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318B1 -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318B1
KR101079318B1 KR1020110055026A KR20110055026A KR101079318B1 KR 101079318 B1 KR101079318 B1 KR 101079318B1 KR 1020110055026 A KR1020110055026 A KR 1020110055026A KR 20110055026 A KR20110055026 A KR 20110055026A KR 101079318 B1 KR101079318 B1 KR 101079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ngth
masonry wall
reinforcing connection
connection memb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광근
최승익
Original Assignee
(주)와우리인포스
(주)희상리인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우리인포스, (주)희상리인포스 filed Critical (주)와우리인포스
Priority to KR1020110055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과 보로 둘러싸인 조적벽에 고강도 섬유판을 대각선으로 부착하여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강연결부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조적벽의 네 모서리부위면을 제거하는 단계, 고강도 섬유판이 상기 조적벽에 X형으로 부착되는 부착부위면의 미장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기둥과 보가 만나는 접합부위면에 복수개의 앵커홀을 천공하는 단계, 열화된 부위를 치핑하고, 결손이 발생된 부위는 고강도 시멘트 몰탈로 복구하는 단계, 연마공구로 면처리하고, 표면강화 및 산화방지를 위해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에폭시 퍼티로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에 밀착시켜 앵커로 상기 접합부위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상기 조적벽에 X형이 되도록 상기 부착부위면에 부착하되 끝단부는 상기 보강연결부재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착부위면의 잔여공간 및 상기 고강도 섬유판이 교차되는 공간부위를 에폭시 레진으로 코킹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COMPRISING BRICK WALL USING HIGH STRENGTH FIBERS}
본 발명은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과 보로 둘러싸인 조적벽에 고강도 섬유판을 대각선으로 부착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방법으로는 크게 구조시스템을 보강하는 방법과 부재를 보강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구조시스템을 보강하는 방법으로는 부재의 신설, 구조방식의 변경, 거동방식의 변경, 지진하중을 저감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종래의 부재의 신설 및 구조 방식의 변경으로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① 전단벽이나 철골가새의 증설로 건물 자중이 증가하고, 자중의 증가로 인해 기초 보강이 필요한 경우 공사기간 및 공사비가 증가한다. ② 내부 사용공간이 감소하고, 근래 건축물에 요구되는 중요한 성능 중 하나인 환경여건의 변화에 따른 공간의 가변성 확보가 어렵다. ③ 칸막이벽을 제거하고 시공하는 경우 많은 양의 건설폐기물이 발생하고, 폐기물 처리를 위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철골가새 증설의 경우 칸막이벽 재설치를 위한 추가공정의 발생으로 공기 및 공사비가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많이 사용되는 내진구조보강 방법은 첫째 건설폐기물의 최소화, 둘째 공기 및 공사비의 절감, 셋째 공간의 축소 방지, 넷째 건물 자중의 증가 방지, 다섯째 내진보강공사 외 추가 공정의 최소화, 여섯째 환경여건의 변화에 따른 가변성 확보가 용이한 구조 등이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학교건축물과 같이 기둥과 보로 구성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 사이에 조적 칸막이벽이 있는 기존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시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하여 건물 자중의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공간의 축소를 최소화하며 공정을 최소화하여 시공이 용이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적벽 전체를 철거하지 않고 기둥과 보가 만나는 모서리부위면의 일부만을 제거하여 내진보강을 하는 것으로 건설폐기물을 최소화하고, 공기 및 공사비의 절감하며, 환경여건의 변화에 따른 가변성 확보가 용이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인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과 보로 둘러싸인 조적벽의 모서리부위면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조적벽의 네 모서리부위면을 제거하는 단계, 고강도 섬유판이 상기 조적벽에 X형으로 부착되는 부착부위면의 미장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상기 기둥과 보가 만나는 접합부위면에 앵커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접합부위면에 복수개의 앵커홀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의 열화된 부위를 치핑하고, 결손이 발생된 부위는 고강도 시멘트 몰탈로 복구하는 치핑 및 결손부위 복구단계,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을 연마공구로 면처리하고, 표면강화 및 산화방지를 위해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연마 및 프라이머 도포 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 후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을 에폭시 퍼티로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에 밀착시키고 앵커로 상기 접합부위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부위면과 상기 보강연결부재의 표면에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에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상기 조적벽에 대각선으로 교차시켜 X형이 되도록 상기 부착부위면에 부착하되 상기 고강도 섬유판의 끝단부는 상기 보강연결부재의 표면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부착한 다음에 상기 부착부위면의 잔여공간 및 상기 고강도 섬유판이 교차되는 공간부위를 에폭시 접착제로 코킹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학교건축물과 같이 기둥과 보로 구성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 사이에 조적 칸막이벽이 있는 기존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시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하여 건물 자중의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공간의 축소를 최소화하며 공정을 최소화하여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시 조적벽 전체를 철거하지 않고 기둥과 보가 만나는 모서리부위면의 일부만을 제거하여 내진보강을 하는 것으로 건설폐기물을 최소화하고, 공기 단축 및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도.
도 2는 조적벽의 모서리부위면과 부착부위면을 제거한 단계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도 3은 보강연결부재를 부착하여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도 4는 고강도 섬유판을 조적벽과 보강연결부재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에 의한 모서리부위면을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도 6은 마감재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인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인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과 보로 둘러싸인 조적벽의 모서리부위면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조적벽의 네 모서리부위면을 제거하는 단계, 고강도 섬유판이 상기 조적벽에 X형으로 부착되는 부착부위면의 미장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상기 기둥과 보가 만나는 접합부위면에 앵커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접합부위면에 복수개의 앵커홀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의 열화된 부위를 치핑하고, 결손이 발생된 부위는 고강도 시멘트 몰탈로 복구하는 치핑 및 결손부위 복구단계,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을 연마공구로 면처리하고, 표면강화 및 산화방지를 위해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연마 및 프라이머 도포 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 후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을 에폭시 퍼티로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에 밀착시키고 앵커로 상기 접합부위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부위면과 상기 보강연결부재의 표면에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에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상기 조적벽에 대각선으로 교차시켜 X형이 되도록 상기 부착부위면에 부착하되 상기 고강도 섬유판의 끝단부는 상기 보강연결부재의 표면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부착한 다음에 상기 부착부위면의 잔여공간 및 상기 고강도 섬유판이 교차되는 공간부위를 에폭시 접착제로 코킹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보강연결부재는, L형 앵글의 측변에 철재 플레이트의 두 변이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연결부재에 부착된 고강도 섬유판의 끝단부를 고강도 섬유판과 고강도 섬유시트 중 어느 하나로 감싸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부착하는 단계에서, 고강도 섬유판을 로울러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면서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강도 섬유판은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제조공장에서 미리 함침용 에폭시 접착제로 함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강도 섬유판의 두께는 1~5㎜이고, 폭은 5~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상기 접합부위면에 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앵커로 고정한 다음에 상기 보강연결부재의 의 L형 앵글 주위를 시일재로 밀봉한 후 상기 L형 앵글과 상기 접합부위면의 잔여공간에 액상형 에폭시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에폭시 접착제로 코킹하는 단계 후, 상기 조적벽의 제거된 모서리부위면을 고강도 시멘트 몰탈로 복원하는 단계, 상기 복원된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고강도 섬유판이 부착된 부착부위면을 미장처리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마감재로 마감하는 단계, 상기 복원된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고강도 섬유판이 부착된 부착부위면 및 상기 마감재로 마감된 보강연결부재를 도장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일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이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조적벽(300)의 모서리부위면(320)과 부착부위면(340)을 제거한 단계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이다.
먼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100)과 보(200)로 둘러싸인 조적벽(300)의 모서리부위면(320)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재(600)를 설치하기 위하여 조적벽(300)의 모서리부위면(320) 네 군데를 제거한다.
상기 보강연결부재(600)는 철재 플레이트(520)와, 철재 플레이트(520)의 L형 앵글(640)의 측변에 철재 플레이트(620)의 두 변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보강연결부재(600)를 설치하기 위한 조적벽(300)의 모서리부위면(320)은 작업공간을 고려하여 보강연결부재(600)의 철재 플레이트(620) 크기보다 좀 더 넓게 제거하고, 철재 플레이트(620)의 두께와 철재 플레이트(620)의 표면에 부착되는 고강도 섬유판(500)의 두께를 더한 두께보다 좀 더 두꺼운 두께만큼의 깊이로 제거하고, 제거된 모서리부위면(320)은 내진보강 작업이 완료되면 고강도 시멘트 몰탈 등으로 다시 복구시킨다.
모서리부위면(320) 네 군데를 모두 제거한 다음에 고강도 섬유판(500)이 조적벽(300)에 X형으로 부착되는 부착부위면(340)의 미장을 제거한다. 미장면의 제거시 고강도 섬유판(500)이 부착하여 연결되는 보강연결부재(600)의 위치를 고려하여 고강도 섬유판(600)의 폭보다 크게 작업 여유공간을 두어 제거하고, 조적벽(300)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고강도 섬유판(600)이 부착될 조적벽(300)의 부위면 미장을 제거한 후 보강연결부재(600)를 기둥(100)과 보(200)가 만나는 접합부위면(120,220)에 앵커(660)로 고정하기 위하여 접합부위면(120,220)에 복수개의 앵커홀을 천공한다.
앵커홀을 천공한 다음에 상기 접합부위면(120,220)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가 분리되어 철근이 노출되거나, 콘크리트가 분리되어 있는 등의 열화된 부위가 있으면 치핑(Chipping)을 하고, 앵커홀의 천공 작업이나 치핑 작업으로 인해 결손이 발생된 부위가 있으면 에어건을 사용하여 먼지를 제거한 다음에 고강도 시멘트 몰탈로 채워서 결손부위를 복구한다.
결손 부위 복구 작업 후에는 상기 모서리부위면(320)과 상기 접합부위면(120,220)을 연마공구로 면처리 연마 작업(Grinding)을 하고, 연마 작업 중에는 콘크리트 분진이 날리지 않도록 분진 흡입기를 장착하여 작업을 한다.
연마 작업 후에는 표면강화 및 산화방지를 위해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프라이머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프라이머 주제와 경화제는 2:1의 비율로 색상이 균일해질 때까지 전동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한 다음에, 조적벽(300)의 제거된 모서리부위면(320)과 고강도 섬유판 부착부위면(340) 및 기둥(100)과 보(200)의 접합부위면(120,220)에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프라이머 도포한 다음에 완전히 건조되면 도포된 부위에 에폭시 퍼티(400)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주걱을 사용하여 구멍이나 요철 등이 남아 있는 경우 메워서 표면이 매끈하도록 평탄화 작업을 한다.
상기 결손 부위 복구 작업시의 고강도 시멘트 몰탈과, 상기 프라이머 도포 작업시의 프라이머 및 상기 평탄화 작업시의 에폭시 퍼티(400)는 얇게 도포되거나 또는 작업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 있어 도 3 내지 5에서 측단면을 나타내는 부위에는 도시되지 않고 생략되었다.
도 3은 보강연결부재(600)를 부착하여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이다.
평탄화 작업 후에 보강연결부재(600)의 철재 플레이트(620)는 모서리부위면(320)에 밀착시키고, 보강연결부재(600)의 L형 앵글(640)을 접합부위면(120,220)에 앵커(660)로 고정시킨다. 앵커(660)로 고정하는 방법은 주입식 케미칼 앵커를 이용하는 것으로 천공한 앵커홀에 미리 에폭시 접착제(미도시)나 기타 접착 재료를 주입시킨 뒤에 앵커볼트를 삽입하고 에폭시 접착제가 굳으면 보강연결부재(600)를 앵커볼드가 삽입된 접합부위면(120,220)에 밀착시켜서 앵커너트로 체결한다.
앵커(660)로 고정된 L형 앵글(640)의 주위를 시일재로 밀봉한 후 L형 앵글(640)과 접합부위면(120,220)의 잔여공간에 액상형 에폭시 접착제(미도시)를 주입하여 보강연결부재(600)의 L형 앵글(640)을 콘크리트 기둥(100) 및 보(200)와 접착시킨다.
도 4는 고강도 섬유판(500)을 조적벽(300)과 보강연결부재(600)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의한 모서리부위면(320)을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고강도 섬유판(500)이 부착되는 조적벽(300)의 부착부위면(340)과 보강연결부재(600)의 철재 플레이트(620) 표면에 주제와 경화제로 구성된 반고체형인 에폭시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한 다음에 고강도 섬유판(500)을 조적벽(300)에 대각선으로 교차시켜 X형이 되도록 부착하되 고강도 섬유판(500)의 끝단부는 조적벽(300)의 네 군데 모서리부위면(320)에 고정된 보강연결부재(600)의 철재 플레이트(620) 표면에 각각 부착되게 한다.
고강도 섬유판(500)을 조적벽(300)의 부착부위면(340)에 부착할 때 로울러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면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강연결부재(600)의 철재 플레이트(620)에 부착된 고강도 섬유판(500)의 끝단부는 고강도 섬유판이나 고강도 섬유판보다 폭이 더 넓은 고강도 섬유시트로 감싸서 접착력을 높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강도 섬유판(500)은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시공하는 조건에 따라 제조공장에서 미리 함침용 접착제로 함침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강도 섬유판(500)은 두께가 1~5㎜이고, 폭은 5~12㎝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강도 섬유판(500)을 조적벽(300)에 부착한 다음에 고강도 섬유판(500)이 부착되고 남은 부착부위면(340)의 잔여공간에는 에폭시 접착제(700)로 코킹하고, 고강도 섬유판(500)이 서로 교차되는 공간부위에도 에폭시 접착제로 코킹한다.
도 6은 마감재(800)로 마감된 조적벽(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에폭시 접착제로 코킹하는 단계 후 에폭시 접착제의 경화가 모두 끝나면, 조적벽(300)의 제거된 모서리부위면(320)을 고강도 시멘트 몰탈로 복원하고, 복원된 모서리부위면과 고강도 섬유판이 부착된 부착부위면을 미장처리한다.
보강연결부재(500)는 철재 플레이트(520)와 L형 앵글(5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재(800)로 마감하고, 복원된 모서리부위면(320)과 고강도 섬유판(500)이 부착된 부착부위면(340) 및 마감재(800) 부위를 도장처리하여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 마감재(800)는 건물 외벽 등에 사용되는 외단열재인 드라이 비트나 MDF 패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에폭시 접착제는 시공 단계에 따라 얇게 도포되어, 도포된 에폭시 접착제의 두께가 얇거나 다른 구성에 가려서 도면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면에서 생략되었고, 조적벽(300)의 부착부위면(340)에 고강도 섬유판(500)을 부착한 다음에 부착부위면(340)의 남은 잔여공간에 에폭시 접착제를 메워서 코킹한 부위에는 에폭시 접착제(700)로 메워진 것이 도시되고 도면부호가 기재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학교건축물과 같이 기둥과 보로 구성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 사이에 조적 칸막이벽이 있는 기존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시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하여 건물 자중의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공간의 축소를 최소화하며 공정을 최소화하여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시 건설폐기물을 최소화하고 공기 단축 및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기둥 200 : 보
120,220 : 접합부위면 122,222 : 앵커홀
300 : 조적벽 320 : 모서리부위면
340 : 부착부위면 400 : 에폭시 퍼티
500 : 고강도 섬유판 600 : 보강연결부재
620 : 철재 플레이트 640 : L형 앵글
660 : 앵커 700 : 에폭시 접착제
800 : 마감재

Claims (8)

  1.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과 보로 둘러싸인 조적벽의 모서리부위면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조적벽의 네 모서리부위면을 제거하는 단계,
    고강도 섬유판이 상기 조적벽에 X형으로 부착되는 부착부위면의 미장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상기 기둥과 보가 만나는 접합부위면에 앵커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접합부위면에 복수개의 앵커홀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의 열화된 부위를 치핑하고, 결손이 발생된 부위는 고강도 시멘트 몰탈로 복구하는 치핑 및 결손부위 복구단계,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을 연마공구로 면처리하고, 표면강화 및 산화방지를 위해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연마 및 프라이머 도포 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 후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을 에폭시 퍼티로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상기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접합부위면에 밀착시키고 앵커로 상기 접합부위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부위면과 상기 보강연결부재의 표면에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에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상기 조적벽에 대각선으로 교차시켜 X형이 되도록 상기 부착부위면에 부착하되 상기 고강도 섬유판의 끝단부는 상기 보강연결부재의 표면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부착한 다음에 상기 부착부위면의 잔여공간 및 상기 고강도 섬유판이 교차되는 공간부위를 에폭시 접착제로 코킹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재는,
    L형 앵글의 측변에 철재 플레이트의 두 변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연결부재에 부착된 고강도 섬유판의 끝단부를 고강도 섬유판과 고강도 섬유시트 중 어느 하나로 감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판을 부착하는 단계에서,
    고강도 섬유판을 로울러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면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판은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제조공장에서 미리 함침용 에폭시 접착제로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판의 두께는 1~5㎜이고, 폭은 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상기 접합부위면에 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앵커로 고정한 다음에 상기 보강연결부재의 의 L형 앵글 주위를 시일재로 밀봉한 후 상기 L형 앵글과 상기 접합부위면의 잔여공간에 액상형 에폭시 접착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접착제로 코킹하는 단계 후,
    상기 조적벽의 제거된 모서리부위면을 고강도 시멘트 몰탈로 복원하는 단계,
    상기 복원된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고강도 섬유판이 부착된 부착부위면을 미장처리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부재를 마감재로 마감하는 단계,
    상기 복원된 모서리부위면과 상기 고강도 섬유판이 부착된 부착부위면 및 상기 마감재로 마감된 보강연결부재를 도장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KR1020110055026A 2011-06-08 2011-06-08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KR101079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026A KR101079318B1 (ko) 2011-06-08 2011-06-08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026A KR101079318B1 (ko) 2011-06-08 2011-06-08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318B1 true KR101079318B1 (ko) 2011-11-04

Family

ID=4539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026A KR101079318B1 (ko) 2011-06-08 2011-06-08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3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806B1 (ko) * 2014-05-09 2015-01-30 메트로티엔씨 주식회사 강판 오픈 프레임의 재진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KR101839561B1 (ko) 2017-12-22 2018-03-19 (주)우암건설 학교 건축물 등 저층건축물의 외부벽체 또는 내부벽체의 내진 보강공법
KR20180127168A (ko) * 2018-01-22 2018-11-28 박종민 섬유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또는 슬래브 구조물의 내진 보강공법
CN110130606A (zh) * 2019-05-22 2019-08-16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保温装饰一体化填充墙部位双机械锚固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214520B1 (ko) * 2020-06-08 2021-02-10 주식회사 삼우이엔지 연돌 보수보강용 곤돌라 및 이를 이용한 연돌의 외벽 보수보강 방법
KR102265882B1 (ko) 2020-10-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리드 보강재 및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치장벽돌을 보강한 외벽 구조체 및 그 보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289A (ja) 2006-03-08 2007-09-20 Shimizu Corp 耐震壁構造及び耐震壁の築造方法
KR100894492B1 (ko) 2008-04-23 2009-05-07 (주)희상리인포스 아라미드 스트립 부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289A (ja) 2006-03-08 2007-09-20 Shimizu Corp 耐震壁構造及び耐震壁の築造方法
KR100894492B1 (ko) 2008-04-23 2009-05-07 (주)희상리인포스 아라미드 스트립 부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806B1 (ko) * 2014-05-09 2015-01-30 메트로티엔씨 주식회사 강판 오픈 프레임의 재진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KR101839561B1 (ko) 2017-12-22 2018-03-19 (주)우암건설 학교 건축물 등 저층건축물의 외부벽체 또는 내부벽체의 내진 보강공법
KR20180127168A (ko) * 2018-01-22 2018-11-28 박종민 섬유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또는 슬래브 구조물의 내진 보강공법
KR101951814B1 (ko) * 2018-01-22 2019-05-20 박종민 섬유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또는 슬래브 구조물의 내진 보강공법
CN110130606A (zh) * 2019-05-22 2019-08-16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保温装饰一体化填充墙部位双机械锚固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214520B1 (ko) * 2020-06-08 2021-02-10 주식회사 삼우이엔지 연돌 보수보강용 곤돌라 및 이를 이용한 연돌의 외벽 보수보강 방법
KR102265882B1 (ko) 2020-10-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리드 보강재 및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치장벽돌을 보강한 외벽 구조체 및 그 보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318B1 (ko)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조적벽이 포함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US2160225A (en) Building construction
KR100274218B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칼라록 단열판재와 그의 제조 및 시공방법
DE112011102636T5 (de) Außendämmwand aus mechanisch verankerten Dämmplatten mit Gitterrippenverstärkung
JP200451326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用複合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補修・補強工法
CN102864944B (zh) 一种角钢支托砌体结构及其加固方法
AU2016342075B2 (en) Wall panel
KR100432318B1 (ko) 탄소봉을 이용한 기존 건축·토목 구조물의 보수 및보강공법
JP2000336944A (ja) 高耐久性構造埋設型枠工法
EP3779101B1 (en) Method of anti-seismic protection of frames and filling walls in frame buildings
KR100898389B1 (ko) 건축물의 내진보강 코어 및 그 시공방법
CN111206695B (zh) 一种墙体保温板的安装结构及安装方法
EP1481138B1 (de) Verwendung einer folie zum verbinden und/oder abdichten und/oder statischen verstärken von zwei starren oder zueinander beweglichen flächen
CN108104501B (zh) 一种基于cfrp的钢筋混凝土加固方法
CN107762008B (zh) 一种干法粘固隔墙的方法
CN106088312A (zh) 一种钢木混合的低层组装式集成房屋的施工方法
KR101013090B1 (ko) 보강몰탈을 이용한 슬래브 보강공법
JP5023751B2 (ja) 外壁構造及び外壁工法
Nandakumar Repair of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CN212478636U (zh) 地下室砼外墙的开洞加固装置
KR20120055764A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 마감구조
KR20020088490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0157735B1 (ko) 철강재와 a.l.c(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JP7137606B2 (ja) 土塗り壁の補修方法
KR102166830B1 (ko) 경질탄산칼슘 및 천연 고성능 증점제 잔탄검을 포함하여 수밀성, 재료분리성을 향상시켜 수중 분리 저항성이 우수한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및 그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