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230B1 - 메쉬 구조체 - Google Patents

메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230B1
KR102017230B1 KR1020170178542A KR20170178542A KR102017230B1 KR 102017230 B1 KR102017230 B1 KR 102017230B1 KR 1020170178542 A KR1020170178542 A KR 1020170178542A KR 20170178542 A KR20170178542 A KR 20170178542A KR 102017230 B1 KR102017230 B1 KR 10201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network
generating unit
vortex generating
mesh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611A (ko
Inventor
유대성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2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는 복수 개의 제1 공극이 형성된 제1 메쉬망, 상기 제1 메쉬망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 공극이 형성된 제2 메쉬망 및 상기 제1 메쉬망과 제2 메쉬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쉬망과 제2 메쉬망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메쉬망을 통과한 기체가 상기 제2 메쉬망으로 흐르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와류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제1 메쉬망에 연결된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2 메쉬망에 연결된 타측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쉬 구조체{MESH CONSTRUCT}
본 발명은 메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방충망은 외부로부터 꽃가루, 먼지, 유해충 등 각종 유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방충망은 일반적으로 프레임과 프레임 내측에 결합되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공극을 포함하는 메쉬망을 포함하여 제작되는데, 공극의 크기보다 작은 미세먼지의 경우, 방충망이 실질적으로 필터로서 기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종래에는 메쉬망에 형성된 공극의 크기를 작게 하여 보다 촘촘한 메쉬망을 사용하였는데, 미세먼지의 경우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메쉬망을 촘촘하게 구성하여도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데 실질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미세먼지등의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메쉬망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메쉬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는 복수 개의 제1 공극이 형성된 제1 메쉬망, 상기 제1 메쉬망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 공극이 형성된 제2 메쉬망 및 상기 제1 메쉬망과 제2 메쉬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쉬망과 제2 메쉬망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메쉬망을 통과한 기체가 상기 제2 메쉬망으로 흐르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와류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제1 메쉬망에 연결된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2 메쉬망에 연결된 타측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에서 상기 와류 발생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와류 발생부는 인접하게 배치된 와류 발생부와 테두리가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에서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제1 메쉬망과 평행한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에서 상기 와류 발생부는 4개의 사다리꼴 형상의 플레이트의 빗변이 결합되어 사각뿔의 꼭짓점 부분이 절단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에서 상기 와류 발생부의 외주면에는 추가 와류 생성부가 외측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와류 생성부는 내부 단면적이 외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는 상기 제1 메쉬망과 상기 제2 메쉬망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제1 메쉬망과 상기 제2 메쉬망 사이에 생성된 공간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는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메쉬 구조체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를 통과하는 기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에 구비되는 와류 발생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를 통과하는 기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메쉬 구조체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1)는 복수 개의 제1 공극이 형성된 제1 메쉬망(100), 제1 메쉬망(100)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 공극이 형성된 제2 메쉬망(200) 및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을 연결하고, 제1 메쉬망(100)을 통과한 기체가 제2 메쉬망(200)으로 흐르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와류 발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쉬망(100)은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측, 다시 말해 외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쉬망(100)은 제1 프레임(110)과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극을 포함하는 제1 네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제1 메쉬망(100)의 외곽을 규정할 수 있으며, 금속소재 또는 사출성형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제1 프레임(110)의 소재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소재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극을 포함하는 제1 네트(120)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의 기체는 제1 공극을 통해 유입될 수 있으며, 제1 공극보다 직경이 큰 유해물질의 경우 제1 공극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1 네트(120)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네트(120)는 금속소재, 합성섬유 등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메쉬망(200)은 제1 메쉬망(10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메쉬망(200)은 실내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210)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공극을 포함하는 제2 네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10)은 제2 메쉬망(200)의 외곽을 규정할 수 있으며, 금속소재 또는 사출성형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제2 프레임(220)의 소재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공극을 포함하는 제2 네트(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공극을 통해 와류 발생부(300)를 통과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네트(220)는 금속소재, 합성섬유 등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제1 네트(120)와 제2 네트(220)를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제1 네트(120)와 제2 네트(220)는 별도의 외부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제1 네트(120)와 제2 네트(220)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제1 네트(120)와 제2 네트(220)에는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네트(120)와 제2 네트(220) 주변에 있는 기체에 포함된 유해물질은 제1 네트(120) 및 제2 네트(220)에 집진될 수 있다.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 사이에는 와류 발생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와류 발생부(300)는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의 내면, 보다 상세히는 제1 메쉬망(100)의 제1 네트(120) 및 제2 메쉬망(200)의 제2 네트(220)의 내면에 연결되어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을 연결할 수 있다.
와류 발생부(300)는 제1 메쉬망(100)을 통해 유입된 기체에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류 발생부(300)는 내측에 기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쉬망(100)을 통과한 기체는 와류 발생부(300)의 일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와류 발생부(300)의 타측으로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제2 메쉬망(200)을 통과할 수 있다.
와류 발생부(300)는 제1 메쉬망(100)에 연결된 일측 단부에서 제2 메쉬망(200)에 연결된 타측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류 발생부(300)의 내부공간의 수직방향 거리(L1)는 제1 메쉬망(100)에 연결된 일측 단부에서 제2 메쉬망(200)에 연결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체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와류 발생부(300)의 내부공간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와류 발생부(300)를 구비함으로써, 와류 발생부(300)는 와류 발생부(300)를 통과한 기체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와류 발생부(30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하게 배치되는 와류 발생부(300)는 일측 테두리가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쉬망(100)을 통과한 기체는 모두 와류 발생부(300)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와류 발생부(300)를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와류 발생부(300)는 제1 메쉬망(100)과 평행한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류 발생부(30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와류 발생부(300)의 내부 단면적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와류 발생부(30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일 경우, 와류 발생부(300)는 상부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류 발생부(300)는 4개의 사다리꼴 형상의 플레이트의 빗변이 결합된 사각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차폐부재(400)는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재(400)는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 사이에 생성된 공간을 차폐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차폐부재(400)를 메쉬소재와 같이 다공성 소재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1)를 통과하는 기체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를 통과하는 기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1)는 제1 메쉬망(100)이 유해물질을 포함한 기체가 유입되는 측, 다시 말해 외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메쉬망(200)은 기체가 배출되는 측, 다시 말해 실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는 제1 메쉬망(100)을 통해 유입(a1)될 수 있으며, 이때 1차적으로 제1 메쉬망(100)의 제1 공극을 통해 기체에 포함된 유해물질은 필터링 될 수 있다. 제1 메쉬망(100)을 통과한 기체는 와류 발생부(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기체는 와류 발생부(300)의 내부공간을 흐를 수 있다. 여기서, 와류 발생부(300)는 내부 단면적이 제1 메쉬망(100)과 연결된 일측에서 제2 메쉬망(200)과 연결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와류 발생부(300)의 타측으로 배출된 기체에는 와류가 발생(a2)할 수 있다. 기체에 와류가 발생하는 경우 제2 메쉬망(200) 부근에 기체가 머무는 시간 및 제2 메쉬망(200)과 기체가 접촉하는 빈도수가 상승하게 되어 기체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제2 메쉬망(200)에 보다 용이하게 집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의 경우 와류 발생부(300)의 구성을 제외하곤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메쉬 구조체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1)에서 와류 발생부(300)에는 추가 와류 생성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추가 와류 생성부(310)는 와류 발생부(30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 단면적이 외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추가 와류 생성부(310)의 와류 생성부(310)의 외주면과 평행한 방향의 직경(L2)은 추가 와류 생성부(310)의 와류 발생부(300)와 결합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와류 생성부(310)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체(1)의 경우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 사이를 흐르는 기체에 추가 와류(a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가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 사이에 머무는 시간 및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과 접촉하는 빈도수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에 포함된 유해 물질은 보다 용이하게 제1 메쉬망(100)과 제2 메쉬망(200)에 집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메쉬 구조체 100: 제1 메쉬망
110: 제1 프레임 120: 제1 네트
200: 제2 메쉬망 210: 제2 프레임
220: 제2 네트 300: 와류 발생부
310: 추가 와류 발생부 400: 차폐부재

Claims (6)

  1. 복수 개의 제1 공극이 형성된 제1 메쉬망;
    상기 제1 메쉬망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 공극이 형성된 제2 메쉬망; 및
    상기 제1 메쉬망과 상기 제2 메쉬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쉬망과 상기 제2 메쉬망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메쉬망을 통과한 기체가 상기 제2 메쉬망으로 흐르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와류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제1 메쉬망에 연결된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2 메쉬망에 연결된 타측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와류 발생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와류 생성부가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추가 와류 생성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단면의 직경은 돌출된 부분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상기 추가 와류 생성부의 돌출 단부는, 상기 와류 발생부가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메쉬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와류 발생부의 일측 테두리는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는 메쉬 구조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제1 메쉬망과 평행한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비되는 메쉬 구조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부는 4개의 사다리꼴 형상의 플레이트의 빗변이 결합되어 상부가 절단된 사각뿔 형상으로 구비되는 메쉬 구조체.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쉬망과 상기 제2 메쉬망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제1 메쉬망과 상기 제2 메쉬망 사이에 생성된 공간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메쉬 구조체.
KR1020170178542A 2017-12-22 2017-12-22 메쉬 구조체 KR10201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542A KR102017230B1 (ko) 2017-12-22 2017-12-22 메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542A KR102017230B1 (ko) 2017-12-22 2017-12-22 메쉬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611A KR20190076611A (ko) 2019-07-02
KR102017230B1 true KR102017230B1 (ko) 2019-09-02

Family

ID=6725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542A KR102017230B1 (ko) 2017-12-22 2017-12-22 메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533B1 (ko) * 2019-11-27 2021-11-01 김미림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FR3140935A1 (fr) * 2022-10-18 2024-04-19 Gocap Procédé de fabrication sur mesure d’un élément d’aération et élément d’aération ainsi obtenu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98B2 (ja) * 1980-02-09 1985-03-08 松下電工株式会社 網戸
KR20080075592A (ko) * 2007-02-13 2008-08-19 김도년 광촉매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조기의 살균 장치
KR20130049572A (ko) * 2011-11-04 2013-05-14 이필재 정전식 공기 정화 청정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611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230B1 (ko) 메쉬 구조체
CN204141788U (zh) 气流交换装置
DE102013109492B4 (de) Schallabsorber, Schallabsorberanordnung und ein Triebwerk mit einer Schallabsorberanordnung
KR101910001B1 (ko) 날개식 여과 요소
KR102660792B1 (ko) 필터 모듈
CN204227625U (zh) 气流交换装置
DE102007020847A1 (de) Membran bzw. Membran-Anordnung für einen elektrodynamischen Schallwandler
CN108970193B (zh) 过滤装置
CN207871639U (zh) 一种截流污水用组合格栅
DE3217784C2 (de) Schalldämpfendes Element mit Resonatoren
CN210145674U (zh) 一种用于3d打印机控制柜空气过滤装置
CN208255577U (zh) 液晶显示屏防尘装置
KR102507802B1 (ko) 댐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 챔버
JP6407130B2 (ja) 圧縮気体用気液分離エレメント及び気液分離装置
CN204910972U (zh) 一种烧结毡滤芯
CN108405315A (zh) 一种新型直线筛
KR102063997B1 (ko) 정전기 공기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RU2013105017A (ru) Электрофильтр
KR101173437B1 (ko) 필터 장치
KR101467501B1 (ko) 고효율 에어필터
KR101427036B1 (ko) 포집성능 및 제품수명을 향상시킨 염화망 필터
CN206996300U (zh) 膜组件及具有该膜组件的膜蒸馏装置
KR101567919B1 (ko) 포집필터 세트 및 상기 포집필터 세트를 케이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포집필터
KR101738081B1 (ko)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DE2218496B2 (de) Gehäuselautsprec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