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736B1 -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 Google Patents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736B1
KR102322736B1 KR1020200053367A KR20200053367A KR102322736B1 KR 102322736 B1 KR102322736 B1 KR 102322736B1 KR 1020200053367 A KR1020200053367 A KR 1020200053367A KR 20200053367 A KR20200053367 A KR 20200053367A KR 102322736 B1 KR102322736 B1 KR 10232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upport
frame
foldable table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라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라신
Priority to KR102020005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736B1/ko
Priority to JP2022555894A priority patent/JP7430943B2/ja
Priority to PCT/KR2020/012053 priority patent/WO202122522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47B5/02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47B5/04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47B2003/145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with folding table top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휴대성이 용이하고 동일한 형태의 부품들의 사용으로 제작 및 조립 편의성이 개선되는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은 각각이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 각각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를 구비하는 지지유닛들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판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일단부는 상기 커버부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일단부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슬롯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FOLDABLE TABLE FOR OUTDOO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성이 개선된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캠핑과 요리에 관심을 가지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차량의 한정된 적재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캠핑 장비들을 적재시키기 위해 휴대성이 개선된 캠핑장비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테이블을 포함하는 캠핑장비의 경우 휴대성 개선을 위해 분해된 상태에서의 부피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지만,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 편의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3013호는 캠핑용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5062호는 조립식 테이블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조립 편의성이 개선된 테이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301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5062호
휴대성이 용이하고 동일한 형태의 부품들의 사용으로 제작 및 조립 편의성이 개선되는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은 각각이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 각각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를 구비하는 지지유닛들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판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일단부는 상기 커버부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일단부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슬롯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프레임의 끝단 일부분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홈과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며 상기 고정유닛과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들 각각은 서로 전후방 이격된 상기 프레임들 각각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들 및 판토그래프(Pantograph)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대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링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 플레이트들이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은 복수의 판들이 폴딩되어 수납되는 커버부에 부착되는 슬롯 형태의 체결부를 통해 커버부 및 지지부의 편리한 체결이 가능하여 조립 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은 슬롯 형태의 체결부를 통해 지지부와 결합되므로, 커버부의 일단을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시키고 커버부의 타단을 당기면서 지지부에 끼움 결합시키면서 발생되는 체결부의 마모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따른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체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지지유닛의 구동을 나타내는 모식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따른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은 지지부(200) 및 커버부(600)를 포함하고, 지지부(200)는 지지유닛(300, 400)들을 포함한다.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은 복수의 판들이 폴딩되어 수납되는 커버부(600)에 부착되는 슬롯 형태의 체결부를 통해 커버부(600) 및 지지부(200)의 편리한 체결이 가능하여 조립 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은 슬롯 형태의 체결부를 통해 지지부(200)와 결합되므로, 커버부(600)의 일단을 지지부(200)의 일단에 결합시키고 커버부(600)의 타단을 당기면서 지지부(200)에 끼움 결합시키면서 발생되는 체결부의 마모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지지부(200)는 지지유닛(300, 400)들 각각이 포함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310, 315, 410, 415)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1 및 제2 프레임(310, 315, 410, 415)들 각각에는 접철 가능한 다리가 형성된다.
지지유닛(300)은 전방에 해당하는 제1 방향(1) 및 후방에 해당하는 제2 방향(2) 각각에 서로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된 제1 프레임(310, 315)들 각각에 접철 가능한 제1 지지대(320, 325)들이 각각 결합된다.
서로 연결된 제1 프레임(310) 및 제1 지지대(320)는 전방에 이격 배치된 제1 프레임(310) 및 제1 지지대(325)와 회동 가능한 링크들을 통해 판토그래프(Pantograph)형태로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지지유닛(300)은 제1 프레임(310, 315)들, 제1 지지대(320, 325)들, 제1 하부지지대(330)들, 레버(335)들, 제1 링크(340)들, 제2 링크(350)들, 브라켓(380, 382, 384)들 및 스토퍼(385)들을 포함한다.
지지유닛(400)은 제2 프레임(410, 415)들을 제외하면 지지유닛(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지지유닛(300)의 타측에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프레임(310)의 일단은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일측에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원기둥 형태의 돌출부(312)를 통해 커버부(600)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사각관 형태를 유지하며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1 지지대(320)의 일단은 사각관 형태로 브라켓(380, 382)들을 통해 제1 프레임(310)의 일단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브라켓(380, 382)들 각각의 일단은 제1 프레임(310)의 일단 배면 및 저면 각각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1 프레임(310)과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제1 지지대(320)의 일단과 결합된다.
제1 하부지지대(330)의 일단은 제1 지지대(320)의 타단 내부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제1 방향(1)쪽 전면에는 상하부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돌기들이 형성된다.
레버(335)의 일단은 제1 지지대(320)의 타단 전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지지대(32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을 회동시키는 방향에 따라 레버(335)의 일단 일부분이 제1 지지대(3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지지대(320)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하부지지대(330)의 돌기들과 치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335)의 타단을 하부를 향해 이동시켜 레버(335)의 일단을 상기 돌기들과 분리시킬 수 있고, 레버(335)의 타단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켜 상기 돌기들과 치합되면서 제1 하부지지대(3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라켓(384)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측을 향해 절곡되어 제1 프레임(310)의 일단 전면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제1 프레임(310)과 결합된다.
제2 방향(2)쪽 제1 링크(34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브라켓(384)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토퍼(385)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브라켓(380)의 일측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310)의 일단 배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브라켓(380)의 타단을 향해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어 브라켓(380)의 타단 배면에 고리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스토퍼(385)의 타단이 제1 지지대(320)의 타단이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여 하부를 향해 이동한 후 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브라켓(380)과 결합되면, 제1 지지대(320) 및 브라켓(380, 382)들의 타단이 제1 프레임(310)의 하부를 향해 폴딩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방향(2)쪽 제2 링크(350)의 일단은 제1 지지대(320)의 타단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링크(340)의 타단의 일측에서 제1 링크(340)의 타단과 교차하며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1 프레임(315)은 제1 프레임(310)의 제1 방향(1)쪽에 제1 프레임(31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제1 프레임(3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프레임(315)의 일단은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일측에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원기둥 형태의 돌출부(312)를 통해 커버부(600)의 일단에 체결부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사각관 형태를 유지하며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1 지지대(325)는 제1 지지대(320)의 제1 방향(1)쪽에서 제1 지지대(32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제1 지지대(3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지지대(325)의 일단은 사각관 형태로 브라켓(380, 382)들을 통해 제1 프레임(315)의 일단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브라켓(380, 382)들 각각의 일단은 제1 프레임(315)의 일단 전면 및 배면 각각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1 프레임(315)과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제1 지지대(325)의 일단전면 및 배면과 각각 결합된다.
제1 하부지지대(330)의 일단은 제1 지지대(325)의 타단 내부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지지대(325)와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제2 방향(2)쪽 배면에는 상하부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돌기들이 형성된다.
레버(335)의 일단은 제1 지지대(325)의 타단 배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지지대(325)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레버(335)의 타단을 회동시키는 방향에 따라 레버(335)의 일단 일부분이 제1 지지대(325)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지지대(325)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하부지지대(330)의 돌기들과 치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335)의 타단을 하부를 향해 이동시켜 레버(335)의 일단을 상기 돌기들과 분리시킬 수 있고, 레버(335)의 타단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켜 제1 지지대(325)에 결합된 제1 하부지지대(3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브라켓(384)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으로 연장된 후 일측을 향해 절곡되어 제1 프레임(315)의 일단 배면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제1 프레임(315)과 결합된다.
제1 방향(1)쪽 제1 링크(34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1 프레임(315)의 배면에 결합된 브라켓(384)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 방향(2)쪽 제1 링크(340)의 타단과 양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토퍼(385)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브라켓(380)의 일측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315)의 일단 전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타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브라켓(380)의 타단 전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스토퍼(385)의 타단이 제1 지지대(325)의 타단이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여 하부를 향해 이동한 후 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브라켓(380)과 결합되면, 제1 지지대(325) 및 브라켓(380, 382)들이 제1 프레임(315)의 하부를 향해 폴딩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방향(2)쪽 제2 링크(350)의 일단은 제1 지지대(325)의 타단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쪽 제1 링크(340)의 타단의 일측에서 제1 방향(1)쪽 제1 링크(340)의 타단과 교차하며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양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제2 방향(2)쪽 제2 링크(350)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지지유닛(400)은 지지유닛(300)의 타측에 이격된 상태에서 제2 프레임(410, 415)들 각각이 지지유닛(300)의 제1 프레임(310, 315)들 각각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타측을 지지한다.
제2 프레임(410)의 일단은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브라켓(380, 382)들을 통해 제1 지지대(325)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프레임(310)을 향해 연장되어 제1 프레임(31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프레임(410)의 타단 끝단 일부분은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제1 프레임(310)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어 외측에 탄설된 돌기가 제1 프레임(310)의 외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면서 제1 프레임(310)과 결합된다.
제2 프레임(415)의 일단은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브라켓(380, 382)들을 통해 제1 지지대(3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프레임(310)을 향해 연장되어 제1 프레임(31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프레임(415)의 타단 끝단 일부분은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제1 프레임(315)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어 외측에 탄설된 돌기가 제1 프레임(315)의 외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면서 제1 프레임(315)과 결합된다.
한편, 지지유닛(300)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된 제1 프레임(315)은 지지유닛(400)의 제2 프레임(415)으로 교체되어 제1 지지대(325)에 연결되고, 제2 프레임(415)은 제1 프레임(315)으로 교체되어 제1 지지대(3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유닛(300) 및 지지유닛(400) 각각은 서로 동일한 구조이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호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커버부(600)는 커버유닛(610)들 및 체결부(630, 640)들을 포함한다.
커버부(600)의 일단은 서로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이격된 제1 프레임(310, 315)들 각각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프레임(310, 315)들 사이를 커버한다.
커버부(600)의 타단은 일단에서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타측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제2 프레임(410, 415)들을 커버하면서 제2 프레임(410, 415)들 각각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커버유닛(610)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이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서로 밀착되며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체결부(630)는 커버부(600)의 일단 제1 방향(1)쪽 하부 및 커버부(600)의 타단 제2 방향(2)쪽 하부에 결합되어 제1 프레임(315) 및 제2 프레임(410)들 각각의 일단에 돌출된 돌출부(312)들 각각과 결합된다.
체결부(640)는 커버부(600)의 일단 제2 방향(2)쪽 하부 및 커버부(600)의 타단 제1 방향(2)쪽 하부에 결합되어 제1 프레임(310) 및 제2 프레임(415)들 각각의 일단에 돌출된 돌출부(312)들 각각과 결합된다.
도 3은 도 1의 체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640)는 고정유닛(650) 및 슬라이더(660)를 포함하고, 체결부(630)는 체결부(640)의 제1 방향(1)쪽에서 고정유닛(650)의 방향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점을 제외하면 체결부(64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유닛(650)은 가이드(651), 제1 상부수직부(652, 653)들 및 제2 상부수직부(654, 655)들을 포함한다.
고정유닛(650)의 상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유닛(610)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일부분들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측벽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651)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된 형태의 홈을 둘러싸는 아치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상기 홈에는 돌출부(312)가 삽입된다.
제1 상부수직부(652, 653)들 각각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651)의 제2 및 제1 방향(2, 1)쪽 각각에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제2 상부수직부(654)의 일단은 제1 상부수직부(652)의 제2 방향(2)쪽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유닛(65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제2 상부수직부(655)의 일단은 제1 상부수직부(653)의 제1 방향(1)쪽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유닛(65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타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656)는 제1 상부수직부(652) 및 제2 상부수직부(654)의 일측 사이를 연결하는 측벽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상부수직부(652) 및 제2 상부수직부(654)들을 연결한다.
스토퍼(657)는 제1 상부수직부(652) 및 제2 상부수직부(654)의 타측에 인접한 부분을 연결하는 측벽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상부수직부(652) 및 제2 상부수직부(654)들을 연결한다.
스토퍼(658)는 제1 상부수직부(653) 및 제2 상부수직부(655)의 일측 사이를 연결하는 측벽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상부수직부(653) 및 제2 상부수직부(655)들을 연결한다.
스토퍼(659)는 제1 상부수직부(653) 및 제2 상부수직부(655)의 타측에 인접한 부분을 연결하는 측벽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상부수직부(653) 및 제2 상부수직부(655)들을 연결한다.
슬라이더(660)는 수직부(661, 662)들, 측부(663, 664)들 및 손잡이(667)를 포함한다.
슬라이더(660)의 상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측벽들이 형성되어 고정유닛(650) 하단부의 측벽들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교차 결합된다.
슬라이더(660)의 하단부는 상기 측벽들이 서로 연결된 브라켓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손잡이 기능을 한다.
수직부(661)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상부수직부(652) 및 가이드(651) 사이에 삽입되고, 수직부(662)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상부수직부(652) 및 가이드(651) 사이에 삽입된다.
측부(663)는 수직부(661)의 제2 방향(2)쪽에서 일단은 슬라이더(66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타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제2 상부수직부(654)의 일단과 밀착되면서 제2 상부수직부(654)의 타단을 둘러싼다.
측부(664)는 수직부(662)의 제1 방향(1)쪽에서 일단은 슬라이더(66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제2 상부수직부(655)의 일단과 밀착되면서 제2 상부수직부(655)의 타단을 둘러싼다.
돌출부(665)의 일단은 수직부(661) 및 측부(663) 사이에 해당하는 슬라이더(660)의 하단부에 스틱 형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스토퍼(656, 657)들 사이에 삽입된다.
돌출부(666)의 일단은 수직부(662) 및 측부(664)들 사이에 해당하는 슬라이더(660)의 하단부에 스틱 형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스토퍼(658, 659)들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더(660)는 고정유닛(650)의 하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돌출부(665, 666)들에 의해 고정유닛(650)과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640)의 경우 슬라이더(660)를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켜 가이드(651) 하부의 홈을 노출시킨 후 고정유닛(650)을 돌출부(312)를 향해 이동시켜 상기 홈에 돌출부(312)를 삽입시키면서 커버부(600)를 지지부(200)에 연결한다.
도 4는 도 1의 지지유닛의 구동을 나타내는 모식도들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300)은 스토퍼(385)들 각각의 타단을 인접한 위치의 브라켓(380)들과 분리시킨 후 제1 프레임(310, 315)들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켜 휴대에 용이한 상태로 축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385)들 각각의 타단은 브라켓(380)들 각각과 분리되고, 제1 및 제2 프레임(310, 315)들 각각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면, 제1 지지대(320, 325)들 각각의 타단은 연결된 브라켓(380, 382)들 각각의 타단과 함께 제1 프레임(310, 315)들 각각을 향해 이동한다.
제1 및 제2 프레임(310, 315)들 각각이 서로를 향해 이동되면, 제1 링크(340)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제1 링크(340)들 각각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310, 315)들 각각이 서로를 향해 이동되면, 제2 링크(350)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를 향해 이동되고, 제2 링크(350)들 각각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제1 지지대(320, 325)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되면서 제1 링크(340)들 및 제2 링크(350)들 각각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고, 제1 링크(340) 및 제2 링크(350)들 각각의 일단이 증가하려는 힘에 의해 제1 지지대(320) 또는 제1 지지대(325)의 타단이 브라켓(380, 382)들과 함께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타측을 향해 이동된다.
즉, 제1 링크(340) 및 제2 링크(350)들 각각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면서 브라켓(380, 382)들 각각의 타단 및 제1 지지대(320, 325)들의 타단이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타측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된다.
제1 및 제2 지지대(320, 325)들 각각이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100)의 타측을 향해 폴딩되면 제1 및 제2 지지대(320, 325)들 각각은 제1 및 제2 프레임(310, 315)들 각각의 저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200: 지지부
300, 400: 지지유닛 600: 커버부

Claims (5)

  1. 각각이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 각각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를 구비하는 지지유닛들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판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일단부는 상기 커버부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일단부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슬롯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프레임의 끝단 일부분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홈과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며 상기 고정유닛과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들 각각은,
    서로 전후방 이격된 상기 프레임들 각각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들; 및
    판토그래프(Pantograph)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대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링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 플레이트들이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KR1020200053367A 2020-05-04 2020-05-04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KR102322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367A KR102322736B1 (ko) 2020-05-04 2020-05-04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JP2022555894A JP7430943B2 (ja) 2020-05-04 2020-09-07 屋外用折り畳みテーブル
PCT/KR2020/012053 WO2021225227A1 (ko) 2020-05-04 2020-09-07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367A KR102322736B1 (ko) 2020-05-04 2020-05-04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736B1 true KR102322736B1 (ko) 2021-11-09

Family

ID=7846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367A KR102322736B1 (ko) 2020-05-04 2020-05-04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30943B2 (ko)
KR (1) KR102322736B1 (ko)
WO (1) WO202122522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173Y1 (ko) * 2001-08-03 2002-04-09 유기설 휴대용 접이식 야외 테이블 (쟈바라 식)
KR20080004080U (ko) * 2007-03-20 2008-09-24 지수용 각 다리별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US20120204770A1 (en) * 2011-01-04 2012-08-16 Grace Daniel R Portable and collapsible table structure
KR20140005062A (ko) 2012-07-04 2014-01-14 백영자 조립식 테이블
KR20170083013A (ko) 2017-07-10 2017-07-17 최우림 캠핑용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073B2 (ja) * 1994-04-28 1997-02-05 大三商事株式会社 折り畳み式テーブルにおける天板と脚部との連結機構
JPH10262738A (ja) * 1997-03-27 1998-10-06 Jinun Japan:Kk 携帯用折り畳みテーブル
JP2000135120A (ja) * 1998-11-02 2000-05-16 North Pole Japan:Kk 野外テーブル
JP3071260U (ja) * 2000-02-24 2000-08-29 株式会社キャニオン 折畳み作業テーブル
KR200377293Y1 (ko) * 2004-12-06 2005-03-11 다인벨 주식회사 접철식 탁자
KR100753111B1 (ko) * 2006-01-04 2007-08-31 최승관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US7484805B2 (en) * 2006-12-23 2009-02-03 Matthew Charles Baum Adjustable seat or table
US7856683B2 (en) * 2008-01-07 2010-12-28 Edward Zheng Foldable cot with quick lock system
DE202010010547U1 (de) * 2010-07-17 2010-10-21 Wang, Pi-Liang, Dong Guan City Klappanordnung eines Computertisches
CN204363278U (zh) * 2015-01-14 2015-06-03 浙江泰普森休闲用品有限公司 便携式折叠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173Y1 (ko) * 2001-08-03 2002-04-09 유기설 휴대용 접이식 야외 테이블 (쟈바라 식)
KR20080004080U (ko) * 2007-03-20 2008-09-24 지수용 각 다리별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US20120204770A1 (en) * 2011-01-04 2012-08-16 Grace Daniel R Portable and collapsible table structure
KR20140005062A (ko) 2012-07-04 2014-01-14 백영자 조립식 테이블
KR20170083013A (ko) 2017-07-10 2017-07-17 최우림 캠핑용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30943B2 (ja) 2024-02-14
JP2023520158A (ja) 2023-05-16
WO2021225227A1 (ko)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723B1 (en) Training table with wire management
US9725107B2 (en) Foldable stroller frame
AU2004216678B2 (en) Upright vacuum cleaner
KR101995268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US11696650B2 (en) Child carrier
US10448740B1 (en) Spring-loaded leg rocking chair
KR102322736B1 (ko) 야외용 폴더블 테이블
KR20000055436A (ko) 착탈가능한 테이블이 일체로 구비된 절첩식 의자
GB2399322A (en) Foldable stroller
CN213799844U (zh) 便于折叠的婴儿推车
US6694964B2 (en) Barbecue grill assembly with a foldable side rack
KR100972608B1 (ko) 접이식 의자
US11226064B2 (en) Foldable display stand
KR102402433B1 (ko) 폴더블 테이블
US5890263A (en) Split lockable hinge for a baby bed
KR10261479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KR20000065067A (ko) 테이블과의자의결합조립체
TWI721920B (zh) 折合桌
US20120198650A1 (en) Vacuum cleaner
KR100539466B1 (ko) 절첩식 테이블
ITFI20030086U1 (it) Tavolo ribaltabile per vano passeggeri di carrozze ferroviarie
KR20060134510A (ko)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아이롱
JPH06189227A (ja) コンパクトケース
KR102425085B1 (ko) 접철식 웨건
KR102216562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