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733B1 -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 Google Patents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733B1
KR102321733B1 KR1020210053134A KR20210053134A KR102321733B1 KR 102321733 B1 KR102321733 B1 KR 102321733B1 KR 1020210053134 A KR1020210053134 A KR 1020210053134A KR 20210053134 A KR20210053134 A KR 20210053134A KR 102321733 B1 KR102321733 B1 KR 10232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anel
temple
groove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성
Original Assignee
이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성 filed Critical 이관성
Priority to KR102021005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플랜지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홈이 구성된 안경다리; 양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부 양측면으로 결합홈이 구성된 안경테;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상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안경다리의 벌어짐 작동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끝단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플랜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며, 하단부에 작동 돌기부가 구성되는 받침패널과, 상기 연결본체의 상부면에 절개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안경다리의 벌어짐 작동시에 상기 탄성부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작동 지지홈을 포함하는 탄성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Glasses frame with elastic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은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적은 힘으로도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안경다리가 안경테 외측으로의 벌어짐 작동이 일정 각도 만큼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함으로써, 착용감을 저해시키지 않으면서도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부를 가압하지 않아 안경다리가 착용자의 안면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위치를 형성할 수 있는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안경테, 안경다리 및 힌지로 구분되는 것으로, 렌즈를 장착한 안경테의 양측에 힌지가 결합되는 힌지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대는 대부분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안경은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에 안경다리가 얼굴에 압박을 주어 장시간 착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의 얼굴 크기가 큰 경우, 안경다리의 휨 등에 의해 안경의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고자 힌지 부분에 일반 스프링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스프링의 채용으로 힌지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져 안경의 미관을 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55234호에는, 안경테의 엔드피스와 템플이 만나는 부분에 회전축과 고정축 2개의 축을 두어 판형태의 스프링 힌지가 안경을 착용할 때 스프링 힌지처럼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부피가 작으면서도 착용시 불편함이 없고, 조립이 용이하면서 장기간 고장없이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안경테용 탄성힌지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탄성체의 스프링 힌지를 작동시키기 위해 과도한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추어 착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억지로 착용을 한다 하더라도 스프링 힌지의 복원력으로 인해 안경다리가 착용자의 안면부 측면을 계속적으로 누르는 형태를 유지함에 따라 장시간 착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55234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적은 힘으로도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안경다리가 안경테 외측으로의 벌어짐 작동이 일정 각도 만큼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함으로써, 착용감을 저해시키지 않으면서도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부를 가압하지 않아 안경다리가 착용자의 안면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위치를 형성할 수 있는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사용한다 하더라도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장기간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안경다리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는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탄성력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조원가를 낮추면서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대량생산에 용이한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플랜지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홈이 구성된 안경다리; 양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부 양측면으로 결합홈이 구성된 안경테;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상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안경다리의 벌어짐 작동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끝단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플랜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며, 하단부에 작동 돌기부가 구성되는 받침패널과, 상기 연결본체의 상부면에 절개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안경다리의 벌어짐 작동시에 상기 탄성부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작동 지지홈을 포함하는 탄성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본체는, 상기 작동 지지홈의 일측으로 상기 탄성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 지지홈의 타측으로 상기 받침패널이 연결되어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작동 돌기부가 접촉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작동 돌기부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경사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본체에는 상부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는, 소정의 호를 가지는 패널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에 상기 힌지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제1탄성패널; 일단부가 상기 제1탄성패널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반원형의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패널의 탄성 작동시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1탄성 작동부; 상기 제1탄성 작동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 작동부의 작동시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2탄성패널; 일단부가 상기 제2탄성패널과 일체로 연결되고, 제2탄성패널의 탄성 작동시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2탄성 작동부; 및 선단부가 상기 제2탄성 작동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탄성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작동 지지홈을 압축시키는 제3탄성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탄성패널은, 타단부가 상기 연결본체에 일체로 구성되며, 일면이 상기 작동 지지홈의 절개된 일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벌어짐 작동시 상기 안경다리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탄성패널을 잡아 당겨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적은 힘으로도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안경다리가 안경테 외측으로의 벌어짐 작동이 일정 각도 만큼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함으로써, 착용감을 저해시키지 않으면서도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부를 가압하지 않아 안경다리가 착용자의 안면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위치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시간 사용한다 하더라도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장기간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안경다리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탄성력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조원가를 낮추면서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대량생산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은 연결 플랜지(130)가 결합되는 안경다리(110)와, 연결 플랜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안경다리(110)가 일정 각도 만큼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탄성 연결부재(200)와, 탄성 연결부재(200)가 고정 결합되며, 이 탄성 연결부재(200)의 탄성 작동을 지지하는 안경테(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안경다리(110)는 끝단부측 내면으로 연결 플랜지(130)가 장착되는 장착홈(114)이 형성된다.
연결 플랜지(130)는 복수개로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탄성 연결부재(200)에 구성되는 힌지부(230)가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면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이때, 연결 플랜지(130)와 탄성 연결부재(200)의 힌지부(230)는 스크류 등과 같은 결합수단(1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연결 플랜지(130)는 안경다리(110)와 장착홈(11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특히 결합수단(102)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경다리(110)에는 장착홈(114)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안경다리(110)의 끝단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탄성 연결부재(200)의 받침패널(240)이 안착되고, 안경다리(110)의 벌어짐 작동시 받침패널(240)이 밀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가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홈(112)이 형성된다.
즉, 지지홈(112)은 받침패널(240)의 폭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는 홈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이 받침패널(240)의 바닥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한편, 안경다리(110)가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질 때, 받침패널(240)의 끝단부측으로 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안경다리(110)에는 외면으로 다양한 장식구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장식구 체결홈(116)을 더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경테(120)는 탄성 연결부재(200)에 의해 안경다리(110)가 결합되는 것으로, 양측 단부에 탄성 연결부재(200)의 연결본체(210)가 삽입 및 고정되는 결합홈(122)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 일면으로 상기 연결본체(21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결합수단(102)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결합홈(122)은 연결본체(210)가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그 중앙측 상부 및 하부로 체결홈이 수직하게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결합홈(122)에는 연결본체(210)의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12)이 삽입되며 이 가이드 레일(21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22a)이 형성되어 연결본체(210)의 보다 안정적인 삽입을 안내함과 동시에 안경테(120)와 탄성 연결부재(20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인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체결홈은 결합홈(122)과 직교를 이루도록 관통 형성되며, 내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수단(102)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결합수단(102)이 후술할 연결본체(210)의 결합홀(214)을 관통하면서 체결홈에 체결되어 안경테(120)와 탄성 연결부재(200)의 보다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탄성 연결부재(200)는 안경다리(110)와 안경테(120)를 연결하고, 안경다리(11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함과 동시에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안경다리(110)가 안경테(120)의 외측으로 일정 각도 만큼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연결본체(210), 탄성부(220) 및 힌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본체(210)는 안경테(120)의 결합홈(122)에 삽입 및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 양측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12)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122)에 삽입이 완료되는 경우, 체결홈과 동축선상에 위치하여 결합수단(102)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홀(214)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본체(210)는 상부면에 절개된 형태로 구성되어 안경다리(110)의 벌어짐 작동시에 탄성 연결부재(200)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작동 지지홈(215)이 형성된다.
작동 지지홈(215)은 연결본체(210)의 상부 일측으로 탄성부(22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안경다리(110)의 벌어짐 작동시 탄성부(220)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연결본체(210)의 상부 타측, 다시말해 탄성부(22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안경다리(110)의 회전 위치에 따라 후술할 받침패널(240)의 작동 돌기부(250)가 접촉되는 스토퍼(216)와 안내 경사부(218)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연결본체(210)는 절개된 작동 지지홈(215)의 일측면으로 탄성부(220)의 제3탄성패널(225)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고, 작동 지지홈(215)의 타측면은 그 끝단부에 스토퍼(216)가 형성되며, 이 스토퍼(216)의 하부로 안내 경사부(218)가 스토퍼(216)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토퍼(216)는 후술할 받침패널(24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작동 돌기부(250)가 선택적으로 접촉을 이루면서 안경다리(110)로부터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받아 작동 지지홈(215)측으로 전달하고, 안경다리(110)가 안경테(120)의 외측으로 더 회전하면서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작동 돌기부(250)가 안내 경사부(218)를 따라 하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안내 경사부(218)는 스토퍼(216)의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안경다리(110)의 벌어짐 작동시 작동 돌기부(250)의 하향 이동을 가이드 하며, 받침패널(240)이 안경다리(110)의 지지홈(112)에 완전하게 밀착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110)가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질 때, 받침패널(240)이 안경다리(110)의 지지홈(112)에 삽입이 이루어지고, 이후 안경다리(1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때 탄성부(220)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받침패널(240)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작동 돌기부(250)가 스토퍼(216)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후 안내 경사부(218)에 접촉된 상태로 하향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받침패널(240)이 지지홈(112)으로부터 이탈하여 탄성부(220)의 탄성 작동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탄성부(220)는 상단부에 힌지부(230)를 구성하여 안경다리(110)에 결합되는 연결 플랜지(1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받침패널(240)과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패널들이 접힌 상태로 형성되며, 안경다리(110)의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질 때, 접힌 상태의 다수개의 패널들이 펼쳐지는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안경다리(110)의 벌어짐 작동을 지지하는 한편, 벌어짐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 원위치로의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220)는 제1 내지 제3탄성패널(221, 223, 225)과, 제1 및 제2탄성 작동부(222, 224)로 구성된다.
제1탄성패널(221)은 소정의 호를 가지는 패널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에 힌지부(2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안경다리(110)와의 회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힌지부(230)는 안경다리(110)가 접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탄성패널(221)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고, 벌어짐 작동시에만 제1탄성패널(221)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힌지부(230)는 안경다리(110)의 벌어짐 작동시 이 안경다리(110)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1탄성패널(221)을 잡아 당겨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탄성패널(221)은 하단부에 제1탄성 작동부(22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제1탄성 작동부(222)는 반원형의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제1탄성패널(221)과 일체로 구성되고, 타단부가 제2탄성패널(223)과 일체로 구성되어 제1탄성패널(221)의 탄성 작동시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제2탄성패널(223)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탄성패널(223)은 선단부가 제1탄성 작동부(222)의 타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끝단부는 제2탄성 작동부(224)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제1탄성 작동부(222)의 벌어짐 작동시 그 선단부가 함께 작동하면서 소정의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탄성패널(223)은 상기 제1탄성 작동부(222)에 의해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탄성 작동부(224)를 중심으로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2탄성 작동부(224)는 일단부가 제2탄성패널(223)과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탄성패널(225)과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제2탄성패널(223)의 탄성 작동시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제3탄성패널(225)을 가압하여 소정의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3탄성패널(225)은 그 선단부가 제2탄성 작동부(224)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연결본체(210)의 상단부 일측부에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일면이 전술한 작동 지지홈(215)의 절개된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제2탄성 작동부(224)로부터 가압력이 전달되는 경우 작동 지지홈(215)을 압축시키면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안경다리(110)의 벌어짐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 안경다리(110)로 별도의 외력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작동 지지홈(215)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안경다리(110)이 위치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안경다리 112; 지지홈
114; 장착홈 116; 장식구 체결홈
120; 안경테 122; 결합홈
122a; 가이드홈 130; 연결 플랜지
200; 탄성 연결부재 210; 연결본체
212; 가이드 레일 214; 결합홀
215; 작동 지지홈 216; 스토퍼
218; 안내 경사부 220; 탄성부
221; 제1탄성패널 222; 제1탄성 작동부
223; 제2탄성패널 224; 제2탄성 작동부
225; 제3탄성패널 230; 힌지부
240; 받침패널 250; 작동 돌기부

Claims (5)

  1. 연결 플랜지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홈이 구성된 안경다리;
    양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부 양측면으로 결합홈이 구성된 안경테;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상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안경다리의 벌어짐 작동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끝단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플랜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며, 하단부에 작동 돌기부가 구성되는 받침패널과, 상기 연결본체의 상부면에 절개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안경다리의 벌어짐 작동시에 상기 탄성부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작동 지지홈을 포함하는 탄성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본체는, 상기 작동 지지홈의 일측으로 상기 탄성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 지지홈의 타측으로 상기 받침패널이 연결되어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작동 돌기부가 접촉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작동 돌기부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경사부가 더 구성되며,
    상기 연결본체에는 상부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소정의 호를 가지는 패널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에 상기 힌지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제1탄성패널;
    일단부가 상기 제1탄성패널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반원형의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패널의 탄성 작동시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1탄성 작동부;
    상기 제1탄성 작동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 작동부의 작동시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2탄성패널;
    일단부가 상기 제2탄성패널과 일체로 연결되고, 제2탄성패널의 탄성 작동시 벌어짐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2탄성 작동부; 및
    선단부가 상기 제2탄성 작동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탄성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작동 지지홈을 압축시키는 제3탄성패널;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패널은,
    타단부가 상기 연결본체에 일체로 구성되며, 일면이 상기 작동 지지홈의 절개된 일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벌어짐 작동시 상기 안경다리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탄성패널을 잡아 당겨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KR1020210053134A 2021-04-23 2021-04-23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KR10232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134A KR102321733B1 (ko) 2021-04-23 2021-04-23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134A KR102321733B1 (ko) 2021-04-23 2021-04-23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733B1 true KR102321733B1 (ko) 2021-11-03

Family

ID=7850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134A KR102321733B1 (ko) 2021-04-23 2021-04-23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7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319A (ja) * 2000-09-08 2002-03-22 Hoya Corp 眼鏡フレーム
KR200455234Y1 (ko) 2009-06-11 2011-08-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스틱 안경테용 탄성힌지
KR101237838B1 (ko) * 2012-10-05 2013-02-27 주식회사 애니씨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150125186A (ko) * 2014-04-30 2015-11-09 김사준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2211699B1 (ko) * 2020-09-02 2021-02-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319A (ja) * 2000-09-08 2002-03-22 Hoya Corp 眼鏡フレーム
KR200455234Y1 (ko) 2009-06-11 2011-08-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스틱 안경테용 탄성힌지
KR101237838B1 (ko) * 2012-10-05 2013-02-27 주식회사 애니씨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150125186A (ko) * 2014-04-30 2015-11-09 김사준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2211699B1 (ko) * 2020-09-02 2021-02-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887B1 (en) Windproof glasses
US6353965B1 (en) Guiding sheath assembly for a hinge of an eyeglass frame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60269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10086212A (ko) 조립이 용이한 안경테
KR100931791B1 (ko) 안경용 힌지구조
US7967431B2 (en) Spectacles
US8282208B2 (en) Coupling structure for eyeglasses
CN205539770U (zh) 一种眼镜铰链组件及眼镜
KR102321733B1 (ko) 탄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경 프레임
TWI225554B (en) Eyeglass with simple connection structure and screwless hinge
JP3356787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リムロック及びメガネフレーム
KR101325465B1 (ko) 교체형 안경
CN211878332U (zh) 一种高精密度金属ai眼镜连接结构
KR20090028603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2229021B1 (ko) 분할된 합성수지 안경테의 결합구조체
KR101059852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탄성 구조
KR20170130916A (ko) 안경의 결합구조
CN215769231U (zh) 镜腿自动开启式眼镜
CN217156957U (zh) 一种稳定佩戴的眼镜
KR20190083048A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0467559Y1 (ko) 안경
CN213276150U (zh) 铆接结构眼镜框架
CN220752441U (zh) 一种眼镜支架及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