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533B1 -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533B1
KR102319533B1 KR1020190154049A KR20190154049A KR102319533B1 KR 102319533 B1 KR102319533 B1 KR 102319533B1 KR 1020190154049 A KR1020190154049 A KR 1020190154049A KR 20190154049 A KR20190154049 A KR 20190154049A KR 102319533 B1 KR102319533 B1 KR 10231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ousing
fine dust
connector
exhaus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392A (ko
Inventor
김미림
Original Assignee
김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림 filed Critical 김미림
Priority to KR102019015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5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5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덕트에 삽입설치하여 악취를 제거함과 함께 미세먼지까지 저감할 수 있는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의하면 식당 등에 설치되는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질 속의 악취 및 미세먼지를 함께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배기덕트에 맞게 현장에서 형태를 변화시켜 손쉽게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THE REMOVAL DEVICE OF BAD SMELL AND FINE DUST}
본 발명은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덕트에 삽입설치하여 악취를 제거함과 함께 미세먼지까지 저감할 수 있는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 식품 공장, 축산농가, 도색 공장 등의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악취 발생물질을 제어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방법은 단순 환기 및 국소 배기 후 확산 희석하는 등의 매우 단순한 방법이 대부분이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배기 송풍기의 출구 측이 한 방향으로 향해 있어서 악취물질이 집중 배출되고 저기압일 경우 주변으로 악취물질이 확산되어 주요 민원사항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식품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유발물질은 미립자를 함유한 유증기가 포함되어 있어 배출 덕트로 이송되면서 먼저 비등점이 높은 지방산의 증기가 덕트 입구 내부벽과 배출 팬의 날개 등에 응축되면서 굳어지고, 배출구에는 수증기가 응축하여 응축수로 흘러내리며 나머지 증기와 휘발성유기화합물질과 휘산물질, 질소산화물 및 일산화탄소 등은 그대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된 주변지역의 사람에게 그 독특한 냄새로 불쾌감과 그에 따른 두통, 매스꺼움, 구토 등과 같은 신체반응을 야기함으로 이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다.
한편, 최근 국내에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질환이 다수 발생하고 있는 등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정화 장치 등 다수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음식점, 식품 공장, 축산농가, 도색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는 악취 및 미세먼지가 함께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모두 제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10-1605820호(2016.03.17.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식당 등에 설치되는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질 속의 악취 및 미세먼지를 함께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배기덕트에 맞게 현장에서 형태를 변화시켜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덕트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악취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악취 제거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 상기 하우징내 상기 제1연결구쪽에 구비되는 미세먼지저감필터 및 상기 하우징내 상기 미세먼지저감필터와 상기 제2연결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구 방향으로 악취제거용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가변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 상기 가변링크와 상기 제2연결구 사이에 구비되는 와류형성용메쉬망;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크는 노즐이 구비되며, 각각 장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링크 및 링크의 장홀과 이웃하는 링크의 장홀 사이에 설치되어 링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단면 형상에 따라 링크의 장홀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수단의 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가변링크의 형상을 상기 하우징의 단면 형상과 일치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크는 노즐이 구비되며, 각각 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링크 및 링크의 홀과 이웃하는 링크의 홀 사이에 설치되어 링크를 연결하되, 링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단면 형상에 따라 각각의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가변링크의 형상을 상기 하우징의 단면 형상과 일치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크는 노즐이 구비되며, 각각 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링크 및 링크의 홀과 이웃하는 링크의 홀 사이에 설치되어 링크를 연결하되, 링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입체 형상에 따라 각각의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가변링크의 형상을 상기 하우징의 입체 형상과 일치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제어부는 각각의 노즐들과 연결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에 보내주는 악취제거용 액체를 보관하는 보관통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노즐의 악취제거용 액체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의하면 식당 등에 설치되는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질 속의 악취 및 미세먼지를 함께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배기덕트에 맞게 현장에서 형태를 변화시켜 손쉽게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다양한 형태의 배기덕트에 맞게 현장에서 형태를 변화시켜 손쉽게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악취와 함께 미세먼지를 모두 제거할 수 있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덕트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악취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악취 제거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1000)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덕트(20, 30)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악취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악취 제거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덕트에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배기덕트의 일부를 절단한 다음, 상기 본체(100)를 배기덕트(20)와 배기덕트(30)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로써 발생된 악취 및 미세먼지는 흡입구(10)를 통해 배기덕트(20, 3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상기 본체(100)를 통과하면서 악취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하우징(110), 제1연결구(120), 제2연결구(130), 미세먼지저감필터(140) 및 가변링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와류형성용메쉬망(1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미세먼지저감필터(140) 및 가변링크(150)를 내장하고 있는 하우징으로서, 금속 소재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면의 일부는 개구되어 있어 상기 미세먼지저감필터(140) 및 상기 와류형성용메쉬망(160)을 탈부착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덕트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구(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20)와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구(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30)와 연결된다.
상기 미세먼지저감필터(140)는 상기 하우징(110)내 상기 제1연결구(120)쪽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1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를 제거한다.
상기 미세먼지저감필터(140)는 항균필터를 비롯하여 미세먼지를 저감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용메쉬망(160)은 상기 하우징(110)내 상기 가변링크(150)와 상기 제2연결구(130) 사이에 구비되며, 유동하는 기체가 통과하여 와류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기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기체가 상기 와류형성용메쉬망(160)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제2연결구(130) 쪽 배기덕트 내의 공간인 와류형성공간부(180)에서 와류가 형성되게 되고 이때, 상기 가변링크(150)에 구비된 노즐(170)을 통해 악취제거용 액체가 분사되면 악취 제거의 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가변링크(150)는 상기 하우징(110)내 상기 미세먼지저감필터(140)와 상기 와류형성용메쉬망(16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구(130) 방향으로 악취제거용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17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변링크(150)는 원형 덕트나 사각형 덕트 등 다양한 형태의 덕트 형상에 맞춰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게 되는데,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가변링크(150)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4를 참조하여 가변링크(150)의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링크(151)로 구성된 가변링크(150) 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상기 가변링크(150)의 기본이 되는 링크(151)는 4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의 링크(151)에는 장홀(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170)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170)는 악취제거용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로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구(130) 방향으로 악취제거용 액체를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링크와 링크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위치가 결정되면 고정수단(153)을 상기 장홀(152)에 삽입하여 링크와 링크를 서로 고정하여 설치한다.
상기 고정수단(153)은 다양한 종류의 고정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볼트-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배기덕트(20, 30)의 단면 형상과 일치시킨 상기 하우징(1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링크(151)의 장홀(152)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수단(153)의 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가변링크(150)의 형상을 상기 하우징(110)의 단면 형상과 일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홀(152)이 구비된 4개의 링크(151)를 사용하였는바, 정사각형 형태나 마름모 형태의 가변링크(150)를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홀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링크(251)로 구성된 가변링크(250) 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상기 가변링크(250)의 기본이 되는 링크(251)는 10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의 링크(251)에는 홀(252)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170)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170)는 악취제거용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로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구(130) 방향으로 악취제거용 액체를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링크와 링크에 각각 구비된 홀(252)에 삽입되는 연결수단(253)을 통해 연결되는데, 링크(25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연결수단(253)은 다양한 종류의 연결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볼트-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배기덕트(20, 30)의 단면 형상과 일치시킨 상기 하우징(1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링크(251)를 회전시켜 상기 가변링크(250)의 형상을 상기 하우징(110)의 단면 형상과 일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252)이 구비된 10개의 링크(251)를 사용하였는바, 삼각형이나 정사각형 등 다각형 형태를 비롯하여 원형 형태의 가변링크(250)를 제작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분사제어부(200)는 보관통(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관통(210)은 악취제거용 액체를 보관하고 있으며, 상기 가변링크(150)에 구비된 각각의 노즐들과 연결되어 있어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노즐에 악취제거용 액체를 보내준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어 노즐의 악취제거용 액체의 분사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변링크(250)의 형상을 상기 하우징(110) 내의 입체 형상과 일치시켜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입체 형상에 따라 링크(251)를 회전시켜 상기 가변링크(250)의 형상을 상기 하우징(110) 내의 입체 형상과 일치시켜 도 4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링크(250)를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링크(250)를 복수개 사용하여 제작하면 입체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기타 상기 분사제어부(2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 예를 들면, 액체 연결호스, 타이머, 조작부 등과 같은 구성요소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덕트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악취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악취 제거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
    상기 하우징내 상기 제1연결구쪽에 구비되는 미세먼지저감필터; 및
    상기 하우징내 상기 미세먼지저감필터와 상기 제2연결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구 방향으로 악취제거용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가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링크는
    노즐이 구비되며, 각각 장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링크; 및
    링크의 장홀과 이웃하는 링크의 장홀 사이에 설치되어 링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단면 형상에 따라 링크의 장홀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수단의 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가변링크의 형상을 상기 하우징의 단면 형상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2.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덕트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악취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악취 제거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
    상기 하우징내 상기 제1연결구쪽에 구비되는 미세먼지저감필터; 및
    상기 하우징내 상기 미세먼지저감필터와 상기 제2연결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구 방향으로 악취제거용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가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링크는
    노즐이 구비되며, 각각 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링크; 및
    링크의 홀과 이웃하는 링크의 홀 사이에 설치되어 링크를 연결하되, 링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단면 형상에 따라 각각의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가변링크의 형상을 상기 하우징의 단면 형상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3.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덕트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악취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악취 제거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
    상기 하우징내 상기 제1연결구쪽에 구비되는 미세먼지저감필터; 및
    상기 하우징내 상기 미세먼지저감필터와 상기 제2연결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구 방향으로 악취제거용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가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링크는
    노즐이 구비되며, 각각 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링크; 및
    링크의 홀과 이웃하는 링크의 홀 사이에 설치되어 링크를 연결하되, 링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입체 형상에 따라 각각의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가변링크의 형상을 상기 하우징의 입체 형상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 상기 가변링크와 상기 제2연결구 사이에 구비되는 와류형성용메쉬망;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제어부는
    각각의 노즐들과 연결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에 보내주는 악취제거용 액체를 보관하는 보관통;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노즐의 악취제거용 액체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6. 삭제
KR1020190154049A 2019-11-27 2019-11-27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319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49A KR102319533B1 (ko) 2019-11-27 2019-11-27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49A KR102319533B1 (ko) 2019-11-27 2019-11-27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92A KR20210065392A (ko) 2021-06-04
KR102319533B1 true KR102319533B1 (ko) 2021-11-01

Family

ID=7639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049A KR102319533B1 (ko) 2019-11-27 2019-11-27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5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770B1 (ko) * 2003-03-26 2005-11-28 (주)대성공영환경 습식 미스트 엘리미네이터가 부착된 건식 공기정화장치
KR101605820B1 (ko) 2014-02-27 2016-04-01 아트먼 주식회사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2017230B1 (ko) * 2017-12-22 2019-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메쉬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92A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0117B2 (ja) 個人化された空気浄化装置
US9316405B2 (en) Cyclone type humidifier and wet air purifier combina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TWI274830B (en) Self cleaning filter assembly and circulation system
KR100423361B1 (ko) 토네이도형 흡기·송풍장치
WO1997046302A1 (fr) Appareil d'epuration de gaz d'echappement
KR101533983B1 (ko) 음식 냄새 제거장치
US4038056A (en) Kitchen hood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from fluid
US5814115A (en) Grease filter for exhaust systems in commercial food preparation environments
EP2267373A1 (de) Externes Gebläse für Dunstabzugsvorrichtung
US8709347B2 (en) Air scent dispenser
KR102196391B1 (ko) 업소용 집진 및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319533B1 (ko)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EP0936941B1 (en) Procedure and filter device for removal and/or destruction of organic substances in contaminated air
JP2012516774A (ja) ガス清浄器
US20200376424A1 (en)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ration system
CN205628425U (zh) 一种水帘喷房
CN104764064A (zh) 风机动态油烟防护罩
KR101474822B1 (ko) 산업용 국소 배기 후드 흡인 장치 및 상기 산업용 국소 배기 후드 흡인 장치가 복수 개 적용되는 배기 시스템
JPH08224433A (ja) 脱臭装置
JP2011161148A (ja) 脱臭剤を含む液体のアトマイジング方法
JP2614503B2 (ja) 人工竜巻式フード
KR102611747B1 (ko) 공기정화형 후드 시스템
JP6718849B2 (ja) 排気装置の排気ガスを有害物除去装置へ送る通気配管
CN205860177U (zh) 一种物理油烟净化装置
JP6229635B2 (ja) 弁一体型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