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971B1 -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971B1
KR102321971B1 KR1020200004326A KR20200004326A KR102321971B1 KR 102321971 B1 KR102321971 B1 KR 102321971B1 KR 1020200004326 A KR1020200004326 A KR 1020200004326A KR 20200004326 A KR20200004326 A KR 20200004326A KR 102321971 B1 KR102321971 B1 KR 102321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bsite
product
open market
purch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0948A (ko
Inventor
김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밋컴퍼니
김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밋컴퍼니, 김재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밋컴퍼니
Priority to KR1020200004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97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해외의 제3 웹사이트로부터 유효자원을 추출하고 정렬하여,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3 웹사이트로부터 유효자원을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레지스터링 유닛(registering unit); 레지스터링 유닛이 획득하고 정렬한 유효자원의 상품 정보를 오픈 마켓에 연동시키는 인터워킹 유닛(interworking unit); 및 인터워킹 유닛으로부터 오픈 마켓에 연동된 상품 정보와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매니징 유닛(managing unit)를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purchasing agent through sorting of valid resources on the third website}
본 발명은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해외의 제3 웹사이트로부터 유효자원을 추출하고 획득하고, 상품 정보를 오픈 마켓에 연동시켜 상품을 판매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해외 직구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소비자들이 직접 구매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국내에 있는 소비자가 해외의 온라인 사이트에서 직접 제품을 주문하고 배달 받는 것으로, '해외직접구매'의 줄임 말이다.
해외직구가 활성화된 요인으로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 쇼핑몰의 물리적 거리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제품을 찾는 게 가능하다는데 있다. 국내에 수입 유통되는 것은 일부분이지만 해외직구를 통하면 다양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게 가능하며, 중간 유통상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150달러- 200달러 이하의 제품을 자가용도로 구입할 경우에는 세금이 없다는 것도 해외직구가 각광받는 이유다. 종전에는 100달러 이상, 또는 15만원이상이면 세금을 부과했으나 한 미 FTA협정 체결이후 이를 상향조정한 것도 활성화의 한 이유이며, 특송화물에 대한 관세청의 신속통관제도도 해외직구의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해외직구의 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먼저, 소비자가 직접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품을 구매하여 배송 받는 해외직접배송, 소비자가 제품은 직접 구매하고 배송은 대행업체에 맡기는 해외배송대행, 그리고 제품의 구매부터 배송까지 모든 것을 위임하는 해외구매대행으로 해외직구는 다양한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빅데이터 기반 해외 상품 직접구매 시스템(공개번호 제10-2017-0106684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빅데이터 기반 해외 상품 직접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외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타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빅데이터 기반 해외 상품 직접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의 직접구매 서버에서 해외 쇼핑몰 서버의 상품 판매 화면을 직접 혹은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해외 상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해외 상품 직접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해외 구매대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외 구매대행 서비스 방법 (등록번호 제10-1696358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인터넷을 이용한 해외 구매대행 시스템으로서, 제1국가의 구매희망자로부터 제1국가의 배송정보와, 제2국가에서 판매하는 구매희망 상품정보를 매칭사이트를 통하여 입력받는 구매희망자 입력부, 제2국가의 구매대행자로부터 제1국가로의 출국정보를 매칭사이트에 입력받는 구매대행자 입력부 및 매칭사이트와 연결되어 구매희망자 입력부와 구매대행자 입력부로부터 구매희망자의 배송정보 및 상품정보 리스트와, 구매대행자의 출국정보 리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구매희망자의 배송정보 및 상품정보와 구매대행자의 출국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일치하는 구매희망자와 구매대행자를 서로 연결시켜, 구매희망자가 구매 희망하는 제2국가의 상품을 구매대행자가 제2국가에서 구입하여 제1국가로 입국 시 구매희망 상품을 전달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매칭서버를 포함하는 해외 구매대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구매대행자가 해외에서 직접 구매하여 입국 시 구매희망자에게 전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해외구매 방법에 비하여 배송기간을 월등히 단축시킬 수 있어 구매희망자로 하여금 구매희망 상품을 신속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해외 구매대행 및 카트 공유를 결합한 인터넷 구매 대행 서비스 방법 (등록번호 제10-1554519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인터넷 구매 대행 서비스 방법는, 구매대행 서버가 제1 사용자의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카트정보가 저장된 카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카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카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카트정보를 해외구매대행을 위한 제2 사용자의 현재 카트정보에 적용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로부터 현재 카트정보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그러나, 특허문헌1과 특허문헌3의 경우, 구매자는 직접구매 서버를 통해서 해외 직구를 대행할 수 있으며, 서버에서 해외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구매자들의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타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국내의 직접구매 서버에서 해외 쇼핑몰 서버의 상품 판매 화면을 직접 혹은 가공하여 제공하는데, 해외 직구는 유행하는 제품보다는 소비자가 국내에서 구하기 힘들거나 가격대가 높은 제품을 구매하려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직접구매사이트를 개설할 경우 사이트를 운영하는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고, 상품 판매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하며 소비자들이 사이트를 직접 찾아오거나 홍보를 통해 사이트에 방문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허문헌2의 경우, 구매희망자가 구매를 원하는 국가, 상품 정보를 매칭 사이트에 등록하고, 구매대행자는 국가 정보와 출국정보를 등록하여 구매희망자와 구매대행자를 서로 매칭하여 일치하는 경우 연결시켜주는 구매대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구매대행자와 구매희망자가 원하는 국가와 물품과 구매 날짜를 매칭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공개번호 제10-2017-0106684호 등록번호 제10-1696358 호 등록번호 제10-1554519호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구매대행자들이 해외의 웹사이트로부터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추출하여 획득하고자 한다.
둘째, 해외의 웹사이트로부터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를 오픈 마켓에 연동하고, 상품 정보와 트랜잭션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셋째, 국내의 소비자들이 해외의 웹사이트로부터 판매되는 상품을 편리하게 구매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해외의 제3 웹사이트로부터 유효자원을 추출하고 정렬하여,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3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유효자원을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레지스터링 유닛(registering unit); 상기 레지스터링 유닛이 획득하고 정렬한 상기 유효자원의 상품 정보를 오픈 마켓에 연동시키는 인터워킹 유닛(interworking unit); 및 상기 인터워킹 유닛으로부터 상기 오픈 마켓에 연동된 상기 상품 정보와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매니징 유닛(managing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레지스터링 유닛은, 상기 상품 정보가 게재된 상기 제3 웹사이트의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입력되면, 상기 제3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유효자원을 추출하고 선택적으로 입력시키는 오토 어취빙부; 및 상기 오토 어취빙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유효자원 외, 구매대행자로부터 임의 설정된 사전 정보를 입력되는 유저 어취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오토 어취빙부는, 상기 URL이 입력되면 상품의 상품명, 상품 번호, 가격, 옵션, 사이즈, 색상, 소재, 키워드 또는 사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추출하여 상기 유효자원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레지스터링 유닛은, 상기 레지스터링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상의 공간을 임의로 구획하여 개별 영역으로 나누는 파티션부; 상기 파티션부로부터 구획된 상기 개별 영역을 핀으로 지정하는 핀셋업부; 상기 핀셋업부로부터 지정된 상기 핀은 유저로부터 임의의 규칙이 적용되는 룰어플라잉부; 상기 임의의 규칙이 적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장 공간에 상기 개별 영역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스토리지부; 및 상기 룰어플라잉부로부터 상기 유저에 의해 적용된 상기 임의의 규칙과 동일한 핀을 입력하면, 상기 개별 영역으로 구획되었던 상기 화면상의 공간이 복원되어 불러오도록 하는 익스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오토 어취빙부는, 상기 제3 웹사이트에서 상기 URL을 통해서 상기 상품 정보가 입력될 때 자동 번역을 지원하는 것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인터워킹 유닛은, 상기 구매대행자의 오픈 마켓 계정을 상호 연동시키는 어카운트부; 상기 레지스터링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오픈 마켓에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가 전송한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오픈 마켓에 상호 연동시켜, 상기 오픈 마켓에 상기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업로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인터워킹 유닛은, 상기 제3 웹사이트와 상기 오픈 마켓을 상호 중재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상호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는 쉐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매니징 유닛은, 상기 인터워킹 유닛으로부터 상기 오픈 마켓과 연동되어, 판매 대상이 되는 상기 상품 정보의 등록, 조회, 수정, 옵션, 카테고리, 상품코드, 재고, 판매 중지, 판매 일시 중지, 공급가, 판매가 또는 마진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셀링 관리부; 및 상기 인터워킹 유닛으로부터 연동된 상기 오픈 마켓에서 상기 상품 정보와 판매 정보를 관리하는 마켓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매니징 유닛은, 상기 오픈 마켓으로부터 소비자들의 주문 내역과 결제 내역을 수집하여, 상기 상품의 재고 확인, 상품 준비, 발송 대기를 관리하는 오더링 관리부; 상기 오더링 관리부로부터 관리된 상기 상품의 해외 배송, 집하지 도착, 통관, 한국 배송, 배송 완료, 반송을 관리하는 딜리버리 관리부; 및 상기 오픈 마켓으로부터 접수된 상기 소비자의 상품 문의, 교환, 반품, 취소 접수 내역을 관리하는 커뮤니케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매니징 유닛은, 상기 오픈마켓으로부터 판매된 상기 상품들의 수량과 매출을 전산적으로 산출하고 관리하는 세일즈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구매대행자들은 상품 정보가 게재된 제3 웹사이트의 URL을 통해, 유효자원을 추출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해외의 웹사이트로부터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를 오픈 마켓에 연동하고, 상품 정보와 트랜잭션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국내의 소비자들이 해외의 웹사이트로부터 판매되는 상품을 오픈 마켓을 통해 국내 상품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넷째, 각 쇼핑몰과 API를 연동하여, 판매자의 판매 현황 및 매출금액, 상품의 출고 및 클레임 상태 등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본 플랫폼을 통해 국내 상품을 해외로 수출하는 이른바 역직구로 판매하고, 해외 쇼핑몰 사이트에 연동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레지스터링 유닛의 제3 웹사이트로부터 유효자원을 획득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오토 어취빙부의 제3 웹사이트의 URL이 입력되면, 유효자원이 추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유저 어취빙부의 임의 설정된 사전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파티션부로부터 화면상의 공간이 개별 영역으로 구획되고, 핀셋업부와 룰어플라잉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스토리지부와 익스포트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중, 인터워킹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중, 매니징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셀링 관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마켓 관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오더링 관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딜리버리 관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세일즈 관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레지스터링 유닛의 제3 웹사이트로부터 유효자원을 획득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오토 어취빙부의 제3 웹사이트의 URL이 입력되면, 유효자원이 추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유저 어취빙부의 임의 설정된 사전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파티션부로부터 화면상의 공간이 개별 영역으로 구획되고, 핀셋업부와 룰어플라잉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스토리지부와 익스포트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중, 인터워킹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중, 매니징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셀링 관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마켓 관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오더링 관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딜리버리 관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세일즈 관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대행자(1)가 해외의 제3 웹사이트(3)로부터 판매되는 상품 정보를 추출하여 획득하고, 상품 정보를 오픈 마켓(4)에 연동시켜 소비자(2)가 손쉽게 해외 상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대행자(1)는 하나의 매니지먼트 시스템에서 종합적으로 상품의 등록과 판매를 관리하는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해외의 제3 웹사이트(3)는 일반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해외의 온라인 쇼핑몰이 될 수 있으며, 알리바바, 타오바오, 아마존, 이베이, 라쿠텐, 큐텐, 티몰, 아이허브 등과 같은 해외 오픈 마켓(4)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터링 유닛(registering unit) (100), 인터워킹 유닛(interworking unit)(200) 및 매니징 유닛(managing unit)(3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터링 유닛(100)은 제3 웹사이트(3)로부터 유효자원을 선택적으로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유효자원은 제3 웹사이트(3)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정보 자원을 뜻하며 웹 페이지, 문서 파일, 그래픽 파일, 응용 프로그램 같이 서버에 저장되고 얻을 수 있는 정보 자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레지스터링 유닛(100)은 오토 어취빙부(110), 유저 어취빙부(120)를 포함하게 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 어취빙부(110)는 상품 정보가 게재된 제3 웹사이트(3)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입력되면, 제3 웹사이트(3)로부터 유효자원을 추출하고 선택적으로 입력시키게 된다.
오토 어취빙부(110)에서 입력되는 URL은 상품 정보가 들어 있는 웹페이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이며, URL에는 기본적인 형식은 프로토콜://서버주소/정보의 경로 이루어지게 된다. 프로토콜은 어떤 방법으로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것인가른 나타내는 부분으로 월드 와이드 웹의 경우 http를 사용하며 ftp, news, gopher 등이 프로토콜 자리에 들어가게 된다. 서버주소는 해당 정보가 어떤 컴퓨터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려주는 것으로 도메인 네임이나 IP 주소로 표시된다. 마지막으로 정보의 경로는 해당 정보가 그 컴퓨터의 어느 곳에 있는지를 알려주게 된다.
오토 어취빙부(110)는 URL이 입력되면 상품의 상품명, 상품 번호, 가격, 옵션, 사이즈, 색상, 소재, 키워드 또는 사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추출하여 상기 유효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오토 어취빙부(110)에서는 상품의 유효자원을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추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3 웹사이트(3)에 저장된 자원 중 상품 정보와 관련이 없는 광고나 불필요한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토 어취빙부(110)는 제3 웹사이트(3)에서 URL을 통해서 상품 정보가 입력될 때 자동 번역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어취빙부(120)는 오토 어취빙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유효자원 외, 구매대행자(1)로부터 임의 설정된 사전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유저 어취빙부(120)의 임의 설정된 사전 정보는 오토 어취빙부(110)로부터 자동으로 불러오는 상품 정보 이외에 상품을 판매하기 전에 필요한 정보를 구매대행자(1)가 설정하고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레지스터링 유닛(100)은, 도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부(130), 핀셋업부(140), 룰어플라잉부(150), 스토리지부(160) 및 익스포트부(170)를 더 포함하게 된다.
파티션부(130)는 레지스터링 유닛(100)으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상의 공간을 임의로 구획하여 개별 영역으로 나누게 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부(130)는 화면상의 공간을 임의로 구획하게 되며, 구획하는 개별 영역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셋업부(140)는 파티션부(130)로부터 구획된 개별 영역을 핀으로 지정하게 된다.
핀셋업부(14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부(130)로부터 나누어진 개별 영역을 P-a, P-b, P-c, P-d, P-e와 같이 임의의 핀코드로 지정할 수 있다.
룰어플라잉부(150)에서는 핀셋업부(140)로부터 지정된 핀은 유저로부터 임의의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룰어플라잉부(150)에서 유저는 일반적으로 구매대행자(1)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저가 설정한 임의의 규칙이 핀이 지정된 개별 영역에 적용되게 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리지부(160)는 임의의 규칙이 적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장 공간에 개별 영역을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스토리지부(160)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장 공간이나 저장소가 될 수 있으며, 파티션부(130)로부터 출력회는 화면상의 공간, 임의로 구획된 개별 영역, 핀으로 지정된 개별 영역, 핀코드가 적용된 개별 영역 등, 작업 도중 또는 시스템 실행 도중의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는 시스템 내의 모든 장소가 되며 그 내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익스포트부(170)는 룰어플라잉부(150)로부터 유저에 의해 적용된 임의의 규칙과 동일한 핀을 입력하면, 개별 영역으로 구획되었던 화면상의 공간이 복원되어 불러오도록 하게 된다.
익스포트부(170)는 개별 영역으로 분할되었던 화면을 복원하게 되며, 이는 룰어플라잉부(150)에서 적용된 규칙을 입력해야만 완전한 복원이 가능하게 된다.
인터워킹 유닛(200)은 레지스터링 유닛(100)이 획득하고 정렬한 유효자원의 상품 정보를 오픈 마켓(4)에 연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오픈 마켓(4)은 일반적으로 소비자(2)가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을 뜻하며, 지마켓,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옥션, 위메프, 티몬, 쿠팡, 11번가, 인터파크, 신세계몰, 이마트몰 등의 각 종 쇼핑몰과 오픈 마켓(4)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인터워킹 유닛(20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카운트부(210), 송신부, 업로딩부(230) 및 쉐어링부(240)를 포함하게 된다.
어카운트부(210)는 구매대행자(1)의 오픈 마켓(4) 계정을 상호 연동시키게 된다.
어카운트부(210)에서는 각 각의 오픈 마켓(4) 별로 구매대행자(1)의 오픈 마켓(4) 아이디를 등록하여 계정을 상호 연동시키게 된다.
송수신부(220)는 레지스터링 유닛(100)으로부터 입력된 상품 정보를 오픈 마켓(4)에 전송하게 된다.
송수신부(220)는 구매대행자(1)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정보를 각 각의 오픈 마켓(4)으로 전송하며, 상품 정보의 전송은 오픈 마켓(4)에 일괄적으로 전송하거나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업로딩부(230)는 송수신부(220)가 전송한 상품 정보를 오픈 마켓(4)에 상호 연동시켜, 오픈 마켓(4)에 상품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쉐어링부(240)는 제3 웹사이트(3)와 오픈 마켓(4)을 상호 중재하여, 상품 정보를 상호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게 된다.
쉐어링부(240)에서는 오픈 마켓(4)에 연동된 상품들 중에서 제3 웹사이트(3)에서 상품이 일시 품절되거나 완전 품절, 배송 지연 등의 상품 정보와 관련된 사항을 공유하여 업데이트 할 수 있어 소비자(2)들에게 실시간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매니징 유닛(300)은 인터워킹 유닛(200)으로부터 오픈 마켓(4)에 연동된 상품 정보와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통합 관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매니징 유닛(300)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링 관리부(310), 마켓 관리부(320), 오더링 관리부(330), 딜리버리 관리부(340), 커뮤니케이션부(350) 및 세일즈 관리부(360)를 포함하게 된다.
셀링 관리부(31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워킹 유닛(200)으로부터 오픈 마켓(4)과 연동되어, 판매 대상이 되는 상품 정보의 등록, 조회, 수정, 옵션, 카테고리, 상품코드, 재고, 판매 중지, 판매 일시 중지, 공급가, 판매가 또는 마진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관리하게 된다.
셀링 관리부(310)에서는 등록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거나 국가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품을 판매하는 업체별로도 상품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셀링 관리부(310)에서는 상품의 공급가에 따른 오픈 마켓(4)에서의 판매가를 설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마진과 마진율을 전산적으로 산출하여 판매 관리를 구매대행자(1)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마켓 관리부(32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워킹 유닛(200)으로부터 연동된 오픈 마켓(4)에서 상품 정보와 판매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마켓 관리부(320)는 오픈 마켓(4)을 목록으로 나열하고 하나 이상의 오픈 마켓(4)에 대한 쇼핑몰 코드, 입점 정보, 쇼핑물 유형, 등록된 ID, 상품 등록, 상품 수정, 품절 연동, 재고 연동, 주문수집, 클레임, 송장 전송, 문의 답변 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를 구매대행자(1)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오더링 관리부(330)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마켓(4)으로부터 소비자(2)들의 주문 내역과 결제 내역을 수집하여, 상품의 재고 확인, 상품 준비, 발송 대기를 관리하게 된다.
오더링 관리부(330)에서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판매 현황, 오픈 마켓(4)별 주문 수집, 전체 주문 목록 관리를 구매대행자(1)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더링 관리부(330)에서는 상품의 결제 대기 준비중, 품절 상품, 구매중, 구매 후 발송대기, 해외 배송중, 집하지 도착, 통관중, 한국 배송중, 배송 완료, 구매 완료, 해외 재고 상품, 한국 재고 상품, 판매 불가 상품, 취소 상품, 불량 반품, 삭제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를 구매대행자(1)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딜리버리 관리부(340)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더링 관리부(330)로부터 관리된 상기 상품의 해외 배송, 집하지 도착, 통관, 한국 배송, 배송 완료, 반송을 관리하게 된다.
딜리버리 관리부(340)는 소비자(2)로부터 상품의 입금이 확인되어 주문이 완료되면, 현지 상품에 발주를 넣고, 현지에서 배송 받아 물류 창고 입고시키고, 입고된 상품을 출고하여 국제 배송을 보내고 국내 통관, 국내 배송, 배송 완료까지 해외 구매부터 소비자(2)에게 전달까지의 모든 리를 구매대행자(1)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딜리버리 관리부(340)에서는 해당상품이 목적국 도착전 주문내역을 통관서류로 자동 변환하여 각 목적지국가의 세관에 통관신고서를 전산(EDI)으로 전송하고, 상품 도착 후 전자상거래 목록통관(韓,日), 보세구 콰징통관(中)을 거쳐 소비자(2)에게 배송이 시작되며, 간소화된 전자상거래 통관 방식과 한,중,일 3국의 통관방식에 맞게 자료송출을 함으로써 소비자(2)에게 좀더 빨리 구매상품을 배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뮤니케이션부(350)는 오픈 마켓(4)으로부터 접수된 상기 소비자(2)의 상품 문의, 교환, 반품, 취소 접수 내역을 관리하게 된다.
커뮤니케이션부(350)는 오픈 마켓(4)으로 접수된 문의 외에도, 카카오톡 실시간 안내 서비스를 실시하여, 딜리버리 관리부(340)로부터 배송 정보를 제공받아 소비자(2)에게 주문 완료, 해외 현지 배송, 국내 배송 시작 등 소비자(2)가 주문한 상품의 위치와 이동 상황을 카카오톡 메시지로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일즈 관리부(360)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마켓(4)으로부터 판매된 상품들의 수량과 매출을 전산적으로 산출하고 관리하게 된다.
세일즈 관리부(360)에서는 복수 개의 오픈 마켓(4)에서 판매된 상품의 수량을 리스트화 하고 매출 금액과 수익을 전산적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지난달 매출과 이번 달 매출을 비교 분석을 구매대행자(1)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구매대행자
2: 소비자
3: 제3 웹사이트
4: 오픈 마켓
100: 레지스터링 유닛
110: 오토 어취빙부
120: 유저 어취빙부
130: 파티션부
140: 핀셋업부
150: 룰어플라잉부
160: 스토리지부
170: 익스포트부
200: 인터워킹 유닛
210: 어카운트부
220: 송수신부
230: 업로딩부
240: 쉐어링부
300: 매니징 유닛
310: 셀링 관리부
320: 마켓 관리부
330: 오더링 관리부
340: 딜리버리 관리부
350: 커뮤니케이션부
360: 세일즈 관리부

Claims (10)

  1. 해외의 제3 웹사이트로부터 유효자원을 추출하고 정렬하여,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3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유효자원을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레지스터링 유닛(registering unit);
    상기 레지스터링 유닛이 획득하고 정렬한 상기 유효자원의 상품 정보를 오픈 마켓에 연동시키는 인터워킹 유닛(interworking unit); 및
    상기 인터워킹 유닛으로부터 상기 오픈 마켓에 연동된 상기 상품 정보와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매니징 유닛(managing unit)를 포함하되,
    상기 레지스터링 유닛은,
    상기 상품 정보가 게재된 상기 제3 웹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입력되면, 상기 제3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유효자원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유효자원 중 상기 상품 정보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정보는 선별적으로 필터링하는 오토 어취빙부;
    상기 오토 어취빙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유효자원 외, 구매대행자로부터 임의 설정된 사전 정보를 입력되는 유저 어취빙부;
    상기 레지스터링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상의 공간을 임의로 구획하여 개별 영역으로 나누는 파티션부;
    상기 파티션부로부터 구획된 상기 개별 영역을 핀으로 지정하는 핀셋업부;
    상기 핀셋업부로부터 지정된 상기 핀은 유저로부터 임의의 규칙이 적용되는 룰어플라잉부;
    상기 임의의 규칙이 적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장 공간에 상기 개별 영역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스토리지부; 및
    상기 룰어플라잉부로부터 상기 유저에 의해 적용된 상기 임의의 규칙과 동일한 핀을 입력하면, 상기 개별 영역으로 구획되었던 상기 화면상의 공간이 복원되어 불러오도록 하는 익스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어취빙부는,
    상기 URL이 입력되면 상품의 상품명, 상품 번호, 가격, 옵션, 사이즈, 색상, 소재, 키워드 또는 사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추출하여 상기 유효자원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어취빙부는,
    상기 제3 웹사이트에서 상기 URL을 통해서 상기 상품 정보가 입력될 때 자동 번역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워킹 유닛은,
    상기 구매대행자의 오픈 마켓 계정을 상호 연동시키는 어카운트부;
    상기 레지스터링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오픈 마켓에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가 전송한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오픈 마켓에 상호 연동시켜, 상기 오픈 마켓에 상기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업로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워킹 유닛은,
    상기 제3 웹사이트와 상기 오픈 마켓을 상호 중재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상호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는 쉐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징 유닛은,
    상기 인터워킹 유닛으로부터 상기 오픈 마켓과 연동되어, 판매 대상이 되는 상기 상품 정보의 등록, 조회, 수정, 옵션, 카테고리, 상품코드, 재고, 판매 중지, 판매 일시 중지, 공급가, 판매가 또는 마진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셀링 관리부; 및
    상기 인터워킹 유닛으로부터 연동된 상기 오픈 마켓에서 상기 상품 정보와 판매 정보를 관리하는 마켓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징 유닛은,
    상기 오픈 마켓으로부터 소비자들의 주문 내역과 결제 내역을 수집하여, 상기 상품의 재고 확인, 상품 준비, 발송 대기를 관리하는 오더링 관리부;
    상기 오더링 관리부로부터 관리된 상기 상품의 해외 배송, 집하지 도착, 통관, 한국 배송, 배송 완료, 반송을 관리하는 딜리버리 관리부; 및
    상기 오픈 마켓으로부터 접수된 상기 소비자의 상품 문의, 교환, 반품, 취소 접수 내역을 관리하는 커뮤니케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징 유닛은,
    상기 오픈마켓으로부터 판매된 상기 상품들의 수량과 매출을 전산적으로 산출하고 관리하는 세일즈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KR1020200004326A 2020-01-13 2020-01-13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KR102321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326A KR102321971B1 (ko) 2020-01-13 2020-01-13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326A KR102321971B1 (ko) 2020-01-13 2020-01-13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948A KR20210090948A (ko) 2021-07-21
KR102321971B1 true KR102321971B1 (ko) 2021-11-04

Family

ID=7714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326A KR102321971B1 (ko) 2020-01-13 2020-01-13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9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619A (ko) * 2009-12-11 2011-06-17 김규남 해외 온라인 마켓 사이트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4519B1 (ko) 2013-09-10 2015-09-22 주식회사 플레이오토 해외 구매대행 및 카트 공유를 결합한 인터넷 구매 대행 서비스 방법
KR101696358B1 (ko) 2015-07-10 2017-01-23 심창섭 해외 구매대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외 구매대행 서비스 방법
KR20170106684A (ko) 2016-03-14 2017-09-22 윤동환 빅데이터 기반 해외 상품 직접구매 시스템
WO2018169144A1 (ko) * 2017-03-14 2018-09-20 주식회사 신스컴퍼니 해외 상품의 직접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개 서버
KR102255806B1 (ko) * 2017-07-03 2021-05-26 (주)더리스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948A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008B1 (ko)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84769B1 (ko) 판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505238A (ja) 最適化されたデータベース調整および供給チェーン効率
CN112074858A (zh) 供应方与销售方之间的电子商务中介系统及中介方法
KR20160038662A (ko) 온·오프라인 통합 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101061879B1 (ko) 장바구니 정보를 활용한 국제 쇼핑몰 연계에 따른 국제 배송 관리 서비스 방법
KR101603009B1 (ko)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4482A (ko) 다국적 소비자가 국제상품 수입가 추출기를 이용하여 국제상품을 구매하고, 다국적 파트너회원사간의 거래정보처리를 중개하기 위한 다국적 간 거래 중개 시스템
JP2002230340A (ja) 販売業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業者管理方法
JP2002288459A (ja) センター購入処理方法、バーチャル百貨店方法及び店舗端末注文処理方法
KR102321971B1 (ko)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JP2002352170A (ja) 決済仲介システム及び決済仲介方法
KR20000064147A (ko) 인터넷을 이용한 근거리지역 내에서의 물품판매 방법
KR100609864B1 (ko) 상품정보컨텐츠를 이용한 상품등록 및 상품정보컨텐츠거래장치와 그 방법
KR101615363B1 (ko)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19529B1 (ko) 상품 구매와 배송을 결합시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3234A (ko) 물품의 구매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JP2001312606A (ja) 電子取引システムおよび電子取引方法
KR100426388B1 (ko) 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시스템
JP2013080358A (ja) 商品の代理購入方法
KR20180130694A (ko) 핸즈프리 쇼핑을 위한 상품픽업 및 배송지원 시스템
KR20050106183A (ko)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0984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위탁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0589B1 (ko) 전자 상거래 에이전트 처리 방법및 장치
KR20210142367A (ko) 온라인 도매업자를 위한 재고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