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563B1 - 코너부에서 주름 형성을 위한 벤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코너부에서 주름 형성을 위한 벤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563B1
KR102319563B1 KR1020177006697A KR20177006697A KR102319563B1 KR 102319563 B1 KR102319563 B1 KR 102319563B1 KR 1020177006697 A KR1020177006697 A KR 1020177006697A KR 20177006697 A KR20177006697 A KR 20177006697A KR 102319563 B1 KR102319563 B1 KR 10231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piece
upper frame
bending
die elements
lateral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272A (ko
Inventor
올리비에 페로
토마스 꼬네제로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17004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1D11/206Curving corrugat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04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3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 F17C2209/234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of closing end pieces, e.g. caps
    • F17C2209/236Apparatus theref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 피스(1)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벤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 하측 프레임(24);
- 하측 프레임(24)에 장착되고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의 형상에 상응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공동을 포함하는 중앙 다이 엘리먼트(26);
- 주름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형상에 상응하는 공동을 규정할 수 있는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측 프레임(25);
- 상측 프레임(25)이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임에 따라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공동 내부로 맞물릴 수 있는 중앙 펀치(40);
- 각각 2개의 클램프들(43, 44), 커터 펀치(45, 53) 및 상측 프레임(25)의 그 벤딩 위치를 향한 움직임 동안 이동 조립체들을 그 밀착 위치를 향해 움직이도록 하측 프레임(24)에 갖춰진 캠 팔로워(58)와 협력할 수 있는 캠면(57)을 포함하는 2개의 이동 조립체들(41, 42)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너부에서 주름 형성을 위한 벤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BENDING DEVICE FOR FORMING A CORRUGATION IN A CORNER PART AND METHOD FOR USING SUCH A DEVICE}
본 발명은 유체 저장 탱크의 실링 부재의 건조를 위해 의도된 코너 피스에서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벤딩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장치의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극저온 유체와 같은 유체를 저장 및/또는 운송하기 위한 밀봉되고 단열된 멤브레인 타입 탱크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를 위한 실링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된 주름형 금속 멤브레인들이 최신 기술, 특히 문헌 FR 2861060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실링 멤브레인은, 탱크에 저장된 유체에 의해 만들어지는 열적 스트레스 및 기계적 스트레스의 영향 하에서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는 직교하는 일련의 주름들을 구비한 복수의 금속 플레이트들로 이루어진다.
금속 멤브레인의 두 벽체들 사이의 연결지점에서, 금속 멤브레인은 금속 멤브레인의 실링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주며, 코너 영역에서 멤브레인의 유연성을 주도록 유연한 코너 피스(corner piece)를 포함한다.
이런 코너 피스는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 기울어져 있으며, 접힘 라인에서 만나고 접힘 라인에 평행한 횡단 방향으로 코너 피스가 변형되도록 하기 위해 코너 피스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연장된 주름을 구비한 2개의 가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후에 있는 한 아이디어는 실링 멤브레인의 구축을 위한 코너 피스에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벤딩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접힘 라인에서 만나는 제1 및 제2 평탄 분지부(15, 16)를 포함하는 코너 피스(1)에서 주름(21)을 형성하기 위한 벤딩 장치(23)로서, 상기 주름(21)은 코너 피스(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코너 피스(1)가 접힘 라인에 평행한 횡단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코너 피스(1)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접힘 라인을 분할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형성될 상기 주름(21)은 각각 제1 분지부(15)와 제2 분지부(16) 상에 배열된 제1 단부 부분(21a) 및 제2 단부 부분(21b)과, 접힘 라인에 걸쳐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의 연장선에서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 사이에서 연장된 중앙 부분(21c)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 부분들(21a, 21b)은 각각 중앙 부분(21c)과 만나는 영역에서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이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 내부로 침입하도록 만입부(22)를 구비하며; 상기 벤딩 장치(23)는:
- 하측 프레임(24);
- 하측 프레임(24)에 장착되고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의 형상에 상응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공동을 포함하는 중앙 다이 엘리먼트(26);
- 하측 프레임(24)에 갖춰지고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9)로서, 상기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각각은 코너 피스(1)의 제1 및 제2 분지부(15, 16)의 내부 표면을 각각 수용하도록 된 제1 및 제2 지지 표면(33, 34)을 포함하고,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표면들(33, 34)은 코너 피스(1)의 제1 및 제2 분지부들(15, 16)이 제1 및 제2 지지 표면들(33, 34)에 대해 수용될 때 코너 피스(1)의 접힘 라인에 상응하는 접힘 라인 축 둘레로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27, 28)의 제1 및 제2 지지 표면들(33, 34)과 각각 경계를 이루는 제1 및 제2 부분을 구비한 반공동(35)을 포함하고, 2개의 측방향 엘리먼트들의 반공동(35)의 제1 및 제2 부분들은 주름(21)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의 형상에 상응하는 공동을 규정할 수 있는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 하부 프레임(24)에 대해 접힘 라인의 축을 분할하는 수직한 방향으로 휴지 위치와 벤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상측 프레임(25);
- 상측 프레임(25)에 갖춰지고 중앙 다이 엘리먼트(26)를 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공동을 보상하는 형상을 가진 중앙 펀치(40)로서, 상기 중앙 펀치(40)는 상측 프레임(25)이 그 휴지 위치로부터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임에 따라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을 형성하도록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공동 내부에 맞물릴 수 있는 중앙 펀치(40);
- 상측 프레임(25) 상에서 밀착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된 2개의 이동 조립체들(41, 42)로서, 상기 2개의 이동 조립체들(41, 42)은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제1 지지 표면들(33) 및 제2 지지 표면들(34)을 각각 면하여 배치되어 있고 각각 그들과 면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 표면들(33, 34)과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조립체들(41, 42) 각각은:
· 각각 상측 프레임(25)이 그 벤딩 위치에 있을 때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8)의 지지 표면들(33, 34)에 대해 코너 피스(1)를 클램핑하도록 제1 및 제2 지지 표면들(33, 34) 각각을 면하며 각각 이들에 평행하게 연장된 클램핑 표면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클램프들(43, 44); 및
·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반공동들(35)을 면하여 배치된 커터 펀치(45, 53)로서, 상기 커터 펀치(45, 53)는 주름(21)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21a, 21b)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측 프레임(25)이 그 벤딩 위치에 있을 때 주름(21)의 제1 또는 제2 단부 부분(21a, 21b)을 형성하도록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반공동(35)의 제1 또는 제2 부분들 내부에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커터 펀치(45)는 메인 부분(54)과, 이동 조립체들(41, 42)이 그 밀착 위치에 있을 때 중앙 펀치(40)의 각 측면 상에 배치되게 되도록 한 2개의 커터들(55, 56)을 포함하는 커터 펀치(45, 53);
· 상측 프레임(25)이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일 때 하측 프레임(24)에 갖춰진 캠 팔로워(58)와 협력할 수 있는 캠면(57)으로서, 상기 캠면(57)과 캠 팔로워(58)는, 상측 프레임(25)의 그 벤딩 위치로의 움직임 동안 이동 조립체(41, 42)가 그 이격 위치로부터 그 밀착 위치로 움직여지는 식으로 배열된 캠면(57)
을 포함하는 이동 조립체들(41, 42)
을 포함하는 벤딩 장치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런 벤딩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하측 프레임에 갖춰진 캠 팔로워는 자유롭게 장착된 롤러이다.
- 이동 조립체들은 각각 상측 프레임에 갖춰진 가이드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된 캐리지를 포함한다.
- 캐리지 또는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레일에 갖춰진 활주 트랙들 또는 연계된 캐리지와 협력할 수 있는 복수의 회전체들을 포함한다.
- 이동 조립체들 각각은 지지부를 포함하고, 각 이동 조립체의 클램프들은 상기 이동 조립체의 지지부와 연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조립체를 면하는 제1 또는 제2 지지 표면들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계된 지지부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되고, 상기 클램프들은 복귀 부재들에 의해 상기 이동 조립체의 지지부로부터 일정 거리의 위치로 복귀된다.
- 클램프들은 클램프들에 갖춰진 가이드 튜브들을 통해 연계된 지지부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되고 연계된 지지부 내에 형성된 보어들에서 슬라이드된다.
- 복귀 부재들은 클램프들 및 연계된 지지부 사이에서 복귀력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들 또는 가스 실린더들이다.
-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은 하측 프레임 상에서 이격 위치와 밀착 위치 사이에서 횡단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되고,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의 길이방향 반공동들의 제1 및 제2 부분들은 각각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이 그 밀착 위치에 있을 때 주름들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의 형상에 상응하는 공동을 규정할 수 있다.
-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 각각은 상측 프레임에 갖춰진 연계된 캠 팔로워와 협력할 수 있는 캠면을 포함하고, 캠면들과 캠 팔로워들은, 상측 프레임이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이 그 이격 위치로부터 그 밀착 위치로 움직여지는 식으로 배열된다.
- 캠 팔로워들은 상측 프레임에 갖춰진 자유롭게 장착된 롤러들이다.
-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압 실린더들에 의해 그들의 이격 위치로부터 그들의 밀착 위치를 향해 움직여진다.
- 유압 실린더는, 상측 프레임의 위치의 함수로서 유압 실린더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 휴지 위치와 그 벤딩 위치 사이에서 상측 프레임의 위치의 신호 대표값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 센서와 연계되어 있다.
-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 각각은 하측 프레임에 갖춰진 연계된 가이드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된 캐리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유체 저장 탱크의 밀봉 멤브레인의 구축을 위한 금속 시트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벤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벤딩 장치는:
- 하측 프레임;
- 각각 금속 시트를 위한 지지 표면과 오목한 반공동을 구비한 제1 및 제2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로서, 제1 및 제2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 각각은 이격 위치와 밀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하측 프레임 상에서 형성될 주름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갖고 창작되며, 제1 및 제2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의 반공동들은 제1 및 제2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이 그들의 밀착 위치에 있을 때 형성될 주름의 형상에 상응하는 공동을 함께 규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은 복귀 부재에 의해 그 이격 위치를 향해 복귀되는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 및
- 공동의 형상을 보상하는 형상을 가지며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 위에 배열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펀치들로서, 상기 펀치(들)은 하측 프레임에 대해 휴지 위치와, 금속 시트를 압박하기 위해 상기 상측 펀치의 헤드가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에 의해 규정된 공동 내부에 맞물리는 벤딩 위치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펀치들;을 포함하고,
- 상기 제1 및 제2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은 펀치가 그 휴지 위치로부터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여짐에 따라 이들이 그들의 이격 위치로부터 그들의 밀착 위치로 움직이는 식으로 배열된
벤딩장치와도 관련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코너 피스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한 벤딩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코너 피스는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있으며 접힘 라인에서 만나는 제1 및 제2 평탄 분지부를 포함하고, 형성될 주름은 코너 피스가 횡단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하기 위해 코너 피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코너 피스의 한 단부로부터 반대편 단부까지 접힘 라인과 평행하게 접힘 라인을 분할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고, 형성될 주름은 제1 분지부 및 제2 분지부 상에 각각 배열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접힘 라인에 걸쳐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의 연장선에서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된 중앙 부분을 포함하고, 단부 부분들은 각각 중앙 부분과 만나는 영역에서 주름의 중앙 부분이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 내부로 침입하는 만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코너 피스의 제1 및 제2 분지부들이 각각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의 제1 및 제2 지지 표면들 대해 지지되는 식으로 코너 피스를 배치하는 단계; 및
- 상측 프레임을 그 휴지 위치로부터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 이용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떤 측면들은 커터 펀치(cutter punches)를 위한 특정한 작동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한 벤딩 장치를 제안하는 아이디어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이다. 본 발명의 어떤 측면들은 시트의 두께에 변화를 주지 않고 주름을 획득할 수 있게 해주는 벤딩 장치를 제안하는 아이디어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이다. 본 발명의 어떤 측면들은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을 움직이기 위한 특정한 작동 수단이 필요하지 않는 단순한 벤딩 장치를 제안하는 아이디어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이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설명의 수단으로서만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로 제공된 본 발명의 수많은 특정한 실시예들의 이어지는 설명의 과정에서 더 잘 이해될 것이며 그 추가적인 목적, 상세, 특징 및 장점들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2개의 벽체들 사이의 코너 영역에서 밀봉되고 단열된 유체 저장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코너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체 저장 탱크의 밀봉 멤브레인의 구축을 위한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의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각각 상승된 휴지 위치, 코너 피스와 접촉한 중간 위치 및 행정 말단 벤딩 위치에서 코너 피스에서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벤딩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도 11 및 도 15는 각각 그 상승된 위치, 코너 피스와 접촉한 중간 위치 및 행정 말단 벤딩 위치에서 벤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 도 12 및 도 16은 각각 그 상승된 위치, 코너 피스와 접촉한 중간 위치 및 행정 말단 벤딩 위치에서 벤딩 장치의 정측면도이다.
도 9, 도 13 및 도 17은 각각 도 8, 도 12 및 도 16의 평면 IX-IX, XIII-XIII, XVII-XVII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 도 14 및 도 18은 각각 도 7, 도 11 및 도 15의 평면 X-X, XIV-XIV 및 XVIII-XVIII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중앙 펀치, 커터 펀치 및 중앙 다이 엘리먼트를 나타낸 벤딩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딩 장치의 단면도이다.
벤딩 장치 및 이하에서 설명될 이 벤딩 장치를 이용하는 관련된 방법은,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의 실링 멤브레인(sealing membrane)을 구축하기 위한 코너 피스(1)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서, 도 1은 이런 코너 피스(1)를 탱크의 두 벽체들(2, 3) 사이에 형성된 코너에서 구비하고 있는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탱크의 각 벽체(2, 3)는 탱크의 외부로부터 내부까지 지지 구조물(4), 지지 구조물(4)에 대해 유지되고 제2 리테이닝 부재들(7)에 의해 거기에 고정된 단열 블록들(6)을 포함하는 2차 단열 배리어(5), 2차 단열 배리어(5)의 단열 블록들(6)에 갖춰진 2차 실링 멤브레인(8), 2차 실링 멤브레인(8)에 도시하지 않은 1차 리테이닝 부재들로 고정된 단열 블록들(10)을 포함하는 1차 단열 배리어(9), 1차 단열 배리어(9)의 단열 블록들(10)에 갖춰지며 탱크 내에 수용된 극저온 유체와 접촉하도록 된 1차 실링 멤브레인(11)을 포함한다.
1차 실링 멤브레인(11)은 도 3에 묘사된 바와 같이, 함께 용접된 복수의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들(12)을 포함한다. 각각의 금속 플레이트(12)는 방향 y로 연장되며, 낮은 주름이라고 불리는 제1열의 평행한 주름들(13)과, 방향 x로 연장되며, 높은 주름으로 불리는 제2 열의 평행한 주름들(14)을 포함한다. 주름들(13, 14)의 각 열의 방향 x 및 y는 직교한다. 주름들(13, 14)은, 탱크에 수용된 유체와 접촉하도록 된 면인 금속 플레이트(12)의 내부면 측 상에서 돌출된다. 금속 플레이트의 에지(edge)들은 이 예에서는 주름들(13, 14)과 평행하다.
탱크의 2개의 인접한 벽체들(2, 3) 사이에 형성된 코너에서, 1차 실링 멤브레인(11)은 도 2에 상세히 묘사된 코너 피스(1)를 구비한다.
코너 피스(1)는 금속 시트(metal sheet)를 구부림으로써 얻어진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들(12)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금속 시트는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인바(invar®): 즉 전형적으로 1.2 × 10-6과 2 × 10-6 K-1 사이인 팽창률을 가진 철과 니켈의 합금 또는 7 × 10-6 K-1 정도의 팽창률인 망간 고함유 철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다른 금속들이나 합금들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금속 시트는 1.2mm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금속 시트를 두껍게 하는 것은 그 비용을 증가시키며 일반적으로 주름의 강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전제로, 다른 두께 역시 가능하다.
코너 피스(1)는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접힘 라인(17)에서 만나는 제1 및 제2 분지부(15, 16)를 포함한다. 2개의 분지부들(15, 16) 사이에 형성된 돌출된 코너는 이 묘사된 실시예에서 105도 정도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두 분지부들(15, 16)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90도 이상 180도 미만 사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분지부(15, 16)는 직사각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2개의 마주보는 평행한 측면 에지들(18, 19)과 다른 분지부(15, 16)에 대해 반대편 에지에 있는 하나의 단부 에지(20)를 포함한다.
코너 피스(1)는 코너 피스가 탱크 내에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에 의해 생성된 열적, 기계적 스트레스의 영향 하에서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는 유연성을 부여하는 주름(21)을 포함한다. 주름(21)은 코너 피스(1)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접힘 라인(17)을 분할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주름(21)은 분지부들(15, 16)의 마주보는 측면 에지들(18, 19)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주름(21)은 코너 피스(1)가 접힘 라인(17)에 평행한 횡단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해준다. 금속 플레이트들의 주름들(13, 14)과 같이, 주름(21)은 코너 피스(1)의 내부의 측으로부터 돌출된다. 즉, 코너 피스(1)의 2개의 분지부들(15, 16) 사이에 형성된 돌출된 코너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 따라서, 주름(21)은 코너 피스(1)가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때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
도 1에 묘사된 바와 같이, 코너 피스(1)는 그 주름(21)이 각 벽체들(2, 3)의 인접한 금속 플레이트들(12)의 주름(14)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식으로 배열된다. 코너 영역에서 실링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코너 피스(1)는 용접에 의해 인접한 금속 플레이트들(12)에 연결된다.
도 2로 돌아가면, 주름(21)은 제1 분지부(15)에 형성된 제1 단부 부분(21a), 제2 분지부(16)에 형성된 제2 단부 부분(21b) 및 접힘 라인(17)에 걸쳐있고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들(21a, 21b) 사이에서 이들의 연장선 상에서 연장된 중앙 부분(21c)인 3개의 부분들로 나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단부 부분(21a)은 제1 분지부(15)의 자유단(20)으로부터 접힘 라인(17)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대칭적으로, 제2 단부 부분(21b)은 제2 분지부(16)의 자유단(20)으로부터 접힘 라인(17)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은 실질적으로 반타원형(semi-elliptical) 또는 삼각형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주름의 중앙 부분(21c)은 접힘 라인(17)에 걸쳐 있으며 2개의 분지부들(15, 16) 사이에서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의 연장선 상에서 연장되어 있다. 중앙 부분(21c) 또한 실질적으로 반타원형 또는 삼각형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단부 부분들(21a, 21b)은 중앙 부분(21c)과 만나는 영역에서, 중앙 부분(21c)이 주름의 단부 부분들(21a, 21b) 내부로 침투하도록 만입부(22)를 갖고 있다. 이에 더하여, 주름의 단부 부분들(21a, 21b)은 중앙 부분(21b)의 각 측면 상에서 접힘 라인(17)에 근접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런 주름(21)이 코너 피스(1)에 형성되도록 해주는 벤딩 장치(23) 및 이런 벤딩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도 4 내지 도 20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관습적으로, 벤딩 장치(23)의 "길이" 방향은 형성될 주름(21)의 길이방향을 지칭하며, "횡단" 방향은 형성될 주름(21)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것을 지칭한다.
우선, 금속 시트(metal sheet)가 미리 벤딩되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2개의 평탄한 분지부들(15, 16)을 형성한다. 이후에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벤딩 장치(23)에 의해 코너 피스(1)에 주름(21)이 형성된다.
벤딩 장치(23)는 하측 프레임(24)과, 하측 프레임(24)에 대한 관계에서 수직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 상측 프레임(25)을 포함한다. 상측 프레임(25)은 상승된 휴지 위치와, 시트가 변형되어 주름(21)을 형성하는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프레임(25)은 금속 시트가 벤딩되고 주름(21)이 형성되게 해주는 압력을 코너 피스(1)에 가할 수 있다. 도 4, 도 7 내지 도 10에서 상측 프레임(25)은 그 휴지 위치에서 묘사되어 있고, 도 6, 도 15 내지 도 18에서는 그 벤딩 위치에서 묘사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25)은 또한 도 5, 도 11 내지 도 14에서는 주름(21)의 성형이 시작되기 직전에 코너 피스(1)와 접촉하는 중간 위치에서 묘사되어 있다.
도 10에서 예를 들어 묘사된 바와 같이, 하측 프레임(24)은 중앙 다이 엘리먼트(central die element)(26)를 지지한다. 중앙 다이 엘리먼트(26)는 형성될 주름(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동(cavity)을 갖고 있다. 이 공동은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2개의 분지부들(15, 16)에 걸쳐 있는 코너 피스(1)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하측 프레임(24)은 또한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각 측면에 배열된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도 지지한다.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은 도 10에 묘사된 이격 위치와 도 18에 묘사된 밀착 위치 사이에서 횡단 수평 위치에서 하측 프레임(24) 상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묘사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27, 28)는, 하측 프레임(24)에 갖추어진 연계된 가이드 레일(31, 32)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갖고 장착된 2개의 캐리지(carriage)(29, 30)를 구비한다. 캐리지들(29, 30)은 유리하게는 연계된 가이드 레일(31, 32)에 갖춰진 활주 트랙과 협력할 수 있는 복수의 회전체를 포함하는 롤링 캐리지(rolling carriage)들이다. 대안적으로, 관련된 캐리지(29, 30)에 갖춰진 활주 트랙들과 협력할 수 있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들(31, 32)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프링 또는 가스 실린더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복귀 부재들이,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이 그들의 이격 위치로 되돌려지는 것을 보장한다.
도 7 및 도 9에 예시적으로 묘사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27, 28)는 코너 피스(1)에 대한 제1 및 제2 베어링 면(33, 34)을 가지는데, 이 면들은 코너 피스(1)의 2개의 분지부들(15, 16) 사이에 형성된 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제1 베어링 면들(33)은 코너 피스(1)의 제1 분지부(15)의 내부 표면을 수용하도록 된 것이고, 제2 베어링 면들(24)은 코너 피스(1)의 제2 분지부(16)의 내부 표면을 수용하도록 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10에 묘사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27, 28)는 다른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27, 28)를 면하고 있는 그 에지에서, 형성될 주름(3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반공동(half-cavity)(35)을 포함한다. 이 오목한 반공동(35)은 2개의 부분, 즉 제1 베어링 면(33)의 에지를 따라 연장되고 제1 베어링 면(33)에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제1 부분과, 제2 베어링 면(34)의 에지를 따라 연장되고 제2 베어링 면(34)에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제2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이 밀착 위치에 있을 때, 측방향 다이 엘리먼드들(27, 28)의 오목한 반공동(35)들의 제1 부분들은 함께 주름(21)의 제1 단부 부분(21a)의 형상에 상응하는 공동을 형성하고,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오목한 반공동(35)들의 제2 부분들은 함께 주름(21)의 제2 단부 부분(21b)의 형상에 상응하는 공동을 형성한다.
도 10, 도 14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27, 28)는 다른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27, 28)에 반대되는 에지인 그 외측 에지에서 상측 프레임(25)이 그 휴지 위치로부터 그 벤딩 위치로 움직일 때, 상측 프레임(25)에 갖춰진 캠 팔로워(cam follower)(37)와 협력하도록 디자인된 캠면(cam surface)(36)을 구비한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캠 팔로워(37)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축 둘레로 자유롭게 장착된 롤러(38)이다. 롤러(38)는 상측 프레임(25)에 고정되고 하측 프레임(24)의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암(vertical arm)(39)에 갖춰져 있다. 이런 롤러(38)의 이용은 캠면(36)과 캠 팔로워(37) 사이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캠면(36)은, 상측 프레임(25)이 그 휴지 위치로부터 그 벤딩 위치로 움직일 때, 캠 팔로워(37)가 캠면(36)에 압력을 가하여 각각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27, 28)가 그 밀착 위치를 향해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향되어 있다.
도 20에 묘사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 이격 위치로부터 밀착 위치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움직임은 캠면(36)과 캠 팔로워(37)가 아니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압 실린더들(59)에 의해 보장된다. 유압 실린더(59)는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 중 하나(28)에 고정된 제1 단부(60)와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 중 다른 하나(27)에 고정된 제2 단부(61)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59)가 길어지면서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은 그 이격 위치를 향해 더 멀어져 이동하는 반면, 유압 실린더(59)가 짧아지면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은 그 밀착 위치를 향해 더 가깝게 움직여진다. 묘사된 실시예에서 유압 실린더(59)는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에 만들어진 보어(bore)를 통과하여 지나간다(측방향 엘리먼트들을 통과하는 유압 실린더의 통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실린더의 축이 점선으로 표시됨).
이에 더하여 유압 실린더(들)(59)는 휴지 위치와 벤딩 위치 사이에서 상측 프레임(25)의 위치의 신호 대표값을 전달하며 따라서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움직임을 상측 프레임(25)의 움직임과 조화시키도록 상측 프레임(25)의 위치의 함수로서 유압 실린더(59)의 움직임을 통제하도록 해주기 위해 배치된 위치 센서(62)와 연계되어 있다.
또한, 벤딩 장치(23)는 도 10, 도 14 및 도 18에 두드러지게 묘사되고 상측 프레임(25)에 갖춰진 중앙 펀치(40)를 포함한다. 중앙 펀치(40)는 중앙 다이 엘리먼트(26)를 면하여 연장되고 상기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공동을 보상하는 형상을 포함한다. 중앙 펀치(40)는 길이방향으로 길어지는 V 형상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상측 프레임(25)이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일 때, 중앙 펀치(40)는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공동 내부에 맞물려서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을 형성한다.
벤딩 장치(23)는 나아가서 상측 프레임(25) 상에서 도 7 및 도 9에서 볼 수 있는 이격 위치와 도 15 및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밀착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적으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된 2개의 이동 조립체들(41, 42)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과 같은 복귀 부재들이 2개의 이동 조립체(41, 42)가 그들의 이격 위치를 향해 복귀되도록 보장한다.
제1 이동 조립체(41)는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제1 지지 표면들(33)을 면하여 배열되어 있고 제2 이동 조립체(42)는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제2 지지 표면들(34)을 면하여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이동 조립체(41, 42)는 도 8 및 도 10에 두드러지게 묘사되고 벤딩 작동 중 코너 피스(1)를 지지 표면들(33, 34)에 대해 클램핑하도록 된 2개의 클램프들(43, 44)과, 도 9에 두드러지게 묘사되고 주름(21)의 단부 부분들(21a, 21b)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커터 펀치(45, 53)를 포함한다.
각각의 이동 조립체(41, 42)는 상측 프레임(25)에 갖춰진 가이드 레일(49, 50)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된 한 쌍의 캐리지들(47, 48)이 장비된 지지부(46)를 포함한다. 캐리지들(47, 48) 또는 가이드 레일들(49, 50)은 유리하게는 가이드 레일(49, 50) 또는 연계된 캐리지(47, 48)에 갖춰진 활주 트랙들과 협력할 수 있는 복수의 회전체를 포함한다. 이동 조립체들(41, 42)은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그것들을 면하는 지지 표면들(33, 34)과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상측 프레임(25)에 대한 관계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각각의 이동 조립체(41, 42)는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 중 하나(28)의 지지 표면(33, 34)을 면하며 이들에 평행하게 배열된 클램핑 면을 구비한 제1 클램프(43)와,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 중 다른 하나(27)의 지지 표면(33, 34)을 면하며 이들에 평행하게 배열된 클램핑 면을 구비한 제2 클램프(44)를 포함한다. 따라서 클램프들(43, 44)은 상측 프레임(25)이 그 벤딩 위치에 있을 때, 코너 피스(1)의 분지부들(15, 16)을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지지 표면들(33, 34)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클램프들(43, 44)은 지지부(46) 상에서 그들의 클램핑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 장치를 통해 움직이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장치는 각각의 클램프(43, 44)에 대해 클램프(43, 44)에 갖춰지고 상기 클램프(43, 44)의 클램핑 면에 수직하게 배향되며 지지부(46)에 형성된 보어들에서 슬라이딩되는 2개의 가이드 튜브들(51)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압축 스프링들(52) 각각은 지지부(46)에 형성된 블라인드 홀 내부에 수용된 제1 단부와, 클램프(43, 44)에 형성된 블라인드 홀 내부에 수용된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묘사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스프링들(52)은 가스 실린더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이동 조립체(41)의 커터 펀치(45)는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제1 반공동 부분들을 면하여 배열되고 있고, 제2 이동 조립체의 커터 펀치(53)는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제2 반공동 부분들을 면하여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프레임(25)이 그 휴지 위치로부터 그 벤딩 위치로 움직여질 때, 커터 펀치들(45, 53)이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에 의해 형성된 공동들 내부에 맞물려서 주름(21)의 단부 부분들(21a, 21b)을 형성한다.
도 19에 두드러지게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펀치들(45, 53)은 메인 부분(54)과 2개의 커터들(55, 56)을 포함한다. 메인 부분(54)은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반대편의 공동을 보상하는 형상을 가진 V형상 단면을 갖고 있다. 두 커터들(55, 56)은 이동 조립체들(41, 42)이 그 밀착 위치에 있을 때 중앙 펀치(40)의 각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터들(45, 53)은 중앙 부분(21c)의 각 측면 상에서 주름(21)의 단부 부분들(21a, 21b)의 연장부들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도 9, 도 13 및 도 17과 함께, 상측 프레임(25)이 그 휴지 위치로부터 그 벤딩 위치로 움직일 때(도 13 및 도 17 참조), 각각의 이동 조립체(41, 42)가 하측 프레임(24)에 갖춰진 캠 팔로워와 협력하도록 디자인된 캠면(57)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캠 팔로워(58)는 횡단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축 둘레로 자유롭게 장착된 롤러이다. 캠면(57)은 상측 프레임(25)이 그 휴지 위치로부터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일 때 캠 팔로워(58)가 캠면(57)에 압력을 가하여 이동 조립체(41, 42)가 그 밀착 위치를 향해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제 벤딩 장치의 이용 방법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우선, 금속 시트가 미리 굽혀져 접힘 라인(17) 둘레로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2개의 분지부들(15, 16)을 포함하는 코너 피스(1)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코너 피스(1)가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지지 표면들(33, 34)에 대하여 배치된다(도 4, 도 7 내지 도 10 참조). 코너 피스(1)의 돌출된 코너는 분지부들(15, 16)의 내부 표면들이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지지 표면들(33, 34)에 대해 놓이도록 하측 프레임(24)을 향해 지향된다.
코너 피스(1)가 정확히 배치되었다면, 상측 프레임(25)이 도 4,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그 휴지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움직여진다. 그 행정 말단을 향한 상측 프레임(25)의 움직임 동안, 클램프들(43, 44)이 코너 피스(1)의 분지부들(15, 16)을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지지 표면들(33, 34)에 대해 견고하게 압박하게 된다.
그러면 중앙 펀치(40)가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공동 내부에 맞물려서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을 형성하며, 커터 펀치들(45, 53)이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에 의해 형성된 공동들 내부에 맞물려서 주름(21)의 단부 부분들(21a, 21b)을 형성한다.
동시에, 상측 프레임(25)에 갖춰진 캠 팔로워들(37)이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에 갖춰진 캠 표면들(36)과 접촉하게 되어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을 그 밀착 위치를 향해 움직이게 한다. 따라서, 주름(21)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그 밀착 위치를 향한 움직임은, 금속 시트가 구부러지면서 그 두께에 변화가 없거나 거의 없도록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것은, 금속 시트는 그 기계적 특성이 손상 받지 않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하여, 하측 프레임(24)에 갖춰진 캠 팔로워들(58)이 이동 조립체들(41, 42)에 갖춰진 캠면들(57)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커터 펀치들(45, 53)이 하측 프레임(24)을 향해 움직이는 동시에 서로 더 가까이 움직여져서 중앙 부분(21c)의 각 측면 상에 주름(21)의 단부 부분들(21a, 21b)의 연장부들을 형성하고,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이 단부 부분들(21a, 21b) 내부로 침입하도록 만입부(22)를 형성한다.
본 발명이 다양한 특정한 실시예들과의 관계에서 설명되었으나, 어떤 식으로든 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한 설명된 수단들의 모든 기술적 동등물 및 그 조합을 포함한다는 것은 매우 명백하다.
동사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구성하다" 및 그 활용형들은 청구항에 언급된 것들 이외의 구성요소들이나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요소나 단계에 대한 부정관사 "a" 또는 "an"의 사용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그 구성요소나 단계가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들에서, 괄호 사이의 임의의 도면 부호들은 당해 청구항의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4)

  1.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접힘 라인(17)에서 만나는 제1 및 제2 평탄 분지부(15, 16)를 포함하는 코너 피스(1)에서 주름(21)을 형성하기 위한 벤딩 장치(23)로서, 상기 주름(21)은 코너 피스(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코너 피스(1)가 접힘 라인(17)에 평행한 횡단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코너 피스(1)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접힘 라인(17)을 분할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형성될 상기 주름(21)은 각각 제1 분지부(15)와 제2 분지부(16) 상에 배열된 제1 단부 부분(21a) 및 제2 단부 부분(21b)과, 접힘 라인(17)에 걸쳐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의 연장선에서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 사이에서 연장된 중앙 부분(21c)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 부분들(21a, 21b)은 각각 중앙 부분(21c)과 만나는 영역에서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이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 내부로 침입하도록 만입부(22)를 구비하며; 상기 벤딩 장치(23)는:
    - 하측 프레임(24);
    - 하측 프레임(24)에 장착되고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의 형상에 상응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공동을 포함하는 중앙 다이 엘리먼트(26);
    - 하측 프레임(24)에 갖춰지고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9)로서, 상기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각각은 코너 피스(1)의 제1 및 제2 분지부(15, 16)의 내부 표면을 각각 수용하도록 된 제1 및 제2 지지 표면(33, 34)을 포함하고,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표면들(33, 34)은 코너 피스(1)의 제1 및 제2 분지부들(15, 16)이 제1 및 제2 지지 표면들(33, 34)에 대해 수용될 때 코너 피스(1)의 접힘 라인(17)에 상응하는 접힘 라인 축의 수평 입체각 둘레로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27, 28)의 제1 및 제2 지지 표면들(33, 34)과 각각 경계를 이루는 제1 및 제2 부분을 구비한 반공동(35)을 포함하고, 2개의 측방향 엘리먼트들의 반공동(35)의 제1 및 제2 부분들은 주름(21)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의 형상에 상응하는 공동을 규정할 수 있는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 하부 프레임(24)에 대해 접힘 라인의 축을 분할하는 수직한 방향으로 휴지 위치와 벤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상측 프레임(25);
    - 상측 프레임(25)에 갖춰지고 중앙 다이 엘리먼트(26)를 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공동을 보상하는 형상을 가진 중앙 펀치(40)로서, 상기 중앙 펀치(40)는 상측 프레임(25)이 그 휴지 위치로부터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임에 따라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을 형성하도록 중앙 다이 엘리먼트(26)의 공동 내부에 맞물릴 수 있는 중앙 펀치(40);
    - 상측 프레임(25) 상에서 밀착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된 2개의 이동 조립체들(41, 42)로서, 상기 2개의 이동 조립체들(41, 42)은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제1 지지 표면들(33) 및 제2 지지 표면들(34)을 각각 면하여 배치되어 있고 각각 그들과 면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 표면들(33, 34)과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조립체들(41, 42) 각각은:
    · 각각 상측 프레임(25)이 그 벤딩 위치에 있을 때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8)의 지지 표면들(33, 34)에 대해 코너 피스(1)를 클램핑하도록 제1 및 제2 지지 표면들(33, 34) 각각을 면하며 각각 이들에 평행하게 연장된 클램핑 표면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클램프들(43, 44); 및
    ·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반공동들(35)을 면하여 배치된 커터 펀치(45, 53)로서, 상기 커터 펀치(45, 53)는 주름(21)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21a, 21b)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측 프레임(25)이 그 벤딩 위치에 있을 때 주름(21)의 제1 또는 제2 단부 부분(21a, 21b)을 형성하도록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반공동(35)의 제1 또는 제2 부분들 내부에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커터 펀치(45)는 메인 부분(54)과, 이동 조립체들(41, 42)이 그 밀착 위치에 있을 때 중앙 펀치(40)의 각 측면 상에 배치되게 되도록 하는 2개의 커터들(55, 56)을 포함하는 커터 펀치(45, 53);
    · 상측 프레임(25)이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일 때 하측 프레임(24)에 갖춰진 캠 팔로워(58)와 협력할 수 있는 캠면(57)으로서, 상기 캠면(57)과 캠 팔로워(58)는, 상측 프레임(25)의 그 벤딩 위치로의 움직임 동안 이동 조립체(41, 42)가 그 이격 위치로부터 그 밀착 위치로 움직여지는 식으로 배열된 캠면(57)
    을 포함하는 이동 조립체들(41, 42)
    을 포함하는 벤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측 프레임에 갖춰진 캠 팔로워(58)는 자유롭게 장착된 롤러인 벤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동 조립체들(41, 42)은 각각 상측 프레임(25)에 갖춰진 가이드 레일(49, 50) 상에서 슬라이드 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된 캐리지(47, 48)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캐리지(47, 48) 또는 가이드 레일(49, 50)은 가이드 레일(49, 50)에 갖춰진 활주 트랙들 또는 연계된 캐리지(47, 48)와 협력할 수 있는 복수의 회전체들을 포함하는 벤딩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동 조립체들(41, 42) 각각은 지지부(46)를 포함하고, 각 이동 조립체(41, 42)의 클램프들(43, 44)은 상기 이동 조립체(41, 42)의 지지부(46)와 연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조립체(41, 42)를 면하는 제1 또는 제2 지지 표면들(33, 34)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계된 지지부(46)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되고, 상기 클램프들(43, 44)은 복귀 부재들(52)에 의해 상기 이동 조립체(46)의 지지부(46)로부터 일정 거리의 위치로 복귀되는 벤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클램프들(43, 44)은 클램프들(43, 44)에 갖춰진 가이드 튜브들(51)을 통해 연계된 지지부(46)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되고 연계된 지지부(46) 내에 형성된 보어들에서 슬라이드되는 벤딩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복귀 부재들(52)은 클램프들(43, 44) 및 연계된 지지부(46) 사이에서 복귀력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들 또는 가스 실린더들인 벤딩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은 하측 프레임(24) 상에서 이격 위치와 밀착 위치 사이에서 횡단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되고,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길이방향 반공동들(5)의 제1 및 제2 부분들은 각각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이 그 밀착 위치에 있을 때 주름들(21)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의 형상에 상응하는 공동을 규정할 수 있는 벤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각각은 상측 프레임(38)에 갖춰진 연계된 캠 팔로워(37)와 협력할 수 있는 캠면(36)을 포함하고, 캠면들(36)과 캠 팔로워들(37)은, 상측 프레임(25)이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이 그 이격 위치로부터 그 밀착 위치로 움직여지는 식으로 배열된 벤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캠 팔로워들(37)은 상측 프레임(25)에 갖춰진 자유롭게 장착된 롤러들(38)인 벤딩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압 실린더들에 의해 그들의 이격 위치로부터 그들의 밀착 위치를 향해 움직여지는 벤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유압 실린더는, 상측 프레임(25)의 위치의 함수로서 유압 실린더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 휴지 위치와 그 벤딩 위치 사이에서 상측 프레임의 위치의 신호 대표값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 센서와 연계되어 있는 벤딩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 각각은 하측 프레임(24)에 갖춰진 연계된 가이드 레일(31, 32)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장착된 캐리지(29, 30)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
  14. 코너 피스(1)에 주름(21)을 형성하기 위해 제1항 또는 제2항의 벤딩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코너 피스(1)는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있으며 접힘 라인(17)에서 만나는 제1 및 제2 평탄 분지부를 포함하고, 형성될 주름(21)은 코너 피스(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코너 피스(1)가 접힘 라인(17)과 평행한 횡단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하기 위해 코너 피스(1)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접힘 라인(17)을 분할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주름(21)은 제1 분지부(15) 및 제2 분지부(16) 상에 각각 배열된 제1 단부 부분(21a)과 제2 단부 부분(21b), 접힘 라인(17)에 걸쳐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의 연장선 상에서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 사이에서 연장된 중앙 부분(21c)을 포함하고, 단부 부분들(21a, 21b)은 각각 중앙 부분(21c)과 만나는 영역에서 주름(21)의 중앙 부분(21c)이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21a, 21b) 내부로 침입하는 만입부(22)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코너 피스(1)의 제1 및 제2 분지부들(15, 16)이 각각 2개의 측방향 다이 엘리먼트들(27, 28)의 제1 및 제2 지지 표면들(33, 34)에 대해 지지되는 식으로 코너 피스(1)를 배치하는 단계; 및
    - 상측 프레임(25)을 그 휴지 위치로부터 그 벤딩 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 이용 방법.
KR1020177006697A 2014-08-28 2015-08-21 코너부에서 주름 형성을 위한 벤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KR102319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8039A FR3025121B1 (fr) 2014-08-28 2014-08-28 Dispositif et procede de pliage pour former une ondulation dans une piece d'angle
FR1458039 2014-08-28
PCT/FR2015/052250 WO2016030619A1 (fr) 2014-08-28 2015-08-21 Dispositif de pliage pour former une ondulation dans une piece d'angle et methode d'utilisation d'un tel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272A KR20170047272A (ko) 2017-05-04
KR102319563B1 true KR102319563B1 (ko) 2021-10-29

Family

ID=5179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697A KR102319563B1 (ko) 2014-08-28 2015-08-21 코너부에서 주름 형성을 위한 벤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319563B1 (ko)
CN (1) CN107148319B (ko)
FR (1) FR3025121B1 (ko)
WO (1) WO2016030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3344B1 (fr) * 2015-11-05 2017-12-08 Gaztransport Et Technigaz Machine de pliage pour former une ondulation dans une tole metallique et procede d'utilisation d'une telle machine de pliage
FR3050008B1 (fr) * 2016-04-11 2018-04-27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a membranes d'etancheite ondulees
FR3095355B1 (fr) 2019-04-29 2021-10-29 Gaztransport Et Technigaz Système de pliage pour former une ondulation dans une pièce et procédé d’utilisation du dispositif
FR3095356B1 (fr) 2019-04-29 2022-06-03 Gaztransport Et Technigaz Pièce d’angle ondulée destinée à la construction d’une membrane d’étanchéité pour une cuve et système de pliage pour la formation d’une ondulation dans une pièce d’ang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835A (ja) 2000-05-12 2001-11-20 Mitsubishi Heavy Ind Ltd メンブレンシートの金型装置
KR100547986B1 (ko) 2005-09-12 2006-02-01 (주)삼우멤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리브형 멤브레인 제작방법
KR100552898B1 (ko) * 2005-09-12 2006-02-22 (주)삼우멤코 이형 피치 게이지를 구비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멤브레인 성형 장치
KR100766309B1 (ko) 2007-04-30 2007-10-12 (주)삼우멤코 성형용 멤브레인 탑재대가 연결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멤브레인 성형장치
KR102052848B1 (ko) 2019-03-13 2019-12-05 강두현 경량성, 단열성, 내후성 및 불연성이 향상된 고강도 허니컴 코어구조를 갖는 복합패널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601215A (ko) * 1968-12-31 1970-08-10
JP2813512B2 (ja) * 1992-07-08 1998-10-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板材の曲げ加工法と加工装置
JP3696968B2 (ja) * 1996-04-18 2005-09-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板材の成形機
FR2820654B1 (fr) * 2001-02-09 2003-09-26 Air Liquide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e onde de garnissage structure, et appareil de traitement de fluides correspondant
KR20040006983A (ko) * 2002-07-16 2004-01-24 김재헌 반원형 단부를 구비한 주름 강판의 형성 장치 및 방법
FR2861060B1 (fr) * 2003-10-16 2006-01-06 Gaz Transport & Technigaz Structure de paroi etanche et cuve munie d'une telle structure
KR101410285B1 (ko) * 2007-04-04 2014-06-20 정동욱 일 방향 압력 롤러를 구비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멤브레인 성형장치
KR20090119470A (ko) * 2008-05-16 2009-11-19 주식회사 화인텍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멤브레인의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CN203356303U (zh) * 2013-07-03 2013-12-25 西安启源机电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波纹油箱折弯设备
FR3020769B1 (fr) * 2014-05-06 2017-01-06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et procede de pliage pour former une ondulation dans une tole metalliqu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835A (ja) 2000-05-12 2001-11-20 Mitsubishi Heavy Ind Ltd メンブレンシートの金型装置
KR100547986B1 (ko) 2005-09-12 2006-02-01 (주)삼우멤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리브형 멤브레인 제작방법
KR100552898B1 (ko) * 2005-09-12 2006-02-22 (주)삼우멤코 이형 피치 게이지를 구비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멤브레인 성형 장치
KR100766309B1 (ko) 2007-04-30 2007-10-12 (주)삼우멤코 성형용 멤브레인 탑재대가 연결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멤브레인 성형장치
KR102052848B1 (ko) 2019-03-13 2019-12-05 강두현 경량성, 단열성, 내후성 및 불연성이 향상된 고강도 허니컴 코어구조를 갖는 복합패널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25121B1 (fr) 2017-03-03
KR20170047272A (ko) 2017-05-04
FR3025121A1 (fr) 2016-03-04
CN107148319B (zh) 2019-03-01
WO2016030619A1 (fr) 2016-03-03
CN107148319A (zh)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896B1 (ko) 금속 시트에 복수의 주름을 동시 형성하기 위한 폴딩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이용 방법
KR102319563B1 (ko) 코너부에서 주름 형성을 위한 벤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US10335844B2 (en) Folding device for forming a corrugation in a metal sheet and method for using a folding device
KR102295951B1 (ko) 금속 시트의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벤딩 머신
KR102340342B1 (ko) 금속 플레이트에 주름부를 형성하기 위한 굽힘 장치 및 상기 굽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CN107076360B (zh) 用于构造流体储罐的密封膜的弯角部件
CN110405028B (zh) 一种用于在金属板中形成波纹的折叠装置
CN104039495A (zh) 金属板流体密封膜的构建
CN104334292B (zh) 闭截面结构体的成形方法及闭截面结构体的成形装置
US39542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heet metal around tubes
JP5532513B2 (ja) 気密ゴム切断装置
JP2022531180A (ja) タンクの密閉メンブレンを構築するためのコルゲートコーナー部品及びコーナー部品にコルゲーションを形成するための曲げ加工システム
KR101908595B1 (ko) 코너 패널 제작 장치
RU2812036C2 (ru) Гиб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гофра в части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а
KR102371115B1 (ko) 금속 시트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폴딩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이용 방법
RU2813235C2 (ru) Гофрированная угловая часть,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й мембраны для резервуара, и гиб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гофра в угловой части
KR20220002410A (ko) 워크피스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벤딩 시스템 및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KR101617036B1 (ko) 화물창의 1차방벽
KR20220134640A (ko)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벤딩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FR3025123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pliage pour former simultanement une pluralite d'ondulations dans une tole metallique
CN218775431U (zh) 一种焊接气瓶底座压制机
KR100544792B1 (ko) 레이저 용접용 박판 클램핑 방법
KR101767769B1 (ko) 롤포밍부재
JP2010048298A (ja) ピース押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