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172B1 -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172B1
KR102323172B1 KR1020170064579A KR20170064579A KR102323172B1 KR 102323172 B1 KR102323172 B1 KR 102323172B1 KR 1020170064579 A KR1020170064579 A KR 1020170064579A KR 20170064579 A KR20170064579 A KR 20170064579A KR 102323172 B1 KR102323172 B1 KR 10232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oling
cooling roller
exterior film
deco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091A (ko
Inventor
김준범
정석재
정현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17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은,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 상기 데코부재의 일면에 제공되는 프라이머, 상기 프라이머와 접하며, 레진으로 성형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다수의 냉각롤러 사이로 공급되는 데코부재의 일면에 용융상태의 상기 레진이 함께 공급되도록하여 상기 데코부재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은, 수재 소재의 레진이 압출기에서 용융되는 레진 용융 단계; 용융된 레진이 노즐을 통해서 압출되는 레진 압출 단계; 압출된 액체 상태의 레진과 일면에 프라이머가 표면 처리된 데코부재가 다수의 냉각롤러 사이로 함께 투입되고,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접합됨과 동시에 냉각되는 접합 및 냉각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 및 냉각 단계에서,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프라이머가 형성된 일면이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에 접촉되도록 투입되어, 상기 프라이머가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의 온도에 의해서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과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와의 접촉에 의해서 냉각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외장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데코부재의 일면에 프라이머가 제공됨에 따라 데코부재의 재질을 다양하게 적용하더라도 베이스를 형성하는 레진과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레진이 액체상태에서 데코부재의 프라이머와 접촉됨과 동시에 냉각롤러에 의해서 냉각되므로, 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Exterior film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가전기기들은 외관을 보다 고급스럽게 하거나 고객의 기호에 대응하기 위해서, 색상과 무늬를 가지는 외장필름이 부착되거나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외장필름이 부착된다.
예로들어, 플라스틱 소재로 외관이 형성된 가전기기에 금속의 색상 및 질감을 가지는 외장필름을 부착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가전기기가 금속의 외관을 연출하도록 한다.
또는, 내지문성을 가지는 외장필름을 부착하여, 가전기기의 외관에 얼룩 발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외장필름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소재가 적층되어 형성되어, 복합적인 물성을 가지거나 기능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외장필름을 형성하는 각각의 층은 별도로 제조된 후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되어 외장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0358호에는, 다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의 외장필름(20)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외장필름(20)은 다수의 기재층(203, 205)을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의 기재층(203, 205)이 각각 별도의 필름으로 제공되고, 접착제(204)에 의해서 접착되어 적층 구조의 외장필름(20)으로 제조된다.
하지만, 선행문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기재층(203, 205)을 별도로 형성하고, 하나의 기재층에 접착제(204)를 바르는 공정을 거친 후, 다른 기재층을 접합시키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다층 구조의 외장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수가 많음에 따라 제조 비용이 크게 발생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다수의 기재층을 별도로 형성한 후 접착시킬 때, 안정적인 접착을 위해서 접착면의 가열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면의 가열 공정을 추가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될 수 있으며, 추가하지 않을 경우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기재층이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으로 제공되거나 서도 다른 소재로 제공되는 경우, 물성의 차이 또는 소재의 차이로 인해서 접착제로 견고하게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접착면에 추가로 프라이머 처리가 요구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 처리 공정이 추가되는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소재의 데코부재가 안정적으로 접합되어 제공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된 레진에 데코부재를 접합시킴과 동시에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정의 효율성이 높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가전기이용 외장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은,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 상기 데코부재의 일면에 제공되는 프라이머, 상기 프라이머와 접하며, 레진으로 성형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다수의 냉각롤러 사이로 공급되는 데코부재의 일면에 용융상태의 상기 레진이 함께 공급되도록하여 상기 데코부재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는 금속이 증착 처리된 데코레이션 필름이며,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은,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증착층; 상기 증착층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착층을 보호하며, 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는 섬유 소재로 형성된 섬유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는 목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는 가죽 소재로 형성된 가죽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 방법은, 수재 소재의 레진이 압출기에서 용융되는 레진 용융 단계; 용융된 레진이 노즐을 통해서 압출되는 레진 압출 단계; 압출된 액체 상태의 레진과 일면에 프라이머가 표면 처리된 데코부재가 다수의 냉각롤러 사이로 함께 투입되고,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접합됨과 동시에 냉각되는 접합 및 냉각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 및 냉각 단계에서,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프라이머가 형성된 일면이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에 접촉되도록 투입되어, 상기 프라이머가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의 온도에 의해서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과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와의 접촉에 의해서 냉각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는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되어 접촉되는 상기 레진 및 데코부재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는, 제1 냉각롤러 및, 상기 제1 냉각롤러와 이격되는 제2 냉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 및 냉각 단계에서,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과 데코부재는 상기 제1 냉각롤러와 제2 냉각롤러의 사이로 함께 투입되며,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은 상기 제1 냉각롤러에 접촉되어 가압되고,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제2 냉각롤러에 접촉되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는, 상기 제2 냉각롤러와 이격되는 제3 냉각롤러는 더 포함하며, 상기 접합 및 냉각 단계에서, 상기 제1 냉각롤러와 제2 냉각롤러의 사이를 통과한 상기 레진과 데코부재는 상기 제2 냉각롤러와 제3 냉각롤러의 사이로 투입되어 추가로 가압 및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 및 냉각 단계에서, 상기 데코부재는 권출이게 권취되어 제공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냉각롤러와 제2 냉각롤러의 사이로 투입되며, 상기 제1 냉각롤러와 제2 냉각롤러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데코부재의 일단을 당겨, 상기 데코부재에 텐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는 표면이 균일하게 형성된 데코레이션 필름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 중 상기 데코부재를 가압하는 냉각롤러는, 외주면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는 가죽부재 또는 섬유부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 중 상기 데코부재를 가압하는 냉각롤러는,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 중 상기 데코부재를 가압하는 냉각롤러는, 외주면이 슈퍼피니싱 처리되어 제공되거나 에칭 처리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외장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일면에 프라이머가 처리된 데코부재를 적용시킴으로써, 상기 데코부재의 재질에 상관없이 압출된 레진과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부재가 데코레이션 필름 또는 가죽부재 또는 목재 또는 섬유부재로 제공되더라도 상기 레진과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게 된다.
둘째, 상기 데코부재의 프라이머가 액체상태의 레진의 온도에 의해서 가열되어 안정적으로 접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에 바로 접합된다. 따라서, 접합 안정성을 위해 상기 프라이머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접합을 위한 접착제나 접착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데코부재의 표면이 냉각롤러에 의해서 냉각되는 상태에서, 프라이머만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에 접촉되어 고온에 노출된다. 따라서, 고온에 의한 상기 데코부재의 표면 손상 및 변형이 최소화되고, 높은 품질의 외장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데코부재가 가죽부재 또는 섬유부재와 같이 열에 취약한 소재로 제공되더라도, 상기 데코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높은 품질의 외장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데코부재가 다수의 냉각롤러의 사이로 투입되었을 때,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에 의해 당겨지면서 텐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가 울렁임의 방지를 위해서 접합시 텐션이 요구되는 소재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상기 레진과 균일하게 밀착되어 접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데코부재가 섬유부재나 가죽부재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텐션에 의해서 상기 데코부재와 상기 레진이 균일하게 밀착되어 울렁임없이 접합될 수 있으며, 높은 품질의 외장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데코부재와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이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에 의해서 접합됨과 동시에 냉각되고 요구되는 두께로 성형된다. 즉, 상기 데코부재와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의 접합 및 냉각 및 두께 성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장필름의 제조 공정이 단순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외장필름이 부착된 패널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외장필름이 부착된 패널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필름의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필름의 성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각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은 식품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실과, 식품의 냉동 보관을 위한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하로 구획되거나 좌우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각각 베리어에 의해서 다수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2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냉장실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냉동실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와 캐비닛(10)의 표면에는 외장필름(100)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는 외장필름(100)에 형성된 패턴 또는 색상에 의해서 다양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20)와 캐비닛(10)은,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패널(도2, 25)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25)의 상면에 상기 외장필름(1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장필름(100)은 상기 도어(20)의 일부 또는 전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필름(100)은 상기 캐비닛(10)의 일부 또는 전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외장필름(100)이 상기 냉장고(1)의 도어(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패널(25)에 부착되는 것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외장필름(100)의 부착 위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외형을 형성하는 패널(25)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필름(100)은 상기 냉장고(1)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외장필름(100)은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장필름(100)은 수지 소재의 베이스(도2, 110)에 데코부재(도2, 130)가 접합된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외장필름(100)의 표면을 형성하며, 다양한 소재로 적용되어 다양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데코부재(130)는 금속 질감이 나타나도록 금속이 증착된 수지 필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코부재(130)는 가죽 질감이 나타나도록 가죽부재이거나, 섬유의 질감이 나타나도록 섬유부재이거나, 목재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130)의 소재에 따라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다양한 느낌으로 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서로 다른 소재의 상기 데코부재(130)가 적용된 상기 외장필름(100)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외장필름(100)이 부착된 패널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외장필름(100)은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데코부재(130)가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데코부재(130)는 프라이머(120)에 의해서 접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10)와 데코부재(130)의 사이에는 프라이머(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접착제(26)에 의해서 상기 패널(25)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는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출된 레진이 가압되어 성형될 수 있다. 예로 들어, 상기 베이스(110)는. ABS수지 또는 ASA 수지 또는 PET수지 또는 PCT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PMMA수지 또는 PC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베이스(110)에 접합된 데코레이션 필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은 금속의 질감을 위해 금속이 증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데코부재(130) 금속의 질감을 위해 금속이 증착된 증착층(136)과, 상기 증착층(136)의 상면에 형성된 수지 소재의 코팅층(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135)은 상기 증착층(136)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착층(136)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135)은 열안정성을 위해서 PET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135)은 상기 증착층(136)에 의한 금속 질감이 나타나도록 투명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착층(136)이 외부로 가시화되며, 상기 데코부재(130)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이 금속의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금속의 증착층이 형성된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제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외장필름(100)의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외장필름(100)이 부착된 패널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외장필름(100)은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데코부재(130)가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데코부재(130)는 프라이머(120)에 의해서 접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10)와 데코부재(130)의 사이에는 프라이머(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접착제(26)에 의해서 상기 패널(25)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는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출된 레진이 가압되어 성형될 수 있다. 예로 들어, 상기 베이스(110)는. ABS수지 또는 ASA 수지 또는 PET수지 또는 PCT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PMMA수지 또는 PC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베이스(110)에 접합된 섬유부재일 수 있다. 즉, 상기 데코부재는(130)는 섬유의 질감을 위해 섬유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섬유 소재로 형성된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130)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이 섬유의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상기 데코부재(130)는 가죽부재 또는 목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120)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110)에 접합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다양한 실시예의 외장필름(100)은 상기 베이스(110)의 압출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110)에 상기 데코부재(130)를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외장필름(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필름의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필름의 성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외장필름(100)의 제조방법은, 레진 용융 단계[S100], 레진 압출 단계[S200], 데코부재(130) 접합 및 냉각 단계[S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진 용융 단계는, 상기 베이스(110)의 소재가 되는 고체 상태의 레진이 압출기에서 용융되어 액체화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소재가 되는 레진은 압출기(310)에서 용융될 수 있다. 그리고, 용융된 액체상태의 레진은 상기 압출기(310)의 출구측에 구비된 노즐(320)로 이송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체 상태의 레진이 상기 압출기(31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기(310)는 고체 상태의 레진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출기(310)는 레진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레진이 설정된 점도의 액체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기(310)는 내부에서 용융된 레진을 출구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압출기(310)의 출구측에 구비된 상기 노즐(320)로 이송시킬 수 있다.[S100]
한편, 상기 레진 압출 단계는, 용융된 레진이 상기 노즐(320)을 통해서 압출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노즐(320)은 용융된 레진이 설정된 온도 및 양으로 압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상태의 레진은 상기 노즐(320)을 통해서 설정된 양으로 압출될 수 있다.[S200]
한편, 상기 데코부재(130) 접합 및 냉각 단계는, 압출된 액체 상태의 레진에 프라이머(120) 처리된 상기 데코부재(130)가 접합되고, 동시에 냉각이 이루어지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상기 레진과 상기 데코부재(130)가 접합되고 냉각되어 상기 외장필름(100)으로 성형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130) 압착 및 냉각 단계에서는,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과 상기 데코부재(130)의 접합 및 냉각을 위해 다수의 냉각롤러(34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340)는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냉각롤러(341), 제2 냉각롤러(342), 제3 냉각롤러(34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과 데코부재(130)는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340)의 사이로 함께 투입되어 가압됨과 동시에 접합 및 냉각되고, 의도하는 두께의 외장필름(100)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340)의 외주면은 서로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사이 공간으로 투입된 상기 레진과 데코부재(130)가 의도하는 두께로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34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340)는 상기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되어, 사이 공간으로 투입된 상기 레진과 데코부재(13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체화된 상기 외장필름(100)이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노즐(320)에서 압출된 액체상태의 레진은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제2 냉각롤러(342)의 사이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130)는 권취된 형태로 제공되고, 권출기(33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출기(330)의 회전에 의해서 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과 함께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제2 냉각롤러(342)의 사이로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코부재(130)의 일면에는 상기 레진과의 원활한 접합을 위해 프라이머(120)가 처리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120)가 처리된 면이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과 접촉되도록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과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제2 냉각롤러(342)에 의해서 가압되어 밀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은 상기 제1 냉각롤러(341)에 접촉되어 가압되고,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제2 냉각롤러(342)에 접촉되어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제2 냉각롤러(342)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부재(130)와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을 투입되는 측과 반대되는 측으로 밀어내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제2 냉각롤러(342)의 회전에 의해서 당겨져 텐션이 발생된 상태로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권출기(330)는 상기 데코부재(130)에 적절한 텐션이 생성되도록, 상기 데코부재(130)의 권출을 위한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120)는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과 접촉시,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의 높은 온도에 의해서 가열되어 안정적으로 접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접합 안정성을 위해 상기 프라이머(120)의 가열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접합 안정성을 위한 별도의 가열 공정의 생략을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과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제2 냉각롤러(342)의 사이에서 가압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제2 냉각롤러(342)에 접하는 면이 냉각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은 상기 제1 냉각롤러(341)에 접촉되어 냉각되고,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제2 냉각롤러(342)에 접촉되어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과 상기 프라이머(120)는 안정적으로 접합 가능한 온도 상태로 밀착됨과 동시에 냉각되어, 서로 견고하게 접합 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레진의 일면에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코부재(130)가 접합되지 않은 상기 레진의 타면은 상기 제1 냉각롤러(341)에 외주면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130)가 접합된 레진은, 상기 데코부재(130)가 상기 제2 냉각롤러(342)의 외주면에 접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코부재(130)가 상기 제2 냉각롤러(342)의 외주면의 절반 이상의 영역에 접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부재(130)는 상기 제2 냉각롤러(343)의 외주면 둘레의 최대한 넓은 영역에 접한 상태로 이송되어 지속적으로 냉각되면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과 상기 데코부재(130)는 단계적인 냉각을 통해서 보다 안정적으로 접합되고,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3 냉각롤러(343)는 상기 제2 냉각롤러(342)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반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냉각롤러(343)는 상기 제2 냉각롤러(342)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냉각롤러(343)는 상기 제2 냉각롤러(34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제2 냉각롤러(342)를 통과하면서 상기 데코부재(130)와 접합된 레진은, 상기 제2 냉각롤러(342)와 제3 냉각롤러(343)의 사이로 투입되어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냉각롤러(342)와 제3 냉각롤러(343)에 의해서 추가 냉각되어 안정적으로 고체화되고, 압착되어 요구되는 두께의 상기 외장필름(100)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냉각롤러(343)는 상기 레진의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레진의 타면을 가압 및 냉각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부재(130)와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은,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34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밀착되고, 단계적인 냉각을 통해 안정적으로 접합 및 고체화되고, 요구되는 두께의 상기 외장필름(100)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340)는 레진의 소재 및 데코부재(130)의 소재 등에 따라 외주면이 금속소재로 형성된 하드한 롤러로 제공되거나,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소프트한 롤러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외주면이 균일하게 제공되거나 또는, 슈퍼피니싱 처리되어 제공되거나 에칭 처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로 들어, 상기 데코부재(130)가 표면이 균일한 데코레이션 필름인 경우, 상기 제2 냉각롤러(342)는 외주면이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130)를 균일하게 가압되어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부재(130)를 균일하게 가압하여 접합율이 10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코부재(130)가 표면이 균일하지 못한 가죽부재이거나 섬유부재인 경우, 상기 제2 냉각롤러(342)는 소프트한 롤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외주면이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130)의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데코부재(130)의 표면이 균일하게 가압되어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냉각롤러(341)는 외주면이 슈퍼피니싱 처리되어 제공되거나 에칭 처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접촉되는 상기 레진의 타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제(26)에 의한 상기 패널(25)과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냉각롤러(341)는 외주면이 균일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냉각롤러(341)와 접촉되는 상기 레진의 타면이 높은 평활도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평활도가 높은 상기 외장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냉각롤러(343) 또한 외주면이 균일하게 제공되어 상기 레진의 타면이 보다 높은 평활도로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S300]
이와 같은 외장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외장필름(100)에 다양한 소재의 데코부재(130)를 적용가능하며 높은 품질의 외장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히, 일면에 프라이머(120) 처리된 데코부재(130)를 적용시킴으로써, 상기 데코부재(130)의 재질에 상관없이 압출된 레진과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부재(130)가 데코레이션 필름 또는 가죽부재 또는 목재 또는 섬유부재로 제공되더라도 상기 레진과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130)의 프라이머(120)가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의 온도에 의해서 가열되어 안정적으로 접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에 바로 접합된다.
따라서, 접합 안정성을 위해 상기 프라이머(120)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부재(130)와 상기 베이스(110)의 접합을 위한 접착제나 접착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부재(130)와 상기 레진에 의해서 형성된 베이스 필름을 별도로 제조하고, 별도의 가열공정을 거친후 별도의 접합 공정을 통해서 접합시키는 일반적인 외장필름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130)의 표면이 상기 냉각롤러(342)에 의해서 냉각되는 상태에서, 상기 프라이머(120)만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에 접촉되어 고온에 노출된다.
따라서, 고온에 의한 상기 데코부재(130)의 표면 손상 및 변형이 최소화되고, 높은 품질의 외장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데코부재(130)가 가죽부재 또는 섬유부재와 같이 열에 취약한 소재로 제공되더라도, 상기 데코부재(130)의 손상을 방지하고 높은 품질의 외장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130)가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340)의 사이로 투입되었을 때,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340)에 의해 당겨지면서 텐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130)가 울렁임의 방지를 위해서 접합시 텐션이 요구되는 소재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상기 레진과 균일하게 밀착되어 접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데코부재(130)가 섬유부재나 가죽부재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텐션에 의해서 상기 데코부재(130)와 상기 레진이 균일하게 밀착되어 울렁임없이 접합될 수 있으며, 높은 품질의 외장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130)와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이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340)에 의해서 접합됨과 동시에 냉각되고 요구되는 두께로 성형된다. 즉, 상기 데코부재(130)와 상기 액체상태의 레진의 접합 및 냉각 및 두께 성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장필름(100)의 제조 공정이 단순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수재 소재의 레진이 압출기에서 용융되는 레진 용융 단계;
    용융된 레진이 노즐을 통해서 압출되는 레진 압출 단계;
    압출된 액체 상태의 레진과 일면에 프라이머가 표면 처리된 데코부재가 다수의 냉각롤러 사이로 함께 투입되고,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접합됨과 동시에 냉각되는 접합 및 냉각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 및 냉각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프라이머가 형성된 일면이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에 접촉되도록 투입되어, 상기 프라이머가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의 온도에 의해서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과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와의 접촉에 의해서 냉각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는, 제1 냉각롤러 및, 상기 제1 냉각롤러와 이격되는 제2 냉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 및 냉각 단계에서,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과 데코부재는 상기 제1 냉각롤러와 제2 냉각롤러의 사이로 함께 투입되며, 상기 액체 상태의 레진은 상기 제1 냉각롤러에 접촉되어 가압되고,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제2 냉각롤러에 접촉되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는, 상기 제2 냉각롤러와 이격되는 제3 냉각롤러는 더 포함하며,
    상기 접합 및 냉각 단계에서,
    상기 제1 냉각롤러와 제2 냉각롤러의 사이를 통과한 상기 레진과 데코부재는 상기 제2 냉각롤러와 제3 냉각롤러의 사이로 투입되어 추가로 가압 및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및 냉각 단계에서,
    상기 데코부재는 권출되게 권취되어 제공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냉각롤러와 제2 냉각롤러의 사이로 투입되며,
    상기 제1 냉각롤러와 제2 냉각롤러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데코부재의 일단을 당겨, 상기 데코부재에 텐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표면이 균일하게 형성된 데코레이션 필름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 중 상기 데코부재를 가압하는 냉각롤러는, 외주면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가죽부재 또는 섬유부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 중 상기 데코부재를 가압하는 냉각롤러는,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냉각롤러 중 상기 데코부재를 가압하는 냉각롤러는, 외주면이 슈퍼피니싱 처리되어 제공되거나 에칭 처리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금속이 증착 처리된 데코레이션 필름이며,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은,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증착층;
    상기 증착층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착층을 보호하며, 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의 제조방법.
  17. 제6항, 제8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KR1020170064579A 2017-05-25 2017-05-25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2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79A KR102323172B1 (ko) 2017-05-25 2017-05-25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79A KR102323172B1 (ko) 2017-05-25 2017-05-25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91A KR20180129091A (ko) 2018-12-05
KR102323172B1 true KR102323172B1 (ko) 2021-11-08

Family

ID=6474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579A KR102323172B1 (ko) 2017-05-25 2017-05-25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1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188B1 (ko) * 2005-07-05 2006-11-10 오공진 합성수지시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421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필름 접합 장치.
KR101624686B1 (ko) * 2014-08-12 2016-05-26 주식회사 화진 금속층과 무늬층을 구비한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188B1 (ko) * 2005-07-05 2006-11-10 오공진 합성수지시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91A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784B1 (ko) 종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1032B1 (ko) 가식 시트와 가식 성형품 및 사출성형 동시 가식 방법
KR101068277B1 (ko) 인사이드 헤어라인 인서트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72158B1 (ko) 내부 엠보를 가진 적층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3172B1 (ko)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566150B (zh) 金属层保持用薄膜、金属风格装饰片材中间体、金属风格装饰片材、挤出层压体
EP1055512B9 (en) Molded articl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20090324908A1 (en) Plastic article having decorative pattern and method for making the plastic article
JP7183528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US6670028B2 (en) Molded articl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20190020351A (ko) 냉장고 아웃 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CN110172306A (zh) 一种用于模内注塑的刻字预涂膜及制备工艺
KR102441799B1 (ko) 냉장고 아웃 플레이트
KR20220015760A (ko)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03094556A (ja) 成形用シート及び絞り加工品の成形方法
KR20170116848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US11650005B2 (en) Composite film for home appliance and refrigerator with composite film attached
KR20120048870A (ko) 인테리어용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9095A (ko) 가전기기용 필름의 제조 방법
JPH0952247A (ja) 貼り合わせ射出成形方法
KR20210071520A (ko)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JP2012030418A (ja) 内部凹凸を有する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モールド成形用化粧シート
KR20120001667A (ko) 사출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65583A1 (en) Method for making decorative sealing strips
KR101417410B1 (ko) 천연소재 적용 무드 조명 구현을 위한 입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