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172B1 - Fire door in building - Google Patents

Fire door in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172B1
KR101950172B1 KR1020180100331A KR20180100331A KR101950172B1 KR 101950172 B1 KR101950172 B1 KR 101950172B1 KR 1020180100331 A KR1020180100331 A KR 1020180100331A KR 20180100331 A KR20180100331 A KR 20180100331A KR 101950172 B1 KR101950172 B1 KR 10195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flame retardant
pipe
supply pip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유석
Original Assignee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0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1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1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oor structure in a building, which enables a person to temporarily escape from heat of fire through a flame retardant tent provided in a fire door. The fire door structure installed in a building comprises: a floor body; a fixing frame; a water supply unit; a flame retardant unit; and a discharge pipe.

Description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FIRE DOOR IN BUILDING}{FIRE DOOR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비상구나 창문으로 건축물의 내측에 위치한 사람이 대피를 이루기 힘든 경우, 방화문에 구비된 난연천막을 통하여 화재의 열기로부터 임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oor structure for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door structure for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door structure for a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oor structure for a building which can be temporarily evacuated.

방화문이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연기와 열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 fire door is used to prevent smoke and heat from spreading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이러한 방화문은 특히,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의 현관이나 출입구 등에 설치된다.Such a fire door is especially installed in the entrance or exit of a multi-family house such as an apartment or a villa.

이때, 벽체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문틀은 화재에 강하고 견고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며, 방화문으로 전달되는 열기가 다른 쪽의 방향으로 쉽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는 단열부재가 채워지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door frame of the fire door provided on the wall is usually formed of a strong metal material resistant to fire.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transferred to the fire door from being easily transmitted to the other door, will be.

그리고 벽체에 설치된 문틀의 내측으로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며, 도어와 방화문의 연결이 힌지 등으로 연결되어 벽체에 설치된 문틀의 내측에서 도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oor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frame installed on the wall, and the door is connected to the door through a hinge or the like so that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on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installed on the wall.

이러한 구성은 즉, 사용자가 문틀에 설치된 도어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의 계폐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 grasps the handle of the door installed in the door frame to achieve the door closing.

예컨대, 종래의 방화문은 문헌(1)에서와 같이, 문틀 상에 경첩으로 방화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fire door, as in the document (1), a fire door is opened and closed with a hinge on the door frame.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은 화재가 발생 되는 지점의 연기와 열기를 차단할 수 있는 목적은 이룰 있으나, 어느 한 편에서 발생 된 화재의 열기가 다른 한편으로 손쉽게 전달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fire door has the object of blocking the smoke and heat at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of the fire generated from one side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other side.

또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비상구나 창문으로 사람이 대피를 이루기 힘든 경우에는 건축물의 통로에 설치된 방화문 주위로 몰려 방화문 주위에서 인명피해가 발생 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종래의 방화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피장소를 제공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ire in a building, in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evacuate through an emergency window or a window,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fire damage is generated around the fire door of the building,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place to evacuate.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60568호Korean Registration Practical No. 20-036056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건축물의 내측에 위치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ce where people inside the building can evacuate.

둘째, 제한된 공간에서도 복잡한 장비 없이 화재로부터 임시 대피할 수 있는 비상 대피 장소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Secondly, it is possible to quickly provide an emergency evacuation site that can evacuate from a fire without complicated equipment even in a limited space.

셋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도 급수부, 난연천막, 배출관의 구성을 통하여 화재의 열기와 연기로부터 임시 대피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even if a fire occurs in a build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fire by providing a place to temporarily evacuate from the heat and smoke of the fir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supply section, the flame retardant tent, and the discharge pip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에 있어서, 방화문을 설치하기 위한 통로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한 쌍의 연결고리 및 바닥밸크로가 구비된 바닥체; 내측 중심부로 도어가 연결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설치홈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수용공간의 개폐가 가능하게 덮개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을 중심으로 한 양 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암밸크로가 구비되어 통로가 형성된 건축물의 벽체에 직립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이 설치된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물통과,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물통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안내되게 설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되,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물통의 물이 급수관으로 전달되는 것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로 구성된 급수부; 상기 설치홈의 내측 길이 방향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와, 길이 방향 테두리 부위에 수밸크로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홈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회전롤러에 감기도록 연결되고 인출이 이루어지는 단부에는 당김고리가 구비된 난연천막으로 구성된 난연부; 상기 급수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분기되게 형성되어 상기 난연천막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부착되며, 난연천막과 부착이 이루어지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이 설치된 건축물의 벽체에는 상기 급수부와 대향되게 위치된 보조물통과,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물통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급수관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보조급수관과, 상기 보조급수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설치되는 감열부재로 구성된 보조급수부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e door structure installed in a building, comprising: a bottom member provided with a pair of connecting rings and a bottom valve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passage for installing a fire door;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a door is connected to an inner central portion is formed, and an installation groov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on an inner side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ver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stationary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uilding, the stationary frame being provided upright on a wall of a building in which a passage is forme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other end guid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ntrol valve which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control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o be transmit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 fixing pin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unting groove in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groove; a rotary roller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in; and a male ball provided at a longitudinal edge of the fixing groove, And a flame retardant tent which is connected to the rotary roller so as to be wound and is wound on the end of the flame retardant tent; And a discharge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other end branched so as to be radial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me retardant tent film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in a portion where adhesion with the flame retardant tent film is formed, An auxiliary water pipe disposed at a wall of the building opposite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having a cylindrical pipe shap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bottle and the other end guid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an auxiliary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thermal member install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암밸크로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전원부를 통하여 작동되는 복수개의 LED램프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fixed fram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ED lamps which are operated through a power supply unit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m balance.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암밸크로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산소탱크함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산소탱크함에는 산소호흡기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stationary frame may further include an oxygen tank at a position not interfering with the arm balancer, and the oxygen tank may include an oxygen respirator.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건축물의 내측에 위치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ce where a person located inside the building can evacuate.

둘째, 제한된 공간에서도 복잡한 장비 없이 화재로부터 임시 대피할 수 있는 비상 대피 장소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quickly provide an emergency evacuation site that can be temporarily evacuated from a fire without any complicated equipment even in a limited space.

셋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도 급수부, 난연천막, 배출관의 구성을 통하여 화재의 열기와 연기로부터 임시 대피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Third, even if a fire occurs in a build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fire by providing a place to temporarily evacuate from the heat and smoke of the fir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flame retardant tent, and the discharge pipe.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의 사용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door structure for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 fire door structure for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installation of a fire door structure for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fire door structure for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에 있어서, 방화문을 설치하기 위한 통로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한 쌍의 연결고리(11) 및 바닥밸크로(12)가 구비된 바닥체(10); 내측 중심부로 도어(2)가 연결되는 설치공간(20a)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내측에 수용공간(21a)을 갖는 설치홈(21)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1)에는 수용공간(21a)의 개폐가 가능하게 덮개(22)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설치공간(20a)을 중심으로 한 양 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암밸크로(23)가 구비되어 통로가 형성된 건축물의 벽체(1)에 직립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이 설치된 건축물의 벽체(1)에 매립되는 물통(31)과,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물통(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내측으로 안내되게 설치되는 급수관(32)과, 상기 급수관(32)에 연결되되, 고정프레임(20)의 상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물통(31)의 물이 급수관(32)으로 전달되는 것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3)로 구성된 급수부(30); 상기 설치홈(21)의 내측 길이 방향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핀(41)과, 상기 고정핀(41)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42)와, 길이 방향 테두리 부위에 수밸크로(43a)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홈(21)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회전롤러(42)에 감기도록 연결되고 인출이 이루어지는 단부에는 당김고리(43b)가 구비된 난연천막(43)으로 구성된 난연부(40); 상기 급수관(3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분기되게 형성되어 상기 난연천막(43)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부착되며, 난연천막(43)과 부착이 이루어지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배출공(50a)이 형성된 배출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0)이 설치된 건축물의 벽체(1)에는 상기 급수부(30)와 대향되게 위치된 보조물통(61)과,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보조물통(6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급수관(32)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급수관(62)과, 상기 급수관(6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설치되는 감열부재(63)로 구성된 보조급수부(6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oor structure provided on a building, comprising: a bottom member (10) provided with a pair of connecting rings (11) and a bottom valve (1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passage for installing a fire door; An installation space 20a in which a door 2 is connected to an inner center portion is formed and an installation recess 21 having a receiving space 21a in an inner side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ver 22 is connected to the space 21a so that the space 21a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space 20a are vertically provided with an armvalve 23, A fixed frame 20 installed upright on the frame 20; A water pipe 31 embedded in the wall 1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fixed frame 20 is installed and a water pipe 3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container 31 in a cylindrical pipe shap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a And a water supply pipe 32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20 to control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pipe 31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A water supply part 30 composed of a control valve 33; A fixing pin 41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groove 21, a rotating roller 42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in 41, And a flame retardant tent (43) having a pulling ring (43b) provided at an end where the flap (43a) is drawn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roller (42) (40);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50a ar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and the other end is branched so as to be radial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me retardant tent 43, An auxiliary water pipe 61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water supply unit 30 in a wall 1 of a building in which the fixed frame 20 is installed, A water supply pipe 62 which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tank 61 and whose other end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a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And an auxiliary water supply unit (60) composed of a thermal member (63).

상기 바닥체(10)는 방화문이 설치되는 통로의 바닥면을 말하는 것이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한 쌍의 연결고리(11) 및 바닥밸크로(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bottom body 10 refers to a bottom surface of a passage in which a fire door is installed and comprises a pair of connection rings 11 and a bottom valve 12 as shown in Figs.

상기 연결고리(11)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힘 가능하게 상기 바닥체(10)에 설치 구성하여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바닥체(10)와 밀착되게 접혀, 바닥체(10)의 상부로 사용자가 용이한 이동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ring 11 is foldably fol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body 10 when the bottom body 10 is not used, So that the user can move easily.

또한, 상기 바닥밸크로(12)는 상기 바닥체(10)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하거나, 접착이 이루어지는 부위가 바닥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ottom valve 12 may protrud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body 10 or may be installed so that a portion to be adhered is inserted into the bottom body 10.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0)은 방화문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프레임(20)은 방화문의 설치시, 다수개의 프레임이 벽체(1)에 설치되어 고정프레임(20)을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내측에 도어(2)가 연결될 수 있게 설치공간(20a)이 형성된 사각형의 일체형 프레임으로 형성하여 벽체(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stationary frame 20 is a frame for installing a fire door, and when the fire door is installed, a plurality of frames are installed on the wall 1 to form the stationary frame 20 Or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integral frame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20a so that the door 2 can be connected to the inside thereof and fixed to the wall body 1.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0)은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내측에 수용공간(21a)이 형성된 설치홈(21)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설치홈(21)에는 수용공간(21a)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22)가 연결되게 구성된다.1 and 2, the stationary frame 20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21 having a receiving space 21a formed on an upper side thereof. The mounting groove 21 has a receiving space 21a, And a lid 22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lid 21a is connected.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양 측면에는 고정프레임(20)이 설치되는 수직 방향으로 암밸크로(2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20, an arm balance 23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frame 20 is installed.

또한, 상기 급수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0)이 설치된 벽체(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벽체(31)에 매립 설치되는 물통(31)과, 상기 물통(3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내측으로 안내되게 설치되는 급수관(32)과, 상기 급수관(32)에 연결되어 급수관(32)을 통하여 이동되는 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밸트(33)로 구성된다.1 to 3, the water supply unit 30 is installed inside the wall 1 provided with the fixed frame 20 and includes a water tank 31 embedded in the wall 31, A water supply pipe 3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tank 31 and the other end guid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a and a water supply pipe 32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And an adjusting belt 33 for adjusting the movement of water.

이때, 상기 물통(31) 및 급수관(32)은 방화문의 설치시에 벽체(1)의 내측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조절밸브(33)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0)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급수관(32)과 연결되게 구성된다.1 and 2, the water tank 31 and the water supply pipe 32 are installed so as to be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wall 1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fire door, (20)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또한, 상기 난연부(40)의 고정핀(41)은 상기 설치홈(21)의 내측 길이 방향 양단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회전롤러(42)의 길이 방향 단부가 결합 된 후 용이한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fixing pin 41 of the stubby portion 40 is provided to be protru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mounting groove 21 so as to be easily rotated after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otating roller 42 is engaged do.

또한, 상기 회전롤러(42)의 외측부에는 난연천막(43)이 감기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난연천막(43)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롤러(42)에 감기는 길이 방향으로 수밸크로(43a)가 구비되고, 인출이 이루어지는 단부에는 당김고리(43b)가 설치되어 구성된다.1 to 4, the flame retarding tent 43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ller 42 so that the flame retarding tent 43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roller 42, And a pulling collar 43b is provided at an end where the pulling out is made.

이러한 구성은 즉,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프레임(20)의 설치홈(21)에 구비된 회전롤러(42)를 회전시켜, 설치홈(21)의 외측 방향으로 난연천막(43)을 인출시킨 후에 난연천막(43)에 구비된 당김고리(43b)를 바닥체(1)에 구비된 연결고리(11)에 결합시키고, 난연천막(43)에 구비된 수밸크로(43a)를 바닥체(1)에 구비된 바닥밸크로(12)와 고정프레임(20)에 구비된 암밸크로(23)에 접착시켜,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20)의 전면으로 난연천막(43)이 돔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2 to 4, 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ry roller 42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21 of the stationary frame 20 and rotate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groove 21, The pulling ring 43b provided on the flame retardant tent 4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oop 11 provided on the bottom body 1 and the male valve 43a Is attached to the bottom valve 12 provided on the bottom body 1 and the arm bolt 23 provided on the fixed frame 20 so as to be fixed to the front face of the fixed frame 20 The flame retardant tent film 43 is formed in a dome shape.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방화문의 전면으로 난연천막(43)을 인출하여 사용자가 피할 수 있는 임시 대피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함으로써, 난연천막(43)의 내측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동안에 화재의 열기와 연기로부터 안전하게 피난을 이룰 수 있게 된다.When a fire occurs in the build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lame retarding tent 43 is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fire door to easily form a temporary escape space that can be avoid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safely evacuate from the heat of fire and smoke.

이때, 상기 난연천막(43)은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me retardant tents 43 are formed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which does not burn well.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난연천막(43)을 통하여 화재의 열기를 더욱 용이하게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난연천막(43)의 상면으로 상기 급수관(32)과 연결된 배출관(50)이 방사상으로 부착되게 구성된다.3 and 4, in order to more easily avoid the heat of the fire through the flame retardant tent 43, the flame retardant tent 43 is provided with the water supply pipe 32 ) Is radially attached.

이러한 구성은,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급수부(30)의 물통(31)과 보조급수부(60)의 보조물통(61)에 담긴 물이 급수관(32)의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급수관(32)과 연결된 배출관(50)을 따라 이동되고, 그 후에 배출관(50)에 형성된 배출공(50a)을 통하여 도 4에서와 같이 흘러나오게 됨으로써, 고정프레임(20)의 전면에 돔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난연천막(43)으로 물이 공급되어 화재의 열기로부터 사용자가 더욱 용이한 피난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a fire occurs,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31 of the water supply unit 30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61 of the auxiliary water supply unit 60 is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32, And then flows out through the discharge hole 50a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50 as shown in FIG. 4, thereby forming a flame retardant Water is supplied to the awning 4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vacuate from the heat of the fire.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급수관(32)과 연결된 조절밸트(33)를 사용자가 조절함으로써, 급수관(32)과 연결된 배출관(50)으로 물통(31)의 물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보조물통(61)과 연결되 보조급수관(62) 및 감열부재(63)의 구성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 된 지점의 열기를 상기 감열부재(63)가 감지하는 경우, 보조물통(61)의 물이 보조급수관(62)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보조물통(61)의 물을 보조급수관(62)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전달하여 보조급수관(62)과 연결된 급수관(32)으로 용이한 물의 공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user adjusts the adjustment belt 33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to adjust and supply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pipe 31 to the discharge pipe 5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The water in the auxiliary water pipe 61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pipe (not shown) when the thermal element 63 senses the heat at the point where the fire is generated through the constitution of the auxiliary water pipe 62 and the thermal member 63, The water in the auxiliary water pipe 61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auxiliary water pipe 62 so that water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water pipe 32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pipe 62.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20)에는 상기 암밸크로(23)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전원부(70)를 통하여 작동되는 복수개의 LED램프(71)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The fixed frame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 lamps 71 that are operat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70 at position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armvaluch 23.

이는,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70)가 이를 감지하여 LED램프(71)를 점등시킴으로써, 전기시설이 화재로 인하여 손상되는 경우에도 피난을 이룬 사용자의 위치를 구조자가 용이하게 확인하여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the power source unit 70 senses it and lights the LED lamp 71 so that the rescuer easily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evacuated user even if the electric facility is damaged due to fire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achieved.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원부(70)는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여 건축물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LED램프(71)를 용이하게 점등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70 includes a battery (not shown) so that the LED lamp 71 can be easily turned on even when power to the building is cut off.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0)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암밸크로(23)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산소탱크함(24)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산소탱크함(24)에는 산소호흡기(8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1 and 2, the fixed frame 20 is further formed with an oxygen tank box 24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mvalve 23, An oxygen breathing apparatus 80 is provided.

이는, 고정프레임(20)의 전면에 돔 형태를 이루도록 난연천막(43)을 설치한 후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난연천막(43)의 내측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경우에도 상기 산소호흡기(80)를 착용하여 화재의 연기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4, when the user waits for the structure inside the flame retardant awning 43, the oxygen respirator 8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So as to be safely evacuated from the smoke of the fir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벽체 2: 도어
10: 바닥체 11: 연결고리
12: 바닥밸크로 20: 고정프레임
20a: 설치공간 21: 설치홈
21a: 수용공간 22: 덮개
23: 암밸크로 24: 산소탱크함
30: 급수부 31: 물통
32: 급수관 33: 조절밸브
40: 난연부 41: 고정핀
42: 회전롤러 43: 난연천막
43a: 수밸크로 43b: 당김고리
50: 배출관 50a: 배출공
60: 보조급수부 61: 보조물통
62: 보조급수관 63: 감열부재
70: 전원부 71: LED램프
80: 산소호흡기
1: wall 2: door
10: bottom body 11: connecting ring
12: Bottom bracket 20: Fixed frame
20a: Installation space 21: Installation home
21a: accommodation space 22: cover
23: Female valve 24: Oxygen tank
30: Water supply part 31: Bucket
32: water pipe 33: regulating valve
40: I-edge 41: Fixing pin
42: rotating roller 43: flame retardant tent
43a: Male valve 43b: Bending ring
50: discharge pipe 50a: discharge pipe
60: auxiliary water supply unit 61: auxiliary water tank
62: auxiliary water supply pipe 63:
70: Power supply unit 71: LED lamp
80: Oxygen respirator

Claims (3)

건축물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에 있어서,
방화문을 설치하기 위한 통로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한 쌍의 연결고리(11) 및 바닥밸크로(12)가 구비된 바닥체(10);
내측 중심부로 도어(2)가 연결되는 설치공간(20a)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내측에 수용공간(21a)을 갖는 설치홈(21)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1)에는 수용공간(21a)의 개폐가 가능하게 덮개(22)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설치공간(20a)을 중심으로 한 양 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암밸크로(23)가 구비되어 통로가 형성된 건축물의 벽체(1)에 직립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이 설치된 건축물의 벽체(1)에 매립되는 물통(31)과,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물통(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내측으로 안내되게 설치되는 급수관(32)과, 상기 급수관(32)에 연결되되, 고정프레임(20)의 상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물통(31)의 물이 급수관(32)으로 전달되는 것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3)로 구성된 급수부(30);
상기 설치홈(21)의 내측 길이 방향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핀(41)과, 상기 고정핀(41)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42)와, 길이 방향 테두리 부위에 수밸크로(43a)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홈(21)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회전롤러(42)에 감기도록 연결되고 인출이 이루어지는 단부에는 당김고리(43b)가 구비된 난연천막(43)으로 구성된 난연부(40);
상기 급수관(3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분기되게 형성되어 상기 난연천막(43)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부착되며, 난연천막(43)과 부착이 이루어지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배출공(50a)이 형성된 배출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0)이 설치된 건축물의 벽체(1)에는 상기 급수부(30)와 대향되게 위치된 보조물통(61)과,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보조물통(6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급수관(32)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급수관(62)과, 상기 급수관(6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설치되는 감열부재(63)로 구성된 보조급수부(60)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설치홈(21)에 구비된 회전롤러(42)를 회전시켜, 설치홈(21)의 외측 방향으로 난연천막(43)을 인출시키고, 난연천막(43)에 구비된 당김고리(43b)를 바닥체(1)에 구비된 연결고리(11)에 결합시키며, 난연천막(43)에 구비된 수밸크로(43a)를 바닥체(1)에 구비된 바닥밸크로(12)와 고정프레임(20)에 구비된 암밸크로(23)에 접착시키는 경우, 고정프레임(20)의 전면으로 난연천막(43)이 돔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고정프레임(20)에는 상기 암밸크로(23)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전원부(70)를 통하여 작동되는 복수개의 LED램프(71)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0)에는 상기 암밸크로(23)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산소탱크함(24)이 더 형성되며, 상기 산소탱크함(24)에는 산소호흡기(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
In a fire door structure installed in a building,
A bottom body 10 provided with a pair of connecting rings 11 and a bottom valve 12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passage for installing a fire door;
An installation space 20a in which a door 2 is connected to an inner center portion is formed and an installation recess 21 having a receiving space 21a in an inner side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ver 22 is connected to the space 21a so that the space 21a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space 20a are vertically provided with an armvalve 23, A fixed frame 20 installed upright on the frame 20;
A water pipe 31 embedded in the wall 1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fixed frame 20 is installed and a water pipe 3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container 31 in a cylindrical pipe shap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a And a water supply pipe 32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20 to control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pipe 31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A water supply part 30 composed of a control valve 33;
A fixing pin 41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groove 21, a rotating roller 42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in 41, And a flame retardant tent (43) having a pulling ring (43b) provided at an end where the flap (43a) is drawn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roller (42) (40);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50a ar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and the other end is branched so as to be radial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me retardant tent 43, And a discharge pipe (50) formed therein,
The wall 1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fixed frame 20 is installed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ter tank 61 located opposite to the water supply unit 30 and one end of a cylindrical pipe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tank 61, And the other end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21a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2. The auxiliary water supply unit 62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62, (60) is further installed,
The rotating roller 42 provided in the mounting groove 21 of the stationary frame 20 is rotated to pull out the flame retardant tent 43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mounting groove 21, The pulling collar 43b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loop 11 provided on the bottom body 1 and the male valve 43a provided on the flame retardant tent 43 is connected to the bottom valve 12 When the flame retardant tentative membrane 43 is adhered to the arm bolt 23 provided on the fixed frame 20, the flame retardant tent film 43 is formed in a dome-
The fixed frame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 lamps 71 which are operat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70 at positions not interfering with the arm balancer 23,
The fixed frame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xygen tank box 24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m valve 23 and the oxygen tank box 24 is provided with an oxygen ventilator 80 Structure of fire doors for building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00331A 2018-08-27 2018-08-27 Fire door in building KR1019501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331A KR101950172B1 (en) 2018-08-27 2018-08-27 Fire door in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331A KR101950172B1 (en) 2018-08-27 2018-08-27 Fire door in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172B1 true KR101950172B1 (en) 2019-02-21

Family

ID=6558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331A KR101950172B1 (en) 2018-08-27 2018-08-27 Fire door in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17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355B1 (en) * 2021-02-19 2021-11-02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Fire door in building
KR102360322B1 (en) * 2021-05-21 2022-02-09 주식회사 건일씨엠 Fire door in building
KR102549727B1 (en) 2023-03-17 2023-06-30 주식회사 우리도어 Fire Door Equipped with Flame and Heat Blocking Structure
KR20230139725A (en) 2022-03-28 2023-10-05 합자회사 원진설비 Fire door in build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68Y1 (en) 2004-06-12 2004-08-30 이명현 The fire door with structure
KR100967563B1 (en)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Evacuation apparatus
KR20120020744A (en) * 2010-08-31 2012-03-08 장종복 Screen type fireproof shutter insulating he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68Y1 (en) 2004-06-12 2004-08-30 이명현 The fire door with structure
KR100967563B1 (en)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Evacuation apparatus
KR20120020744A (en) * 2010-08-31 2012-03-08 장종복 Screen type fireproof shutter insulating hea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355B1 (en) * 2021-02-19 2021-11-02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Fire door in building
KR102360322B1 (en) * 2021-05-21 2022-02-09 주식회사 건일씨엠 Fire door in building
KR20230139725A (en) 2022-03-28 2023-10-05 합자회사 원진설비 Fire door in building
KR102549727B1 (en) 2023-03-17 2023-06-30 주식회사 우리도어 Fire Door Equipped with Flame and Heat Block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172B1 (en) Fire door in building
US11839779B2 (en) Fire evacuation room
KR20060109400A (en) Escaping device of the building with a room for a fire escape
US20160047161A1 (en) Fireproof doorframe having water curtai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576614B1 (en) Fire door with Smoke cutoff structure
CN109707293A (en) A kind of accessible fire resistant doorsets with escape route
KR102308356B1 (en) Fire evacuation chamber
KR101188140B1 (en)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the manhole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JP2017223103A (en) Differential pressure relaxation type quick operation double hinged door
KR101035860B1 (en)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the manhole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KR101826906B1 (en) Fire ventilation open and close apparatus
KR101701085B1 (en) Emergency escape door of fireproof shutter
JP2780073B2 (en) Evacuation door
CN113982439A (en) Anti-explosion fire rescue door
KR101919984B1 (en) Entrance door apparatus with prevention function of apartment house
KR101591231B1 (en) Emergency gate with evacuation space
KR20210132547A (en) A Top-down evacuation ladder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folding ladder
KR101045024B1 (en)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the manhole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KR100987888B1 (en) Screen shutter for fire prevention
KR100823581B1 (en) One body type multi-function window
KR20050000045A (en) Reclaimed emergency escape descending device
KR101188141B1 (en)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the manhole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KR101507514B1 (en) Air pockets can be evacuated from the disaster
CN218479759U (en) Smoke-proof zone-by-zone cascade stage and separate control smoke exhaust system
WO2022030208A1 (en)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tent and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sheet for 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