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985B1 -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985B1
KR102322985B1 KR1020210079442A KR20210079442A KR102322985B1 KR 102322985 B1 KR102322985 B1 KR 102322985B1 KR 1020210079442 A KR1020210079442 A KR 1020210079442A KR 20210079442 A KR20210079442 A KR 20210079442A KR 102322985 B1 KR102322985 B1 KR 102322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rum
drum
reduction unit
coupled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헌학
Original Assignee
제이엠스테이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스테이지(주) filed Critical 제이엠스테이지(주)
Priority to KR102021007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58Hydraulically controlled couplings or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는, 프레임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승강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드럼과, 권취드럼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가 결합되어 프레임에 고정되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권취드럼으로 전달하는 제1감속 유닛와, 권취드럼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속 유닛과 권취드럼을 연결하며, 제1감속 유닛의 회전을 감속하는 제2감속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Winding drum driving device for stage equipment}
본 발명은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성기어 어셈블리를 2단으로 설치하여 감속비를 크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큰 토크를 발생하도록 하여 고중량의 무대설비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에는 공연시 다양한 연출을 하기 위하여 무대 및 천장 등에 각종 무대설비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공연장에는 무대에서 사용되는 각종 시설물, 즉 무대시설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기계장치인 승강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된다.
또한, 무대설비 중 무대의 조명연출을 위한 조명기구는 공연장의 천장에 설치되며, 공연상황에 따라 천장에서 승강된다. 이때, 조명기구가 설치되는 바튼부가 승강 케이블에 고정되고,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드럼에 의해 승강 와이어가 권취 또는 풀림에 따라 조명기구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통상의 권취드럼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이에 연결되어 회전수를 일정속도로 감속시키는 감속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권취드럼 구동부는, 감속기는 물론 속도제어를 위한 전자브레이크 등을 권취드럼의 외부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하고, 전체적으로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0905039호(등록일:2009.06.22)에는 "일체형 무대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1566913호(등록일:2015.11.02)에는 "와이어로프 유입각도 보정과 구동부 변각 기능을 포함하는 무대설비 승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유성기어 어셈블리를 2단으로 설치하여 감속비를 크게 하고, 큰 토크의 발생이 가능하여 고중량의 무대설비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감속 유닛과 제2감속 유닛을 권취드럼의 내부에 설치하여 설치공간을 줄이고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승강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감속 유닛과, 상기 권취드럼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속 유닛과 상기 권취드럼을 연결하며, 상기 제1감속 유닛의 회전을 감속하는 제2감속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감속 유닛과 상기 제2감속 유닛은, 유성기어 방식의 감속기이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권취드럼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은, 무대장치에 결합되는 드럼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드럼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외면을 지지하는 드럼가이드부와, 상기 제1감속 유닛이 결합되도록 상기 드럼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감속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2감속 유닛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케이싱과,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이 축결합되도록 상기 제1케이싱에 설치되는 제1유성기어모듈과, 상기 제1케이싱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유성기어모듈의 플래닛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감속 유닛으로 전달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캐리어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롤러부재를 통해 상기 제1케이싱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2감속 유닛의 제2선기어에 축결합되는 종동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감속 유닛은, 상기 제1감속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권취드럼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드럼과 함께 회전되는 드럼고정 플랜지부와, 상기 제1감속 유닛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도록 상기 드럼고정 플랜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감속 유닛의 캐리어와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2유성기어모듈과, 상기 제2유성기어 모듈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2롤러부재를 통해 상기 드럼고정 플랜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캐리어의 종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드럼고정 플랜지부는, 상기 권취드럼의 내면에 고정되는 링형 드럼플랜지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트를 통해 상기 링형 드럼플랜지에 결합되며, 내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2롤러부재를 통해 상기 제2케이싱과 결합되고, 제3롤러부재를 통해 상기 제1감속 유닛의 외면에 결합되는 드럼연동 원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감속을 위한 제1감속 유닛과 제2감속 유닛을 2단으로 연결하여 감속비를 크게 할 수 있고, 큰 토크의 발생이 가능하여 고중량의 무대설비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음은 물론 제1감속 유닛과 제2감속 유닛을 권취드럼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므로, 설치공간을 줄이고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감속 유닛과 제2감속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감속 유닛과 제2감속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감속 유닛과 제2감속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감속 유닛과 제2감속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요부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는(100)는, 승강 와이어의 권취를 위하여 천정의 무대장치에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120)과, 권취드럼(120)의 감속을 위한 제1감속 유닛(130) 및 제2감속 유닛(14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는(100)는 구동모터(150)에 의해 작동하는 제1감속 유닛(130)과 제2감속 유닛(140)이 2단 감속기 방식으로 연결되어 큰 토크(torque)를 발생하게 되므로, 보다 고중량의 무대설비를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으며, 제1감속 유닛(130)과 제2감속 유닛(140)이 권취드럼(120)의 내부에 결합되어 설치공간을 줄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레임(110)은 권취드럼(120)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천정의 지지빔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110)은 엘엠가이드 방식을 통해 지지빔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권취드럼(120)이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권취드럼(120)을 수평으로 이송시킨다. 이는 권취드럼(120)에 권취되는 승강 와이어가 상하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110)은 지지빔의 엘엠가이드에 결합되는 드럼지지플레이트(111)와, 권취드럼(12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드럼가이드부(113)와, 제1감속 유닛(130)의 고정을 위한 커버부(115)를 포함한다.
드럼지지플레이트(111)는 권취드럼(120)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이격되게 2개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드럼지지플레이트(111)의 중앙부에 설치홀부(111a)가 형성되고, 설치홀부(111a)의 외측으로 드럼가이드부(113)와 커버부(115)의 고정을 위한 고정홀부(111b)가 형성된다.
드럼가이드부(113)는 권취드럼(120)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고정홀부(111b)에 결합되며, 권취드럼(120)의 회전을 안적적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드럼가이드부(113)는 캠 파로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115)는 중앙부에 설치홀부(111a)와 연통하는 관통홀부(115b)가 형성되고, 볼트와 너트를 통해 드럼지지플레이트(111)에 고정되며, 내측면에 설치홀부(111a)의 내경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단부(115b)가 돌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중량물이 구동모터(150)와 제1감속 유닛(130)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권취드럼(1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제2감속 유닛(14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다른 하나의 드럼지지플레이트(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권취드럼(120)의 타단부에는 베어링을 통해 드럼지지플레이트(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축이 구비되고, 외면에 승강 와이어의 권취를 위한 권취홈부가 나선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권취드럼(120)은 제2감속 유닛(14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지지빔에 고정되는 직선이동 가이드롤러(160)와 연결된다. 직선이동 가이드롤러(160)는 권취홈부에 삽입되어 권취드럼(120)의 회전운동을 직석운동으로 전환한다.
더하여, 권취드럼(120)은 내면에 제2감속 유닛(140)이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단부(121)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내부로 제1감속 유닛(130)과 제2감속 유닛(140)이 삽입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감속 유닛(130)은 권취드럼(120)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150)가 결합되며, 볼트를 통해 프레임(110)의 커버부(115)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감속 유닛(130)은 구동모터(15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제2감속 유닛(140)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제1감속 유닛(130)은 커버부(115)의 관통홀부(115b)에 삽입되는 제1케이싱(131)과, 구동모터(150)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하여 제1케이싱(131)에 구비되는 제1유성기어모듈(133)과, 제1유성기어모듈(133)의 회전력을 제2감속 유닛(140)으로 전달하기 위한 캐리어(135)를 포함한다.
제1케이싱(131)은 일측면에 구동모터(150)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권취드럼(1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커버부(115)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케이싱(131)은 일측면에 구동모터(150)의 모터축(151)이 관통하는 축삽입홀(131a)이 형성되고, 타단부 외면이 제2감속 유닛(1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케이싱(131)이 커버부(115)의 관통홀부(115b)에 삽입되므로, 이물질이 제1감속 유닛(130)과 제2감속 유닛(140)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싱(131)은 내부에 제1유성기어모듈(133)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부가 형성된다.
제1유성기어모듈(133)은 구동모터(150)의 모터축이 축결합되도록 제1케이싱(131)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5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제1감속 유닛(130)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1유성기어모듈(133)은 제1케이싱(131)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1링기어(133a)와, 모터축에 축결합되는 제1선기어(133b)와, 제1선기어(133b)와 제1링기어(133a) 사이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1플래닛기어(133c)를 포함한다. 이때, 제1플래닛기어(133c)에는 캐리어(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동축(133d)이 구비된다. 제1연동축(133d)은 베어링을 통해 캐리어(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리어(135)는 제1케이싱(131)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연동축(133d)과 결합되며, 제1플래닛기어(133c)의 회전력을 제2감속 유닛(140)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캐리어(135)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롤러부재(137)를 통해 제1케이싱(131)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 제2감속 유닛(140)에 연결되는 종동축(135a)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1롤러부재(137)는 캐리어(135)가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지지돌부(137a)가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감속 유닛(140)은 제1감속 유닛(130)에 의해 회전하는 캐리어(135)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권취드럼(120)으로 전달하도록 제1감속 유닛(130)과 권취드럼(120)을 연결한다. 이러한 제2감속 유닛(140)은 권취드럼(120)의 플랜지 고정단부(121)에 고정되어 제1감속 유닛(130)의 제1케이싱(131)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제2감속 유닛(140)은 권취드럼(120)의 내면에 결합되어 권취드럼(120)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고정 플랜지부(141)와, 캐리어(135)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한 제2유성기어모듈(143)과, 제2유성기어모듈(143)를 지지하기 위한 제2케이싱(145)을 포함한다. 이때, 제2감속 유닛(140)은 제2케이싱(145)이 캐리어(135)의 종동축(135a) 및 드럼고정 플랜지부(14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드럼고정 플랜지부(141)는 제1감속 유닛(130)의 제1케이싱(131) 및 제2감속 유닛(140)의 제2케이싱(145)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유성기어모듈(143)에 의해 회전되면서 권취드럼(120)을 함께 회전시킨다. 이를 위하여 드럼고정 플랜지부(141)는 권취드럼(120)의 플랜지 고정단부(121)에 용접방식으로 접합되는 링형 드럼플랜지(141a)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트를 통해 링형 드럼플랜지(141a)에 결합되는 드럼연동 원통부재(141b)를 포함한다.
드럼연동 원통부재(141b)는 제2롤러부재(147)를 통해 일측 내면에 제1케이싱(131)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롤러부재(149)를 통해 타측 내면에 제2케이싱(145)의 외면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롤러부재(147) 및 제2롤러부재(147)에는 제2지지돌부(147a) 및 제3지지돌부(149a)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제1케이싱(131)의 외면에는 제2지지돌부(147a)가 삽입되는 제1지지홈부(131b)가 형성되고, 제2케이싱(145)의 외면에는 제3지지돌부(149a)가 삽입되는 제2지지홈부(145a)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케이싱(131)과 제2케이싱(145)에서 드럼연동 원통부재(141b)가 원활하게 회전함은 물론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2유성기어모듈(143)은 드럼연동 원통부재(141b)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링기어(143a)와, 캐리어(135)의 종동축(135a)과 축결합되는 제2선기어(143b)와, 제2링기어(143a)와 제2선기어(143b) 사이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2플래닛기어(143c)를 포함한다. 이때, 종동축(135a)은 끝단부가 베어링을 통해 제2케이싱(14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플래닛기어(143c)는 제2연동축(143d)을 통해 제2케이싱(14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케이싱(145)은 외면에 제1지지홈부(131b)가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이 마감커버(145b)에 의해 커버된다. 이때 마감커버(145b)은 볼트를 통해 제2케이싱(145)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종동축(135a)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안전형 무대설비 승강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감속 유닛(140)의 드럼고정 플랜지부(141)가 키(KEY) 결합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드럼고정 플랜지부(141)와 권취드럼(120)에 키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100)는, 구동모터(150)의 회전속도가 2단으로 설치되는 제1감속 유닛(130)과 제2감속 유닛(140)에 의해 단계적으로 감속되므로, 감속비를 크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큰 토크의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150)의 마력을 줄이면서 고중량의 무대설비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100)는 제1감속 유닛(130)과 제2감속 유닛(140)이 권취드럼(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므로, 설치공간을 줄이고, 공간활용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제1감속 유닛(130)과 제2감속 유닛(140)에 다른 부품이나 설비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감속 유닛(130)과 제2감속 유닛(14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100)는 드럼가이드부(113)를 통해 권취드럼(120)의 회전을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110 : 프레임
111 : 드럼 지지플레이트 113 : 그럼가이드부
115 : 커버부 120 : 권취드럼
121 : 플랜지 고정단부 130 : 제1감소 유닛
131 : 제1케이싱 133 : 제1유성기어모듈
135 : 캐리어 137 : 제1롤러부재
140 : 제2감속 유닛 141 : 드럼고정 플랜지부
143 : 제2유성기어모듈 145 : 제2케이싱
147 : 제2롤러부재 149 : 제3롤러부재
150 : 구동모터

Claims (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승강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권취드럼으로 전달하는 제1감속 유닛; 및 상기 권취드럼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속 유닛과 상기 권취드럼을 연결하며, 상기 제1감속 유닛의 회전을 감속하는 제2감속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감속 유닛과 상기 제2감속 유닛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권취드럼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유성기어 감속기이며,
    상기 프레임은, 무대장치에 결합되는 드럼지지플레이트;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드럼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외면을 지지하는 드럼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감속 유닛이 결합되도록 상기 드럼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속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2감속 유닛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케이싱;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이 축결합되도록 상기 제1케이싱에 설치되는 제1유성기어모듈; 및
    상기 제1케이싱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유성기어모듈의 플래닛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감속 유닛으로 전달하는 캐리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롤러부재를 통해 상기 제1케이싱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2감속 유닛의 제2선기어에 축결합되는 종동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속 유닛은, 상기 제1감속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권취드럼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드럼과 함께 회전되는 드럼고정 플랜지부;
    상기 제1감속 유닛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도록 상기 드럼고정 플랜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감속 유닛의 캐리어와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2유성기어모듈; 및
    상기 제2유성기어 모듈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2롤러부재를 통해 상기 드럼고정 플랜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캐리어의 종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케이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고정 플랜지부는, 상기 권취드럼의 내면에 고정되는 링형 드럼플랜지; 및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트를 통해 상기 링형 드럼플랜지에 결합되며, 내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2롤러부재를 통해 상기 제2케이싱과 결합되고, 제3롤러부재를 통해 상기 제1감속 유닛의 외면에 결합되는 드럼연동 원통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KR1020210079442A 2021-06-18 2021-06-18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KR10232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442A KR102322985B1 (ko) 2021-06-18 2021-06-18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442A KR102322985B1 (ko) 2021-06-18 2021-06-18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985B1 true KR102322985B1 (ko) 2021-11-10

Family

ID=7850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442A KR102322985B1 (ko) 2021-06-18 2021-06-18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9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584A (ja) * 1999-03-18 2000-09-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巻上装置
KR200410955Y1 (ko) * 2005-12-19 2006-03-10 (주) 케이에스인더스트리 차동기어를 포함한 윈치시스템
KR101029907B1 (ko) * 2010-05-25 2011-04-18 전태구 유압 윈치
KR102146744B1 (ko) * 2020-05-26 2020-08-21 유성보 무대용 드럼이송 구동장치
KR102199659B1 (ko) * 2020-09-29 2021-01-07 이윤성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584A (ja) * 1999-03-18 2000-09-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巻上装置
KR200410955Y1 (ko) * 2005-12-19 2006-03-10 (주) 케이에스인더스트리 차동기어를 포함한 윈치시스템
KR101029907B1 (ko) * 2010-05-25 2011-04-18 전태구 유압 윈치
KR102146744B1 (ko) * 2020-05-26 2020-08-21 유성보 무대용 드럼이송 구동장치
KR102199659B1 (ko) * 2020-09-29 2021-01-07 이윤성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276B1 (ko) 엘레베이터 장치
CN101712432B (zh) 一种带有变速机构的有齿轮曳引机
CN101239694A (zh) 绞盘设备
CA2178650A1 (en) Elevator drive
KR102322985B1 (ko) 무대장치용 권취드럼 구동장치
KR102221240B1 (ko) 무대시설 견인용 윈치
US6942066B1 (en) Elevator apparatus
KR200410955Y1 (ko) 차동기어를 포함한 윈치시스템
JP2007177405A (ja)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駆動装置
KR102199659B1 (ko)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KR101833124B1 (ko) 감속기 일체형 전동 구동장치
KR102002133B1 (ko) 승하강 구동 장치
US6968925B1 (en) Elevator apparatus
CN201634296U (zh) 一种带有变速机构的有齿轮曳引机
CN111180854A (zh) 自旋转升降杆
CN220550521U (zh) 一种双开横拉弧形工作闸门卷扬式启闭装置
JP2012047027A (ja) 開閉機の巻取りドラムの駆動装置
CN102838047A (zh) 卷盘式轻载吊杆驱动机
CN219341564U (zh) 一种电驱动直驱测井绞车系统
CN217808468U (zh) 内嵌式电机及电动葫芦
KR102467463B1 (ko) 슬림형 무대 승강장치
JPH1179686A (ja) ホイスト
KR200400984Y1 (ko) 수평형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KR20050073127A (ko) 리프터의 감속기
KR970009387B1 (ko)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