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382B1 -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382B1
KR102322382B1 KR1020190176222A KR20190176222A KR102322382B1 KR 102322382 B1 KR102322382 B1 KR 102322382B1 KR 1020190176222 A KR1020190176222 A KR 1020190176222A KR 20190176222 A KR20190176222 A KR 20190176222A KR 102322382 B1 KR102322382 B1 KR 102322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cutting
signal
sea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683A (ko
Inventor
김봉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17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3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022/328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comprising means for cutting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은, 운전석 및 보조석을 가지는 차량에 구비되며, 라킹(Locking) 시 벨트착용신호를 송신하는 시트벨트를 포함하는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으로서, 상기 벨트착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을 판단하여 웨빙커팅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여 착용된 상기 시트벨트의 웨빙을 커팅하는 웨빙커팅유닛을 포함하는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ALL SEAT LOCKING CONTROLL SYSTEM}
본 발명은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 또는 외부의 충격이 발생한 경우, 탑승자의 웨빙을 커팅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로의 차량 간의 추돌 사고 혹은 차량의 전복 등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안전기구가 차량에 구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차량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탑승자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에어백이나 프리텐셔너를 통한 시트벨트를 인입시키며 탑승자가 차량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차량이 전복되거나 차량 간의 추돌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시트벨트의 고정부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시트벨트를 해제하지 못하고, 탑승자를 구출하거나 탑승자가 차량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해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간의 추돌사고가 발생한 경우, 시트벨트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파손되면서 시트벨트를 해제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탑승자를 압박하거나 탑승자를 구출하기 위해 웨빙을 커팅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차량사고로부터 탑승자가 시트벨트에 의한 압박감 및 차량으로부터의 안전 거리까지 이탈하기 위한 수단이 활발하게 고안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탑승자의 벨트착용신호를 수신하여 탑승자의 시트벨트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한 경우, 웨빙커팅신호를 송신하여 웨빙을 커팅하여 탑승자가 차량에서 안전하게 이탈하는 것을 도우며, 웨빙커팅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비상커팅버튼이 보호커버로 보호되어 의도되지 않는 상황에서 웨빙커팅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웨빙커팅신호의 송수신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가압부재를 통해 수동으로 웨빙을 커팅하여 탑승자가 안전하게 이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은, 운전석 및 보조석을 가지는 차량에 구비되며, 라킹(Locking) 시 벨트착용신호를 송신하는 시트벨트를 포함하는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으로서, 상기 벨트착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을 판단하여 웨빙커팅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여 착용된 상기 시트벨트의 웨빙을 커팅하는 웨빙커팅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사고 발생 판단 시 대피신호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벨트 착용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웨빙커팅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웨빙을 커팅하기 위해 커팅모듈을 상기 웨빙의 일측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팅모듈은, 인출되어 상기 웨빙을 커팅하는 커팅날부재가 상기 시트벨트의 텅(tongue) 일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팅날부재는, 전단에 상절단날이 마련되는 상부프레임이 상기 스트벨트의 텅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절단날과 마주하도록 전단에 하절단날이 마련되는 하부프레임이 상기 텅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절단날 및 하절단날이 접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연결하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을 수동가압 하기 위한 누름판이 상기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한편,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유닛으로 상기 웨빙커팅신호의 생성을 요청하기 위한 비상커팅버튼을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비상커팅버튼은, 의도하지 않은 접촉으로 의한 비상커팅버튼의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고가 발생한 경우, 웨빙커팅신호를 송신하여 수신된 웨빙커팅신호를 바탕으로 웨빙을 커팅해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둘째, 의도되지 않은 버튼의 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커버를 이용하여 의도되지 않은 상황에서 웨빙이 커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수신과 송신에 문제가 발생하여 웨빙이 커팅되지 못하는 경우, 가압부재를 통해서 수동으로 웨빙을 절단함을 통해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비상커팅버튼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커팅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작동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커팅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가압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가압부재의 수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전체적인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비상커팅버튼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킹 시스템(10)은 시트벨트(100), 제어유닛(200), 웨빙커팅유닛(400), 비상커팅버튼(6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200)은 차량(V)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벨트(100)의 라킹을 감지하여 상기 시트벨트(100)에서 송신되는 벨트착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트벨트(100)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을 판단하여 웨빙커팅신호를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을 향해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은 상기 제어유닛(200)에서 송신된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트벨트(100)에 구비되는 웨빙(120)을 커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을 향해 송신함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차량(V)에 탑승한 탑승자는 상기 비상커팅버튼(600)을 작동시켜 상기 웨빙(120)을 커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컨트롤 시스템(1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고가 발생한 경우 발생하며, 상기 컨트롤 시스템(10)이 상기 차량(V)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에 의해 사고가 발생되어 상기 탑승자가 상기 차량(V)에서 상기 시트벨트(100)를 분리하기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상기 탑승자가 안전하게 상기 차량(V)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V)에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탑승자가 착용하고 있는 상기 시트벨트(100)에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시트벨트(100)를 해제하지 못하여 상기 차량(V)에서 발생되는 안전 사고 혹은 불안전함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차량(V)의 사고를 판단하여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을 향해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차량(V)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과 사고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차량(V)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상기 제어유닛(200)에 기 설정된 충격량을 넘어서는 경우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차량(V)에 구비된 에어백 센서를 공유하여 상기 차량(V)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에어백이 작동되면서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상기 웨빙커팅유닛을 향해 송신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차량(V)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웨빙(120)을 즉시 커팅하는 경우, 상기 탑승자가 상기 차량(V)에서 이탈되어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차량(V)의 사고 발생을 판단하여 대피신호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시트벨트(100)로부터 상기 벨트착용신호를 재 수신하여 상기 시트벨트(100)가 해제되지 못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상기 웨빙유닛(400)을 향해 송신할 수 있다.
앞서 상술된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V)에 구비되는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차량(V)의 시트(S)에 구비되는 상기 시트벨트(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벨트착용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또는 무선 신호는 상기 시트벨트(100)와 전선 또는 USB를 통해서 연결되어 상기 벨트착용신호 및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WIFI(Wi-Fi), 데이터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동되어 상기 벨트착용신호 및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상기 제어유닛(200)의 위치는 상기 차량(V)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차량(V)의 종류, 상기 탑승자의 의도 및 제작 과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나,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차량(V)의 충격에 대해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전방에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은 상기 시트(S)의 a, b, c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어 상기 웨빙(120)을 커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을 a 또는 b, c의 세가지 위치로 도시한 이유는 상기 웨빙(120)의 절단으로 인해 상기 탑승자가 상기 시트(S)에서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를 선정한 것으로, 상기 시트(S)의 a 및 b위치에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웨빙(120)의 인출 위치를 커팅하여 상기 웨빙(120)이 느슨해지면서 상기 탑승자가 상기 웨빙(120)을 해제하여 상기 차량(V)에서 이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약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이 c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웨빙(120)에 의해 고정된 상기 탑승자의 상부와 하부를 모두 해제하여 상기 탑승자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차량(V)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V)에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이 구비되면 상기 탑승자가 의식을 잃어 자력으로 상기 차량(V)을 탈출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상기 탑승자를 구조함에 있어서 보다 용이하게 상기 탑승자를 상기 차량(V)에서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00)의 유무선 통신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이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상기 제어유닛(200)으로 수신받는 것이 방해되어 상기 탑승자가 상기 차량(V)에서 이탈함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차량(V)에는 상기 탑승자가 수동으로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량(V)의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의 일측에 형성되는 비상커팅버튼(600)으로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비상커팅버튼(600)을 상기 탑승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200)의 작동이 불완전한 상황을 제외하고도 상기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와 관계 없이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비상커팅버튼(600)은 상기 제어유닛(200)으로 상기 웨빙커팅신호의 생성을 요청하여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비상커팅버튼(600)이 상기 탑승자의 의도 혹은 또 다른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의 작동 상황이 아닌 예상되지 않은 상기 비상커팅버튼(600)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커버(64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644)는 상기 비상커팅버튼(600)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의 커버본체(642)에 구비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644)는 상기 탑승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 혹은 예상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웨빙(120)이 커팅되어 상기 탑승자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커버(644)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보호커버(644)를 상부를 향해 개방하여 상기 비상커팅버튼(620)을 작동시키거나 상기 보호커버(644)가 상기 커버본체(642)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개방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시스템(10)은 상기 탑승자의 의도 혹은 상기 제어유닛(200)의 판단에 의해 상기 탑승자가 착용한 상기 시트벨트(100)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벨트착용신호와 상기 차량(V)에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 상기 차량(V)이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탑승자가 상기 비상커팅버튼(600)을 이용하거나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을 향해 송신하고,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은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웨빙(120)을 커팅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의 작동 상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커팅모듈을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작동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은 상기 웨빙(120)을 커팅하기 위해 상기 웨빙(120) 일측에 마련되는 커팅모듈(4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팅모듈(41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커팅모듈(410)의 외측을 형성하는 본체(411), 상기 본체(411)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웨빙(120)을 커팅하는 커팅날부재(420)가 텅(140)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커팅날부재(420)는 상기 웨빙(120)을 커팅하기 이전 상태에서 고정되기 위해 상기 웨빙(120)에서 이격된 상태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1 걸림턱(426) 및 제2 걸림턱(42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팅날부재(420)가 상기 웨빙(120)을 향해 이동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40)가 상기 커팅날부재(42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재(440)와 접촉되는 상기 커팅날부재(420)의 일면에 상기 탄성부재(440)를 고정하는 걸림돌기(4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440)가 소정 거리 상기 커팅날부재(42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끼움 홈(423)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팅날부재(420)가 상기 웨빙(120)을 상기 차량(V)의 사고 발생 이전 커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팅날부재(4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60)가 상기 본체(411)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커팅날부재(420)는 상기 고정부재(46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 홈(422)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6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커팅날부재(4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홈(42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464)가 상기 고정부재(46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464)는 상기 고정부재(460)의 내측에서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464)를 상기 결합 홈(422)에서 이탈시키는 전자석(462)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된 상기 커팅모듈(410)의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커팅모듈(410)이 작동되는 상황을 설명하면,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날부재(420)는 상기 차량(V)이 외부의 충격을 받기 이전 상태에서 상기 웨빙(12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돌기(464)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차량(V)이 외부에서 충격을 받아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은 상기 제어유닛(200)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커팅모듈(410)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자석(462)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자석(462)이 자성을 가지며 상기 결합돌기(464)를 상기 결합 홈(422)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464)가 상기 결합 홈(422)에서 이탈되는 경우, 상기 커팅날부재(420)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부재(440)에 의해 상기 커팅날부재(420)가 상기 본체(411)에서 이탈되는 구동력이 발생되며, 상기 커팅날부재(42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빙(120)을 커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팅날부재(420)가 상기 본체(411)에서 이탈되는 구동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커팅날부재(420)가 과도하게 상기 본체(4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걸림턱(428)이 상기 본체(411)에 걸리면서 상기 커팅날부재(420)의 과도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팅날부재(420)는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웨빙(120)을 커팅하기 위한 절단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웨빙(120)을 끊을 수 있도록 상기 웨빙(120)에 뇌관(122)이 구비되어 상기 커팅날부재(420)가 상기 뇌관(122)을 자극하여 상기 웨빙(120)을 커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팅날부재(420)에 상기 뇌관(122)을 자극하기 위한 공이(480)가 구비되고, 상기 웨빙(120)에는 상기 커팅날부재(420)가 이탈되며 상기 뇌관(122)을 자극하고, 상기 뇌관(122)이 상기 웨빙(120)을 커팅할 수 있는 화력을 발생시켜 상기 웨빙(120)을 커팅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시트(S)에서 이탈하여 상기 차량(V) 밖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뇌관(12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탑승자에게 피해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막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480)가 상기 뇌관(122)을 정확하게 자극할 수 있도록 상기 뇌관(122)과 상기 공이(480)의 위치를 상기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위치를 변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커팅날부재(420)가 상기 웨빙(120)을 커팅하는 경우, 상기 웨빙(120)과 긴밀하게 접촉되지 못하고 상기 웨빙(120)의 소정거리 인출되는 기능에 의해 커팅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웨빙(120)의 상부와 하부에서 커팅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가압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의 가압부재의 수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모듈(1410)은 텅(1140) 전단에 상절단날(1412)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1411)과 상기 상절단날(1412)과 마주하도록 전단에 하절단날(1414)가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413)이 상기 텅(1140)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절단날(1412)과 상기 하절단날(1414)가 접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1415)가 상기 상부프레임(1411)과 상기 하부프레임(1413)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415)는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차량(V)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사고 발생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대피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벨트착용신호를 재수신하여 상기 웨빙(1120)이 커팅되지 못한 것을 판단하면, 상기 가압부재(1415)가 작동되도록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에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이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압부재(141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웨빙커팅유닛(400)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415)가 작동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411)과 상기 하부프레임(1413)을 상기 텅(1140)의 내측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절단날(1412)과 상기 하절단날(1414)이 접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415)에 의해 상기 상절단날(1412)과 상기 하절단날(1414)가 접하는 경우, 상기 상절단날(1412)과 상기 하절단날(1414)의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 웨빙(1120)이 상기 상절단날(1412)와 상기 하절단날(1414)에 의해 커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1415)를 작동시켜 상기 웨빙(1120)을 커팅하는 경우, 상기 뇌관(122)과 상기 공이(480)의 접촉점이 이탈되는 불안정성 및 상기 웨빙(120)의 유동성에 의해 상기 웨빙(120)이 커팅되지 못해 상기 탑승자가 상기 차량(V)에서 이탈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면, 상기 가압부재(1415)가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차량(V)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어유닛(200)의 기능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1415)가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상기 웨빙(120)이 커팅되는 것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가압부재(141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해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팅모듈(2410)이 상부프레임(2411)과 하부프레임(2413)을 연결하는 지지축(2415)과 상기 지지축(2415)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누름판(2416)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2411) 및 상기 하부프레임(2413)을 수동으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탑승자는 상기 시트(S)에서 이탈하기 위해 상기 누름판(2416)을 수동으로 가압하여 상기 상부프레임(2411) 및 상기 하부프레임(2413)을 가압하고, 상기 상부프레임(2411)과 상기 하부프레임(2413)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상절단날(2412) 및 상기 하절단날(2414)이 접촉되어 상기 웨빙(1120)을 커팅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탑승자가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절단날(2412, 2414)에 의해 다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단날(2412, 2414)의 외측을 감싸며 구비되는 칼날커버(2417)가 구비되어 상기 탑승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탑승자는 상기 차량(V)의 사고 발생에 의해 상기 웨빙(1120)을 절단해야 하는 경우, 상기 칼날커버(2417)를 수동으로 이탈시켜 상기 누름판(2416)을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칼날커버(2417)는 상기 상절단날(2412) 및 상기 하절단날(2417)의 외측을 감싸며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빙커팅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경우, 상기 웨빙(1120)을 커팅하는 것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절단날(1412, 2412) 및 상기 하절단날(1414, 2414)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절단날(1412, 2412) 및 상기 하절단날(1414, 2414)이 삽입되는 별도의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 시스템(10)을 설계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00)이 상기 차량(V)이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200)에 기 저장된 주소록으로 메시지를 자동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차량(V)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구조 요청 및 사고 발생 여부를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S: 시트
V: 차량
10: 컨트롤 시스템
100: 시트벨트
120: 웨빙
122: 뇌관
140: 텅
160: 버클
200: 제어유닛
400: 웨빙커팅유닛
410: 커팅모듈
411: 본체
420: 커팅날부재
422: 결합 홈
423: 끼움 홈
424: 걸림돌기
426: 제1 걸림턱
428: 제2 걸림턱
440: 탄성부재
460: 고정부재
462: 전자석
464: 결합돌기
480: 공이
600: 비상커팅버튼
620: 비상버튼
640: 커버
642: 커버본체
644: 보호커버
1411: 상부프레임
1412: 상절단날
1413: 하부프레임
1414: 하절단날
1415: 가압부재
2415: 지지축
2416: 누름판
2417: 칼날커버

Claims (8)

  1. 운전석 및 보조석을 가지는 차량에 구비되며, 라킹(Locking) 시 벨트착용신호를 송신하는 시트벨트를 포함하는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으로서,
    상기 벨트착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을 판단하여 웨빙커팅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여 착용된 상기 시트벨트의 웨빙을 커팅하는 웨빙커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유닛은 사고 발생 판단 시 대피신호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벨트 착용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웨빙커팅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웨빙커팅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웨빙을 커팅하기 위해 커팅모듈을 상기 웨빙의 일측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팅모듈은 인출되어 상기 웨빙을 커팅하는 커팅날부재가 상기 시트벨트의 텅(tongue) 일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팅날부재는, 상기 웨빙에 형성된 뇌관을 자극하기 위한 공이가 구비되고, 상기 공이가 웨빙에 접촉되면서 상기 뇌관을 자극시켜 상기 웨빙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및 상기 보조석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유닛으로 상기 웨빙커팅신호의 생성을 요청하기 위한 비상커팅버튼을 더 포함하는,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커팅버튼은,
    의도하지 않은 접촉으로 의한 비상커팅버튼의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
KR1020190176222A 2019-12-27 2019-12-27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 KR102322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22A KR102322382B1 (ko) 2019-12-27 2019-12-27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22A KR102322382B1 (ko) 2019-12-27 2019-12-27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683A KR20210083683A (ko) 2021-07-07
KR102322382B1 true KR102322382B1 (ko) 2021-11-05

Family

ID=7686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222A KR102322382B1 (ko) 2019-12-27 2019-12-27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3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243Y1 (ko) * 1997-12-22 2000-01-15 정몽규 안전 벨트 자동 해제 장치
JP2017109579A (ja) * 2015-12-16 2017-06-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749B1 (ko) * 2000-08-10 2002-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 커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243Y1 (ko) * 1997-12-22 2000-01-15 정몽규 안전 벨트 자동 해제 장치
JP2017109579A (ja) * 2015-12-16 2017-06-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683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0082B2 (ja) 電動式ハーネスベルトテンショナを備えたチャイルド・セーフティ・シート
US9776535B2 (en) Infant restraint system
KR10158401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1504228B1 (ko) 변형이 방지되는 시트벨트 버클
EP1712427A4 (en) PASSENGER RETENTION DEVICE AND INSURANCE RESTRAINT SYSTEM
WO2007115301A3 (en) Harness tension sensor and crash occurrence sensor
US20140245873A1 (en) Device for emergency cutting off fastened seatbelts
JP4458387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KR102322382B1 (ko) 전좌석 라킹 컨트롤 시스템
AU2013200996B2 (en) Compensator
US7249784B2 (en) Safety arrangement
EP1958831A1 (en) Seatbelt device
KR101874713B1 (ko)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KR100895706B1 (ko) 건설중장비용 시이트
KR101700416B1 (ko)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전자식 안전벨트 시스템
KR102316656B1 (ko) 차량용 안전벨트
JP2017119457A (ja) ロッキングタング
KR20200141358A (ko) 자동 해제 안전벨트
KR20070043076A (ko) 차량 안전벨트용 버클 스트랩의 길이조절장치
KR101557622B1 (ko) 자동해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안전벨트
KR100568669B1 (ko) 3점식 시트벨트의 구속력 향상장치
JP2005306112A (ja) 車両用シート
KR20060014838A (ko) 유아용 시트벨트 장치
KR10034975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커팅 장치
US20160198786A1 (en) Motorsports safety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