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065B1 -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 Google Patents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065B1
KR100809065B1 KR1020060049970A KR20060049970A KR100809065B1 KR 100809065 B1 KR100809065 B1 KR 100809065B1 KR 1020060049970 A KR1020060049970 A KR 1020060049970A KR 20060049970 A KR20060049970 A KR 20060049970A KR 100809065 B1 KR100809065 B1 KR 10080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idge
supporting
installing
horizont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473A (ko
Inventor
조해진
최지용
박정현
이명규
곽임종
조창백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유니슨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유니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9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06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7Po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교량받침을 내진 설계된 받침으로 모두 교체하지 않고서도 기존 받침을 최대한 이용하여 교량에 발생하는 지진력 자체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산해줄 수 있도록 보강 및 개조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2)에 접합된 포트받침(1)의 상판(10)을 상부구조물(2)에 접합시키기 위해 용접된 부위에 대한 도장 제거와 그라인딩을 이용한 콘크리트 접착부에 대한 면 고르기를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2)에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를 하부레벨이 맞게 접합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접합된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5)의 상단에 에폭시를 주입하여 상부구조물(2)과 일체가 되게 하며, 용접부 및 그라인딩부의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을 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기존교량에 대한 내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포트받침, 교량, 교각, 체결용 케미컬 앵커,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

Description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The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ement method for preexistence bridges}
도 1a,1b는 일반적인 포트받침 및 배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포트받침의 구조를 나타낸 반단면도.
도 1b는 기존받침의 배치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수평력 댐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수평력 댐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의한 수평력 댐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의한 수평력 댐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삭제
도 7a 및 도 7b 본 발명에 의해 보강후 받침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일방향 면진 상태의 배치도.
도 7b는 양방향 면진 상태의 배치도.
도 7c는 도 1b 및 도 7a,도 7b의 이해를 돕기한 범례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포트받침 2:상부구조물
3:하부구조물 4:체결용 케미컬 앵커
5: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 6:너트
7:수평력 댐퍼 8:거더
9:크로스 빔 10a,10b,10c:받침상부 고정부재
15:교각 16:지지용 설치홈
17:받침보강철근 18:무수축 몰탈
삭제
본 발명은 교량의 내진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교량받침을 내진 설계된 받침으로 모두 교체하지 않고서도 기존 받침을 최대한 이용하여 교량에 발생하는 지진력 자체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산해줄 수 있도록 보강 및 개조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기존교량에 대한 내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부와 하부의 접점에 설치되어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하부구조물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교량의 상부는 하중의 재하, 온도의 변화 등의 각종 요인에 의하여 신축되는 것으로서, 이같이 상.하부 구조에서 발생하는 수평거동을 교량받침이 수용하고, 상기 교량받침은 신축기능을 갖는 가동받침과 신축기능을 갖지 않는 고정받침으로 나뉜다.
한편, 최근에는 교량받침이 갖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지진에 대비할 수 있는 기능도 교량받침이 갖도록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는 것으로서, 이 기능은 교량이 그 구조계의 역학적 기본을 유지하는데 극히 중요하다. 특히, 교량의 내진설계 면에서 교량받침의 역할은 크기 때문에 교량받침의 설계시 충분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현재 기존 교량에 설치된 교량받침은 내진설계의 반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대부분으로 내진의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는 기존 교량받침을 내진설계가 반영된 교량받침으로 모두 교체해야만 되나, 이러한 교체방법은 공사중 교량의 상부를 들어올리거나 교량의 상부 및 교각에 손상을 주어 교량의 성능 저하를 초래함은 물론 교통규제를 동반하고, 또한 교통규제에 의한 부담으로 시공이 단기간에 이루어져야 하나,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 및 시공의 난해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존 교량받침을 내진 설계된 받침으로 모두 교체하지 않고서도 기존 받침을 최대한 이용하여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지탱하고, 지진발생시의 수평력을 받침의 마찰력으로 어느 정도 지탱하며, 상시 및 지진시 발생하는 변위에 만족할 수 있도록 보강 및 개조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경제적으로 기존교량에 대한 내진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체결용 케미컬 앵커를 시공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서 상부구조물의 체결용 케미컬 앵커에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를 너트의 체결에 의해서 고정하면서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의 상단에 에폭시를 주입하여 상부구조물과 일체가 되게 하고, 포트받침의 상판과 레벨을 맞추며, 용접부 및 그라인딩부의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을 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수평력 확보를 위해 기존교량의 상부구조물와 하부구조물의 사이에 수평력 댐퍼를 설치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의 수평력 댐퍼는 납면진받침(LRB)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거더 사이의 크로스 빔 중앙부에 L-형강으로 된 받침상부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보강한 후, 상기 받침상부 고정부재와 대향되는 교각의 표면 콘크리트를 최대한 거칠게 치핑하여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크로스 빔에 설치된 받침상부 고정부재에 수평력 댐퍼를 설치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공정에 의해서 교각에 형성된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에 받침보강철근을 설치하는 제3 공정과; 상기 받침보강철근에 무수축 몰탈을 타설한 후, 습윤양생하는 제4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 받침상부 고정부재를 거더의 측면부와 크로스 빔의 하부측에 설치한 후, 상기 받침상부 고정부재와 대향되는 하부측 교각의 표면에 콘크리트 치핑을 통하여 최대한 거칠게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크로스 빔에 설치된 받침상부 고정부재에 수평력 댐퍼를 설치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공정에 의해서 교각에 형성된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에 받침보강철근을 설치하는 제3 공정과; 상기 받침보강철근에 무수축 몰탈을 타설한 후, 습윤양생하는 제4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 받침상부 고정부재를 거더의 측면부와 크로스 빔의 하부측 전체에 걸쳐 설치한 후, 거더 사이의 대략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교각의 표면에 콘크리트 치핑을 통하여 최대한 거칠게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을 상기 받침상부 고정부재와 대향되게 설치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에 의해서 크로스 빔의 전체에 설치된 받침상부 고정부재에 수평력 댐퍼를 설치하는 제2 공정과; 상기 교각에 형성된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에 받침보강철근을 설치하는 제3 공정과; 상기 받침보강철근에 무수축 몰탈을 타설한 후, 습윤양생하는 제4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내진보강 공법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1b는 일반적인 포트받침 및 배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포트받침의 구조를 나타낸 반단면도이고, 도 1b는 기존받침의 배치도이다.
여기에 적용되는 기존 교량받침은 포트받침으로서, 상기 포트받침(1)의 하부판(11)에 고무(12)를 넣고 그 위에 중간판(13)을 얹어 고무(12)의 탄성변형에 의해 회전을 얻고 중간판(13)에 불소수지(PTFE)판(14)을 붙이고 윤활유를 주입하여 이동변위에 대한 마찰계수를 감소시킨다. 용기속의 고무가 유체처럼 작용하여 수직반력을 골고루 분포시키고, 큰 회전각을 얻을 수 있으며 받침의 높이도 낮아 회전에 대한 안전성이 크며 회전에 따른 하중의 편심이 작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포트받침(1)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과 고정받침 및 일방향(교축, 교축직각)을 혼용하여 배치 구성된다.(도 7c 참조.)
이러한 기존교량에 있어, 본 발명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별 작업을 통해서 받침에 대한 면진작업이 이루어진다.
(제1 단계)
이 단계는 교량의 상부구조물(2)에 접착된 포트받침(1)의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5)를 상부구조물(2)에 접합시키기 위해 그라인딩을 이용하여 용접할 부위에 대한 도장 제거와 콘크리트 접착부에 대한 면 고르기를 하는 작업이다.
(제2 단계)
이 단계는 후술되어질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5)를 상부구조물(2)에 고정하기 위한 전처리 작업으로서, 체결용 케미컬 앵커(4)를 상부구조물(2)에 시공하는 작업이다.
(제3 단계)
이 단계는 제2 단계에 의해서 상부구조물(2)에 시공된 체결용 케미컬 앵커(4)에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5)를 너트(6)의 체결에 의해서 고정하는 작업으로서, 이때 상기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5)의 상단에 에폭시(24)를 주입하여 상부구조물(2)과 일체가 되게 하고, 포트받침(1)의 상판(10)과 레벨을 맞추며, 용접부 및 그라인딩부의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을 함으로써 일련의 받침에 대한 면진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단계를 통하여 면진화된 교량받침이 지진 발생시 부담해야만 되는 수평력 확보를 위해서 수평력 댐퍼가 설치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력 댐퍼는 LRB(Lead Rubber Bearing), 즉 납면진받침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LRB는 단주기 성분이 강하고 장주기 성분이 약한 지진파의 주기 특성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고유주기를 임의로 길게 해 수평지진력의 크기 자체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진동에너지를 납의 비선형거동으로 흡수하여 교량상판의 진동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에너지 흡수를 위해 탄성받침의 내부에 납을 압착하여 삽입한 것이 탄성받침과 다른 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수평력 댐퍼의 설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 제4 단계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평력 댐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제1 단계)
이 공정은 거더(8) 사이의 크로스 빔(Cross beam)(9) 중앙부에 L-형강으로 된 받침상부 고정부재(10a)를 설치하여 보강한 후, 상기 받침상부 고정부재(10a)와 대향되는 교각(15)의 표면 콘크리트를 최대한 거칠게 치핑하여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을 형성하는 작업이다.
(제2 공정)
이 공정은 제1 공정에 의해서 크로스 빔(9)에 설치된 받침상부 고정부재(10a)에 납면진받침으로 된 수평력 댐퍼(7)를 설치하는 작업이다.
(제2 공정)
이 공정은 교체받침 위치의 보강을 위한 전공정으로서, 제1 공정에 의해서 교각(15)에 형성된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에 받침보강철근(17)을 설치하는 작업이다.
(제3 공정)
이 공정은 상기 받침보강철근(17)에 무수축 몰탈(18)을 타설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무수축 몰탈 강도는 fck=600kgf/cm2 이상이어야 하고, 건조수축이 발생하지 않게 습윤양생을 하여야 하며, 하중의 재하는 소요강도 이하에서 작용시켜서는 않된다.
또한, 무수축 몰탈의 타설은 연속적으로 한 번에 타설 완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연속적인 타설이 불가능할 때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만 한다.
타설시 주입구쪽에서 연속적으로 타설하여 주입구 반대형틀에서 오버플로우 될 때까지 주입하여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무수축 몰탈은 최소 7일 이상 습윤양생을 실시하여 특히 타설직후 수분이 크게 증발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그리고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주변을 정리하고, 포트받침(1)의 위치는 정확히 마킹하여 종.횡 중심선에 설치하여 직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포트받침(1)의 중심선과 이동방향은 설계도면과 일치해야 하며 포트받침(1)의 상판(10)은 반드시 수평이 되도록 함으로써 일련의 내진보강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 제4 단계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평력 댐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제1 공정)
이 공정은 먼저, H-형강으로 이루어진 받침상부 고정부재(10b)를 사용하여 거더(8)의 측면부와 크로스 빔(9)의 하부측에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받침상부 고정부재(10b)와 대향되는 하부측 교각(15)의 표면에 콘크리트 치핑을 통하여 최대한 거칠게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을 형성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제2 공정)
이 공정은 제1 공정에 의해서 크로스 빔(9)에 설치된 받침상부 고정부재(10b)에 납면진받침으로 된 수평력 댐퍼(7)를 설치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수평력 댐퍼(7)는 브라켓에 받침상판을 볼트 고정하고 하판은 셋트 앵커를 사용하여 임시로 거치시키게 된다.
(제3 공정)
이 공정은 교체받침 위치의 보강을 위한 전단계로서, 제1 공정에 의해서 교각(15)에 형성된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에 받침보강철근(17)을 설치하는 작업이다.
(제4 공정)
이 공정은 상기 받침보강철근에 무수축 몰탈(18)을 타설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무수축 몰탈 강도는 fck=600kgf/cm2 이상이어야 하고, 건조수축이 발생하지 않게 습윤양생을 하여야 하며, 하중의 재하는 소요강도 이하에서 작용시켜서는 않된다.
또한, 무수축 몰탈의 타설은 연속적으로 한 번에 타설 완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연속적인 타설이 불가능할 때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만 한다.
타설시 주입구쪽에서 연속적으로 타설하여 주입구 반대형틀에서 오버플로우 될 때까지 주입하여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무수축 몰탈은 최소 7일 이상 습윤양생을 실시하여 특히 타설직후 수분이 크게 증발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그리고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주변을 정리하고, 포트받침(1)의 위치는 정확 히 마킹하여 종.횡 중심선에 설치하여 직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포트받침(1)의 중심선과 이동방향은 설계도면과 일치해야 하며 포트받침(1)의 상판은 반드시 수평이 되도록 함으로써 일련의 내진보강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 제4 단계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평력 댐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제1 공정)
이 공정은 먼저, H-형강으로 이루어진 받침상부 고정부재(10c)를 케미컬 앵커를 사용하여 거더(8)의 측면부와 크로스 빔(9)의 하부측 전체에 걸쳐 설치한다. 그런 다음 거더(8) 사이의 대략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교각(15)의 표면에 콘크리트 치핑을 통하여 최대한 거칠게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을 상기 받침상부 고정부재(10)와 대향되게 설치하게 된다.
(제2 공정)
이 공정은 제1 공정에 의해서 크로스 빔(9)의 전체에 설치된 받침상부 고정부재(10c)에 LRB로 된 수평력 댐퍼(7)를 설치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수평력 댐퍼(7)는 브라켓에 받침상판을 볼트 고정하고 하판은 셋트 앵커를 사용하여 임시로 거치시키게 된다.
(제3 공정)
이 공정은 교체받침 위치의 보강을 위한 전공정으로서, 제1 공정에 의해서 교각(15)에 형성된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에 받침보강철근(17)을 설치하는 작업이다.
(제4 공정)
이 공정은 상기 받침보강철근에 무수축 몰탈(18)을 타설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무수축 몰탈 강도는 fck=600kgf/cm2 이상이어야 하고, 건조수축이 발생하지 않게 습윤양생을 하여야 하며, 하중의 재하는 소요강도 이하에서 작용시켜서는 않된다.
또한, 무수축 몰탈의 타설은 연속적으로 한 번에 타설 완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연속적인 타설이 불가능할 때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만 한다.
타설시 주입구쪽에서 연속적으로 타설하여 주입구 반대형틀에서 오버플로우 될 때까지 주입하여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무수축 몰탈은 최소 7일 이상 습윤양생을 실시하여 특히 타설직후 수분이 크게 증발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그리고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주변을 정리하고, 포트받침(1)의 위치는 정확히 마킹하여 종.횡 중심선에 설치하여 직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포트받침(1)의 중심선과 이동방향은 설계도면과 일치해야 하며 포트받침(1)의 상판(10)은 반드시 수평이 되도록 함으로써 일련의 내진보강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제4 단계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수평력 댐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제1 공정)
이 공정은 기존 포트받침(1)의 교축방향 전.후면에 수평력 댐퍼(7)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력 댐퍼(7)는 케미컬 앵커(22)에 의해서 거더(8)의 하부면에 상부가 고정된다.
(제2 공정)
이 공정은 케미컬 앵커(22)에 의해서 거더(9)의 하부면에 상부가 먼저 고정된 수평력 댐퍼(7)의 하부를, 케미컬 앵커(22)에 의해서 교각(15)의 코핑부에 브라켓(23)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로써 일련의 수평력 댐퍼의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7a 및 도 7b 본 발명에 의해 보강후 받침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일방향 면진 상태의 배치도이고, 도 7b는 전방향 면진 상태의 배치도이며, 도 7c는 도 7a 및 도 7b의 이해를 돕기 위한 범례이다.
이 배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후 포트받침의 배치 상태를 살펴보면, 기존 포트받침을 모두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보강 및 개조하거나 교체하였고, 대략 중간부분의 포트받침의 양측에 LRB를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타원의 파선을 표시된 부분은 수평력 댐퍼를 설치한 부분이고, 원형의 파선은 기존 교량받침의 교체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교량받침을 내진 설계된 받침으로 모두 교체하지 않고서도 기존 받침을 최대한 이용하여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지탱하고, 지진발생시의 수평력을 받침의 마찰력으로 어느 정도 지탱하며, 상시 및 지진시 발생하는 변위에 만족할 수 있도록 보강 및 개조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기존교량에 대한 내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받침을 모두 교체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받침의 교체하기 위해 상부구조물을 들어올리거나, 교량의 상부 및 교각이 손상됨에 따른 기존교량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단기간 시공이 가능하여 교통규제를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의 간편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Claims (14)

  1. 교량의 상부구조물(2)에 접착된 포트받침(1)의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5)를 상부구조물(2)에 접착시키기 위해 그라인딩을 이용하여 용접할 부위에 대한 도장 제거와 그라인딩을 이용한 콘크리트 접착부에 대한 면 고르기를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2)에 체결용 케미컬 앵커(4)를 시공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서 상부구조물(2)의 체결용 케미컬 앵커(4)에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5)를 너트(6)의 체결에 의해서 고정하면서 이동량 확보용 플레이트(5)의 상단에 에폭시(24)를 주입하여 상부구조물(2)과 일체가 되게 하고, 포트받침(1)의 상판(10)과 레벨을 맞추며, 용접부 및 그라인딩부의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을 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력 확보를 위해 기존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사이에 수평력 댐퍼(7)를 설치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의 수평력 댐퍼(7)는 납면진받침(LRB)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거더(8) 사이의 크로스 빔(9) 중앙부에 L-형강으로 된 받침상부 고정부재(10a)를 설치하여 보강한 후, 상기 받침상부 고정부재(10a)와 대향되는 교각(15)의 표면 콘크리트를 최대한 거칠게 치핑하여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크로스 빔(9)에 설치된 받침상부 고정부재(10a)에 수평력 댐퍼(7)를 설치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공정에 의해서 교각(15)에 형성된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에 받침보강철근(17)을 설치하는 제3 공정과;
    상기 받침보강철근(17)에 무수축 몰탈(18)을 타설한 후, 습윤양생하는 제4 공정;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 받침상부 고정부재(10b)를 거더(8)의 측면부와 크로스 빔(9)의 하부측에 설치한 후, 상기 받침상부 고정부재(10b)와 대향되는 하부측 교각(15)의 표면에 콘크리트 치핑을 통하여 최대한 거칠게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크로스 빔(9)에 설치된 받침상부 고정부재(10b)에 수평력 댐퍼(7)를 설치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4 단계에 의해서 교각(15)에 형성된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에 받침보강철근(17)을 설치하는 제3 공정과;
    상기 받침보강철근(17)에 무수축 몰탈(18)을 타설한 후, 습윤양생하는 제4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 받침상부 고정부재(10c)를 거더(8)의 측면부와 크로스 빔(9)의 하부측 전체에 걸쳐 설치한 후, 거더(8) 사이의 대략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교각(15)의 표면에 콘크리트 치핑을 통하여 최대한 거칠게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을 상기 받침상부 고정부재(10c)와 대향되게 설치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에 의해서 크로스 빔(9)의 전체에 설치된 받침상부 고정부재(10c)에 수평력 댐퍼(7)를 설치하는 제2 공정과;
    상기 교각(15)에 형성된 받침하부 지지용 설치홈(16)에 받침보강철근(17)을 설치하는 제3 공정과;
    상기 받침보강철근(17)에 무수축 몰탈(18)을 타설한 후, 습윤양생하는 제4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기존 포트받침(1)의 교축방향 전.후면에, 케미컬 앵커(22)에 의해서 수평력 댐퍼(7)의 상부를 거더(8)의 하부면에 고정하는 제1 공정과;
    케미컬 앵커(22)에 의해서 교각(15)의 코핑부에 브라켓(23)을 설치하여 수평력 댐퍼(7)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2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60049970A 2006-06-02 2006-06-02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KR100809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970A KR100809065B1 (ko) 2006-06-02 2006-06-02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970A KR100809065B1 (ko) 2006-06-02 2006-06-02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548A Division KR100845028B1 (ko) 2007-09-19 2007-09-19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73A KR20070115473A (ko) 2007-12-06
KR100809065B1 true KR100809065B1 (ko) 2008-03-03

Family

ID=3914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970A KR100809065B1 (ko) 2006-06-02 2006-06-02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0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06B1 (ko) 2017-10-31 2018-06-19 정찬욱 교량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869207B1 (ko) 2017-10-31 2018-07-20 정찬욱 교량하부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887313B1 (ko) 2017-10-31 2018-08-09 정찬욱 희생수단을 이용한 교량 내진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364B1 (ko) * 2022-05-11 2023-07-12 장한택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208A (ko) * 1999-09-28 1999-12-06 김선평 상부·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교좌장치의 설치 및 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208A (ko) * 1999-09-28 1999-12-06 김선평 상부·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교좌장치의 설치 및 보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06B1 (ko) 2017-10-31 2018-06-19 정찬욱 교량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869207B1 (ko) 2017-10-31 2018-07-20 정찬욱 교량하부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887313B1 (ko) 2017-10-31 2018-08-09 정찬욱 희생수단을 이용한 교량 내진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73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028B1 (ko)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KR100809065B1 (ko)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KR100977280B1 (ko) 교각의 빔 인상 플레이트
KR100885874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대한 내진보강 및 낙교방지 기능을갖는 정착식 브라켓 어셈블리
CN110396919B (zh) 一种装配式钢结构-混凝土组合桥梁及其施工方法
JP4667266B2 (ja) 杭式桟橋
KR100809064B1 (ko)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JP2011021332A (ja) 免震構造の構築方法
JP4137287B2 (ja) 高耐久性構造埋設型枠工法
JP3898509B2 (ja) 既設弾性支承の機能変更補修工法
JP2001003313A (ja) 橋梁用支承装置の据え付け構造および据え付け方法
KR20120100052A (ko) 유압잭을 이용한 측방유동교각 보정방법 및 세굴 보강구조
KR101341847B1 (ko) 기능분리형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JP5041481B2 (ja) 既設支承装置の更新方法及び更新構造
KR200227579Y1 (ko)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균열부보수구조
JP5356010B2 (ja) 基礎補強構造
KR101951455B1 (ko) 힌지핀이 구비된 슬림형 강재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2009068295A (ja) 高架構造物
KR20080105208A (ko)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03656B1 (ko) 잔교식 부두와 슬래브-보 구조물의 개수 및 보수공법
CN218147761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桥墩
CN211200438U (zh) 一种高强度建筑工程用桩基结构
JP3864164B2 (ja) 高架橋の防振構造および施工方法
KR100979487B1 (ko)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98542B1 (ko)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