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119B1 -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119B1
KR102320119B1 KR1020200073202A KR20200073202A KR102320119B1 KR 102320119 B1 KR102320119 B1 KR 102320119B1 KR 1020200073202 A KR1020200073202 A KR 1020200073202A KR 20200073202 A KR20200073202 A KR 20200073202A KR 102320119 B1 KR102320119 B1 KR 10232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stopper
anchor
point
ancho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훈성
Original Assignee
(주)에쓰에이오프쇼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쓰에이오프쇼어 filed Critical (주)에쓰에이오프쇼어
Priority to KR102020007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8Stoppers for anch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의 계류 구조체를 인장시키는 앵커 체인의 장력을 바지선 내에서 수평으로 조절하여 날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바지선의 흔들림으로 인해 공사 기간이 늘어나 작업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지선의 선상에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인 가이딩 레일, 체인 가이딩 레일을 따라 배열된 앵커 체인을 파지하기 위한 제1 체인 스토퍼, 및 제1 체인 스토퍼에 연동되며, 제1 체인 스토퍼에 의해 파지된 앵커 체인을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MOORING LINE TENSION ADJUS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의 계류 구조체를 인장시키는 앵커 체인의 장력을 바지선 내에서 수평으로 조절하여 날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바지선의 흔들림으로 인해 공사 기간이 늘어나 작업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생산, 시추 플랫폼, 건설 플랫폼, 스파 부표(spar buoy)와 같은 계류 구조체는 해저 상의 앵커와 플랫폼 사이에 고정된 체인 또는 케이블의 사용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정박된다.
조류와 파도, 바람 등으로부터 계류 구조체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계선 장치에는 안벽이나 부이(Buoy)에 계선줄(Mooring Rope)로 연결시켜서 고정하는 계류 장치(Mooring Equipment)와, 임의의 수면에서 정해진 위치에 앵커(닻; Anchor)와 앵커 체인(묘쇄; Anchor Chain)으로 파지력을 통하여 고정하는 앵커링 장치(Anchoring Apparatus)가 있다.
기존에는 기중기선을 계류 구조체 인근으로 이동시킨 후 기중기선의 크레인으로 해저에 임시로 배치된 앵커 체인의 단부를 해상으로 올리고, 기 설정된 장력을 가지도록 기중기선으로 올린 앵커 체인의 단부를 앵커링 장치를 통해 계류 장치에 계지하는 것으로써 장력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기중기선으로부터 높게 위치하는 크레인으로 장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날씨 등의 환경적 원인으로 인해 기중기선이 흔들리게 되면 기 설정된 장력을 조절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등록특허 제6348418호는 장력이 부여되는 체인의 하부와 상부를 하나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가지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오프쇼어(offshore)선 및 설비의 계류 레그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6348418호(2018.06.08,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상의 계류 구조체를 인장시키는 앵커 체인의 장력을 바지선 내에서 수평으로 조절하여 날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바지선의 흔들림으로 인해 공사 기간이 늘어나 작업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를 통해 파지된 앵커 체인을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기 설정된 장력에 대응하도록 앵커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는 해상의 계류 구조체를 인장시키는 앵커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바지선(barge)의 선상에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인 가이딩 레일; 상기 체인 가이딩 레일을 따라 배열된 앵커 체인을 파지하기 위한 제1 체인 스토퍼; 및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에 연동되며,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에 의해 파지된 앵커 체인을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된 앵커 체인을 파지하기 위한 제2 체인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체인 스토퍼에 의해 앵커 체인이 파지되면, 상기 제1 체인 스토퍼는 앵커 체인의 파지를 해제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제1 체인 스토퍼를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으로 복귀한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에 의해 앵커 체인이 파지되면, 상기 제2 체인 스토퍼는 앵커 체인의 파지를 해제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에 의해 파지된 앵커 체인을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는 두 개가 구비되며, 상기 체인 가이딩 레일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인 스토퍼는, 수평 회전에 의해 앵커 체인의 양 측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제1 그루버와, 상기 한 쌍의 제1 그루버 각각에 상반된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1 구동부와, 일면에 상기 한 쌍의 제1 그루버와 상기 제1 구동부가 탑재되고 타면에서 상기 유압 실린더와 결합되는 이동 패널(moving pane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의 길이 방향 이동을 견고하게 보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guide bar)와, 각 가이드 바가 관통되는 한 쌍의 지지 구조체(bar supporting structure)가 더 배치되며, 상기 제1 체인 스토퍼를 구성하는 상기 이동 패널의 양 단은 각각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인 스토퍼는, 상하 회전을 이용하여 앵커 체인을 파지하는 제2 그루버와, 상기 제2 그루버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그루버 및 상기 제2 구동부가 탑재되는 고정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인 가이딩 레일은, 앵커 체인 중 수직 상태 체인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과, 앵커 체인 중 수평 상태 체인이 놓여 지는 두 개의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인 가이딩 레일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가이딩 레일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 타단에 배치되는 제2 가이딩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딩 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딩 레일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돌출 형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형성부는 바다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상의 계류 구조체를 인장시키는 앵커 체인의 장력을 바지선 내에서 수평으로 조절하여 날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바지선의 흔들림으로 인해 공사 기간이 늘어나 작업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를 통해 파지된 앵커 체인을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기 설정된 장력에 대응하도록 앵커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에서 유압 실린더가 제1 체인 스토퍼를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에서 유압 실린더가 제1 체인 스토퍼를 제2지점에서 제1지점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100)는, 해상의 계류 구조체를 인장시키는 앵커 체인(10)의 장력을 조절한다.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100)는 앵커 체인(10)을 수평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장력을 조절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되므로 기중기선을 이용한 수직 장력 조절 방식 대비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제1 체인 스토퍼(120), 제2 체인 스토퍼(130), 유압 실린더(140), 체인 가이딩 레일인 제1 가이딩 레일(150), 제2 가이딩 레일(160)을 포함하고, 지지 구조체(170) 및 가이드 바(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해 바지선(barge)(20)의 선상에 체결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일정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제1 체인 스토퍼(120), 제2 체인 스토퍼(130), 유압 실린더(140), 제1 가이딩 레일(150), 제2 가이딩 레일(160), 지지 구조체(170) 및 가이드 바(180)가 배치된다.
제1 체인 스토퍼(12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앵커 체인(10)의 장력을 조절할 때 앵커 체인(10)을 파지 했다가 놓는 동작을 반복한다. 제1 체인 스토퍼(120)는 체인 가이딩 레일(150, 160)을 따라 배열된 앵커 체인(10)을 파지할 수 있다.
제1 체인 스토퍼(120)는 회전력 전달에 의한 좌우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 체인 가이딩 레일(150, 160)을 따라 배열된 앵커 체인(10)을 파지하거나 해제하도록 제어된다.
제1 체인 스토퍼(120)는 앵커 체인(10)을 파지하면 유압 실린더(140)에 의해 앵커 체인(10)을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제2 체인 스토퍼(130)에 의해 앵커 체인(10)이 파지되면 앵커 체인(10)의 파지를 해제한다.
제1 체인 스토퍼(120)는 제1 구동부(121), 이동 패널(122), 한 쌍의 제1 그루버(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구동부(121)는 이동 패널(122)에 탑재되고, 한 쌍의 제1 그루버(123) 각각에 상반된 회전력을 인가한다. 제1 구동부(121)는 하나의 제1 그루버(123)에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하면 다른 제1 그루버(123)에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하여 한 쌍의 제1 그루버(123)가 상호 모아졌다가 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121)는 유압식, 전기식, 기계식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제1 그루버(123) 각각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구동 방식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동 패널(122)은 일면에 제1 구동부(121)와 한 쌍의 제1 그루버(123)가 탑재되고, 타면에서 유압 실린더(140)와 결합된다. 이동 패널(122)은 유압 실린더(140)의 피스톤(142)에 의해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이동하여 한 쌍의 제1 그루버(123)에서 파지하고 있는 앵커 체인(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패널(122)은 양 측에서 제1 체인 스토퍼(120)의 길이 방향 이동을 견고하게 보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18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그루버(123)는 이동 패널(122)의 일면에서 상호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1 구동부(12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한다. 한 쌍의 제1 그루버(123)는 제1 구동부(121)로부터 전달되는 상반된 회전력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수평 회전하여 앵커 체인(10)의 양 측부를 파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그루버(123)는 앵커 체인(10)의 둘레에 대응하는 파지홈(123-1)이 각각 형성되어 제1 구동부(121)의 회전력에 따라 모아지면 파지홈(123-1)을 통해 앵커 체인(10)을 파지한다. 제1 그루버(123)의 파지홈(123-1)은 각각의 단면이 U자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인 스토퍼(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앵커 체인(10)의 장력을 조절할 때 앵커 체인(10)을 파지 했다가 놓는 동작을 반복한다. 제2 체인 스토퍼(130)는 유압 실린더(14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 상의 제2지점으로 이동된 앵커 체인(10)을 파지할 수 있다.
제2 체인 스토퍼(130)는 앵커 체인(10)을 파지하면 유압 실린더(140)에서 제1 체인 스토퍼(120)를 제2지점에서 제1지점으로 복귀시키고, 제1지점으로 복귀한 제1 체인 스토퍼(120)에 의해 앵커 체인(10)이 파지되면 앵커 체인(10)의 파지를 해제한다.
제2 체인 스토퍼(130)는 제2 구동부(131), 고정 구조체(132), 제2 그루버(1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구동부(131)는 고정 구조체(132)에 탑재되고, 제2 그루버(133)에 회전력을 인가한다. 제2 구동부(131)는 제2 그루버(133)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제2 그루버(133)가 앵커 체인(10)을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부(131)는 유압식, 전기식, 기계식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그루버(133)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구동 방식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고정 구조체(132)는 제2 구동부(131)와 제2 그루버(133)가 탑재된다. 고정 구조체(132)는 제1 체인 스토퍼(120)와 베이스 프레임(110)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루버(133)는 고정 구조체(132)에 탑재되고, 제2 구동부(13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상하 회전하여 앵커 체인(10)을 파지한다. 제2 그루버(133)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압 실린더(14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체인 스토퍼(120)와 연동되어 제1 체인 스토퍼(120)를 밀어주고 당겨주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압 실린더(140)는 제1 체인 스토퍼(120)에서 앵커 체인(10)을 파지하면 제1 체인 스토퍼(120)를 밀어주어 앵커 체인(10)을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제1 체인 스토퍼(120)에서 앵커 체인(10)의 파지를 해제하고 제2 체인 스토퍼(130)에서 앵커 체인(10)을 파지하면 제1 체인 스토퍼(120)를 제2지점에서 제1지점으로 복귀시킨다.
또한, 유압 실린더(140)는 제1지점으로 복귀한 제1 체인 스토퍼(120)에서 앵커 체인(10)을 파지하고 제2 체인 스토퍼(130)에서 앵커 체인(10)의 파지를 해제하면 제1 체인 스토퍼(120)에 의해 파지된 앵커 체인(10)을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시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140)는 두 개가 구비되며, 체인 가이딩 레일(150, 160)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140)는 유압을 공급받는 실린더 배럴(141)과 실린더 배럴(141)에 공급되는 유압에 따라 움직이는 피스톤(142)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배럴(14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피스톤(142)이 수용된다. 실린더 배럴(141)은 기 설정된 유압의 공급량에 따라 피스톤(142)이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피스톤(142)은 일단이 실린더 배럴(14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타단이 제1 체인 스토퍼(120)에 연결되어 실린더 배럴(141)에 공급되는 유압에 따라 제1 체인 스토퍼(12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체인 가이딩 레일(150, 16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앵커 체인(10)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체인 가이딩 레일(150, 160)은 제1 가이딩 레일(150)과 제2 가이딩 레일(160)으로 이루어진다.
제1 가이딩 레일(15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일단에 배치되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일단에서 제1 체인 스토퍼(120)와 일정 간격 이격된 공간까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돌출 형성부가 형성되어 앵커 체인(10)을 안착시킬 수 있다. 돌출 형성부는 바다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되도록 형성되어 해상과의 경계선에서 앵커 체인(10)이 과도하게 꺾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가이딩 레일(150)은 두 개의 가이드 패널(돌출 형성부에 해당함)이 상호 이격 배치되어 사이 공간에서 제1 가이드 홈(151)이 형성되고, 복수의 사슬이 고리 형태로 연결된 앵커 체인(10)에서 수직 상태 체인이 제1 가이드 홈(151)에 삽입되며, 앵커 체인(10)에서 수평 상태 체인이 가이드 패널에 놓여 진다. 수직 상태 체인은 이웃한 체인 간의 연결시 고리를 위한 홈의 형성 방향과 제1 가이드 홈(151)의 형성 방향이 수직인 사슬에 해당하고, 수평 상태 체인은 이웃한 체인 간의 연결시 고리를 위한 홈의 형성 방향과 제1 가이드 홈(151)의 형성 방향이 수평인 사슬에 해당한다.
제1 가이딩 레일(150)은 제1 가이드 홈(151)에 삽입되는 수직 상태 체인과 가이드 패널의 상부면에 놓여 지는 수평 상태 체인을 정렬시켜 제1 체인 스토퍼(120)와 제2 체인 스토퍼(130)에서 파지하는 사슬의 모양 및 위치를 정형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이딩 레일(150)은 앵커 체인(10)이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홈(151)의 내측 및 가이드 패널의 상부면 각각에 복수의 볼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되어 앵커 체인(10)의 장력 조절시 앵커 체인(10)과 맞닿는 부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가이딩 레일(16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타단에 배치되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타단에서 제1 체인 스토퍼(120)와 일정 간격 이격된 공간까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돌출 형성부가 형성되어 앵커 체인(10)을 안착시킬 수 있다. 돌출 형성부는 바다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되도록 형성되어 해상과의 경계선에서 앵커 체인(10)이 과도하게 꺾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가이딩 레일(160)은 두 개의 가이드 패널(돌출 형성부에 해당함)이 상호 이격 배치되어 사이 공간에서 제2 가이드 홈(161)이 형성되고, 복수의 사슬이 고리 형태로 연결된 앵커 체인(10)에서 수직 상태 체인이 제2 가이드 홈(161)에 삽입되며, 앵커 체인(10)에서 수평 상태 체인이 가이드 패널에 놓여 진다. 수직 상태 체인은 이웃한 체인 간의 연결시 고리를 위한 홈의 형성 방향과 제2 가이드 홈(161)의 형성 방향이 수직인 사슬에 해당하고, 수평 상태 체인은 이웃한 체인 간의 연결시 고리를 위한 홈의 형성 방향과 제2 가이드 홈(161)의 형성 방향이 수평인 사슬에 해당한다.
제2 가이딩 레일(160)은 제2 가이드 홈(161)에 삽입되는 수직 상태 체인과 가이드 패널의 상부면에 놓여 지는 수평 상태 체인을 정렬시켜 제1 체인 스토퍼(120)와 제2 체인 스토퍼(130)에서 파지하는 사슬의 모양 및 위치를 정형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이딩 레일(160)은 앵커 체인(10)이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홈(161)의 내측 및 가이드 패널의 상부면 각각에 복수의 볼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되어 앵커 체인(10)의 장력 조절시 앵커 체인(10)과 맞닿는 부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 구조체(17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1 체인 스토퍼(12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가이드 바(180)가 끼워질 수 있다. 지지 구조체(170)는 제1 체인 스토퍼(120)의 일면에서 제1 체인 스토퍼(120)의 이동을 잡아주는 가이드 바(180)가 홈 내에서 이동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170)의 홈은 내면에 복수의 볼베이링(미도시)이 배치되어 가이드 바(180)의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이드 바(180)는 제1 체인 스토퍼(120)의 양 측 일면에 각각 연결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지지 구조체(170)의 홈에 수용된다. 가이드 바(180)는 유압 실린더(140)에 의해 제1 체인 스토퍼(12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체인 스토퍼(120)의 이동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에서 유압 실린더가 제1 체인 스토퍼를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 체인 스토퍼(130)는 앵커 체인(10)의 장력을 조절할 때 앵커 체인(10)을 파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제1 체인 스토퍼(120)는 제2 체인 스토퍼(130)에 의해 고정된 앵커 체인(10)을 파지한다.
제2 체인 스토퍼(130)는 제1 체인 스토퍼(120)에서 앵커 체인(10)을 파지하면 기존 앵커 체인(10)의 파지를 해제한다.
유압 실린더(140)는 제1 체인 스토퍼(120)를 밀어 앵커 체인(10)과 함께 제1 체인 스토퍼(120)를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제2 체인 스토퍼(130)는 제1 체인 스토퍼(120)가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 앵커 체인(10)을 다시 파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에서 유압 실린더가 제1 체인 스토퍼를 제2지점에서 제1지점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체인 스토퍼(130)는 제1 체인 스토퍼(120)가 제2지점에 있는 상태에서 앵커 체인(10)을 파지한다.
제1 체인 스토퍼(120)는 앵커 체인(10)의 파지를 해제한다.
유압 실린더(140)는 앵커 체인(10)의 파지를 해제한 제1 체인 스토퍼(120)를 당겨 제2지점에서 제1지점으로 복귀시킨다.
제2 체인 스토퍼(130)는 제1 체인 스토퍼(120)가 제1지점으로 이동되면 앵커 체인(10)의 파지를 해제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110: 베이스 프레임
120: 제1 체인 스토퍼
130: 제2 체인 스토퍼
140: 유압 실린더
150: 제1 가이딩 레일
160: 제2 가이딩 레일
170: 지지 구조체
180: 가이드 바
10: 앵커 체인
20: 바지선

Claims (10)

  1. 해상의 계류 구조체를 인장시키는 앵커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바지선(barge)의 선상에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인 가이딩 레일;
    상기 체인 가이딩 레일을 따라 배열된 앵커 체인을 파지하기 위한 제1 체인 스토퍼; 및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에 연동되며,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에 의해 파지된 앵커 체인을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인 스토퍼는,
    수평 회전에 의해 앵커 체인의 양 측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제1 그루버와, 상기 한 쌍의 제1 그루버 각각에 상반된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1 구동부와, 일면에 상기 한 쌍의 제1 그루버와 상기 제1 구동부가 탑재되고 타면에서 상기 유압 실린더와 결합되는 이동 패널(moving pane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의 길이 방향 이동을 견고하게 보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guide bar)와, 각 가이드 바가 관통되는 한 쌍의 지지 구조체(bar supporting structure)가 더 배치되며,
    상기 제1 체인 스토퍼를 구성하는 상기 이동 패널의 양 단은 각각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된 앵커 체인을 파지하기 위한 제2 체인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체인 스토퍼에 의해 앵커 체인이 파지되면, 상기 제1 체인 스토퍼는 앵커 체인의 파지를 해제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제1 체인 스토퍼를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으로 복귀한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에 의해 앵커 체인이 파지되면, 상기 제2 체인 스토퍼는 앵커 체인의 파지를 해제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에 의해 파지된 앵커 체인을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는 두 개가 구비되며, 상기 체인 가이딩 레일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인 스토퍼는,
    상하 회전을 이용하여 앵커 체인을 파지하는 제2 그루버와, 상기 제2 그루버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그루버 및 상기 제2 구동부가 탑재되는 고정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가이딩 레일은,
    앵커 체인 중 수직 상태 체인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과, 앵커 체인 중 수평 상태 체인이 놓여 지는 두 개의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가이딩 레일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가이딩 레일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 타단에 배치되는 제2 가이딩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딩 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딩 레일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돌출 형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형성부는 바다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KR1020200073202A 2020-06-16 2020-06-16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KR10232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02A KR102320119B1 (ko) 2020-06-16 2020-06-16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02A KR102320119B1 (ko) 2020-06-16 2020-06-16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119B1 true KR102320119B1 (ko) 2021-11-03

Family

ID=7850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02A KR102320119B1 (ko) 2020-06-16 2020-06-16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2598A (zh) * 2022-04-05 2022-07-29 陈建 一种船舶用船锚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30149372A (ko) 2022-04-19 2023-10-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라인 장력 시험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8418A (ja) 1993-06-11 1994-12-22 Hitachi Denshi Ltd 波形記憶装置のメモリ制御方法
KR20110112997A (ko) * 2010-04-08 2011-10-14 미래산업기계 주식회사 체인스토퍼가 구비된 페어리더
KR101178757B1 (ko) * 2011-08-16 2012-09-07 미래산업기계 주식회사 체인스토퍼
JP2013132957A (ja) * 2011-12-26 2013-07-08 Nippon Salvage Co Ltd 係留索の移送装置
KR102053939B1 (ko) * 2019-07-02 2019-12-11 박천수 체인 스토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8418A (ja) 1993-06-11 1994-12-22 Hitachi Denshi Ltd 波形記憶装置のメモリ制御方法
KR20110112997A (ko) * 2010-04-08 2011-10-14 미래산업기계 주식회사 체인스토퍼가 구비된 페어리더
KR101178757B1 (ko) * 2011-08-16 2012-09-07 미래산업기계 주식회사 체인스토퍼
JP2013132957A (ja) * 2011-12-26 2013-07-08 Nippon Salvage Co Ltd 係留索の移送装置
KR102053939B1 (ko) * 2019-07-02 2019-12-11 박천수 체인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2598A (zh) * 2022-04-05 2022-07-29 陈建 一种船舶用船锚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30149372A (ko) 2022-04-19 2023-10-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라인 장력 시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7783C (zh) 安装张力腿平台的方法
KR102320119B1 (ko) 계류 라인 장력 조절 장치
EP2758301B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tensioning chains, in particular mooring legs
US20080282955A1 (en) Pull In - Pay Out Mooring System
CN112689595B (zh) 具有链开关装置的链张紧器
EP3251942B1 (en) Mooring pulley tensioning system
US20140205383A1 (en) Jack-up drilling unit with tension legs
AU20182731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laying a submarine pipeline
EP1305206B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a floating structure with rope anchor lines to the seabed
CA3151946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tension leg platform based floating object
KR102111988B1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9139260B2 (en) Tension le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JP6820698B2 (ja) 係留索の継ぎ足し方法、浮体構造物の係留方法および浮体式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US20100098498A1 (en) Anchor system for offshore dynamically positioned drilling platform
US8628274B2 (en) Tension le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4359011A (en) Boat mooring system for a platform structure
JPH07101379A (ja) 浮揚構造物の係留構造
KR101625381B1 (ko) 해상 구조물 계류 장치
JP6983640B2 (ja) 浮体、浮体係留装置および浮体係留方法
US7117811B1 (en) Anchor line pretensioning method
GB2555085A (en) Mooring method
KR20220026931A (ko) 부유식 안벽 계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167149B1 (ko) 리그의 연속 건조 방법
BR112019024064B1 (pt) Método e sistema para assentar uma tubulação submarina
MXPA06013864A (es) Metodo para desplegar una plataforma flot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