ko) * 2000-07-11 2000-12-01 한승기 전자석 선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029B1 (ko) 1996-09-13 1999-06-15 이계철 분산처리방식 에이티엠 교환기에서의 중계선 루트 데이타베이스 구조
KR20020004632A (ko) * 2000-07-06 2002-01-16 이구택 압연유 순환정화용 전자기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029Y1 (ko) * 2000-07-11 2000-12-01 한승기 전자석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662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330B1 (ko) 필터 신속 교체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CN101862702B (zh) 离心高梯度磁选法
US201302642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gnetic separation
CN105170456B (zh) 种子筛选机
KR20190047952A (ko) 코드엔드가 부착된 수중입자 크기별 채집장치
RU24744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аждения ферромагнитных частиц из суспензии
CN202143865U (zh) 粉料除铁器
KR100667709B1 (ko)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
CN108654725A (zh) 一种磁性材料加工筛分装置
US4208277A (en) Rotary reciprocating magnetic separator with upward feed
KR102337849B1 (ko) 탈자기 기능을 구비한 선별기
JP6363908B2 (ja) 金属粉除去ユニット
WO2007043780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hips in coolant oil
KR100940041B1 (ko)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CN206622308U (zh) 一种分层振动筛
KR100990506B1 (ko) 마그네틱 필터장치
CN102527629A (zh) 一种改进型自动筛选分离机
CN215141859U (zh) 一种可替换筛网的摇筛装置
CN205850345U (zh) 一种具有磁过滤的过滤器
US4729827A (en) Magnetic separator
CN218872887U (zh) 一种用于控制原料粮杂质的磁选机
RU2436635C2 (ru) Винтовой сепаратор
CN212633461U (zh) 螺旋式球体颗粒筛选机
JP6283084B2 (ja) 乾式振動磁気フィルタ用の改良物質分離回収マトリックス
CN211436955U (zh) 一种可调筛选孔径的振动筛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