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355B1 - Fire door in building - Google Patents

Fire door in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355B1
KR102320355B1 KR1020210022331A KR20210022331A KR102320355B1 KR 102320355 B1 KR102320355 B1 KR 102320355B1 KR 1020210022331 A KR1020210022331 A KR 1020210022331A KR 20210022331 A KR20210022331 A KR 20210022331A KR 102320355 B1 KR102320355 B1 KR 102320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ver
installation
fire protec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용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22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3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3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oor structure for firefighting, which enables people to temporarily evacuate,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med with an installation groove; a fire screen formed to be unfoldable; a first cover screen provided with a female Velcro; a second cover screen provided with a male Velcro; a pair of regulation devices; and a cover fitted and coupl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Description

소방용 방화문 구조{FIRE DOOR IN BUILDING}Fire door structure {FIRE DOOR IN BUILDING}

본 발명은 소방용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건축물의 내측에 위치한 사람이 대피를 이루기 힘이든 경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방화막 구성을 통하여 화재로부터 사람이 임시대피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소방용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oor structure for fire fighting,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and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located inside the building to evacuate, a person is temporarily evacuated from the fire through the fire screen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It relates to a fire door structure for firefighting that can be achieved.

건축물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란,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연기와 열기가 방화문을 통하여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A fire door structure installed in a building means that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in the building, smoke and heat can be blocked through the fire door.

위와 같은 방화문은 대개, 건축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와 같이 건축물의 통로를 이루는 곳에 설치된다.The fire door as above is usually installed in a place that forms the passage of the building, such as the entrance or entrance of the building.

이는, 건축물의 통로를 이루는 부위에 방화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사용하는 것이며,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방화문을 닫아, 방화문을 통하여 화재와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This is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and smoke through the fire door by installing a fire door in the part that forms the passage of the building and using it as a passage through which people can normally move, and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he fire door is closed.

이를 위하여 종래의 방화문 구조는 화재에 강하고 외부 충격에도 견고히 견딜 수 있는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필요에 따라 방화문 구조를 이루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단열재가 설치되어 구성된다.To this end, the conventional fire door structure is general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is strong against fire and can withstand external shocks. If necessary, a heat insulator is installed inside the frame constituting the fire door structure.

이와 같이, 건축물의 통로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방화문 구조는 문헌(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람이 이동을 이룰 수 있는 통로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사람이 조절하여 개폐를 이룰 수 있고,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화재의 연기와 열기를 차단할 수 있는 방화문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In this way, as shown in the document (1), the conventional fire door structure installed and used in the passage of a building is installed in a passage through which a person can move, so that the person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in normal times, and there is a fire. In case of occurrence, a fire door structure that can block the smoke and heat of a fir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방화문 구조들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방화문이 설치된 위치로 화재의 열기와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방화문을 통하여 대피를 이루고자 하는 사람들이 방화문 주위로 몰리는 경우에는, 방화문의 주위에 몰린 사람들에게 대피공간을 제공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fire door structures such as document (1) can prevent the spread of heat and smoke to the location where the fire door is installed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but people who want to evacuate through the fire door In the case of crowding, it was difficult to provide an evacuation space to the people crowding around the fire door.

또한,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는, 비상구나 창문으로 대피를 이루기 힘이든 사람들이 방화문의 주위로 몰려,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due to the above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people who have difficulty evacuating through an emergency exit or a window gather around the fire door, causing a lot of casualties.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60568호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Office No. 20-036056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방화문에 구비된 방화막 구성을 통하여 방화문의 주위로 몰린 사람들이 화재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First, even in the event of a fire in a building, the fire screen provided on the fire door allows people gathered around the fire door to be protected from fire.

둘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사람들이 방화문의 주위로 몰리는 경우에도 화재의 열기와 연기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임시피난처를 제공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Second, even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and people flock to the vicinity of the fire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many casualties by providing a temporary shelter where they can escape from the heat and smoke of the fire.

셋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지지프레임의 설치홈에 위치된 방화막을 사용자가 손쉽게 펼쳐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도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Third, the fire protection membrane locat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of the support frame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pread it and use it without a complicated configuration, so that even the elderly or people with limited mobility can use it quickly and conveniently.

넷째, 방화막, 제1덮개막, 제2덮개막, 보조방화막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화막의 내측으로 임시 대피한 사람들이 화재의 열기와 연기로 인하여 신체적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대피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Fourth, by configuring the fire screen, the first cover screen, the second cover screen, and the auxiliary fire screen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interconnected, it prevents the people who temporarily evacuated to the inside of the fire screen from causing physical damage due to the heat and smoke of the fire. Ensure safe evacu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화문을 설치하기 위한 통로의 이미 설정된 부위에 설치되며, 전면 중심 부위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방화문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외측 테두리 부위 전면으로는 '∩'자 형상을 이루는 설치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측 중심 부위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대응되는 안내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으로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는 방화막과, 상기 방화막의 전면 테두리 부위 내측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공간의 전면을 가리도록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으로 펼쳐지는 테두리 부위의 내측면에는 암밸크로가 구비된 제1덮개막과, 상기 제1덮개막과 마주보게 상기 방화막의 전면 테두리 부위 내측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공간의 전면을 가리도록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으로 펼쳐지는 테두리 부위의 외측면에는 상기 암밸크로와 탈착 가능한 숫밸크로가 구비된 제2덮개막과, 상기 방화막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방화문이 설치되는 통로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안내롤러와, 상기 안내롤러의 전면에 이격 설치되는 고정고리와,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연결되고 체결고리가 구비된 타단이 상기 안내롤러의 하부를 감싸도록 안내되어 상기 고정고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절와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안내공간을 중심으로 방화막의 전면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절장치와,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홈의 내측으로 방화막이 삽입될 시, 상기 방화막과 제1덮개막, 제2덮개막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도록 설치홈에 끼움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연결고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인접한 부위에는 복수개의 접힘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lready set portion of a passage for installing a fire door, and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a fire door equipped with a handle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edge of the installation space A support frame having an installation groove formed in a '∩' shape is formed, and a guide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the other end A fire barrier formed so as to be expandable toward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one end is connected to one surface inside the front edge of the fire barrier, and the other end is formed so as to be expandable so as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guide space, and to the installation space A first overcoat provided with an arm velcro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nfolded edge portion, and on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front edge of the fire barrier to face the first overcoat, and the other end points to the front of the guide space a second cover membrane provided with the female Velcro and detachable male Velcro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that is spread out into the installation space, a connection ring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fire screen, and the fire door A guide roller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ed passage, a fixing ring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olle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and the other end having a fastening ring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A pair of adjusting devices which are guided and are composed of a control wir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xing ring and installed to face the front of the fire screen around the guide space,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 cover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fire barrier, the first cover film, and the second cover film when the fire barrier is inserted inside,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plurality of cover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rings. A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folding grooves may be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eating groove.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설치공간의 하부와 인접한 전면으로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는 일단이 상기 고정홈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홈의 전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조방화막이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 is further formed with a fixing groove on the front side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fixing groove has an auxiliary fire barrier formed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groove and the other end can be drawn out to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groove. It may be further installed and configured.

또한, 상기 제1덮개막과 제2덮개막의 하단 테두리 부위 전면에는 고정밸크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에서 인출되는 보조방화막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밸크로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밸크로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velcro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ing membranes, and a connection velcro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velcro is further provided at an end of the auxiliary fire protection membrane drawn out from the fixing groove. can be configur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방화문에 구비된 방화막 구성을 통하여 방화문의 주위로 몰린 사람들이 화재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First, even in the event of a fire in a building, the fire screen provided on the fire door allows people gathered around the fire door to be protected from fire.

둘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사람들이 방화문의 주위로 몰리는 경우에도 화재의 열기와 연기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임시피난처를 제공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Second, even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and people flock to the vicinity of the fire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many casualties by providing a temporary shelter where they can escape from the heat and smoke of the fire.

셋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지지프레임의 설치홈에 위치된 방화막을 사용자가 손쉽게 펼쳐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도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Third, the fire protection membrane locat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of the support frame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pread it and use it without a complicated configuration, so that even the elderly or people with limited mobility can use it quickly and conveniently.

넷째, 방화막, 제1덮개막, 제2덮개막, 보조방화막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화막의 내측으로 임시 대피한 사람들이 화재의 열기와 연기로 인하여 신체적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대피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Fourth, by configuring the fire screen, the first cover screen, the second cover screen, and the auxiliary fire screen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interconnected, it prevents the people who temporarily evacuated to the inside of the fire screen from causing physical damage due to the heat and smoke of the fire. Ensure safe evacuation.

도 1은 본 발명인 소방용 방화문 구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소방용 방화문 구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소방용 방화문 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소방용 방하문 구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소방용 방하문 구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소방용 방하문 구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fire door structure for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e door structure for fire fightin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fire-fighting fire door structure is install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fire protection door structure.
Figure 5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fire protection door structure.
Figure 6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fire protection door structur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can be'.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can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방화문을 설치하기 위한 통로의 이미 설정된 부위에 설치되며, 전면 중심 부위에는 손잡이(1a)가 구비된 방화문(1)이 설치되는 설치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11)의 외측 테두리 부위 전면으로는 '∩'자 형상을 이루는 설치홈(12)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설치홈(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측 중심 부위에는 상기 설치공간(11)과 대응되는 안내공간(21)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면으로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는 방화막(20)과, 상기 방화막(20)의 전면 테두리 부위 내측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공간(21)의 전면을 가리도록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11)으로 펼쳐지는 테두리 부위의 내측면에는 암밸크로(31a)가 구비된 제1덮개막(31)과, 상기 제1덮개막(31)과 마주보게 상기 방화막(20)의 전면 테두리 부위 내측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공간(21)의 전면을 가리도록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11)으로 펼쳐지는 테두리 부위의 외측면에는 상기 암밸크로(31a)와 탈착 가능한 숫밸크로(32a)가 구비된 제2덮개막(32)과, 상기 방화막(2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는 연결고리(41)와, 상기 방화문(1)이 설치되는 통로의 바닥면(2)에 설치되는 안내롤러(42)와, 상기 안내롤러(42)의 전면에 이격 설치되는 고정고리(43)와,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41)에 연결되고 체결고리(44a)가 구비된 타단이 상기 안내롤러(42)의 하부를 감싸도록 안내되어 상기 고정고리(4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절와이어(44)로 구성되어 상기 안내공간(21)을 중심으로 방화막(20)의 전면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절장치(40)와, 상기 설치홈(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홈(12)의 내측으로 방화막(20)이 삽입될 시, 상기 방화막(20)과 제1덮개막(31), 제2덮개막(3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도록 설치홈(12)에 끼움 결합되는 덮개(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50)는 상기 연결고리(4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안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인접한 부위에는 복수개의 접힘홈(5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space 11 in which the fire door 1 provided with the handle 1a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ide, and the installation space 11 ) on the front of the outer edge of the support frame 10 having an installation groove 12 formed in a '∩' shape, and the installation space 11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A guide space 21 corresponding to the 2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edge portion, the other end is formed so as to be expandable to cover the front of the guide space 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that extends into the installation space 11 has an arm velcro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vercoat 31 provided with 31a and the inner side of the front edge of the fire protection film 20 to face the first overcoat 3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uide space ( 21) is formed so as to be expandable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11, 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that extends into the installation space 11, the second cover film (31a) and the detachable male Velcro (32a) are provided ( 32), a connecting ring 41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fire barrier 20, a guide roller 42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2 of the passage in which the fire door 1 is installed, and the A fixing ring 43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oller 42 and the other e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41 and provided with a fastening ring 44a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42 . A pair of adjusting devices 40 that are guided and are composed of an adjustment wire 44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xing ring 43 and installed facing the front of the fire barrier 20 around the guide space 21 . And,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and when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the fire protection film 20, the first cover film 31, the first 2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overcoat 3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50 fitted to the lock installation groove 12, and the cover 50 has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51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ring 41, and the seating A plurality of folding grooves 52 are form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groove.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방화문(1)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통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로에 형성된 벽체에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된다.The support frame 10 is to be installed in the passage of the building where the fire door 1 is to be installed, and more particularly, it is formed to be installed on the wall formed in the passage.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방화문(1)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11)이 전면 중심 부위에 형성되어 방화문(1)이 설치된 후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설치홈(12)은 상기 설치공간(11)의 외측 테두리 부위 전면에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 10 is configured such that an installation space 11 in which the fire door 1 can be installe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o that the fire door 1 can be opened and closed after the fire door 1 is installed, and the installation groove 12 ) is formed to form a '∩' sha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edge of the installation space 11 .

또한, 상기 방화막(20)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홈(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12)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6 ,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

이러한 구성은, 상기 설치홈(12)에 방화막(20)의 일단이 연결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방화막(20)의 전면이 설치홈(12)에서 인출되는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면으로 방화막(20)이 펼쳐지게 구성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one end of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drawn out from the installation groove 12, FIGS. 4 to 6 . As shown in,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configured to be spread over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frame 10 .

그리고 상기 방화막(2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설치공간(11)과 대응되는 안내공간(21)이 내측 중심 부위에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면으로 방화막(20)이 펼쳐지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방화문(1)을 이동하는 사람이 상기 방화막(20)의 안내공간(21)을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And the fire barrier 20 is configured by forming a guide space 21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11 of the support frame 10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so that the fire barrier ( Even when 20) is unfolded, a person who moves the fire door 1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0 can move through the guide space 21 of the fire barrier 20 .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방화막(20)이 지지프레임(10)의 전면으로 펼쳐지는 경우, 상기 안내공간(21)에 사람이 위치될 수 있게 구성하여, 건축물에 발생 된 화재로부터 임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in FIGS. 4 to 6 , when the fire barrier 20 is unfolded in front of the support frame 10 , it is configured so that a person can be positioned in the guide space 21 , This will provide a space for temporary evacuation from the fire.

또한, 상기 제1덮개막(31)은 도 1, 도 2, 도 4,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화막(20)의 전면 테두리 부위 내측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화막(20)이 지지프레임(10)의 전면에서 펼쳐지는 경우, 상기 방화막(20)의 안내공간(21)을 가릴 수 있도록 펼쳐지게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2, 4, and 5, the first overcoat 31 is configured to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edge of the fire barrier 20, When the membrane 20 is unfolded from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10 , it is configured to be unfolded so as to cover the guide space 21 of the fire protection film 20 .

또한, 상기 제2덮개막(32)은 도 1, 도 2, 도 4,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덮개막(31)과 마주보는 위치를 이루도록 상기 방화막(20)의 전면 테두리 부위 내측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방화막(20)이 지지프레임(10)의 전면으로 펼쳐지는 경우, 상기 방화막(20)의 안내공간(21)을 가릴 수 있도록 펼쳐지게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2, 4, and 5 , the second overcoat 32 faces the front edge of the fire protection film 20 to form a position facing the first overcoat 31 .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part, and when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unfolded toward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10, it is unfolded so as to cover the guide space 21 of the fire protection film 20 will be.

이러한, 상기 제1덮개막(31)과 제2덮개막(32)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덮개막(31)과 제2덮개막(32)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설치홈(12)으로 방화막(20)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화막(20)과 같이, 설치홈(12)의 내측에 보관되는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홈(12)에서 방화막(20)이 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화막(20)의 전면에 제1덮개막(31)과 제2덮개막(32)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overcoat 31 and the second overcoat 3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irst overcoat 31 and the second overcoat 32 are the support frame 10 . When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like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t is stored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12, and as shown in FIGS. 4 to 6, the installation groove When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drawn out in (12), the first overcoat 31 and the second overcoat 32 are position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e protection film 20 .

그리고 상기 방화막(20)이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면으로 펼쳐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덮개막(31)과 제2덮개막(32)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방화막(20)의 안내공간(21) 전면을 가리도록 결합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이루기 위하여, 상기 제1덮개막(31)의 전면 테두리 부위의 내측면에는 암밸크로(31a)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덮개막(32)의 전면 테두리 부위의 외측면에는 상기 암밸크로(31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숫밸크로(32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And as shown in FIGS. 4 to 6 , when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spread out to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10 , the first overcoat 31 and the second overcoat 32 are shown in FIG. As in 5, it is coupl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guide space 21 of the fire protection membrane 20,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coupling more easily,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edge of the first overcoat 31 has An arm velcro 31a is provided and configured, and a male velcro 32a detachably coupled to the arm velcro 31a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cover film 32 and is configured.

이러한 구성은 즉,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면으로 펼쳐진 방화막(20)의 전면으로 제1덮개막(31)과 제2덮개막(32)이 구비되게 구성됨으로써, 화재로부터 대피하고자 하는 사람이 방화막(20)의 안내공간(21)으로 들어간 후에는, 상기 제1덮개막(31)가 제2덮개막(32)이 방화막(20)의 안내공간(21)을 가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안내공간(21)에 위치된 사람이 화재의 열기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that is,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cover film 31 and the second cover film 32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e prevention film 20 spread ou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 , after the person who wants to evacuate from the fire enters the guide space 21 of the fire barrier 20 , the first overcoat 31 and the second overcoat 32 move into the guide space of the fire barrier 20 ( 21) is coupled to cover, and a person located in the guide space 21 is configured to be protected from the heat of fire.

또한, 상기 조절장치(4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화막(2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는 연결고리(41)와, 상기 방화문(1)이 설치되는 통로의 바닥면(2)에 설치되는 안내롤러(42)와, 상기 안내롤러(42)의 전면에 이격 설치되는 고정고리(43)와,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41)에 연결되고 체결고리(44a)가 구비된 타단이 상기 안내롤러(42)의 하부를 감싸도록 안내되어 상기 고정고리(4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절와이어(44)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6 , the control device 40 includes a connection ring 41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fire barrier 20 and the bottom of the passage in which the fire door 1 is installed. A guide roller 42 installed on the surface 2, a fixing ring 43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oller 42,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41 and a fastening ring 44a The other end is guid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42 and is composed of an adjustment wire 44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xing ring 43 .

이러한 구성은,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 되는 경우, 사람이 상기 조절와이어(44)를 당겨, 연결고리(41)가 구비된 방화막(20)이 지지프레임(10)의 설치홈(12)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안내롤러(42)의 하부를 감싸도록 안내되어 연결되는 조절와이어(44)의 구성을 통하여 당기는 힘이 약한 사람도 조절와이어(44)를 용이하게 당겨 방화막(20)을 펼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in a building, a person pulls the control wire 44, and the fire barrier 20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ring 41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of the support frame 10 ( 12), so that even a person with a weak pulling force can easily use the adjustment wire 44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wire 44 that is guided and connect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42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unfold the fire barrier 20 by pulling.

또한, 상기 안내롤러(42)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화막(20)의 전면에 마주보게 한 쌍이 설치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조절와이어(44)를 용이하게 당겨 지지프레임(10)의 전면으로 방화막(20)을 펼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안내롤러(42)의 설치되는 갯 수와,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ller 42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so that a pair is installed to 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fire barrier 20, but the control wire 44 is easily pul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If the fire barrier 20 can be unfolded, the number and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guide rollers 42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installed.

또한, 상기 덮개(5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홈(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홈(12)에 끼움 결합 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설치홈(12)의 내측에 삽입된 방화막(20), 제1덮개막(31), 제2덮개막(3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 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장치(40)의 작동에 따라 설치홈(12)에서 분리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cover 5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and is configured to be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 and is usual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2 . ) to prevent the fire protection membrane 20, the first covering membrane 31, and the second covering membrane 32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the control device ( 4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installation groove 12 according to the operation.

이때, 상기 덮개(50)는 상기 연결고리(4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안착홈(5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41)와 조절와이어(44)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안착홈(51)과 인접한 부위에는 복수개의 접힘홈(52)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12)에 끼움 결합된 덮개(50)가 조절장치(40)의 작동에 따라 설치홈(12)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ver 50 has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51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ring 41 so that the connection ring 41 and the adjustment wire 44 are easily installed. A plurality of folding grooves 52 are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eating groove 51 so that the cover 50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device 40 . ) is configured to be more easily separated from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간(11)의 하부와 인접한 전면으로 고정홈(13)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홈(13)에는 일단이 상기 고정홈(13)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홈(13)의 전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조방화막(6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6 , the support frame 10 is configured by further forming a fixing groove 13 on the front side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11 , and the fixing groove 13 .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fire protection film (6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xing groove (13) and the other end being able to be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fixing groove (13).

그리고 상기 제1덮개막(31)과 제2덮개막(32)의 하단 테두리 부위 전면에는 고정밸크로(71)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홈(13)에서 인출되는 보조방화막(60)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밸크로(71)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밸크로(72)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 fixing velcro 71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lower edg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ing films 31 and 32 , and the auxiliary fire protection film 60 is drawn out from the fixing groove 13 . )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velcro 72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velcro 71 at the end thereof.

이러한 구성은,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덮개막(31)과 제2덮개막(32)이 방화막(20)의 안내공간(21)을 가리도록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고정홈(13)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방화막(60)의 단부가 방화막(20)이 펼쳐진 바닥면(2)의 상부로 펼쳐지게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보조방화막(60)의 단부에 구비된 연결밸크로(72)가 제1덮개막(31)과 제2덮개막(32)의 하단 테두리 부위 전면에 구비된 고정밸크(71)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방화막(20)의 안내공간(21) 내측으로 화재의 열기와 연기가 침투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 when the first overcoat 31 and the second overcoat 32 are connected to cover the guide space 21 of the fire protection film 20 , the The end of the auxiliary fire protection film 60 that is retractably installed in the fixing groove 13 is configured to be spread over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2 on which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spread, and even in this case, the auxiliary fire protection film 60 is The connection velcro 72 provided at the e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velcro 71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first cover film 31 and the second cover film 32, so that th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vent the penetration of heat and smoke of fire into the guide space 21 .

그리고 화재의 열기로 인하여 방화문 구조가 설치된 통로의 바닥면이 가열되는 경우에도 상기 보조방화막(60)의 구성을 통하여, 방화막(20)의 안내공간(21)에 위치된 사람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nd even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ssage in which the fire door structure is installed is heated due to the heat of the fir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fire barrier 60, the body of a person located in the guide space 21 of the fire barrier 20 is damaged. that can be prevented from happening.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recognized in the art that various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방화문 1a: 손잡이
2: 바닥면 10: 지지프레임
11: 설치공간 12: 설치홈
13: 고정홈 20: 방화막
31: 제1덮개막 31a: 암밸크로
32: 제2덮개막 32a: 숫밸크로
40: 조절장치 41: 연결고리
42: 안내롤러 43: 고정고리
44: 조절와이어 44a: 체결고리
50: 덮개 51: 안착홈
52: 접힘홈 60: 보조방화막
71: 고정밸크로 72: 연결밸크로
1: fire door 1a: handle
2: bottom surface 10: support frame
11: Installation space 12: Installation groove
13: fixing groove 20: fire screen
31: first overcoat 31a: arm velcro
32: second cover film 32a: male velcro
40: adjuster 41: linkage
42: guide roller 43: fixing ring
44: control wire 44a: fastening hook
50: cover 51: seating groove
52: folding groove 60: auxiliary fire barrier
71: fixed velcro 72: connection velcro

Claims (3)

방화문을 설치하기 위한 통로의 이미 설정된 부위에 설치되며, 전면 중심 부위에는 손잡이(1a)가 구비된 방화문(1)이 설치되는 설치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11)의 외측 테두리 부위 전면으로는 '∩'자 형상을 이루는 설치홈(12)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설치홈(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측 중심 부위에는 상기 설치공간(11)과 대응되는 안내공간(21)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면으로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는 방화막(20)과,
상기 방화막(20)의 전면 테두리 부위 내측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공간(21)의 전면을 가리도록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11)으로 펼쳐지는 테두리 부위의 내측면에는 암밸크로(31a)가 구비된 제1덮개막(31)과,
상기 제1덮개막(31)과 마주보게 상기 방화막(20)의 전면 테두리 부위 내측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공간(21)의 전면을 가리도록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11)으로 펼쳐지는 테두리 부위의 외측면에는 상기 암밸크로(31a)와 탈착 가능한 숫밸크로(32a)가 구비된 제2덮개막(32)과,
상기 방화막(2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는 연결고리(41)와, 상기 방화문(1)이 설치되는 통로의 바닥면(2)에 설치되는 안내롤러(42)와, 상기 안내롤러(42)의 전면에 이격 설치되는 고정고리(43)와,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41)에 연결되고 체결고리(44a)가 구비된 타단이 상기 안내롤러(42)의 하부를 감싸도록 안내되어 상기 고정고리(4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절와이어(44)로 구성되어 상기 안내공간(21)을 중심으로 방화막(20)의 전면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절장치(40)와,
상기 설치홈(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홈(12)의 내측으로 방화막(20)이 삽입될 시, 상기 방화막(20)과 제1덮개막(31), 제2덮개막(3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도록 설치홈(12)에 끼움 결합되는 덮개(5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50)는 상기 연결고리(4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안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인접한 부위에는 복수개의 접힘홈(52)이 형성되어 구성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설치공간(11)의 하부와 인접한 전면으로 고정홈(13)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3)에는
일단이 상기 고정홈(13)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홈(13)의 전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조방화막(6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1덮개막(31)과 제2덮개막(32)의 하단 테두리 부위 전면에는 고정밸크로(71)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13)에서 인출되는 보조방화막(60)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밸크로(71)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밸크로(72)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방화문 구조.
It is installed in an already set portion of the passage for installing the fire door, and the installation space 11 in which the fire door 1 provided with the handle 1a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front center portion, and the outer edge of the installation space 11 is formed. A support frame 10 having an installation groove 12 formed in a '∩' shape on the front side of the part,
A guide space 21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11 is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and the other end is the support frame ( 10) and a fire protection film 20 formed so as to be expandable to the front side;
On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front edge of the fire protection film 20 ,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expandable to cover the front of the guide space 21 , and the inside of the edge extending into the installation space 11 . A first cover film 31 provided with an arm velcro 31a on the side surface,
On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front edge of the fire protection film 20 to face the first cover film 31 ,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expandable so as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guide space 21 , the installation A second cover film 32 provided with the female velcro 31a and a detachable male velcro 32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that extends into the space 11,
The connecting ring 41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fire barrier 20, the guide roller 42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2 of the passage where the fire door 1 is installed, and the guide roller 42 ) and a fixing ring 43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on the front side,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ing 41 and the other end provided with a fastening ring 44a is guided so as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42 and the fixed A pair of adjusting devices 40, which are composed of a control wire 44 selectively coupled to the ring 43, and are installed to face the front of the fire barrier 20 around the guide space 21,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 and when the fire protection film 2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 the fire protection film 20 , the first cover film 31 , and the second cover Includes a cover 50 that is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membrane 32,
The cover 50 has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51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rings 41, and a plurality of folding grooves 52 are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eating grooves,
The support frame 10 is
A fixing groove 13 is further formed in the front side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11,
The fixing groove 13 has
An auxiliary fire protection film (6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xing groove (13) and the other end being able to be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fixing groove (13) is further installed,
A fixing velcro 71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first cover film 31 and the second cover film 32,
A fire door structure for fire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the end of the auxiliary fire protection membrane (60) drawn out from the fixing groove (13), a connection velcro (72)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velcro (71) is further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22331A 2021-02-19 2021-02-19 Fire door in building KR1023203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31A KR102320355B1 (en) 2021-02-19 2021-02-19 Fire door in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31A KR102320355B1 (en) 2021-02-19 2021-02-19 Fire door in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355B1 true KR102320355B1 (en) 2021-11-02

Family

ID=7847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331A KR102320355B1 (en) 2021-02-19 2021-02-19 Fire door in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35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68Y1 (en) 2004-06-12 2004-08-30 이명현 The fire door with structure
KR100967563B1 (en)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Evacuation apparatus
KR101950172B1 (en) * 2018-08-27 2019-02-21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re door in building
KR102126192B1 (en) * 2019-12-20 2020-06-24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The fireproof petal which is establish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68Y1 (en) 2004-06-12 2004-08-30 이명현 The fire door with structure
KR100967563B1 (en)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Evacuation apparatus
KR101950172B1 (en) * 2018-08-27 2019-02-21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re door in building
KR102126192B1 (en) * 2019-12-20 2020-06-24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The fireproof petal which is establish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8321B2 (en) Fire evacuation installation
KR102026629B1 (en) A preventing fire spread between floor of a building
KR101962656B1 (en) Disaster Escaping System Equipped with Gate for Skyscraper
WO2012107005A1 (en) Building fire escape system and refuge chamber
CN110799250B (en) Fire or other disaster evacuation facility in a building
KR100996129B1 (en) Foldable rescue device
EP2849855A2 (en) Smoke or fire barrier
KR101412211B1 (en) 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KR102320355B1 (en) Fire door in building
KR101892255B1 (en)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102360322B1 (en) Fire door in building
KR20130103132A (en) Eemergency shelter apparatus a hatch type
KR20150102832A (en) 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GB2538520B (en) Anti-barricade fire door
KR102084984B1 (en) Emergency exit for buildings
KR102193098B1 (en) Ladder device for escape
KR20120028525A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130047815A (en) A concealed evacuation-ladder with changeable bodyframe
KR101130970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230112464A (en) Fire evacuation railing
KR20120028526A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2322186B1 (en) Balcony railing for emergency evacuation buildings
KR20080073882A (en) Gondola for escape from an unforeseen accident
JPH0988446A (en) Door device
KR100993102B1 (en) Screen shutter for fire prev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