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592B1 -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592B1
KR102319592B1 KR1020210117448A KR20210117448A KR102319592B1 KR 102319592 B1 KR102319592 B1 KR 102319592B1 KR 1020210117448 A KR1020210117448 A KR 1020210117448A KR 20210117448 A KR20210117448 A KR 20210117448A KR 102319592 B1 KR102319592 B1 KR 10231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pecific
message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739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59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5G 서비스 복구 시간 및 최적 NRT로의 수렴 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기술)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단말장치{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SA(Standalone) 망구조를 지원하는 5G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NR(New Radio, 5G) 규격만으로 서비스 상용화가 어려운 상황이며, 초기 NR 투자 비용 과다 및 NR 독자적인 상용 서비스 제공 불가를 고려하여, 많은 사업자들이 기존 상용화된 E-UTRA 기술과 NR 기술을 연동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방식을 기반으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Non-Standalone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Non-Standalone 기술은, 4G(LTE)를 Prim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Seamless한 Coverage를 확보하면서, 5G를 Second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보다 대용량/저지연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4G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한편, Standalone 기술은, 5G(NR) 네트워크 만을 사용하여 Seamless한 Coverage를 확보하면서 대용량/저지연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4G(LTE)와의 연동 없이 5G(NR) 네트워크 만을 통해 독자적인 상용 서비스 즉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현재 5G 시스템은 NSA 망구조의 노드 및 SA 망구조의 노드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은, 이동 중 또는 NR 약전계 환경에서 UL RLF(Radio Link Failure)를 겪으면, NR cell로 RRE(RRC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여 기존 5G(NR)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고자 재 접속(재 접속 절차)을 시도(수행)한다.
헌데 현재 규격에서는,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송신하는 RRE 메시지에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의 PCI(Physical Cell Identity) 정보만 포함되고 있다.
이 때문에, RRE 메시지를 수신한 NR cell은, 단말이 RLF 직전 접속되어 있던 cell을 정확히 인지할 수 없고, 이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는 재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당 수의 시그널링을 수행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5G 서비스를 다시 정상적으로 이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고객 체감품질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다시 5G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하기까지 걸리는 5G 서비스 복구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다시 5G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하기까지 걸리는 5G 서비스 복구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실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셀접속제어장치는,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과 접속된 상태의 단말에 대하여, 셀과의 재 접속이 요구되는 특정 이벤트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특정 셀로 재 접속을 시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특정 메시지를 통해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에 대하여 셀 간 인터페이스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함께 송신하여, 상기 특정 셀에서 수행되는 상기 단말과의 재 접속 절차가 상기 기 송신된 정보로 인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는,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에 대한,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 CGI(Cell Global Identifier), TAC(Tracking Area Code), RAC(Routing Area Code)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에 포함된 각 파라미터 중 특정 파라미터는,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에서 송신되는 시스템정보메시지로부터 획득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셀에서는, 상기 특정 셀에서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eighbor Relation Table)에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셀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수집정보 보고를 요구하는 메시지 송신을 생략하고 상기 기 송신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셀과의 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셀로부터 상기 단말과의 재 접속에 필요한 컨텍스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셀에서는, 상기 특정 셀에서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에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 송신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셀을 상기 이웃관계정보(NRT)에 이웃 셀로 추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셀에서는, 상기 특정 셀에서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에 상기 셀을 이웃 셀로 추가 시, 상기 기 송신된 정보에 상기 특정 파라미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셀을 SA(StandAlone) 및 NSA(Non- StandAlone) 동시 지원 셀로 추가시켜 관리하며, 상기 특정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NSA 지원 셀로 추가시켜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이벤트는,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과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셀과의 무선환경으로 인해 접속이 끊어지는 RLF(Radio Link Failur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포함시킨 상기 특정 메시지의 사이즈 및 상기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UL Tx power)에 따라, 상기 특정 메시지 송신을 위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프리앰블(preamble) 그룹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포함시킨 상기 특정 메시지의 사이즈가 임계 사이즈 이상이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UL Tx power)가 상기 특정 메시지의 성공적 수신에 요구되는 크기 이상인 경우, PRACH의 프리앰블 그룹 중, 상기 특정 메시지 송신에 이용되는 업링크 그랜트(UL Grant)를 가장 크게 할당하는 특정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메시지는, RRE(RRCConnectionReestablishment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셀 접속 제어방법은,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과 접속된 상태의 단말에 대하여, 셀과의 재 접속이 요구되는 특정 이벤트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특정 셀로 재 접속을 시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특정 메시지를 통해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에 대하여 셀 간 인터페이스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함께 송신하여, 상기 특정 셀에서 수행되는 상기 단말과의 재 접속 절차가 상기 기 송신된 정보로 인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는,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에 대한,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 CGI(Cell Global Identifier), TAC(Tracking Area Code), RAC(Routing Area Code)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에 포함된 각 파라미터 중 특정 파라미터는,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에서 송신되는 시스템정보메시지로부터 획득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셀에서는, 상기 특정 셀에서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eighbor Relation Table)에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셀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수집정보 보고를 요구하는 메시지 송신을 생략하고 상기 기 송신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셀과의 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셀로부터 상기 단말과의 재 접속에 필요한 컨텍스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셀에서는, 상기 특정 셀에서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에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 송신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셀을 상기 이웃관계정보(NRT)에 이웃 셀로 추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셀에서는, 상기 특정 셀에서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에 상기 셀을 이웃 셀로 추가 시, 상기 기 송신된 정보에 상기 특정 파라미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셀을 SA(StandAlone) 및 NSA(Non- StandAlone) 동시 지원 셀로 추가시켜 관리하며, 상기 특정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NSA 지원 셀로 추가시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셀접속제어장치 및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Re-establishment 절차를 위한 일부 시그널링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5G 서비스 복구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최적 NRT(Neighbor Relation Table)로의 수렴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5G SA 시스템에서 5G 서비스의 품질 열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5G 시스템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접속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접속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5G 서비스 복구 시간 및 최적 NRT 수렴 속도가 향상되는 상황을 시스템 관점에서 보여주는 일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SA(Standalone) 망구조를 지원하는 5G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NR(New Radio, 5G) 규격만으로 서비스 상용화가 어려운 상황이며, 초기 NR 투자 비용 과다 및 NR 독자적인 상용 서비스 제공 불가를 고려하여, 많은 사업자들이 기존 상용화된 E-UTRA 기술과 NR 기술을 연동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방식을 기반으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Non-Standalone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Non-Standalone 기술은, 4G(LTE)를 Prim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Seamless한 Coverage를 확보하면서, 5G를 Second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보다 대용량/저지연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4G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한편, Standalone 기술은, 5G(NR) 네트워크 만을 사용하여 Seamless한 Coverage를 확보하면서 대용량/저지연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4G(LTE)와의 연동 없이 5G(NR) 네트워크 만을 통해 독자적인 상용 서비스 즉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현재 5G 시스템은 NSA 망구조의 노드 및 SA 망구조의 노드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도 1은 NSA 망구조의 노드 및 SA 망구조의 노드가 공존하는 5G 시스템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단말(30)은 NSA 동작 시라면 eNB(10)의 LTE cell/gNB(20)의 NR cell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SA 동작 시라면 gNB(20)의 NR cell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gNB(20)의 NR cell은 SA(StandAlone) 및 NSA(Non- StandAlone)을 동시 지원하는 셀일 수 있다.
한편, 5G SA 시스템에서 5G 호로 서비스를 받고 있는 5G 단말 예컨대 단말(30)은, UL RLF(Radio Link Failure)를 겪게 되면, 5G(NR)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다시 NR cell에 접속하기 위한 RRE(RRC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여 NR 재 접속(재 접속 절차)을 시도(수행)한다.
헌데 현재 규격에서는, 5G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송신하는 RRE 메시지에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의 PCI(Physical Cell Identity) 정보만 포함되고 있다.
이 때문에, RRE 메시지를 수신한 NR cell은, 5G 단말 예컨대 단말(30)이 UL RLF 직전 접속되어 있던 NR cell을 정확히 인지할 수 없고, 이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는 재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당 수의 시그널링을 수행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5G 서비스를 다시 정상적으로 이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고객 체감품질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다시 5G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하기까지 걸리는 5G 서비스 복구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을 실현하는 셀접속제어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접속제어장치(100)는, 확인부(110), 접속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셀접속제어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SA 동작을 위해 NR cell의 gNB(20)와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3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3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셀접속제어장치(100)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셀접속제어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셀접속제어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접속제어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안 즉 5G SA 시스템에서 5G 서비스 복구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러한 본 발명의 셀접속제어장치(100)는, SA 망 구조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즉 5G SA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5G 단말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해당 5G 단말과의 연동을 기반으로 동작되는 별도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의 셀접속제어장치(100)가 5G 단말에 구현 또는 탑재되며, 셀접속제어장치(100)를 5G 단말(예: 30)과 동일한 장치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확인부(110)는,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과 접속된 상태의 단말에 대하여, 셀과의 재 접속이 요구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서로 특정 네트워크란, 5G(NR)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 경우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은 gNB의 NR cell을 의미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과 접속된 상태의 단말은, 5G(NR)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NR cell과 접속하여 SA 동작 중인 5G 단말을 의미한다.
즉, 확인부(110)는,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과 접속된 상태 즉 NR cell과 접속하여 SA 동작 중인 5G 단말 즉 단말(30)에 대하여, NR cell과의 재 접속이 요구되는 특정 이벤트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특정 이벤트는, NR cell과의 무선환경으로 인해 접속이 끊어지는 RLF(Radio Link Failure)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SA 동작 중인 5G 단말은, 5G 호로 서비스를 받고 있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접속 중인 Serving NR cell의 약전계 영역에서 target NR cell로 핸드오버(H/O)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5G 단말은, 무선환경으로 인해 갑작스런 deep fading을 겪게 된다면, target NR cell로의 정상적인 NR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못하고 NR cell과의 접속이 끊어지는 UL RLF를 겪을 수 있다.
물론 SA 동작 중인 5G 단말은, NR 핸드오버가 트리거링(triggering)된 상황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상황의 무선환경으로 인해 NR cell과의 접속이 끊어지는 UL RLF를 겪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셀접속제어장치(100)를 5G 단말(예: 30)과 동일한 장치로 가정하였으므로, 확인부(110)는, 전술과 같이 SA 동작 중인 단말(30)에서, NR cell과의 접속이 끊어지는 UL RLF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접속제어부(12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특정 셀로 재 접속을 시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특정 메시지를 통해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에 대하여 셀 간 인터페이스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함께 송신하여, 상기 특정 셀에서 수행되는 상기 단말과의 재 접속 절차가 상기 기 송신된 정보로 인해 단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접속제어부(120)는, SA 동작 중인 단말(30)에서 NR cell과의 접속이 끊어지는 UL RLF가 발생한 경우, 5G(NR)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특정 NR cell로 재 접속을 시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특정 메시지는, RRE(RRCConnectionReestablishment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SA 동작 중인 단말(30)에서 UL RLF가 발생한 경우, 단말(30)은 5G(NR)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하며,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RRE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즉, 접속제어부(120)는, SA 동작 중인 단말(30)에서 NR cell과의 접속이 끊어지는 UL RLF가 발생한 경우,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RRE 메시지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셀접속제어장치(100, 단말(30))의 접속제어부(120)는, UL RLF가 발생한 시점에 측정된 가장 우수한 신호품질을 가진 특정 NR cell로 RRE 메시지를 송신하여,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개시 및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접속제어부(120)는,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RRE 메시지를 송신하면서,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에 대하여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 연결에 필요한 정보(달리 말하면, CellAccessRelatedInfo IE)를 함께 특정 NR cell로 송신한다.
현재 규격에서는, 5G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송신하는 RRE 메시지에,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의 PCI(Physical Cell Identity) 정보만 포함되고 있다.
이 때문에, RRE 메시지를 수신한 NR cell은, 5G 단말이 UL RLF 직전 접속되어 있던 NR cell을 정확히 인지할 수 없고, 이로 인해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에서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과의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당 수의 시그널링을 수행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30)에서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 개시를 위해 송신한 RRE 메시지를 수신한 NR cell에서는, 자신이 해당 단말(30)의 RLF 발생 직전 접속된 serving NR cell이었거나 NR 핸드오버 preparation 과정을 통해 해당 단말(30)에 대한 UE Context 정보를 보유하게 되었다면, UE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30)과의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하면 된다.
한편, 단말(30)에서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 개시를 위해 송신한 RRE 메시지를 수신한 NR cell에서는, 해당 단말(30)의 UE Context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자신이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eighbor Relation Table)에 금번 RRE 메시지에서 확인되는 PCI의 NR cell이 포함된 경우 즉, 단말(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이 이웃 셀인 경우, 이웃관계정보(NRT) 내 해당 NR cell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NR cell과의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를 연결하여 쉽게 해당 단말(30)에 대한 UE Context 정보를 획득한 후 UE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30)과의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하면 된다.
하지만, 단말(30)에서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 개시를 위해 송신한 RRE 메시지를 수신한 NR cell에서는, 해당 단말(30)의 UE Context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고 금번 RRE 메시지에서 확인되는 PCI의 NR cell이 이웃관계정보(NRT)에서 관리되는 이웃 셀도 아닌 경우가 문제가 된다.
이 경우, 기존이라면, 금번 RRE 메시지를 수신한 NR cell에서는, 금번 RRE 메시지에서 확인되는 PCI의 NR cell과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 연결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해당 단말(30)로부터 얻기 위해, 상당 수의 시그널링을 수행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금번 RRE 메시지를 수신한 NR cell에서는, 금번 RRE 메시지에서 확인되는 PCI의 NR cell과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 연결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해당 단말(30)로부터 얻기 위한 ANR(Automatic Neighbor Rela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NR 동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자신이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cell의 PCI를 단말로부터의 메시지에서 확인한 cell(예: gNB)에서는, 해당 PCI의 cell을 NRT에 이웃 셀로 추가(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해당 cell의 ECGI(E-UTRAN Cell Global Identifier), TAC (Tracking Area Code),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를 획득하기 위한 RRC reconfiguration 절차를 수행한다.
cell(예: gNB)에서는, 위 RRC reconfiguration 절차에서 단말 및 serving cell 간의 DL/UL packet 통신을 중단(hold)하기 위해 단말을 DRX(Discontinuous Reception) 구간에 진입시키고, 해당 단말은 이 구간 동안 주변 cell이 broadcasting하는 메시지(예: MIB/SIB1/SIB2)에 포함된 ECGI, TAC, PLMN ID를 획득하고 이들 정보를 MR 메시지에 담아서 cell(예: gNB)로 전송한다.
cell(예: gNB)에서는, 단말의 MR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정보와 TNL(Transport Network Layer) look-up 절차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웃관계정보(NRT)에 해당 cell을 신규 이웃 셀로 추가(등록)하고, 해당 cell과의 X2 I/F(Interface) 연결이 필요한 경우 획득한 TNL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Serving과 Target 셀 간 X2 I/F 연결을 수행/수립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이라면, 단말(30)에서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 개시를 위해 송신한 RRE 메시지를 수신한 NR cell에서는, 해당 단말(30)의 UE Context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고 금번 RRE 메시지에서 확인되는 PCI의 NR cell이 이웃관계정보(NRT)에서 관리되는 이웃 셀도 아닌 경우, ANR 동작에 따라 해당 단말(30)로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수집정보 보고를 요구하는 메시지(예: DRX 구간에 진입시키기 위한 메시지, MR 메시지 등)를 송수신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접속제어부(120)는,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위한 RRE 메시지 내에, 단말(30)에서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 에 대하여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함께 특정 NR cell로 송신하고 있다.
이때, 함께 송신하는 정보는, 특정 이벤트 즉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에 대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ID, CGI(Cell Global Identifier), TAC(Tracking Area Code), RAC(Routing Area Code)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의 함께 송신하는 정보에 포함된 각 파라미터 중 특정 파라미터는, 특정 이벤트 즉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에서 송신되는 시스템정보메시지로부터 획득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접속제어부(120)는,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 즉 직접 접속의 NR cell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정보메시지(예: SIB1)에서 TAC 및 RAC가 확인된 경우, 시스템정보메시지(예: SIB1)로부터 TAC 및 RAC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TAC 및 RAC가 전술의 특정 파라미터에 해당된다.
이에, 접속제어부(120)는, 전술의 RRE 메시지 송신 시, TAC 및 RAC, PLMN ID, CGI로 구성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RRE 메시지 내에 포함시켜 특정 NR cell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접속제어부(120)는,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 즉 직접 접속의 NR cell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정보(예: SIB1)에서 TAC 및 RAC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PLMN ID, CGI로만 구성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RRE 메시지 내에 포함시켜 특정 NR cell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30)에서 송신한 RRE 메시지를 수신한 특정 NR cell에서는, RRE 메시지를 통해 해당 단말(30)에서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에 대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수신하게 되면, 이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기반으로 단말(30)과의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위한 일부 시그널링을 생략함으로써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가 단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30)에서 송신한 RRE 메시지를 수신한 특정 NR cell에서는, 자신이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에 단말(30)의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즉 자신의 이웃관계정보(NRT)에서 관리되는 이웃 셀이 아닌 경우, 해당 단말(30)로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수집정보 보고를 요구하는 메시지(예: DRX 구간에 진입시키기 위한 메시지, MR 메시지 등) 시그널링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특정 NR cell에서는, 단말(30)로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수집정보 보고를 요구하는 메시지(예: DRX 구간에 진입시키기 위한 메시지, MR 메시지 등) 시그널링을 생략하는 대신, RRE 메시지를 통해 기 송신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근거로 단말(30)에서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과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 연결을 수행/수립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30)에서 송신한 RRE 메시지를 수신한 특정 NR cell에서는, 단말(30)의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이 자신의 이웃관계정보(NRT)에서 관리되는 이웃 셀이 아닌 경우라도, RRE 메시지를 통해 확보되는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근거로 해당 NR cell과의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를 즉시 연결하여 쉽게 해당 단말(30)에 대한 UE Context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단말(30)과의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SA 동작 중 UL RLF를 겪은 단말(30)에 대하여, RRE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로 인해 생략되는 시그널링 개수 만큼,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가 단축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SA 동작 중인 5G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NR cell로 송신하는 RRE 메시지 내에 셀 간 인터페이스 연결에 필요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함께 송신하여 NR 재 접속 절차의 일부 시그널링이 생략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5G 서비스 복구 시간을 획기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30)에서 송신한 RRE 메시지를 수신한 특정 NR cell에서는, 특정 NR cell 자신에서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에 단말(30)의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즉 자신의 이웃관계정보(NRT)에서 관리되는 이웃 셀이 아닌 경우, RRE 메시지를 통해 기 송신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즉 PLMN-ID/TAC/RAC/CGI를 근거로 해당 NR cell을 이웃관계정보(NRT)에 이웃 셀로 신규 이웃 셀로 추가(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30)에서 송신한 RRE 메시지를 수신한 특정 NR cell에서는, 기존 ANR 동작의 해당 단계와 동일하게, RRE 메시지를 통해 확보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즉 PLMN-ID/TAC/RAC/CGI와 TNL look-up 절차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웃관계정보(NRT)에 해당 NR cell을 신규 이웃 셀로 추가(등록)할 수도 있다.
이때, 특정 NR cell에서는, 특정 NR cell 자신에서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에 RRE 메시지를 통해 송신된 해당 NR cell을 이웃 셀로 추가 시, 기 송신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에 전술의 특정 파라미터 즉 TAC 및 RAC가 포함된 경우 해당 NR cell을 SA(StandAlone) 및 NSA(Non- StandAlone) 동시 지원 셀로 추가시켜 관리하며, TAC 및 RAC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NSA 지원 셀로 추가시켜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SA 및 NSA 동시 지원의 NR cell인 경우 시스템정보메시지(예: SIB1)를 통해 TAC 및 RAC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점에 기인하여, RRE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의 파라미터로서 TAC 및 RAC를 포함함으로써, NR cell에서 이웃관계정보(NRT)에 RRE 메시지 기반 이웃 셀을 추가하는데 있어 최적화 성능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SA 동작 중 UL RLF를 겪은 단말(30)에 대하여, RRE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활용하여 NR cell에서 이웃관계정보(NRT)를 최신으로 자동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5G SA 시스템의 NR cell에서 핸드오버(HO) 성공율 향상을 위한 최적 NRT로의 수렴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까지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RRE 메시지에 5G 단말이 UL RLF 직접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의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포함 시, 메시지 크기 증가로 인해 RRE 메시지의 UL 수신 성능이 열화될 수 있는 우려를 미연에 해소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접속제어부(120)는,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포함시킨 RRE 메시지의 사이즈 및 단말(30)의 업링크 송신 파워(UL Tx power)에 따라, RRE 메시지 송신을 위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프리앰블(preamble) 그룹을 선택하여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RRE 메시지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프로시저 상 3번째 메시지(msg3)에 해당하는 것으로, RRCConnectionSetupRequest 메시지(Attach & Idle-to-Active 절차에서 RACH 프로시저 상 3번째 메시지, 고정점호접속 성능 결정),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HO 절차에서 RACH 프로시저 상 3번째 메시지, 이동점호접속 성능 결정)와 같이 호 재 접속 성능을 결정하는 메시지이다.
한편, 현재 표준에서는, PRACH에서 이용하는 프리앰블(preamble) 그룹을 A,B로 정의하며, 기지국에서는 RACH 프로시저 상 단말이 송신하는 1번째 메시지에서 확인되는 프리앰블 그룹(A 또는 B)에 따라, 단말로 송신하는 RACH 프로시저 상 2번째 메시지에서 msg3 송신에 이용되는 업링크 그랜트(UL Grant)의 크기를 다르게 할당하는데, 그룹 A 보다 그룹 B에 더 큰 크기의 업링크 그랜트(UL Grant)를 할당하고 있다.
이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제어부(120)는,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포함시킨 RRE 메시지의 사이즈가 임계 사이즈(예: ra-Msg3SizeGroupA) 이상이면, 단말(30)의 업링크 송신 파워(UL Tx power)가 RRE 메시지(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포함)의 성공적 수신에 요구되는 크기 이상인지 판단한다.
만약, 접속제어부(120)는, RRE 메시지의 사이즈가 임계 사이즈(예: ra-Msg3SizeGroupA) 이상이면서 단말(30)의 업링크 송신 파워(UL Tx power)가 RRE 메시지(NR cell 측정정보 포함)의 성공적 수신에 요구되는 크기 이상으로 충분히 크다고 판단하면, PRACH의 프리앰블 그룹(현재 표준을 가정하면, A,B) 중, RRE 메시지 송신에 이용되는 업링크 그랜트(UL Grant)를 가장 크게 할당하는 특정 프리앰블 그룹(현재 표준을 가정하면, B)을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말(30)에서 UL RLF가 발생한 경우, NR cell로 RRE 메시지 송신을 위해 수행하는 RACH 프로시저 상 1번째 메시지(예: Random access Request)에서, 전술의 판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PRACH의 프리앰블 그룹A 또는 그룹B를 이용함으로써, 필요 시 RRE 메시지 송신에 이용되는 업링크 그랜트(UL Grant)를 가장 크게 할당받는 방식으로, RRE 메시지 크기 증가로 인해 RRE 메시지의 UL 수신 성능 열화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Re-establishment 절차를 위한 일부 시그널링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5G 서비스 복구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최적 NRT(Neighbor Relation Table)로의 수렴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5G SA 시스템에서 5G 서비스의 품질 열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접속 제어방법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에서는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이 수행되는 주체로서 단말(3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30)은, NR Scell과 접속된 상태 즉 SA 동작 중(S10), NR cell과의 접속이 끊어지는 UL RLF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30)은, UL RLF가 발생한 경우(S20 Yes),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개시하여 특정 NR cell로 호 연결을 재 수립하고자 한다(S3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30)은, UL RLF가 발생한 시점에 측정된 가장 우수한 신호품질을 가진 특정 NR cell를 확인하고,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에 대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RRE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하고자, RRE 메시지에 NR cell 측정정보 포함 시 메시지 사이즈가 임계 사이즈(예: ra-Msg3SizeGroupA) 이상인지 확인한다(S40).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30)은, RRE 메시지에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포함 시 메시지 사이즈가 임계 사이즈(예: ra-Msg3SizeGroupA) 이상이 아닌 경우(S40 No), 특정 NR cell로 기본 설정된 PRACH의 프리앰블 그룹(예: A)을 이용하여 RACH 프로시저 상 1번째 메시지(예: Random access Request)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2번째 메시지(예: Random access Response)가 수신되면 이를 통해 할당된 업링크 그랜트(UL Grant)에 따라 3번째 메시지인 RRE 메시지에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S55).
한편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30)은, RRE 메시지에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포함 시 메시지 사이즈가 임계 사이즈(예: ra-Msg3SizeGroupA) 이상이면(S40 Yes), 단말(30)의 업링크 송신 파워(UL Tx power)가 RRE 메시지(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포함)의 성공적 수신에 요구되는 크기 이상인지 판단한다(S50).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30)은, 단말(30)의 업링크 송신 파워(UL Tx power)가 RRE 메시지(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포함)의 성공적 수신에 요구되는 크기 이상이 아닌 경우(S50 No), 전술의 S55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30)은, 단말(30)의 업링크 송신 파워(UL Tx power)가 RRE 메시지(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포함)의 성공적 수신에 요구되는 크기 이상이면(S50 Yes), 특정 NR cell로 PRACH의 프리앰블 그룹(현재 표준을 가정하면, A,B) 중 RRE 메시지 송신에 이용되는 업링크 그랜트(UL Grant)를 가장 크게 할당하는 특정 프리앰블 그룹(현재 표준을 가정하면, B)을 선택/이용하여 RACH 프로시저 상 1번째 메시지(예: Random access Request)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2번째 메시지(예: Random access Response)가 수신되면 이를 통해 할당된 업링크 그랜트(UL Grant)에서 3번째 메시지인 RRE 메시지에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S160).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술의 S55 또는 S60단계에서 RRE 메시지를 수신한 특정 NR cell은, 자신이 해당 단말(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serving NR cell이 아니고 해당 단말(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이 자신이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 내 속하는 이웃 셀이 아닌지 판단한다(S70).
이에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NR cell은, 자신이 해당 단말(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serving NR cell이었거나 또는 해당 단말(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이 자신이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 내 속하는 이웃 셀이라면(S70 No), 기 보유하고 있는 해당 단말(30)에 대한 UE Context 정보 또는 자신의 이웃관계정보(NRT) 내 해당 NR cell의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한 해당 NR cell과의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를 통해 쉽게 획득되는 해당 단말(30)에 대한 UE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30)과의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하면 된다(S75).
한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NR cell은, 자신이 해당 단말(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serving NR cell이 아니고 해당 단말(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이 이웃관계정보(NRT) 내 속하는 이웃 셀이 아닌 경우(S70 Yes), 전술의 S55 또는 S60단계에서 RRE 메시지를 활용하여 기 확보/보유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가 있으므로, 해당 단말(30)로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수집정보 보고를 요구하는 메시지(예: DRX 구간에 진입시키기 위한 메시지, MR 메시지 등) 시그널링을 생략할 수 있다(S80).
즉,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NR cell은, 단말(30)로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수집정보 보고를 요구하는 메시지(예: DRX 구간에 진입시키기 위한 메시지, MR 메시지 등) 시그널링을 생략하는 대신, RRE 메시지를 통해 기 확보/보유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근거로 단말(30)에서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과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 연결을 즉시 수행/수립하여 단말(30)에 대한 UE Context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UE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30)과의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S80).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SA 동작 중 UL RLF를 겪은 단말(30)에 대하여, RRE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로 인해 생략되는 시그널링 개수 만큼,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가 단축되도록 한다.
아울러,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NR cell은, 자신이 해당 단말(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serving NR cell이 아니고 해당 단말(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이 이웃관계정보(NRT) 내 속하는 이웃 셀이 아닌 경우(S70 Yes), 전술의 S55 또는 S60단계에서 RRE 메시지를 활용하여 기 확보/보유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가 있으므로, 이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즉 PLMN-ID/TAC/RAC/CGI를 근거로 해당 NR cell을 자신의 이웃관계정보(NRT)에 이웃 셀로 신규 이웃 셀로 추가(등록)할 수 있다(S90).
도 3에서는 S80단계가 S90단계 보다 선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도면 기재를 위한 일 예시일 뿐으로, S80단계 및 S90단계는 선행 순서가 제한되지 않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해 5G 서비스 복구 시간 및 최적 NRT 수렴 속도가 향상되는 상황을 시스템 관점에서 설명하겠다.
이하에서도, 본 발명의 셀 접속 제어방법이 수행되는 주체로서 UE(3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NR cell a에 접속하여 SA 동작 중인 UE(30)에 대하여, 2) UL RLF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NR cell에서 UL RLF가 발생한 UE(30)는, 3)가장 우수한 신호품질을 가진 특정 NR cell(예: b)로 RRE 메시지를 송신하되, RRE 메시지에 UL RLF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NR cell a에 대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포함시켜 함께 송신한다.
UE(30)가 송신한 RRE 메시지를 수신한 특정 NR cell 즉 NR cell b는, 4)자신이 해당 UE(30)에 대한 UE Context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NR cell b이 해당 UE(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serving NR cell이 아니고 NR 핸드오버(HO) preparation 과정을 통해 해당 UE(30)에 대한 UE Context 정보를 획득한 바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 4에는 생략되었으나, NR cell b는, 해당 UE(30)의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 a가, 자신이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RT) 내 속하는 이웃 셀이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NR cell b는, 자신이 해당 UE(30)의 UE Context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고 NR cell a가 이웃관계정보(NRT) 내 속하는 이웃 셀이 아니라고 확인되면, 전술의 RRE 메시지를 활용하여 기 확보/보유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가 있으므로, 해당 UE(30)로 UL RLF 발생 직전 접속된 NR cell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수집정보 보고를 요구하는 메시지(예: DRX 구간에 진입시키기 위한 메시지, MR 메시지 등) 시그널링을 생략하고, 대신 5)기 확보/보유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를 근거로 NR cell a과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 연결을 즉시 수행/수립하고, 더불어 이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 즉 PLMN-ID/TAC/RAC/CGI를 근거로 NR cell a를 자신의 이웃관계정보(NRT)에 이웃 셀로 신규 이웃 셀로 추가(등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NR cell b는, 이후 NR cell a에서 NR cell b로의 핸드오버(HO) 시, 추가적인 ANR 동작 수행 없이도 HO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5G SA 시스템의 NR cell에서 핸드오버(HO) 성공율 향상을 위한 최적 NRT로의 수렴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NR cell b는, 전술의 5)에서 수립한 NR cell a과 셀 간 인터페이스(예: Xn I/F) 연결을 통해 6)UE(30)에 대한 UE Context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UE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30)과의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SA 동작 중 UL RLF를 겪은 5G 단말에 대하여, RRE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한 정보(CellAccessRelatedInfo IE)로 인해 생략되는 시그널링 개수 만큼, NR 재 접속 절차(Re-establishment 절차)가 단축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Re-establishment 절차를 위한 일부 시그널링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5G 서비스 복구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최적 NRT(Neighbor Relation Table)로의 수렴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5G SA 시스템에서 5G 서비스의 품질 열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접속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셀접속제어장치 및 셀 접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5G SA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RLF를 겪은 후 5G 서비스 복구 시간 및 최적 NRT로의 수렴 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셀접속제어장치
110 : 확인부 120 : 접속제어부

Claims (7)

  1.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과 접속된 상태에서, 셀과의 재 접속이 요구되는 특정 이벤트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특정 셀로 재 접속을 시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특정 메시지를 통해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에 대하여 셀 간 인터페이스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함께 송신하여, 상기 특정 셀에서 수행되는 재 접속 절차가 상기 기 송신된 정보로 인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메시지를 통해 송신되는 정보는,
    상기 특정 셀에서 관리하는 이웃관계정보(Neighbor Relation Table)에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셀에서 상기 셀과의 인터페이스 연결을 수행하는데 근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에 대한,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 CGI(Cell Global Identifier), TAC(Tracking Area Code), RAC(Routing Area Code)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포함된 각 파라미터 중 특정 파라미터는,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접속되어 있던 셀에서 송신되는 시스템정보메시지로부터 획득된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특정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과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셀과의 무선환경으로 인해 접속이 끊어지는 RLF(Radio Link Failu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포함시킨 상기 특정 메시지의 사이즈 및 업링크 송신 파워(UL Tx power)에 따라, 상기 특정 메시지 송신을 위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프리앰블(preamble) 그룹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포함시킨 상기 특정 메시지의 사이즈가 임계 사이즈 이상이면, 업링크 송신 파워(UL Tx power)가 상기 특정 메시지의 성공적 수신에 요구되는 크기 이상인 경우,
    PRACH의 프리앰블 그룹 중, 상기 특정 메시지 송신에 이용되는 업링크 그랜트(UL Grant)를 가장 크게 할당하는 특정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 및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RRE(RRCConnectionReestablishmentRequest)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210117448A 2019-10-29 2021-09-03 단말장치 KR10231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448A KR102319592B1 (ko) 2019-10-29 2021-09-03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09A KR102317539B1 (ko) 2019-10-29 2019-10-29 셀접속제어장치 및 셀 접속 제어방법
KR1020210117448A KR102319592B1 (ko) 2019-10-29 2021-09-03 단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409A Division KR102317539B1 (ko) 2019-10-29 2019-10-29 셀접속제어장치 및 셀 접속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739A KR20210111739A (ko) 2021-09-13
KR102319592B1 true KR102319592B1 (ko) 2021-10-29

Family

ID=759172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409A KR102317539B1 (ko) 2019-10-29 2019-10-29 셀접속제어장치 및 셀 접속 제어방법
KR1020210117448A KR102319592B1 (ko) 2019-10-29 2021-09-03 단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409A KR102317539B1 (ko) 2019-10-29 2019-10-29 셀접속제어장치 및 셀 접속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75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41B1 (ko) 2011-07-19 2016-12-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2296164B1 (ko) 2014-11-07 202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파라미터를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556A (ko) * 2015-10-01 2017-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23040B1 (ko) * 2016-11-10 2018-01-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2293435B1 (ko) * 2017-06-29 2021-08-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 그 장치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KR102452106B1 (ko) * 2017-07-13 2022-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83582B1 (ko) * 2018-01-22 2020-03-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비활성 상태의 단말을 이용한 anr 방법과, 상기 방법이 적용된 이동통신 기지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41B1 (ko) 2011-07-19 2016-12-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2296164B1 (ko) 2014-11-07 202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파라미터를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873A (ko) 2021-05-10
KR20210111739A (ko) 2021-09-13
KR102317539B1 (ko) 202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7967B1 (en) Communications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RU266807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тимизации сигнализации
US9232452B2 (en) Method of handling an inter rat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271194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handover of user equipment group
US93574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 link establishment
US1188937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network controlled beam based handover in NR
US11234170B2 (en) Early handover preparation and early handover command
US9167447B2 (en) Failure event report for initial connection setup failure
JP6311893B2 (ja) 遠方セルに対するアップリンク及びダウンリンク間の不均衡を検出し軽減するための通信デバイス、基地局、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製品
US114190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09594B2 (en) Mobile terminal preparation
WO2007024112A1 (en) Traffic transmission path reloc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30489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WO201814452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a 5g new radio ue to perform ue-based handoff
US20210360503A1 (e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and terminal device
KR101973948B1 (ko)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의 듀얼 연결 동작 방법 및 듀얼 연결 제어 방법
CN117480815A (zh) 用于非地面网络卫星切换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KR102319592B1 (ko) 단말장치
US202401216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and reestablish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4590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KR102304209B1 (ko) 셀접속제어장치 및 셀 접속 제어방법
EP3857943A1 (en) Network entity and base stations for network access management
WO2024096052A1 (ja) 通信制御方法
RU272241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тимизации сигнализации
CN110972104B (zh) V2x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