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623B1 -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623B1
KR102321623B1 KR1020190140449A KR20190140449A KR102321623B1 KR 102321623 B1 KR102321623 B1 KR 102321623B1 KR 1020190140449 A KR1020190140449 A KR 1020190140449A KR 20190140449 A KR20190140449 A KR 20190140449A KR 102321623 B1 KR102321623 B1 KR 102321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imaging
unit
moving
rail
imag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372A (ko
Inventor
강지훈
한수경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6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61B5/015By temperature mapping of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46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e.g. room provided with shielding or for improved access to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2Monitoring progression or stage of a dis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6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 G01J5/605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using visual determin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팅공간에 위치한 피측정자의 체열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세팅공간의 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가 마련된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열화상 영상들을 상기 피측정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는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를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촬영범위가 비교적 넓어 다수의 피측정자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Side view extended thermography}
본 발명은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측정자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가 마련된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체열영상 진단장치란 인체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체열 변화를 적외선을 이용하여 칼라 영상으로 나타내 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체열영상 진단장치는 통증 증후군의 유무를 객관적으로 정확히 진단할 수 있고, 각종 질환의 조기 진단 검사 및 치료 전후의 경과를 비교함으로써 치료의 진행 및 완치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장치로 현재 국내외 양/한방 임상 의료진들에게 선호되며,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들어 적외선 체열영상 진단장치는 신체에 접촉하지 않고 촬영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체의 모든 질환 부위의 미세한 체열 변화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적외선 카메라는 미 군사용으로 사용될 정도로 정밀하고 고 난이도의 기술 집적형 분야로 상당히 가격이 비싸며 국내에서는 제조하는 곳도 없으며, 국내에서는 열화상 카메라를 수입하여 응용한 조합 시스템이나 의료용이 아닌 산업용 완제품 전체를 수입하여 의료용으로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체열 측정 장치는 단 1개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므로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범위가 비교적 협소하여 다수의 피측정자를 동시에 촬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1)등록특허공보 제10-0613662호: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적외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를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는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는 세팅공간에 위치한 피측정자의 체열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세팅공간의 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가 마련된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열화상 영상들을 상기 피측정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를 구비한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을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세팅공간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과,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블럭구동부과,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블럭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블럭들이 이동시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상기 블럭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세팅공간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과,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블럭과, 상기 메인블럭을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을 상기 단위거리만큼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을 상기 피측정자에 인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메인블럭에,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다수의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들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들을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이동블럭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세팅공간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과,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블럭구동부와, 상기 이동블럭들 중 상기 제1블럭구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이동블럭에 의해 나머지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된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이동되도록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을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되게 지지하는 스페이서 부재를 구비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내부에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브라켓과, 양단부가 상호 인접된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단위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다수의 연장로드와, 상호 대향되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내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변형되되, 상기 지지브라켓에 대해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견고하게 구속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되, 하단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호 인접되게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촬영부는 외주면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접촉휠과, 상기 접촉휠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휠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감지센서와, 상기 회전감지센서들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지지브라켓들의 삽입공간에 대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삽입깊이를 산출하는 깊이 산출부와, 상기 깊이 산출부에서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 중 상기 삽입공간에 대한 삽입깊이가 상이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측정자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는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를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촬영범위가 비교적 넓어 다수의 피측정자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의 스페이서 부재에 대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ㄴ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촬영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는 세팅공간(15)에 위치한 피측정자(11)의 체열을 촬영하는 촬영부(110)와, 상기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열화상 영상들을 상기 피측정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촬영부(110)는 좌우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111)를 구비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각각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하단부는 세팅공간(15)의 지면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가 설치된다. 여기서, 단위거리는 약 5cm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팅공간(15)은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피측정자(11)가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열화상 카메라(111)의 후방에 마련된다.
열화상 카메라(111)는 피측정자(11)의 전방에 배치되어 피측정자(11)의 안면 또는 신체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한다. 여기서, 열화상 카메라(111)는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부(120)에 전송한다.
이미지 제공부(120)는 열화상 카메라(111)들에서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위상분포 이미지로 변환한 다음,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1)는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LCD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미지 제공부(120)는 열화상 카메라(111)들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100)는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111)를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촬영범위가 비교적 넓어 다수의 피측정자(11)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부(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부(210)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을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22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이동유닛(220)은 상기 세팅공간(15)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221)과, 상기 제1레일(22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블럭(222)과, 상기 이동블럭(222)을 상기 제1레일(221)을 따라 이동시키는 블럭구동부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블럭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1레일(221)은 세팅공간(15)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지지로드(미도시)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레일(221)은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블럭(222)은 다수개가 상기 제1레일(221)에,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이동블럭(222)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1레일(22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블럭(222)의 상부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가 설치되어 있다.
블럭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레일(221)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제1레일(22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기어이가 마련된 제1레일(221)기어부와, 상기 제1레일(221)기어부에 치합될 수 있도록 이동블럭(222)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동블럭(222)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제1회전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블럭구동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레일(221)을 따라 이동블럭(222)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구동 제어부는 열화상 카메라(111)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블럭구동부를 제어한다. 이때, 구동 제어부는 작업자가 열화상 카메라(111)에 대한 이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구동 제어부는 컨트롤러를 통해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이동 명령에 대응되게 열화상 카메라(111)가 이동되도록 블럭구동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구동 제어부는 이동블럭(222)들이 이동시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상기 블럭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화상 카메라(111)들은 블럭구동부에 의해 이동되더라도 단위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촬영부(210)는 이동유닛(220)에 의해 보다 넓은 촬영범위를 갖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유닛(23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유닛(230)은 상기 세팅공간(15)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221)과, 상기 제1레일(22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블럭(231)과, 상기 메인블럭(231)을 상기 제1레일(221)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을 상기 단위거리만큼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블럭(231)에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을 상기 피측정자(11)에 인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232)를 구비한다.
제1레일(221)은 세팅공간(15)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지지로드(미도시)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레일(221)은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블럭(231)은 상기 제1레일(221)에,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메인블럭(231)의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232)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이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레일(221)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제1레일(22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기어이가 마련된 제2레일(233)기어부와, 상기 제2레일(233)기어부에 치합될 수 있도록 메인블럭(23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구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메인블럭(231)에 설치되는 제2회전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제1이동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레일(221)을 따라 메인블럭(231)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슬라이딩부(232)는 상기 메인블럭(231)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다수의 제2레일(233)과, 상기 제2레일(233)들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블럭(234)과, 상기 이동블럭(234)들을 상기 제2레일(233)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구비한다.
제2레일(233)은 메인블럭(231)의 상면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2레일(233)들은 다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메인블럭(231)에 설치되는데, 기설정된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동블럭(234)은 제2레일(233)에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이동블럭(234)의 상부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가 설치되어 있다.
제2이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레일(233)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제2레일(233)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기어이가 마련된 제3레일기어부와, 상기 제3레일기어부에 치합될 수 있도록 이동블럭(234)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3구동기어와, 상기 제3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동블럭(234)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제3회전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제2이동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아이 아니라 제2레일(233)을 따라 이동블럭(234)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촬영부(210)는 작업자가 열화상 카메라(111)에 대한 이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모듈에 입력된 이동 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이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작업자는 입력모듈 및 제어모듈을 통해 각 열화상 카메라(1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촬영부(210)는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할 경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이 단위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되, 제2이동부에 의해 전후방향으로는 각 열화상 카메라(111)가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부(210)는 다수의 피측정자(11)를 촬영시, 피측정자(11)의 신체조건에 따라 각 열화상 카메라(111)를 이동시켜 보다 명확한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부(2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는 상기 이동블럭(22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촬영부(240)는 상기 이동블럭(222)에 설치되어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241)을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유닛(24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열화상 카메라(1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열화상 카메라(111)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동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회전유닛(241)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열화상 카메라(11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촬영부(240)는 회전유닛(241)에 의해 열화상 카메라(111)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열화상 카메라(111)를 통해 보다 넓은 범위의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유닛(25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유닛(250)은 상기 세팅공간(15)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221)과, 상기 제1레일(22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블럭(222)과, 상기 이동블럭(222)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레일(221)을 따라 이동시키는 블럭구동부와, 상기 이동블럭(222)들 중 상기 제1블럭구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이동블럭(222)에 의해 나머지 상기 이동블럭(222)에 설치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가 이동되도록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을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되게 지지하는 스페이서부재(260)를 구비한다.
제1레일(221)은 세팅공간(15)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지지로드(미도시)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레일(221)은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블럭(222)은 다수개가 상기 제1레일(221)에,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이동블럭(222)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1레일(22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블럭(222)의 상부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가 설치되어 있다.
블럭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레일(221)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제1레일(22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기어이가 마련된 제4레일기어부와, 상기 제4레일기어부에 치합될 수 있도록 이동블럭(222)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구동기어와, 상기 제4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동블럭(222)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4회전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블럭구동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블럭(222)들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스페이서부재(260)는 내부에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64)이 마련된 지지브라켓(261)과, 양단부가 상호 인접된 상기 지지브라켓(261)들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단위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다수의 연장로드(262)와, 상호 대향되는 상기 지지브라켓(261)의 내측면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탄성부재(263)를 구비한다.
지지브라켓(261)은 삽입공간(264)으로 열화상 카메라(11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261)의 전후면도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브라켓(261)은 열화상 카메라(111)에 구속될 수 있도록 열화상 카메라(111)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도록 삽입공간(26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로드(26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되, 기설정된 단위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다. 연장로드(262)의 좌우 단부는 각각 상호 인접된 지지브라켓(261)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연장로드(262)는 성형성이 우수하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63)는 상호 대향되는 상기 지지브라켓(261)의 내측면 즉, 지지브라켓(261)의 좌우측 내벽면에 각각 설치되며, 지지브라켓(261)의 내벽면에 대해 삽입공간(264)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부재(263)는 상기 삽입공간(264)으로 삽입되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에 의해 변형되되, 상기 지지브라켓(261)에 대해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를 견고하게 구속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263)들은 하단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호 인접되게 즉, 지지브라켓(261)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길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삽입공간(264)으로 열화상 카메라(111)가 삽입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에 의해 탄성부재(263)는 압축된다. 지지브라켓(261)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111)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부재(263)는 탄성에 의해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에 외력을 인가하는데, 탄성부재(263)가 상호 대향되는 지지브라켓(261)의 내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263)에 의해 열화상 카메라(111)에 파지력이 작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브라켓(261)에 열화상 카메라(111)가 구속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유닛(250)은 스페이서부재(260)에 의해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111)들이 단위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호 구속되어 있으므로 이동블럭(222)들 중 어느 하나만 이동시키더라도 열화상 카메라(111)들 모두를 이동시킬 수 있어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부(27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부(270)는 외주면이 상기 삽입공간(264)에 삽입되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에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261)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접촉휠(271)과, 상기 접촉휠(271)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휠(271)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감지센서(272)와, 상기 회전감지센서(272)들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지지브라켓(261)들의 삽입공간(264)에 대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의 삽입깊이를 산출하는 깊이 산출부(미도시)와, 상기 깊이 산출부에서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 중 상기 삽입공간(264)에 대한 삽입깊이가 상이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측정자(11)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알림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접촉휠(271)은 외주면이 삽입공간(264)에 노출되도록 지지브라켓(2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접촉휠(271)은 열화상 카메라(111)와 접촉시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감지센서(272)는 상기 접촉휠(271)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접촉휠(271)의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감지센서(272)는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싱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깊이 산출부는 회전감지센서(272)로부터 측정정보를 제공받아 분석하는 것으로서, 각 접촉휠(271)의 회전각도를 토대로 지지브라켓(261)의 삽입공간(264)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111)의 삽입깊이를 산출한다. 깊이 산출부는 산출된 정보를 알림부에 전송한다.
알림부는 깊이 산출부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들 중 상기 삽입공간(264)에 대한 삽입깊이가 상이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측정자(11)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알림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판별된 열화상 카메라(111)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다수의 표시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램프들은 지지브라켓(261)에 각각 설치되며, 알림부는 삽입깊이가 다른 열화상 카메라(111)와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열화상 카메라(111)에 설치된 지지브라켓(261)에 마련된 표시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다.
지지브라켓(261)의 삽입공간(264)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111)의 삽입 깊이가 나머지 열화상 카메라(111)와 상이할 경우, 연결로드가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열화상 카메라(111)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단위거리와 상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촬영부(270)는 알림부를 통해 삽입공간(264)에 대한 삽입 깊이가 상이하게 세팅된 열화상 카메라(111)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스페이서부재(260)를 보다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110: 촬영부
111: 열화상 카메라
120: 이미지 제공부
121: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세팅공간에 위치한 피측정자의 체열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세팅공간의 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을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이 마련된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열화상 영상들을 상기 피측정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세팅공간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블럭구동부; 및
    상기 이동블럭들 중 상기 블럭구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이동블럭에 의해 나머지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된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이동되도록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을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되게 지지하는 스페이서 부재;를 구비하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내부에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브라켓;
    양단부가 상호 인접된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단위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다수의 연장로드; 및
    상호 대향되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내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변형되되, 상기 지지브라켓에 대해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견고하게 구속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되, 하단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호 인접되게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세팅공간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블럭;
    상기 메인블럭을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을 상기 단위거리만큼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을 상기 피측정자에 인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메인블럭에,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다수의 제2레일;
    상기 제2레일들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들을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구비하는,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이동블럭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더 구비하는,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외주면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접촉휠;
    상기 접촉휠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휠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감지센서;
    상기 회전감지센서들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지지브라켓들의 삽입공간에 대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삽입깊이를 산출하는 깊이 산출부; 및
    상기 깊이 산출부에서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열화상 카메라들 중 상기 삽입공간에 대한 삽입깊이가 상이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측정자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구비하는,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KR1020190140449A 2019-11-05 2019-11-05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KR10232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449A KR102321623B1 (ko) 2019-11-05 2019-11-05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449A KR102321623B1 (ko) 2019-11-05 2019-11-05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372A KR20210054372A (ko) 2021-05-13
KR102321623B1 true KR102321623B1 (ko) 2021-11-03

Family

ID=7591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449A KR102321623B1 (ko) 2019-11-05 2019-11-05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2062B (zh) * 2021-10-13 2023-12-01 华能新疆能源开发有限公司新能源东疆分公司 一种电动车车顶红外成像检测装置机器检测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3560A (ja) * 2008-02-07 2009-08-20 Kumamoto Technology & Industry Foundation 無呼吸検知システム
JP2010194005A (ja) * 2009-02-24 2010-09-09 Seikei Gakuen 呼吸計測方法及び呼吸計測装置
KR200467210Y1 (ko) * 2013-02-07 2013-05-31 김경애 안면 화상 데이터 획득장치
CN108523857A (zh) * 2018-05-09 2018-09-14 中诊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测量人体体表辐射温度的扫描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662B1 (ko) 2006-05-23 2006-08-22 (주)메쉬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적외선 체열영상 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3560A (ja) * 2008-02-07 2009-08-20 Kumamoto Technology & Industry Foundation 無呼吸検知システム
JP2010194005A (ja) * 2009-02-24 2010-09-09 Seikei Gakuen 呼吸計測方法及び呼吸計測装置
KR200467210Y1 (ko) * 2013-02-07 2013-05-31 김경애 안면 화상 데이터 획득장치
CN108523857A (zh) * 2018-05-09 2018-09-14 中诊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测量人体体表辐射温度的扫描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372A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440B1 (ko) 위치제어방법을 적용한 적외선 체온 검출장치
JP2009183560A (ja) 無呼吸検知システム
US100456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presence of cancer
JPH06502241A (ja) 断層写真収集装置
KR102321623B1 (ko) 횡시야 확장형 체열 촬영 장치
KR100613662B1 (ko)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적외선 체열영상 진단장치
KR20100011300A (ko) 이동센서를 구비한 rpr구동방식의 치과용 엑스선촬영장치
US20160296394A1 (en) Treatment table
KR101373628B1 (ko) 보행 분석 장치
CN103327897A (zh) 移动型x射线装置
CN103330544A (zh) 内窥镜弯曲控制机构及内窥镜
JP2010167189A (ja) 寝台装置及びx線ct装置
JP4102119B2 (ja) 歩幅測定装置及び歩幅測定方法
CN205426343U (zh) 红外热像仪立柱
KR102321618B1 (ko)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안면 체열 촬영장치
KR102039509B1 (ko) 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벽면 상태 검출 장치
JP5855251B2 (ja) 口腔外撮像のための柱高さの感知
JP2009201670A (ja) 身体測定装置
WO2016076701A1 (es) Aparato de posicionamiento para medición y análisis
JP2007174156A5 (ko)
JP2006280626A (ja) 天井走行懸垂x線管保持装置
JP2009201671A (ja) 身体測定装置
KR200457337Y1 (ko) 적외선 체열 진단 기기
KR20120095040A (ko) 장기 진단용 엑스선 촬영장치
WO2015093248A1 (ja) C型アームを用いたx線断層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