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449B1 -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449B1
KR102321449B1 KR1020210070321A KR20210070321A KR102321449B1 KR 102321449 B1 KR102321449 B1 KR 102321449B1 KR 1020210070321 A KR1020210070321 A KR 1020210070321A KR 20210070321 A KR20210070321 A KR 20210070321A KR 102321449 B1 KR102321449 B1 KR 102321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structure
polyurea
wall
honeycomb
co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훈
김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07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4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covering strips

Abstract

본 발명은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으로, 본 발명의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는,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육각형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육각형 형상의 단위 프레임이 복수 개 연결된 벌집 구조부; 구조물의 벽체에 상기 벌집 구조부가 설치된 이후, 상기 벌집 구조부로 도포되는 도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구조물의 벽체에 벌집 구조부를 설치하는 설치 단계; 구조물의 벽체에 상기 벌집 구조부가 설치된 이후, 상기 벌집 구조부에 도포재를 도포하는 도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 {Wall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honeycomb structure part and polyurea and Wall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honeycomb structure part and polyurea}
본 발명은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통해 구조물의 벽체를 보강함에 따라 고성능의 방수가 가능하면서 벽체의 붕괴를 억제하는 구조적인 보수 및 보강을 가능하게 하는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상기후 현상에 따라 자연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자연재해와 같은 환경 문제로 인해 구조물의 경년열화가 급속히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구조물의 연식이 오래됨에 따라 구조물의 안전 측면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구조물의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관리가 필요한 구조물의 경우, 구조물을 보수 및 보강하게 된다. 구조물을 보수 및 보강하기 위해 종래에는 구조물의 단면 증대, 보강재 부착 및 신설 등의 보강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구조물의 단면을 증가시키거나, 구조물에 벽체를 추가적으로 증설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철골 프레임, 내진 슬릿트와 같이 보강재를 부착하거나 신설하여 구조물의 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물의 단면 증대, 보강재 부착 및 신설 등의 보강 공법은 추가되는 부재와 구조물과의 일체화를 위한 시공 기술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보강 공법 공정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구조물 보강 공법은 공정이 복잡해짐에 따라 공사 기간이 길어지면서 공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공정이 복잡해짐에 따라 공정을 진행하는 시공 조건 및 작업 환경을 개선시키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통해 구조물의 벽체를 보강함에 따라 고성능의 방수가 가능하면서 벽체의 붕괴를 억제하는 구조적인 보수 및 보강을 가능하게 하는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는,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육각형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육각형 형상의 단위 프레임이 복수 개 연결된 벌집 구조부; 구조물의 벽체에 상기 벌집 구조부가 설치된 이후, 상기 벌집 구조부로 도포되는 도포재를 포함하며, 상기 벌집 구조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여, 구조물의 벽체로 삽입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포재는 숏크리트와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며, 상기 숏크리트가 상기 벌집 구조부에 먼저 도포되고, 상기 폴리우레아를 접착시키기 위한 프라이머가 도포된 이후 상기 폴리 우레아가 도포되며, 상기 벌집 구조부는 표면재를 통해 블라스팅 표면 처리 되어, 상기 벌집 구조부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벌집 구조부의 표면 조도는 25㎛ ~ 75㎛가 되며, 상기 벌집 구조부에는 상기 벌집 구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는 상기 벌집 구조부에 상기 도포재가 도포된 이후, 상기 도포재에 도포되는 마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구조물의 벽체를 보강하기 위한 벽체 보강 공법으로, 구조물의 벽체에 벌집 구조부를 설치하는 설치 단계; 구조물의 벽체에 상기 벌집 구조부가 설치된 이후, 상기 벌집 구조부에 도포재를 도포하는 도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벌집 구조부는, 내부에 육각형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육각형 형상의 단위 프레임이 복수 개 연결되며, 상기 설치 단계는, 구조물의 벽체를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 단계; 상기 천공홀에 접착제를 삽입하는 접착제 삽입 단계; 구조물의 벽체에 상기 벌집 구조부를 배치하는 배치 단계; 상기 벌집 구조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천공홀로 삽입되는 고정부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를 구조물의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 단계에서 도포되는 도포재는 숏크리트와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 단계에서는, 상기 숏크리트가 상기 벌집 구조부에 먼저 도포되고, 상기 폴리우레아를 접착시키기 위한 프라이머가 도포된 이후 상기 폴리우레아가 도포되며, 상기 설치 단계 이전에 상기 벌집 구조부의 상기 단위 프레임의 표면에 표면재를 도포하는 블라스팅 표면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벌집 구조부는 표면재를 통해 블라스팅 표면 처리 되어, 상기 벌집 구조부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벌집 구조부의 표면 조도는 25㎛ ~ 75㎛가 되며, 상기 벌집 구조부에는 상기 벌집 구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상기 벌집 구조부에 상기 도포재가 도포되는 상기 도포 단계 이후, 상기 도포재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으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통해 구조물의 벽체를 보강함에 따라 고성능의 방수가 가능하면서 벽체의 붕괴를 억제하는 구조적인 보수 및 보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벌집 구조부를 사용함에 따라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확보하고 보강 구조체를 경량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벌집 구조부를 통해 균형있게 힘을 배분함에 따라 구조적 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최소 단면 및 최소 증량 증설이 가능함에 따라 재료를 경량화시켜 재료비를 절감하거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은 재료의 경량화를 통해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 현장 가공 및 작업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를 벽체에 설치하고, 벌집 구조부에 도포재를 도포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를 표면재를 통해 블라스팅 표면 처리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의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를 벽체에 설치하고, 벌집 구조부에 폴리우레아아 도포재를 도포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를 벽체에 설치하고, 벌집 구조부에 폴리우레아아 도포재를 도포하여 벽체를 보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를 벽체에 설치하고, 벌집 구조부에 숏크리트 및 폴리우레아 도포재를 도포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를 벽체에 설치하고, 벌집 구조부에 숏크리트 및 폴리우레아 도포재를 도포하여 벽체를 보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으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통해 구조물의 벽체를 보강함에 따라 고성능의 방수가 가능하면서 벽체의 붕괴를 억제하는 구조적인 보수 및 보강을 가능하게 하는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보강 구조체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벽체(10)는 건축물의 벽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조물의 벽체는 보의 벽체면, 기둥의 벽체면 등 벌집 구조부가 설치되는 다양한 벽체면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는, 벌집 구조부(110), 도포재(12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는 구조물의 벽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육각형 형상의 통공(112)이 형성되는 육각형 형상의 단위 프레임(111)이 복수 개 연결된 것이다.
상기 단위 프레임(111)은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내부에 육각형 형상의 상기 통공(1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벌집 구조부(110)는 복수 개의 상기 단위 프레임(111)을 연결하여 제작한 것으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질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보강 구조체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사용하여 벽체를 보강함에 구조적인 보수 및 보강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상기 단위 프레임(111)의 일면에서 힘이 가해지면, 다른 5개의 면으로 힘이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벌집 구조부(110)가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6면의 각 방향으로 버티는 힘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통해 힘을 분산시킴에 따라 벽체 보강 구조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면서,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통해 구조물의 벽체(10)를 보수 및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포재(120)는 구조물의 벽체(10)에 상기 벌집 구조부(110)가 설치된 이후, 상기 벌집 구조부(110)로 도포되는 것이다. 상기 도포재(120)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내부를 충진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단위 프레임(111)의 상기 통공(112)에 상기 도포재(120)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도포재(120)는 폴리우레아(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아(121)는 경화 시간이 빠르면서 반영구적인 방수 시공 기능을 가지는 재료이다. 종래의 건축 및 토목 현장에서는 구조물을 방수하기 위해 우레탄 방수, 시트 방수, 아스팔트 방수, 에폭시 방수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수 공법은 부착력 및 내구성 저하 등의 결함요인으로 인해 시공 후 균열, 찢어짐, 박리, 파손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기적인 보수 비용과 유지관리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폴리우레아(121)는 반영구적 수명으로 방수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부착성, 내마모성, 내구성 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보강 구조체는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내부를 충진 시킴에 따라 방수성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구조적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내부를 상기 폴리우레아(121)로 충진하면,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폴리우레아(121)는 경화되면서 형상기억능력 및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벌집 구조부(110) 내부를 상기 폴리우레아(121)로 충진함에 따라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발생하는 면의 변형이 상기 폴리우레아(121)의 저항에 의해 억제되면서 상기 벌집 구조부(110)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는 삼각형 및 사각형 구조에 비하여 구조적 강성이 가장 크고,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충진시킬 수 있는 수용 면적을 가장 크게 함에 따라 구조체와 일체화를 위해 필요한 면적 및 연성보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수 및 보강이 필요한 구조물의 벽체(10)에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접착시키기 위한 프라이머(130)를 도포하고,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구조물의 벽체(10)에 설치한다.
구조물의 벽체(10)에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설치한 이후,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도포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아(121)가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상기 통공(112)에 충진되도록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도포하며, 구조물의 벽체(10) 전반에 걸쳐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도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고정하는 고정부(140)와 상기 도포재(120)에 도포되는 마감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구조물의 벽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140)는 앙카, 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여, 구조물의 벽체(10)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마감재(150)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도포재(120)가 도포된 이후에, 상기 도포재(120)에 도포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재(150)는 탑코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포재(120)를 마감처리 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에 사용되는 상기 도포재(120)는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포재(120)는 숏크리트(122)와 폴리우레아(1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도포재(120)가 상기 숏크리트(122)와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숏크리트(122)가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먼저 도포된 이후, 상기 폴리우레아(121)가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숏크리트(122)가 도포된 이후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접착시키기 위한 프라이머(130)가 도포되고, 이후 상기 폴리우레아(121)가 도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도포되는 표면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집 구조부(110)는 블라스팅 표면 처리될 수 있으며, 블라스팅 표면 처리를 하기 위해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상기 표면재(160)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표면재(160)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도포되면서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재(160)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면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표면재(160)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킴에 따라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는 표면조도가 25㎛ ~ 75㎛가 되도록 상기 표면재(160)로 표면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벌집 구조부(110)가 상기 도포재(120)와 접하는 면인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상부면과 측부면이 상기 도포재(120)로 표면 처리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도포되는 상기 표면재(160)는 강 쇼트, 그릿, 모래, 규석 입자 등일 수 있으며,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다면 상기 표면재(160)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표면재(160)가 도포된다는 것은,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표면재(160)가 부착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상기 표면재(160)가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부딪히면서 도포되어, 상기 벌집 구조부(110) 자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접착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돌기는 상기 단위 프레임(1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단위 프레임(111)의 상부면에서 상향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돌기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접착면적을 향상시켜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상기 단위 프레임(111)에서 상기 통공(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는 상기 단위 프레임(111)의 내측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통공(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위 프레임(111)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상기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가 상기 단위 프레임(111)에서 상기 통공(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면, 상기 도포재(120)가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서 충진되는 영역에서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접착면적을 향상시킴에 따라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를 사용하여 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는 이미 상술하였는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벌집 구조부(110)를 설치하는 설치 단계(S110)와 도포재(120)를 도포하는 도포 단계(S12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 단계(S110)는 구조물의 벽체(10)에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설치 단계(S110)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구조물의 벽체(10)에 설치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치 단계(S110)는 천공 단계(S111), 삽입 단계(S112), 배치 단계(S113)를 포함한다.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천공 단계(S111)는 구조물의 벽체(10)를 천공하여 천공홀(1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조물의 벽체(10)에 상기 천공홀(11)을 형성하기 위해 해머 드릴과 같은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천공 단계(S111)에서는 상기 천공홀(11)을 형성시킨 이후, 브러쉬와 같은 청소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천공홀(11)을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 단계(S112)는 상기 천공홀(11)에 접착제(141)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접착제(141)는 앙커, 볼트 등과 같은 상기 고정부(140)를 상기 천공홀(11)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141)는 상기 고정부(140)를 상기 천공홀(11)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치 단계(S113)는 구조물의 벽체(10)에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치 단계(S113)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구조물의 벽체(10) 설치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정 단계(S114)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천공홀(11)로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140)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구조물의 벽체(10)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정부(140)는 앙카, 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단계(S114)에서는 상기 고정부(140)를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시켜 상기 천공홀(11)로 삽입시킨다. 상기 천공홀(11)로 상기 고정부(140)가 삽입되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가 구조물의 벽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포 단계(S120)는 구조물의 벽체(10)에 상기 벌집 구조부(110)가 설치된 이후,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도포재(12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도포 단계(S120)에서는 상기 도포재(120)가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상기 통공(112)을 충진하면서 도포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포재(120)는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숏크리트(122)와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포 단계(S120)에서 도포되는 상기 도포재(120)가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포 단계(S120)에서 도포되는 상기 도포재(120)가 상기 숏크리트(122)와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포 단계(S120)에서 도포되는 상기 도포재(120)가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벌집 구조부(110)가 구조물의 벽체(10)에 배치되는 상기 배치 단계(S113) 전에 상기 프라이머(130)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130)는 구조물의 벽체(10)에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접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라이머(130)를 구조물의 벽체(10)에 도포한 이후, 상기 배치 단계(S113)에서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가 설치된 이후에는,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도포하기 위해 스프레이 건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분사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포 단계(S120)에서 도포되는 상기 도포재(120)가 상기 숏크리트(122)와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벌집 구조부(110)가 구조물의 벽체(10)에 설치된 이후, 상기 숏크리트(122)를 먼저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 단계(S120)에서는 상기 숏크리트(122)를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도포한 이후,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숏크리트(122)를 먼저 도포하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구조물의 벽체(1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면서 구조체와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일체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숏크리트(122)가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도포된 이후에는, 상기 숏크리트(122)가 도포된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프라이머(130)가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프라이머(130)는 상기 숏크리트(122)가 도포된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접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라이머(130)를 도포함에 따라 상기 숏크리트(122)가 도포된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숏크리트(122)가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도포된 이후에는,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도포하기 위해 스프레이 건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폴리우레아(121)를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분사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도포재(120)가 도포되는 상기 도포 단계(S120) 이후, 상기 도포재(120)에 마감재(150)를 도포하는 마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150)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도포재(120)가 도포된 이후에 상기 도포재(120)에 도포되는 것으로, 상기 마감재(150)는 탑코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마감재(150)는 상기 도포재(120)를 마감처리 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구조물의 벽체(10)에 상기 벌집 구조부(110)를 설치하는 상기 설치 단계(S110) 이전에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상기 단위 프레임(111)의 표면에 상기 표면재(160)를 도포하는 블라스팅 표면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는 상기 설치 단계(S110) 이전에 블라스팅 표면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블라스팅 표면 처리 단계에서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상기 표면재(160)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표면재(160)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도포되면서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재(160)는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면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표면재(160)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1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킴에 따라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110)와 상기 도포재(12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도포되는 상기 표면재(160)는 강 쇼트, 그릿, 모래, 규석 입자 등일 수 있으며,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다면 상기 표면재(160)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표면재(160)가 도포된다는 것은,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상기 표면재(160)가 부착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상기 표면재(160)가 상기 벌집 구조부(110)에 부딪히면서 도포되어, 상기 벌집 구조부(110) 자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통해 구조물의 벽체를 보강함에 따라 고성능의 방수가 가능하면서 벽체의 붕괴를 억제하는 구조적인 보수 및 보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벌집 구조부를 사용함에 따라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확보하고 보강 구조체를 경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벌집 구조부를 통해 균형있게 힘을 배분함에 따라 구조적 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최소 단면 및 최소 증량 증설이 가능함에 따라 재료를 경량화시켜 재료비를 절감하거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은 재료의 경량화를 통해 시공성이 향상시키면서 현장 가공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사용함에 따라 우수한 방수 성능, 높은 신장율, 뛰어난 부착성 및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이음새 없는 일체화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방수 공사와 동시에 내진 보강이 가능한 공법으로, 보수 및 보강용으로 개발된 폴리우레아와 벌집 구조부를 융합한 공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우레아아는 우수한 방수 성능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구조 보강에 적합하며, 시설물의 노후화를 예방하며 수명을 연장시키고 진동, 균열, 손상 및 크고 작은 변형 등과 같은 시설물에 작용하는 내외부 요인으로부터 진동 흡수, 누수 차단, 균열 방지, 중성화 예방 등을 할 수 있는 기능성 도료로써 상시 구조물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우레아아는 높은 방폭성을 가지고 있어 중형 및 대형 지진과 같은 큰 외력에 대해 시설물의 전도 및 붕괴시에 피난시간을 확보하는 등 연성 보강재로서 효과가 매우 뛰어날 수도 있다.
한편, 방폭성이 높은 폴리우레아는 연성보강에 우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시설물의 연성 보강의 극대화를 위해 벌집 구조부를 융합함에 따라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확보하는 구조형식으로서 구조체, 연성 보강체(벌집 구조부), 폴리우레아를 일체화하는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벽체부의 내구성 강화를 위한 벽체보강 공법으로, 기존의 벽체 표면에 벌집 구조부를 배치하고, 폴리우레아를 충진재로 도포함으로써 기존의 벽체부와 일체화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시공적인 측면에 있어서 경화속도(지촉건조시간: 1분이내)가 빠른 폴리우레아를 충진재로 도포함으로써 공사기간의 단축을 통해 경제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이와 함께,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의 하이브리드 연성보강을 통해 벌집 구조부는 구조체의 내력을 향상시키고, 폴리우레아는 인성(toughness)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폴리우레아의 탁월한 방수기능은 강재인 벌집 구조부의 부식을 막아줌에 따라 벌집 구조부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고, 지진력을 받은 기둥, 보, 벽체 등의 변형에 대응하여 늘어남에 따라 구조체의 붕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구조물의 벽체 11...천공홀
110..벌집 구조부 111...단위 프레임
112...통공 120...도포재
121...폴리우레아 122...숏크리트
130...프라이머 140...고정부
141...접착제 150...마감재
160...표면재
S110...설치 단계 S111...천공 단계
S112...삽입 단계 S113...배치 단계
S114...고정 단계 S120...도포 단계

Claims (10)

  1. 구조물의 벽체를 보강하기 위한 벽체 보강 구조체에 있어서,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육각형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육각형 형상의 단위 프레임이 복수 개 연결된 벌집 구조부;
    구조물의 벽체에 상기 벌집 구조부가 설치된 이후, 상기 벌집 구조부로 도포되는 도포재를 포함하며,
    상기 벌집 구조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여, 구조물의 벽체로 삽입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포재는 숏크리트와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며,
    상기 숏크리트가 상기 벌집 구조부에 먼저 도포되고, 상기 폴리우레아를 접착시키기 위한 프라이머가 도포된 이후 상기 폴리우레아가 도포되며,
    상기 벌집 구조부는 표면재를 통해 블라스팅 표면 처리 되어, 상기 벌집 구조부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벌집 구조부의 표면 조도는 25㎛ ~ 75㎛가 되며,
    상기 벌집 구조부에는 상기 벌집 구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 구조부에 상기 도포재가 도포된 이후, 상기 도포재에 도포되는 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6. 구조물의 벽체를 보강하기 위한 벽체 보강 공법에 있어서,
    구조물의 벽체에 벌집 구조부를 설치하는 설치 단계;
    구조물의 벽체에 상기 벌집 구조부가 설치된 이후, 상기 벌집 구조부에 도포재를 도포하는 도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벌집 구조부는, 내부에 육각형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육각형 형상의 단위 프레임이 복수 개 연결되며,
    상기 설치 단계는,
    구조물의 벽체를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 단계;
    상기 천공홀에 접착제를 삽입하는 접착제 삽입 단계;
    구조물의 벽체에 상기 벌집 구조부를 배치하는 배치 단계;
    상기 벌집 구조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천공홀로 삽입되는 고정부를 통해 상기 벌집 구조부를 구조물의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 단계에서 도포되는 도포재는 숏크리트와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 단계에서는, 상기 숏크리트가 상기 벌집 구조부에 먼저 도포되고, 상기 폴리우레아를 접착시키기 위한 프라이머가 도포된 이후 상기 폴리우레아가 도포되며,
    상기 설치 단계 이전에 상기 벌집 구조부의 상기 단위 프레임의 표면에 표면재를 도포하는 블라스팅 표면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벌집 구조부는 표면재를 통해 블라스팅 표면 처리 되어, 상기 벌집 구조부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벌집 구조부의 표면 조도는 25㎛ ~ 75㎛가 되며,
    상기 벌집 구조부에는 상기 벌집 구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70321A 2021-05-31 2021-05-31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 KR102321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321A KR102321449B1 (ko) 2021-05-31 2021-05-31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321A KR102321449B1 (ko) 2021-05-31 2021-05-31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449B1 true KR102321449B1 (ko) 2021-11-03

Family

ID=7850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321A KR102321449B1 (ko) 2021-05-31 2021-05-31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4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67B1 (ko) * 2006-11-23 2007-03-20 주식회사 청림테크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20100012496A (ko) * 2008-07-29 2010-02-08 박홍욱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 보수용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37987B1 (ko) * 2015-12-24 2016-07-08 김원희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67B1 (ko) * 2006-11-23 2007-03-20 주식회사 청림테크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20100012496A (ko) * 2008-07-29 2010-02-08 박홍욱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 보수용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37987B1 (ko) * 2015-12-24 2016-07-08 김원희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392B1 (ko) 내진 보강용 철골 구조물의 접합구조 및 접합공법
KR100769474B1 (ko) 구조물의 보강방법, 구조물 보강용 강화섬유사조함유재료, 보강구조재료 및 보강구조물
KR100439922B1 (ko) 섬유보강 수지 난연 판넬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US20220186510A1 (en) Concrete structure strengthened using grid reinforcement material and non-shrink grout and method of strengthening the same
KR102321449B1 (ko)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구조체 및 벌집 구조부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벽체 보강 공법
KR101079318B1 (ko)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KR20200052727A (ko) 내진보강 및 내화성 확보를 위하여 에프알피 시트 및 시멘트보드를 이용한 기둥 보강방법
KR100590613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표면에 합성고분자 무기질계 세라믹충전재를 충전하여 철판을 부착시키는 철판부착콘크리트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52894B1 (ko) 건축물의 플랫 플레이트와 기둥의 접합부 보강 시스템
KR100809065B1 (ko)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KR101951450B1 (ko) 슬림형 강재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000043848A (ko) 케블라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처짐 보강 방법 및 정착구
JP3627931B2 (ja) コンクリート表面の補修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表面の補修方法
JPH11256839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補修方法
JP5356010B2 (ja) 基礎補強構造
KR101012807B1 (ko) 구조체 보강공법 및 양방향 복합 에프알피 보강판에 의해 보강된 구조체
WO2018230357A1 (ja) 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工法
KR20090097984A (ko)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JP685231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KR102553362B1 (ko) 조적균열방지용 보강구 및 그 시공방법
KR200496301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프리 프레스 앵커
KR20020088490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JPH0742222A (ja) コンクリート製液槽及び管渠等の改修ライニング工法及び同改修ライニング構造
KR102321202B1 (ko) 보수단면 크기에 대응하는 균열방지망을 삽입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44384Y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표면에 합성고분자 무기질계 세라믹충전재를 충전하여 철판을 부착시키는 철판부착콘크리트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