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372B1 -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 - Google Patents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372B1
KR102320372B1 KR1020210049016A KR20210049016A KR102320372B1 KR 102320372 B1 KR102320372 B1 KR 102320372B1 KR 1020210049016 A KR1020210049016 A KR 1020210049016A KR 20210049016 A KR20210049016 A KR 20210049016A KR 102320372 B1 KR102320372 B1 KR 10232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adhesive film
adhesive
aluminum foil
density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현성
Original Assignee
나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현준 filed Critical 나현준
Priority to KR102021004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26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에 관한 것으로, 18~30wt%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30~38wt%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접착성 수지 및 28~38wt% 폴리에틸렌-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 혼합물이 배합되어 필름형태로 압출 성형된 것으로, 단열재의 발포체와 알루미늄 호일 사이에서 발포체에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시키는 접착제로 사용되어, 발포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체 및 환경에 친화적이며, 작업 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The adhesive film for building insulator}
본 발명은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 제조 시, 필름 형태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인체 및 환경에 친화적이며,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발포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콘크리트 및 벽돌을 사용하여 외벽을 형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콘크리트 및 벽돌에는 미세한 기공이 존재하여, 단열 시공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그 기공들을 통해 열이 빠져나가거나, 외부의 차가운 공기 또는 더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을 지을 때 단열재 시공은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이다. 단열재는 열율이 작고, 흡습, 흡수성이 적고, 내열도가 높으며 가볍고 난연성인 특성이 요구되며, EPS(Expanded Poly Styrene), XPS(eXtruded Poly Styrene) 등의 발포체가 많이 사용된다. 근래에는 단열성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시킨 단열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허문헌 1은 건축물용 친환경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원단에 알루미늄 호일을 결합한 것을 단열재로 사용함으로써, 화재에 강하고, 운반 및 시공성과 더불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원단과 알루미늄 호일의 결합 시 접착제로 핫멜트 접착제가 사용됨으로써,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며, 발포수지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알루미늄 보강 박지가 부착된 건축용 발포성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 박지에 유리섬유 망사와 보강지를 순차적으로 접착시킨 것을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단열성 및 방수, 방습 효과를 증대시킨 것이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2는 스티로폼 발포체와 유리섬유 망사 및 보강지 등의 접합 시, 열가소성수지 또는 열경화성수지 접착제가 사용되며, 단열효과 향상을 위해 유리섬유가 사용됨으로써,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며,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3은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반사형 단열재의 내 외부에 알루미늄 호일 층을 형성함으로써, 반사율을 높여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결로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3은 단열재 제조 시, 양면접착테이프를 접착제로 사용함으로써, 알루미늄 호일 층의 구겨짐과 변형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접착부분의 이탈 및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4는 단열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다공성 무기 미립자, 바인더 및 가소제, 증점제 등의 기타 첨가제로 구성된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단열작업 시 효율이 높고, 단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4는 액상 혼합물인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발포체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4271호 (공고일자: 2004.03.10)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0887호 (공고일자: 2004.05.20) 등록특허공보 제10-1137505호 (공고일자: 2012.04.20) 등록특허공보 제10-0850965호 (공고일자: 2008.08.12)
본 발명은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에 관한 것으로, 발포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인체 및 환경에 친화적이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필름 형태로 압출 성형한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단열재에 사용되며, 발포체와 알루미늄 호일 사이에 놓여지는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접착 필름은 18~30wt%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30~38wt%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계 접착성 수지 및 28~38wt% 폴리에틸렌-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 혼합물로 배합되어, 압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 필름에는 120℃ 이하의 온도의 열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에 관한 것으로, 필름형태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발포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형태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인체 및 자연 친화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형태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을 사용한 단열재 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에 의해 발포체에 알루미늄 호일이 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건축물 단열재(1)용 접착 필름(2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조성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계 접착성 수지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 혼합물
조성비 18~30 30~38 28~38
<표 1.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조성비>
표 1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조성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접착성 수지 및 폴리에틸렌-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 혼합물이 배합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접착 필름으로, 이때 배합되는 조성물의 조성비 단위는 wt%이다.
먼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은 일반적으로 저밀도의 에틸렌 중합체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고체이다.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결정성이 낮으며, 0.91~0.93의 밀도를 가진다. 고압하 소량의 산소와 과산화물에 의해 에틸렌을 중합하는 고압법으로 얻어지며, 기계적 강도는 떨어지지만 가공성이 우수하며, 전기절연성, 내수성, 방습성, 내합성이 양호하여, 포장용기 전선피복, 파이프 섬유, 포장재료 등에 주로 사용된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계 접착성 수지는 밀도가 낮은 사슬모양으로 분자구조가 선형 구조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변형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다. 강도와 가공성이 좋고, 알루미늄, 금속, 유리섬유, 셀룰로오스 등에 접착력이 뛰어나, 강관코팅, 난연 전선 컴파운드, 알루미늄 파이프/복합 판넬 등에 주로 사용된다.
폴리에틸렌-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 혼합물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접착성 수지 혼합물로, 폴리에틸렌과 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가 혼합된 것이다. 폴리에틸렌-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 혼합물은 알루미늄 및 스틸 등에 접착력이 뛰어나, 강관코팅, 알루미늄 복합 판넬 등에 주요하게 사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조성비로 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8~30wt%
저밀도 폴리에틸렌, 30~38wt%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접착성 수지, 28~38wt% 폴리에틸렌-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 혼합물로 배합된다.
먼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18~30wt%의 조성비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4wt% 조성비로 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18wt% 미만으로 배합될 경우, 제품의 성형성 및 인장강도, 연신율 등의 기능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30wt% 초과의 비율로 배합될 경우, 제품 성형성 및 기능성 저하, 제품의 권취 시 주름 발생 및 두께 변화로 인한 편차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계 접착성 수지는 30~38wt%의 조성비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8wt% 조성비로 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계 접착성 수지가 30wt% 미만으로 배합될 경우, 접착력 저하 및 녹는점, 연화점 등의 열적 특성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38wt% 초과의 비율로 배합될 경우 항복점, 파단점, 연신율, 굴곡탄성율, 굴곡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 변형 및 압출기의 스크류 압 저하 및 부하와 같은 기계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폴리에틸렌-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 혼합물은 28~38wt%의 조성비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8wt% 조성비로 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폴리에틸렌-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 혼합물이 28wt% 미만으로 배합될 경우,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38wt% 초과로 배합될 경우, 녹는점, 연화점 등의 열적 특성 변화, 항복점, 파단점, 연신율, 굴곡탄성율, 굴곡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 변형, 압출기의 스크류 압 저하 및 부하, 권취 시 주름 발생 및 두께 변화로 인한 제품의 불량률 증가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된 단열재(1) 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포체(10)와 알루미늄 호일(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먼저, 발포체(10)는 준불연 EPS이다. 준불연 EPS는 돌, 시멘트 등과 같은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지는 준불연 소재와 발포폴리스타이렌(EPS: Expanded polystyrene)을 혼합한 것이다. 이후, 발포체(10)의 상부에는 접착 필름(20)이 올려지고, 접착 필름(20)의 상부로는 알루미늄 호일(30)이 올려져 층이 형성된다. 알루미늄 호일(30)은 보온 단열재로 사용되는 것이다. 발포체(10)에 알루미늄 호일(30)을 부착하게 되면, 단열 효과 상승 및 소음 방지, 결로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인 접착 필름(20)은 발포체(10)와 알루미늄 호일(30) 사이에 위치되어, 알루미늄 호일(30)을 발포체(10)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로 사용된다.
도 2는 단열재(1)의 발포체(10)에 알루미늄 호일(30)이 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발포체(10)에 알루미늄 호일(30)을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과 같이 발포체(10)와 알루미늄 호일(30) 사이에 위치한 접착필름(20)에 열을 가한다. 이때, 가해지는 열의 온도는 120℃ 이하의 온도이다. 이는 120℃ 이상의 온도로 열을 가하게 되면, 발포체(1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열을 가하게 되면, 가해진 열에 의해 접착필름(20)이 용융되면서 발포체(10)에 알루미늄 호일(30)이 접착된 상태가 된다.
1 : 단열재 10 : 발포체
20 : 접착필름 30 : 알루미늄 호일

Claims (2)

  1. 건축물 단열재를 구성하는 발포체(10)에 보온성을 가진 알루미늄 호일(30)을 접착시키는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필름(20)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10)는 준불연소재와 발포폴리스타이렌(EPS)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필름(20)은 상기 발포체(10)와 상기 알루미늄 호일(30)의 사이에 위치하며 120℃ 이하의 온도의 열을 가하면 용융되며 상기 발포체(10)에 상기 알루미늄 호일(30)을 접착시키게 되며;
    상기 접착필름(20)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24wt%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계 접착성 수지 38wt% 및 폴리에틸렌-말레산 무수물 에텐 중합체 혼합물 38wt%을 배합하여 필름 형태로 압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필름.

  2. 삭제
KR1020210049016A 2021-04-15 2021-04-15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 KR102320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16A KR102320372B1 (ko) 2021-04-15 2021-04-15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16A KR102320372B1 (ko) 2021-04-15 2021-04-15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372B1 true KR102320372B1 (ko) 2021-11-01

Family

ID=7851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016A KR102320372B1 (ko) 2021-04-15 2021-04-15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3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271Y1 (ko) 2003-12-10 2004-03-10 (주)소프트백코리아 건축용 친환경 단열재
KR100428558B1 (ko) * 1999-12-07 2004-04-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열용사용의 접착성 및 저점성을 갖는 개질된 폴리에틸렌 제조방법
KR200350887Y1 (ko) 2004-02-28 2004-05-20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알루미늄 보강박지가 부착된 건축용 발포성 단열재
KR100850965B1 (ko) 2008-02-25 2008-08-12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단열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KR100851599B1 (ko) * 2007-05-23 2008-08-12 주식회사 투에이취켐 알루미늄 하니컴 판넬용 접착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37505B1 (ko) 2010-07-08 2012-04-20 주식회사 에스앤피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101877796B1 (ko) * 2017-05-23 2018-07-13 금정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난연성 핫멜트 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난연성 핫멜트 필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558B1 (ko) * 1999-12-07 2004-04-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열용사용의 접착성 및 저점성을 갖는 개질된 폴리에틸렌 제조방법
KR200344271Y1 (ko) 2003-12-10 2004-03-10 (주)소프트백코리아 건축용 친환경 단열재
KR200350887Y1 (ko) 2004-02-28 2004-05-20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알루미늄 보강박지가 부착된 건축용 발포성 단열재
KR100851599B1 (ko) * 2007-05-23 2008-08-12 주식회사 투에이취켐 알루미늄 하니컴 판넬용 접착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850965B1 (ko) 2008-02-25 2008-08-12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단열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KR101137505B1 (ko) 2010-07-08 2012-04-20 주식회사 에스앤피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101877796B1 (ko) * 2017-05-23 2018-07-13 금정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난연성 핫멜트 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난연성 핫멜트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933B1 (ko) 난연성 경량 복합패널
WO2017026716A1 (ko) 폴리에스테르 발포체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복합체 및 이의 용도
RU2380230C2 (ru) Плоская структура, состоящая из связанного комплекта соприкасающихся ячеек в виде клеток
KR100851599B1 (ko) 알루미늄 하니컴 판넬용 접착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680822B1 (ko) 비할로겐계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US20130189511A1 (en) High Strength Multilayered Articles
CN101186133A (zh) 一种高分子复合耐热防水片材及其制备方法
CN110281625A (zh) 一种防水卷材用外晒抗老化复合膜
EP2351891A1 (en) Insulation material with mechanical strength and building elements and composites made thereof
KR102320372B1 (ko)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
CN112721339A (zh) 一种环保的高分子复合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EP3244118B1 (en) Shaped article for a non-sag flexible insulation
US20110171456A1 (en) Insulation material providing structural integrity and building elements and composites made thereof
KR100533577B1 (ko) 다층 복합형 방수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1246556C (zh) 防水保温发泡卷材及其制造方法
KR102319816B1 (ko) 복수의 기능성 발포층을 포함하는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WO2006053393A1 (en) Composition for sound insulating sheet material with gelatine, glycerine and other materials
KR102057228B1 (ko) 알루미늄 복합 판넬 코어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복합 판넬 코어재 제조용 마스터 배치 칩 및 알루미늄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KR980008550A (ko) 합판대체용 열가소성고분자 복합패널
JPH02151637A (ja) 棟瓦固定構造材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212046262U (zh) 玄武岩纤维建筑保温板
KR102620810B1 (ko)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8996B1 (ko) 내열성 및 투명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20406B2 (ko)
KR100546008B1 (ko) 유리섬유가 함유된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