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146B1 - 동전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동전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146B1
KR102322146B1 KR1020200050196A KR20200050196A KR102322146B1 KR 102322146 B1 KR102322146 B1 KR 102322146B1 KR 1020200050196 A KR1020200050196 A KR 1020200050196A KR 20200050196 A KR20200050196 A KR 20200050196A KR 102322146 B1 KR102322146 B1 KR 10232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orary storage
storage unit
coins
c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731A (ko
Inventor
김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to KR102020005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14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4Hand- or motor-driven devices for count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전이 투입되는 투입부; 투입된 동전을 감별하는 감별부; 동전을 수납하는 복수 개의 수납부; 상기 감별부에서 감별된 동전이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를 향해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도록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는 일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시 저장부는, 상기 분류부의 하단 대비 상대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분류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전이 지지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 상에 마련되며 왕복 이동하여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밀어내 상기 수납부로 떨어뜨리는 둘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전 처리 장치{Coin precessing appratus}
본 발명은 동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동전을 포함하는 현금이나 상품권에 대해서는, 입금 또는 출금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 기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폐나 상품권과 같은 지류 매체를 처리하는 자동화 기기의 경우, 투입된 매체를 감별한 뒤 일시 저장하였다가, 사용자가 확인 신호를 입력하면 일시 저장된 매체가 카세트(cassette)로 전달되어 저장되면서 해당 매체의 입금이 처리되며, 출금의 경우 반대의 절차를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지류 매체용 자동화 기기는, 지류인 매체를 롤러, 벨트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 및 기능을 구비한 자동화 기기가 지속적으로 개발 및 출시되어 왔다.
반면 동전의 경우에는, 지류와 달리 금속으로 이루어져 밀도가 크므로 자동 이송 처리가 용이하지 않고, 지류 매체 대비 비교적 큰 이송 경로가 필요하며, 동전 사용량이 급감하여 자동화 기기의 수요 자체가 매우 적다.
따라서 동전용으로는 자동화 기기가 대중적으로 출시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다만 은행 등에 동전을 자동 분류하고 입금하는 기기가 마련되어 있긴 하나, 동전의 분류에 상당한 작동 부하가 걸리게 되어, 일정 시간 이상의 작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에 현금 등을 처리하는 기기들은 주로 지류 매체를 처리하는 기기에 중점을 두고 개발이 진행되었을 뿐, 동전을 처리하는 기기에 대한 개발은 미진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을 효율적으로 입금 및 분류,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도, 작동 시간에 제한이 없고 동전의 감별이 매우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전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는, 동전이 투입되는 투입부; 투입된 동전을 감별하는 감별부; 동전을 수납하는 복수 개의 수납부; 상기 감별부에서 감별된 동전이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를 향해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도록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는 일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시 저장부는, 상기 분류부의 하단 대비 상대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분류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전이 지지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 상에 마련되며 왕복 이동하여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밀어내 상기 수납부로 떨어뜨리는 둘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 또는 상기 수납부로부터 동전을 전달받아 출금하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는, 상방이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는, 상방이 상기 일시 저장부의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하판과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의 상기 둘레부는,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일 방향으로 밀어내 상기 수납부로 떨어뜨리거나,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타 방향으로 밀어내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로 떨어뜨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시 저장부는, 상기 둘레부에 제공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을 갖고,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둘레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며 기어이를 갖는 구동기어; 외력을 상기 둘레부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동 노브; 상기 둘레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 또는 상기 수동 노브와 맞물리는 랙;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수동 노브와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수동 노브에 의한 상기 둘레부의 이동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조작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 전환부는, 상기 구동기어가 안착되는 기어 브라켓; 및 상기 기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에 걸쇠로 걸림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쇠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걸쇠가 상기 프레임에서 벗어나 상기 프레임 기준 상기 기어 브라켓의 수평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레버가 외력에 의해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기어 브라켓이 수평 이동하면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수동 노브와 연결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 전환부는, 복수 개의 상기 수납부를 수용하는 수납함이 상기 프레임에 수용될 때 상기 수납함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하는 락킹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 링크는, 상기 수납함이 상기 일시 저장부 대비 위치 이동하면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레버와 간섭됨에 따라 상기 레버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는, 밀판 구조를 이용하여 동전이 투입되도록 하여, 버켓 형태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투입 과부하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고, 감별, 분류, 수납에 있어서 신속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투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투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일시 저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투입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투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일시 저장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1)는, 투입부(10), 감별부(20), 분류부(30), 일시 저장부(40), 수납부(50),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를 포함하며, 전체 형상(외관 등)을 결정하며 위 구성들의 위치를 고정하는 프레임(7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프레임(70) 기준으로 수납부(50),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프레임(70) 대비 각 구성들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전후좌우 등의 방향은 각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방향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 해석될 수 없음을 알려둔다.
투입부(10)는, 동전이 투입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동전은 일반적으로 통칭되는 동전 외에도, 카지노 칩 등과 같은 물품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투입부(10)는 사용자가 동전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데, 투입구는 감별부(20)를 향해 개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투입구에 직접 사용자가 동전을 투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투입부(10)에 마련된 그루브(11)에 사용자가 동전을 올려놓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투입구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가려져 있을 수 있고, 그루브(11)에 안착된 동전이 후술할 밀판(12)에 의해 밀려 올라가야만 투입구로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투입부(10)는 그루브(11)와 밀판(12), 동력 전달부(13)를 갖는다. 그루브(11)는 일단이 감별부(20)를 향하는 투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길이 방향이 투입 방향과 나란한 골 형태를 갖는다. 그루브(11)는 단면이 U자 또는 V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동전이 편리하게 안착되기 위한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루브(11)는, 투입구에 인접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된다. 즉 그루브(11)는 기울어지게 마련되며, 투입구에 인접한 일단은 상단, 반대편은 하단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밀판(12)은 이하에서 설명 하겠으나, 그루브(11)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동전의 투입을 기다릴 수 있다. 이후 동전이 투입되고 사용자 등에 의해 동전 입금 신호가 입력되면, 밀판(12)은 그루브(11)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해 이동하면서 동전을 밀어올려서, 그루브(11)에 안착되어 있던 동전을 투입구로 떨어뜨릴 수 있다.
그루브(11)는 서로 다른 타입의 동전의 안착을 위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복수 개의 그루브(11)는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그루브(11)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대한민국 동전을 기준으로, 일측의 그루브(11)는 100원과 500원짜리 동전의 투입을 위해 마련되고, 타측의 그루브(11)는 10원과 50원짜리 동전의 투입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그루브(11)는 서로 다른 제원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투입되는 동전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인자가 그루브(11)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투입 동전의 종류를 직관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밀판(12)은, 그루브(11)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밀판(12)은 그루브(11)에 안착된 동전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동력 전달부(13)에 의하여 그루브(11)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밀판(12)은 복수 개의 그루브(11)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그루브(11)가 서로 다른 제원을 갖는다면 밀판(12) 역시 서로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밀판(12)은 그루브(11)에 안착된 동전을 지지한 채로, 그루브(11)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투입구를 향해 이동하면서 동전을 밀어서, 동전이 투입구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판(12)은 투입구를 향해 이동하여 동전을 밀어 올려서, 동전이 그루브(11)의 일단을 넘어가면서 투입구에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밀판(12)은, 감별부(20)의 제원을 고려하여 동전들이 적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밀판(12)에 의해 동전들이 밀어 올려지면, 두께 방향으로 겹쳐져 그루브(11)에 안착되어 있던 동전들은 투입구로 하나씩 투입될 수 있고, 후술할 감별부(20)에 의해 감별되어 분류될 수 있다.
밀판(12)은, 하단이 그루브(11)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전이 밀판(12) 하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밀판(1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밀판(12)의 상측은, 함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밀판(12)은 밀판(12)에 의해 지지되는 동전을 손가락에 의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밀판(12)의 상측이 함몰되지 않은 형태일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과 밀판(12)의 간섭을 피하고자 동전을 밀판(12) 위에서 그루브(11)에 떨어뜨리거나, 그루브(11)에서 밀판(12)보다 상방의 일정 지점에 동전을 안착시키게 되므로, 그루브(11)에 동전이 적절히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밀판(12)은 상측을 함몰 형태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한 가장 하측의 동전이 밀판(12)에 직접 맞닿되도록 동전의 안착이 가능하므로, 그루브(11)에 동전을 안착시키는 동작이 매우 편리하다.
복수 개의 그루브(11)에 마련되는 밀판(12)들은, 개별적으로 가동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를 위해 복수 개의 밀판(12)은, 그루브(11)의 하방에 마련되는 이동 브라켓(121)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브라켓(121)이 동력 전달부(13)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면서, 밀판(12)들은 한꺼번에 그루브(11)에 안착된 동전들을 밀어 올릴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동전이 안착되지 않은 그루브(11) 내의 밀판(12)도 이동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3)는, 밀판(12)에 동력을 전달하여 밀판(12)을 그루브(11) 상에서 이동시킨다. 동력 전달부(13)는 밀판(12)에 제공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131)을 가지며, 구동원(131)은 모터 등일 수 있다.
동력 전달부(13)는, 구동원(131)의 구동력을 밀판(12)에 전달하는데, 이를 위해 구동기어(132), 고무롤러(133), 벨트(134) 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기어(132)는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편의상 별도의 번호로 구분하지 않고 설명한다.
동력 전달부(13)의 구동원(131)이 회전하면, 구동원(131)에 연결되며 기어이를 갖는 구동기어(132)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기어(132)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흐름 상에서 고무롤러(133)와 맞닿을 수 있다.
고무롤러(133)는 구동기어(132)의 기어이와 맞닿아 구동기어(132)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으로, 기어이가 없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동력 전달부(13)는, 기어이의 맞물림 만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기어이가 없는 고무롤러(133)를 배치함으로써 고무롤러(133)의 외면과 구동기어(132)의 기어이 간의 마찰력을 통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무롤러(133)를 배치하는 것은, 밀판(12)이 동전 혹은 외력에 의해 하강/상승할 때 구동기어(132)나 구동원(131)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고무롤러(133)와 기어이 간의 마찰력을 넘어서는 힘이 밀판(12)에 가해질 때, 고무롤러(133)가 구동기어(132) 대비 다소 헛돌게 되면서 구동원(131)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고무롤러(133)는 그 재질이 명칭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기어이와 충분한 마찰력으로 접하기 위해 외면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구동원(131),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132), 고무롤러(133), 그리고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132) 등을 거쳐 회전력이 벨트(134)에 전달될 수 있으며, 벨트(134)는 일측이 이동 브라켓(121)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134)의 회전 시 이동 브라켓(121)은 그루브(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그루브(11) 상에 안착된 밀판(12)이 그루브(11)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즉 동력 전달부(13)는 위와 같은 구동기어(132), 고무롤러(133) 등의 조합을 통해, 이동 브라켓(121)을 경사 슬라이딩 이동시켜 밀판(12)이 그루브(11)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투입부(10)는 이동 브라켓(121)을 가이드하기 위해 브라켓 가이드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부(14)는 그루브(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이동 브라켓(121)의 양단을 가이드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부(14)는 벨트(134)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 브라켓(121)에 의해 밀판(12)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밀판(12)의 흔들림을 잡아주고, 밀판(12)이 그루브(11)의 상단 또는 하단을 넘어서지 않도록 구동원(1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 가이드부(14)는 하단 및 상단에 위치 검지센서(141)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 검지센서(141)는 브라켓 가이드부(14)의 하단 및 상단에 마련되며 이동 브라켓(121)의 일단을 검지하여 밀판(12)이 동전 투입을 위한 위치(하단)에 있는지 또는 밀판(12)이 동전 투입을 완료한 위치(상단)에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 검지센서(141)가 확인한 센싱값은 구동원(131)에 전달되며, 구동원(131)은 밀판(12)이 그루브(11)의 상단을 넘어가지 않으며 또한 그루브(11)의 하단보다 더 하강하려는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다시 참고하여 투입부(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밀판(12)은 도 4,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루브(11)의 하단에 위치한 투입 준비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으며, 밀판(12)이 그루브(11)의 상단에 위치한 경우 일정 시간동안 별다른 신호가 없으면 밀판(12)은 그루브(11)의 하단으로 복귀할 수 있다. 물론 밀판(12)이 동전을 투입하는 경우에 밀판(12)은 상단으로 이동한 뒤 즉시 하단으로 복귀하도록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의 밀판(12)은 그루브(11)의 하단에 놓여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브라켓 가이드부(14)는, 위치 검지센서(141)를 통해 이동 브라켓(121)을 감지하여 밀판(12)이 그루브(11)의 하단에 위치해 있음을 체크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전 입금이 가능한 대기 상태라는 안내가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법(소리나 조명, 영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전을 그루브(11)에 안착시키고 입금 신호가 본 실시예(입력부, 제어부 등과 같은 구성)에 전달되면, 구동원(131)이 회전하면서 구동기어(132), 고무롤러(133), 벨트(134)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고, 이동 브라켓(121)이 브라켓 가이드부(14)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때 브라켓 가이드부(14)의 하단에 위치한 위치 검지센서(141)가, 이동 브라켓(121)이 움직인 것을 체크할 수 있다.
이동 브라켓(121)의 이동에 의해 밀판(12)은 그루브(11)에 안착된 동전들을 밀어 올리게 되며, 이동 브라켓(121)은 브라켓 가이드부(14)의 상단 위치 검지센서(141)에 맞닿는 도 6의 상태가 될 때까지 이송된다.
이동 브라켓(121)이 브라켓 가이드부(14)의 상단에 마련된 위치 검지센서(141)에 의해 감지되면, 밀판(12)에 의해 동전 투입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밀판(12)은 원위치로 복귀하여 대기할 수 있다.
추가로 그루브(11)는 중앙이 이격되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경사판이나 곡판을 통해 U자 또는 V자 단면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밀판(12)은 비통전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전이 남아있을 경우에만 한 쌍의 경사판 사이에서 전류가 통하게 된다.
이를 통해 투입부(10)는, 밀판(12)이 상단까지 이동하였음에도 그루브(11)에 동전 등이 잔류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밀판(12)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그루브(11)에 동전 등의 금속이 남아있다면, 그루브(11)를 구성하는 한 쌍의 경사판 사이에 전류가 전달될 수 있고, 동전의 잔류가 확인되면 투입 불량 등의 안내가 사용자에게 알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판(12)의 동작이 1회 이상 반복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그루브(11)에 안착시킨 동전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감별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감별부(20)는, 투입된 동전을 감별한다. 감별부(20)는 그루브(11) 마다 마련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감별센서(21)를 구비할 수 있다. 감별센서(21)는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는 지류에서와 달리, 동전을 구성하는 금속 조성을 토대로 동전의 감별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동전을 구성하는 구리, 알루미늄, 주석 등의 비율이 동전마다 정해지게 되는데, 감별센서(21)는 동전을 이루는 조성물에 대한 파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로 구성되어, 불량동전인지, 어떠한 동전인지를 구분해낼 수 있다.
이때 감별센서(21)의 식별속도에 따라, 밀판(12)의 이동 속도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동전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속도는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이므로 일정하겠으나, 감별센서(21)의 센싱값 처리 속도를 고려하여, 동전들의 투입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밀판(12)의 이동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감별부(20)에 의해 감별된 동전은 이후 분류부(30)를 통해 분류될 수 있다. 즉 감별센서(21)에 의한 센싱값은 분류부(30)로 전달되어, 투입된 동전이 일시 저장부(40) 또는 반환부(32)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감별센서(21)의 감별 방식 및 감별부(20)의 구조 등은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그루브(11)에 각각 할당되는 투입구마다 마련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그루브(11)가 하나의 투입구에 대응되고 하나의 투입구에 감별부(20)가 통합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후자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그루브(11)에 위치한 밀판(12)의 이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투입구를 통해 낙하하는 동전이 겹치지 않게 해 감별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분류부(30)는, 감별부(20)에서 감별된 동전이 복수 개의 수납부(50)를 향해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도록 분류한다. 분류부(30)는 수납부(50)와 감별부(20) 사이에 마련되며, 감별부(20) 하측에서 복수의 수납부(50)에 대응되도록 갈라져 있는 분류로(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류부(30)는 복수 개의 수납부(50)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일시 저장부(4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분류로(31)는 일시 저장부(40)에 각각 대응되는 형태로 분기되어 있을 수 있다.
분류로(31)는 감별부(20)를 통해 유입된 동전이 동전의 종류에 매칭되는 특정한 일시 저장부(40)로 전달되도록, 일시 저장부(40)마다 구비될 수 있으며, 동전이 자유낙하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형태이거나 또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동전을 전달하는 벨트 등의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분류로(31)가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슬라이드임을 가정해 설명한다.
분류로(31)의 입구는 감별부(20)의 하측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분류로(31)의 출구는 일시 저장부(40)를 향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그루브(11)가 복수 개로 구비되더라도 각 수납부(50)에는 하나의 분류로(31)가 할당될 수 있는 바, 분류로(31)의 입구는 복수 개의 감별부(20)들의 하측에 한꺼번에 연통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분류부(30)는, 감별센서(21)의 센싱값을 통해 감별부(20)를 거친 동전이 각각 적절한 분류로(31)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분기기(diverter,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분기기는 감별부(20)의 하측과 분류로(31)들의 상측 사이에서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동전의 경로를 변환하는 모든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그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분기기는 감별부(20)를 통해 낙하하는 동전을 각 분류로(31)로 전달하기 위해 동전을 밀어내거나 쳐내는 구조로 마련되거나, 또는 감별부(20)와 분류로(31)들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개폐되는 구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분기기는 감별센서(21)의 센싱값에 따라 빠르게 작동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solenoid)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기기는 감별센서(21)와 분기기 사이에서 동전이 낙하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센싱값에 대응되는 작동 간에 미세한 시간차를 둘 수 있다. 이는 감별센서(21)의 값이 분기기에 전달됨과 동시에 분기기가 작동하면, 분기기에 위치한 동전은 감별센서(21)에 감별된 동전보다 이전에 투입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시간차는 ms 단위로 세팅되는 미세한 값이며, 동전은 투입구로부터 분류로(31)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자유낙하가 멈추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투입 과정이 지연된 것처럼 인식하지는 않는다.
그루브(11)가 복수 개로 마련되고 감별부(20) 역시 그루브(11)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분류로(31)는 하나로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분기기는 감별부(20)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분류로(31)에 2개의 분기기가 대응될 수 있다.
분기기들에 의해 하나의 분류로(31)의 입구로 동전이 전달될 때 동전들이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분기기들은 서로 동전의 분류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 하겠으나, 복수 개의 그루브(11)는 서로 다른 종류의 동전을 투입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분기기들에 의해 하나의 분류로(31)로 동전이 투입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분류 시 동전들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분류부(30)는 수납부(50) 및 일시 저장부(40)에 각각 대응되는 분류로(31)로 동전을 전달할 수 있지만, 수납부(50)로 전달될 필요가 없는 동전(불량 동전, 동전이 아닌 매체 또는 그루브(11)에 재안착이 필요한 동전 등)에 대해서는 분류로(31)가 아닌, 반환부(32)로 전달할 수 있다.
반환부(32)는 프레임(70)을 기준으로 투입부(10)의 하방에 마련되며, 투입부(1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70)의 전방에 위치해, 투입부(10)에 동전을 투입한 사용자가 바로 반환되는 동전을 수거해 가도록 할 수 있다.
반환부(32)는 별도의 도어(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도어를 손으로 열고 반환된 동전을 꺼낼 수 있으며, 반환 여부는 소리나 조명 등으로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정상 동전인 경우에도 반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례로 한 쌍의 그루브(11)가 100원/500원 투입용 제1 그루브(11)와 10원/50원 투입용 제2 그루브(11)로 구비되어 있을 경우, 100원/500원 투입용 그루브(11)에 10원 등의 동전을 안착했을 때, 해당 동전이 반환될 수 있다.
이 경우 감별부(20)의 감별센서(21)는 각 그루브(11)에 할당된 동전들만을 감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100원용 제1 그루브(11)에 10원이 투입되면 제1 그루브(11)에 대응되는 제1 감별부(20)의 감별센서(21)는 해당 동전을 반환대상인 것으로 센싱하고, 센싱값을 받은 분기기는 제1 감별부(20)로부터 전달된 10원 동전을 반환부(3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분기기와 관련하여, 제1 그루브(11)에 대응되는 분기기는 100원/500원/반환으로 분기하고, 제2 그루브(11)에 대응되는 분기기는 10원/50원/반환으로 분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그루브(11)가 투입 가능한 동전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은 분기기에 의한 분기 가지수를 줄여 빠르고 정확한 분류 속도를 보장하면서 감별센서(21)의 제원을 낮추고 감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분류부(30)를 통해 분류되는 동전들은, 반환부(32)로 전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술하는 일시 저장부(40)로 전달될 수 있다.
일시 저장부(40)는, 분류부(30)와 수납부(50) 사이에 마련되어 수납부(50)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된다. 일시 저장부(40)는 감별부(20)의 감별센서(21)에 의하여 정상으로 판별된 동전에 대해, 수납부(50)로 전달되기 전에 일시 저장해두는 기능을 한다.
이는 감별부(20)에 의하여 정상으로 판별되더라도, 사용자가 입금 취소하는 경우 등에서 해당 동전들이 수납부(50)로 전달되지 않고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시 저장부(40)는 분류로(31)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며, 하판(41), 둘레부(42), 동력 전달부(43)를 포함한다. 하판(41)은 분류부(30)의 하단 대비 상대 위치가 고정되며 분류부(30)로부터 전달되는 동전이 지지된다. 즉 하판(41)은 분류로(31)의 개방된 하단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하판(41)에는, 상방에 구비된 분류로(31)의 하단을 통해 동전이 전달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70)에서 하판(41)이 마련되는 부분은, 하판(41)의 양측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판(41)의 일측은 수납부(50)로 연통되고, 하판(41)의 타측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로 연통될 수 있다.
분류로(31)를 통해 전달된 동전은 하판(41) 상에 안착되어야 하므로, 둘레부(42)가 하판(41) 상측에 마련되어 하판(41)과 함께 바구니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하판(41)과 둘레부(42)가 이루는 바구니가 분류로(31)에서 전달되는 동전을 수집하는 구성으로 기능할 수 있다.
둘레부(42)는 하판(41)의 상측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동전이 하판(41)과 둘레부(42)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둘레부(42)는 프레임(7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둘레부(42)와 하판(41)은 요철 구조를 구비하여 둘레부(42)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둘레부(42)는 하판(41) 상에 마련되며 왕복 이동하여 하판(41)에 지지된 동전을 일방 또는 타방으로 밀어내어, 하판(41)에 지지되어 있던 동전을 수납부(50) 등으로 떨어 뜨릴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임(70)에서 하판(41)의 양측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고, 일측은 수납부(50)의 입구와 연통되고 타측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분류부(30)를 통해 전달되어 하판(41)에 지지된 동전을, 둘레부(42)가 하판(41)의 일측으로 쓸어내면 동전은 수납부(50)로 투입될 수 있으며, 반면 둘레부(42)가 하판(41)의 타측으로 쓸어내면 동전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로 투입될 수 있다.
물론 복수 개의 수납부(50)의 각 입구는 각 하판(41)들의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둘레부(42)에 의하여 밀려 떨어지는 동전들이 수납부(50)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전달 경로가 뒤바뀌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납부(50)의 입구 높이는, 하판(41)의 높이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또한 수납부(50)의 하방에 마련되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와 관련하여, 하판(41)에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까지 적어도 수납부(50)의 높이만큼 동전이 낙하하게 된다. 이때 동전의 전달 경로가 뒤바뀌지 않도록,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와 하판(41)의 타측 사이에는 각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들과 각 하판(41)의 일측 개구(411)를 상호 구분하기 위한 입금취소덕트(62)가 구비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43)는, 둘레부(42)를 하판(41)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둘레부(42)는 하판(41)의 상측에 위치한 기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동전을 떨어뜨린 이후에는 하판(41)의 상측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는 밀판(12)의 이동과 유사하며, 밀판(12)의 움직임과 연계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43)는 투입부(10)에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투입부(10)에서 설명한 내용이 본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을 알려둔다.
일시 저장부(40)의 동력 전달부(43)는, 둘레부(42)에 제공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431)을 가지며, 구동원(431)의 구동력이 둘레부(42)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원(431)과 둘레부(42) 사이에는, 구동원(431)에 연결되어 기어이를 갖는 구동기어(432)와, 둘레부(42)에 연결되어 구동기어(432) 등과 연결되는 벨트(434)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랙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동력 전달부(43)는, 외력을 둘레부(42)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동 노브(433)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434)는 구동기어(432) 또는 수동 노브(433)와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수동 노브(433)의 조작에 의해 벨트(434)를 거쳐 둘레부(42)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시 저장부(40)에 저장된 동전이 제대로 수납되지 않았거나, 의도적으로 일시 저장부(40)의 자동적인 작동을 제한하고 동전을 회수하여야 하는 경우나, 유지 보수를 위해 필요한 경우 등에서, 사용자는 수동 노브(433)를 조작하여 둘레부(42)를 하판(41)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프레임(70) 기준으로 수납부(50) 등은 인출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는데, 수납부(50)가 인출된 상태에서 수동 노브(433)를 조작해 둘레부(42)를 일측으로 움직이게 되면, 하판(41)에 지지되어 있던 동전은 수납부(50)로 전달되지 못하고 프레임(70) 바닥 등으로 떨어지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프레임(70)에 대한 수납부(50)의 상태 등에 따라 수동 노브(433)에 의한 조작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조작 전환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수동 노브(433)의 조작에 의한 둘레부(42)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고, 관리자에 의해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동 노브(433)는 기본적으로 프레임(70)을 감싸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여 접근이 불가한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된다 하더라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없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수동 노브(433)는, 기본적으로 작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되며, 또한 수납부(50)가 프레임(70)에서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작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수동 노브(433)의 작동 제한/허용은 후술하는 조작 전환부(435)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먼저 수동 노브(433)가 기본적으로 작동이 제한되는 내용을 설명한다.
조작 전환부(435)는, 구동기어(432)를 수동 노브(433)와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해제하여, 수동 노브(433)에 의한 둘레부(42)의 이동을 허용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수동 노브(433)는, 조작 전환부(435)에 의해 구동기어(432)에 연결됨에 따라 벨트(434)에 간접 연결되어 둘레부(42)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조작 전환부(435)에 의해 구동기어(432)에서 분리되면서 벨트(434)에 연결되어 구동원(431)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둘레부(42)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는 후자의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설명하나, 전자의 방식도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
조작 전환부(435)는 기어 브라켓(4351), 레버(4352), 락킹 링크(435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브라켓(4351)은 구동기어(432)가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구동기어(432)의 축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기어 브라켓(4351)은 후술할 레버(4352) 등을 통해 둘레부(42)의 이동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어 브라켓(4351)의 구동기어(432)가 수동 노브(433)와 이격되거나 또는 구동기어(432)가 수동 노브(433)와 맞물릴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수동 노브(433)는 기어 브라켓(4351)이 아닌 프레임(70)에 구비될 수 있고, 기어 브라켓(4351)은 프레임(70)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기어 브라켓(4351)은 구동원(431)에 연결된 구동기어(432)가 수동 노브(433)와 맞물린 상태를 기본 위치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도 12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움직일 경우 수동 노브(433)와 이격되면서 수동 노브(433)의 회전력이 벨트(434)를 거쳐 둘레부(42)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기어 브라켓(4351)에 마련된 구동기어(432)가 수동 노브(433)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어 브라켓(4351)에는 제한되지 않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도 12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기어 브라켓(4351)에 작용할 수 있다.
레버(4352)는, 기어 브라켓(435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레버(4352)의 회전은 동전이 자유낙하하는 방향을 수직축으로 하는 회전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레버(4352)는 기어 브라켓(4351)의 수평 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레버(4352)는 도 13 등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걸쇠(435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걸쇠(4353)는 일시 저장부(40)를 수용하는 프레임(70)에 걸리도록 마련되며, 레버(4352)의 걸쇠(4353)가 걸리면 기어 브라켓(4351)은 구동기어(432)가 수동 노브(4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레버(4352)는 기어 브라켓(4351)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외력이 없는 경우 레버(4352)는 걸쇠(4353)가 프레임(7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여, 기어 브라켓(4351)을 도 12 기준 좌측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레버(4352)는, 기어 브라켓(4351)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이면서, 기어 브라켓(4351)의 수평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즉 도 14 등에 나타난 것과 같이 레버(4352)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4354)가 구비되어, 이하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걸쇠(4353)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4354)를 도 12 기준 좌측으로 밀어서 기어 브라켓(4351)이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버(4352)는, 탄성력에 의해 걸쇠(4353)가 프레임(7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 걸쇠(4353)가 도 14에서와 같이 프레임(70)에서 벗어나면서, 프레임(70) 기준 기어 브라켓(4351)의 수평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4354)를 이용하여 기어 브라켓(4351)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70) 내측에 위치한 기어 브라켓(4351)에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다.
레버(4352)가 외력에 의하여 회전한 상태에서, 기어 브라켓(4351)이 도 12 기준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면, 기어 브라켓(4351) 상에 마련된 구동기어(432)는 수동 노브(433)와 연결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수동 노브(433)는 구동원(431)과 연결되지 않게 되므로, 구동원(431)이 수동 노브(433)의 회전을 저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 노브(433)를 돌려서 벨트(434)를 통해 둘레부(4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동 노브(433)가 프레임(70)에 대한 수납부(50)의 상태에 따라 작동이 허용/제한되는 것을 설명한다.
조작 전환부(435)는 락킹 링크(4355)를 포함할 수 있는데, 락킹 링크(4355)는 레버(4352)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4352)가 동전의 낙하 방향을 수직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걸쇠(4353)가 전방으로 움직여 프레임(70)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기어 브라켓(4351)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수동 노브(433)의 조작이 허용되는 위치로 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락킹 링크(4355)를 구비하여, 프레임(70)에서 수납부(50)가 인출된 상태에서 레버(4352)의 위와 같은 회전 자체를 차단함으로써, 걸쇠(4353)가 프레임(70)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 링크(4355)는, 일부분인 걸림편(4356)이 레버(4352)의 후방에 위치하여 레버(435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락킹 링크(4355)가 상승할 경우 락킹 링크(4355)의 걸림편(4356)은 레버(4352) 대비 상방으로 어긋나면서 레버(4352)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락킹 링크(4355)는 복수 개의 수납부(50)를 수용하는 수납함(50a)이 프레임(70)에 수용될 때 수납함(50a)에 의해 밀려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락킹 링크(4355)는 프레임(70)에 결합된 수납함(50a)과 맞닿아 수납함(50a)에 의해 상승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납부(50)가 프레임(70) 내에 안착된 정상 상태에서 락킹 링크(4355)는 항상 상측 위치에 놓인다. 이를 위해 수납함(50a)에는 락킹 링크(4355)를 밀어 올리기 위한 락킹 해제편(51)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부(50)가 프레임(70) 내에 위치할 때 락킹 링크(4355)는 상측 위치에 놓이면서 락킹 링크(4355)의 걸림편(4356)이 레버(4352)와 어긋나게 되므로, 레버(4352)의 회전은 수납부(50)가 인출되지 않는 한 허용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수납함(50a)이 프레임(70)으로부터 인출된 경우, 락킹 링크(4355)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락킹 링크(4355)의 걸림편(4356)은 레버(4352)와 전후 방향으로 겹치게 배치되면서 레버(4352)의 회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수납부(50)가 프레임(70)에서 인출된 비정상 상태에서, 레버(4352)는 락킹 링크(4355)로 인해 회전이 저지되므로 기어 브라켓(4351) 역시 수평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수동 노브(433)는 구동기어(432)를 통해 구동원(431)과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력을 받더라도 구동원(431)에 의해 간섭되어 둘레부(42)의 강제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는 수납함(50a)이 프레임(70)에서 인출되는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프레임(70)에서 일시 저장부(40)가 인출됨에 따라 수납함(50a)이 일시 저장부(40) 대비 상대적으로 위치 이동하는 경우에도, 수납함(50a)의 락킹 해제편(51)이 락킹 링크(4355)를 밀어올리지 못하게 되므로, 둘레부(42)의 강제 이동이 저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13의 경우 수납함(50a)과 일시 저장부(40) 간의 배치가 정상 상태(수납함(50a) 및 일시 저장부(40)가 프레임(70) 내에 모두 안착)에 놓여 있으며, 수납함(50a)의 락킹 해제편(51)이 락킹 링크(4355)를 밀어 올린 상태가 되어, 레버(4352)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 14에서와 같이 레버(4352)에서 손잡이(4354) 부분을 눌러서 레버(4352)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레버(4352)의 걸쇠(4353)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프레임(70)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도 1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4352)의 손잡이(4354)를 이용하여, 기어 브라켓(4351)을 좌측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구동기어(432) 등은 수동 노브(433)와 연결이 해제되므로, 수동 노브(433)는 구동원(431)의 간섭을 극복하고 둘레부(42)의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6, 17에서와 같이 일시 저장부(40)가 수납함(50a) 대비 전방으로 인출되어 있으면, 수납함(50a)의 락킹 해제편(51)이 락킹 링크(4355)를 밀어 올리지 못하게 되어, 락킹 링크(4355)는 탄성 하강해 걸림편(4356)이 레버(4352)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레버(4352)의 걸쇠(4353)가 프레임(7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기어 브라켓(4351)은 수평 이동이 불가하므로, 수동 노브(433)는 구동기어(432)와 맞물린 상태를 벗어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경우 수동 노브(433)는, 구동기어(432)를 통해 구동원(431)과 연결됨에 따라, 외력을 가하더라도 둘레부(42)의 조작이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시 저장부(40)의 조작 전환부(435)는, 수동 노브(433)에 의한 둘레부(42)의 이동을 허용/제한함으로써, 동전이 적절하게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수납부(50)는, 동전을 수납한다. 수납부(50)는 본 발명이 처리하는 동전의 종류에 맞게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각 수납부(50)에는 일시 저장부(40)(하판(41) 및 둘레부(42))와 분류로(31)가 대응될 수 있으며, 특정 수납부(50)에 전달되어야 하는 동전은 어느 하나의 분류로(31) 및 어느 하나의 일시 저장부(40)를 거쳐 수납부(50)에 저장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상방이 개방되어, 동전이 자유롭게 낙하에 의하여 투입되도록 할 수 있고, 수납부(50)의 내부는 동전의 낙하 시 충격/소음을 완화하게 위해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납부(50)의 개방된 상방은 입구로서, 일시 저장부(40)의 하판(41)과 어긋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수납부(50)의 입구는 하판(41)의 일측에 마련되며, 둘레부(42)가 하판(41)에 지지된 동전을 일방향으로 밀어내 수납부(50)의 입구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다만 하판(41)에서 밀려나는 동전이 수납부(5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납부(50)의 입구와 하판(41)은 중첩되도록 마련되어, 동전이 빠져나가는 틈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부(50)의 입구는 하판(41)과 대등한 높이로 마련됨에 따라, 하판(41)에서 수납부(50)로 떨어지는 동전이 낙하 도중 경로가 의도치않게 변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유지 보수를 위하여, 프레임(70) 기준으로 일시 저장부(40)나 수납부(50)가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도록 하기 위해, 수납부(50)의 상단과 하판(41)의 하단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수납부(50)에 수납된 동전들은, 감별부(20) 및 분류부(30)를 거쳐 분류가 완료된 것으로서, 각 수납부(50)마다 1종의 동전들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프레임(70)으로부터 수납함(50a)을 인출하고 수납부(50)에 저장된 동전들을 꺼내 처리할 수 있으며, 수납부(50)는 수납함(50a)에서 각각 별도로 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수납된 동전을 적절한 개수로 인출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수납부(50)는 하측으로 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 등에 의해 출금 신호가 제어부 등으로 입력되면, 각 수납부(50)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의 동전을 하측의 출구로 인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납부(50)에는 출금모듈(52)이 마련될 수 있다. 출금모듈(52)은 수납부(50) 내부에 저장된 동전을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수납부(50)에서 출금모듈(52) 상부에 마련되어 동전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은 카세트(부호 도시하지 않음)로 지칭될 수 있다.
수납부(50)에서 출금모듈(52)을 통해 방출되는 동전은 수납부(50) 하측에 구비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를 통하여 출금 처리될 수 있으며, 수납부(50)에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를 향한 출금모듈(52)의 동전 방출은, 기존에 널리 알려져 있는 동전 출금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수납부(50)에는 동전이 정렬되지 않고 자유낙하에 의해 수납될 수 있으므로, 수납부(50)는 출금을 위해 출구 위치에서 동전을 정렬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입금 취소 또는 출금한 동전을 일시 보관한다.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수납부(50)의 하측에 마련되며, 일시 저장부(40) 또는 수납부(50)로부터 동전을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각 수납부(50)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면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함(61)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함(61)은 수납부(50)와 유사하게 상방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 일시 저장부(40) 또는 수납부(50)로부터 동전이 자유 낙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납부(50)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상방의 입구가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어 일시 저장부(40)를 향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수납부(50)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개방된 상방이 일시 저장부(40)의 하판(41)의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되어 하판(41)과 어긋나게 배치되고, 둘레부(42)의 일방/타방 이동에 의해 하판(41)에 지지되어 있던 동전은 수납부(50) 또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로 떨어질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수납부(50)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동전이 하판(41)에서 밀려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까지 떨어지는 동안 동전의 경로가 뒤바뀌지 않도록,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와 하판(41)의 타측 사이에서 동전의 경로를 구분하는 입금취소덕트(62)가 구비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입금취소덕트(62)는 적어도 수납부(5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수납부(5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시 저장부(40)의 둘레부(42)는, 하판(41)에 지지된 동전을 일 방향으로 밀어내 수납부(50)로 떨어뜨리거나, 하판(41)에 지지된 동전을 타 방향으로 밀어내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로 떨어뜨릴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를 프레임(70)으로부터 인출하여 동전을 취할 수 있다.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경우에는 별다른 잠금장치 없이 프레임(70)에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가 인출된 상태에서 수납부(50)의 출구를 통한 수납부(50) 내부로의 접근은 제한되는 구조(지그재그 경로구조나 능동적 개폐 구조 등)가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는, 하판(41)에 지지되었다가 둘레부(42)에 의해 밀려 떨어지는 동전을 받아내기 위하여 하판(41)의 타측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수납부(50)의 하측 출구와도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는 하판(41)의 타측 개구(412) 및 수납부(50)의 하측 출구와 모두 연통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부분이 수납부(50)의 입구와 어긋나면서 일시 저장부(40)를 향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는 하판(41)의 타측 개구(412)나 수납부(50)의 하측 출구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크기를 갖고,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가 프레임(70)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일시 저장부(40)를 통한 동전의 전달 및 수납부(50)를 통한 동전의 출금 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함(61)이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수납부(50)의 출구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는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되, 수납부(50)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 사이에서 프레임(70)이 동전을 가이드하도록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동전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분류 및 수납하면서, 출금까지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동전 처리가 가능해, 수작업으로 동전을 분류하던 기존의 번거로움을 혁신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 외에도,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와 공지기술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실시예들을 모두 포괄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동전 처리 장치 10: 투입부
11: 그루브 12: 밀판
121: 이동 브라켓 13: 동력 전달부
131: 구동원 132: 구동기어
133: 고무롤러 134: 벨트
14: 브라켓 가이드부 141: 위치 검지센서
20: 감별부 21: 감별센서
30: 분류부 31: 분류로
32: 반환부 40: 일시 저장부
41: 하판 411: 일측 개구
412: 타측 개구 42: 둘레부
43: 동력 전달부 431: 구동원
432: 구동기어 433: 수동 노브
434: 벨트 435: 조작 전환부
4351: 기어 브라켓 4352: 레버
4353: 걸쇠 4354: 손잡이
4355: 락킹 링크 4356: 걸림편
50: 수납부 50a: 수납함
51: 락킹 해제편 52: 출금모듈
60: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 61: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함
62: 입금취소덕트 70: 프레임

Claims (8)

  1. 동전이 투입되는 투입부;
    투입된 동전을 감별하는 감별부;
    동전을 수납하는 복수 개의 수납부;
    상기 감별부에서 감별된 동전이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를 향해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도록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는 일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시 저장부는,
    상기 분류부의 하단 대비 상대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분류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전이 지지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 상에 마련되며 왕복 이동하여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밀어내 상기 수납부로 떨어뜨리는 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시 저장부는,
    상기 둘레부에 제공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을 갖고,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둘레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며 기어이를 갖는 구동기어;
    외력을 상기 둘레부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동 노브;
    상기 둘레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 또는 상기 수동 노브와 맞물리는 랙;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수동 노브와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수동 노브에 의한 상기 둘레부의 이동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조작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 또는 상기 수납부로부터 출금된 동전을 전달받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는,
    상방이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는, 상방이 상기 일시 저장부의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하판과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의 상기 둘레부는,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일 방향으로 밀어내 상기 수납부로 떨어뜨리거나,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타 방향으로 밀어내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로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전환부는,
    상기 구동기어가 안착되는 기어 브라켓; 및
    상기 기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에 걸쇠로 걸림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쇠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걸쇠가 상기 프레임에서 벗어나 상기 프레임 기준 상기 기어 브라켓의 수평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레버가 외력에 의해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기어 브라켓이 수평 이동하면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수동 노브와 연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전환부는,
    복수 개의 상기 수납부를 수용하는 수납함이 상기 프레임에 수용될 때 상기 수납함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하는 락킹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 링크는,
    상기 수납함이 상기 일시 저장부 대비 위치 이동하면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레버와 간섭됨에 따라 상기 레버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KR1020200050196A 2020-04-24 2020-04-24 동전 처리 장치 KR10232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196A KR102322146B1 (ko) 2020-04-24 2020-04-24 동전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196A KR102322146B1 (ko) 2020-04-24 2020-04-24 동전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31A KR20210131731A (ko) 2021-11-03
KR102322146B1 true KR102322146B1 (ko) 2021-11-05

Family

ID=7850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196A KR102322146B1 (ko) 2020-04-24 2020-04-24 동전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1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55B1 (ko) 2003-09-04 2006-07-03 주식회사 네오테크 주화 자동 입금장치
KR101011545B1 (ko) * 2008-10-27 2011-01-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
JP2014021951A (ja) * 2012-07-24 2014-02-03 Oki Electric Ind Co Ltd 硬貨処理装置
JP2017151779A (ja) 2016-02-25 2017-08-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55B1 (ko) 2003-09-04 2006-07-03 주식회사 네오테크 주화 자동 입금장치
KR101011545B1 (ko) * 2008-10-27 2011-01-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
JP2014021951A (ja) * 2012-07-24 2014-02-03 Oki Electric Ind Co Ltd 硬貨処理装置
JP2017151779A (ja) 2016-02-25 2017-08-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31A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8140A2 (en) Device for validating and accumulating bills and coins
JPH07125896A (ja) 紙幣処理装置
KR102322146B1 (ko) 동전 처리 장치
KR102324246B1 (ko) 동전 처리 장치
JP3630556B2 (ja) 硬貨処理装置
JP6757023B2 (ja) 硬貨入出金装置
JP6003196B2 (ja) 硬貨処理装置
JPS6359199B2 (ko)
JP4311309B2 (ja) 金銭処理装置、紙幣処理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3248849B2 (ja) 硬貨入出金機
JP3664948B2 (ja) 硬貨処理機
JP3664949B2 (ja) 硬貨処理機
JP2001093019A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JP3258574B2 (ja) 硬貨入出金機
JP3258571B2 (ja) 硬貨入出金機
JP3258573B2 (ja) 硬貨入出金機
JP3288230B2 (ja) 硬貨処理機
JP3320989B2 (ja) 硬貨入出金機
JP3877938B2 (ja) 硬貨処理機
JP3333073B2 (ja) 硬貨入金処理機の入金硬貨一時保留装置
JP6647805B2 (ja) 有価媒体処理装置、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および有価媒体処理方法
JP3288952B2 (ja) 硬貨処理機
KR100377030B1 (ko) 지폐취급장치
JP3655141B2 (ja) 硬貨入出金機
JPH07320115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