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420B1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420B1
KR102319420B1 KR1020150078247A KR20150078247A KR102319420B1 KR 102319420 B1 KR102319420 B1 KR 102319420B1 KR 1020150078247 A KR1020150078247 A KR 1020150078247A KR 20150078247 A KR20150078247 A KR 20150078247A KR 102319420 B1 KR102319420 B1 KR 10231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earable device
information
movement
mo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572A (ko
Inventor
김윤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800,103 priority Critical patent/US9986086B2/en
Priority to TW104123150A priority patent/TWI673628B/zh
Priority to EP15178062.4A priority patent/EP2980676B1/en
Priority to JP2017504396A priority patent/JP6543691B2/ja
Priority to AU2015297204A priority patent/AU2015297204B2/en
Priority to PCT/KR2015/007837 priority patent/WO2016018029A1/en
Priority to CN201510465032.3A priority patent/CN105323380B/zh
Publication of KR2016001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572A/ko
Priority to US15/959,790 priority patent/US10554807B2/en
Priority to AU2018204630A priority patent/AU2018204630B2/en
Priority to US16/697,352 priority patent/US1115343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요청한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센싱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TIME ZONE OF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개발되면서, 보다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요청한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센싱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는 동일한 시간에 센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기 설정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움직임 정보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모션 해제 기능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행 중인 동작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컨텐츠를 재생 중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 중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표시 중인 웹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웹 페이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표시 중인 웹 페이지와 동일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알람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요청한 시작 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센싱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는 동일한 시간 범위에서 센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기 설정된 움직임 정보과 동일한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모션 해제 기능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행 중인 동작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컨텐츠를 재생 중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 중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표시 중인 웹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웹 페이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표시 중인 웹 페이지와 동일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과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알람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인터랙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과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의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인터랙션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인터랙션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에 따라 잠금 모드가 되거나 잠금 모드 해제가 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모션 해제 기능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도 8b,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가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도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9 및 20은 도 18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에서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센싱된 생체 신호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생체 신호가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센싱된 터치 패턴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패턴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4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공용모드를 개인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공용 모드 및 개인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공용 모드에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인 모드에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공용 모드 및 개인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과 웨어러블 디바이스간의 인터랙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한 알림 메시지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인터랙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DTV(Digital Television), CE 기기(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냉장고, 에이컨 등)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 밴드, 팔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글래스, 헬멧, 모자, 반지, 신발, 귀걸이, 헤어밴드, 옷, 장갑, 골무 등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등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은 Wi-Fi 방식, NFC 방식, 블루투스 방식, 적외선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비밀번호, 사용자 계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식별 정보 또는 단말기 식별 정보는 디바이스를 다른 디바이스와 구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 모델명, 디바이스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이동 단말기(1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일 방향으로 디바이스 식별 정보만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BLE 통신을 통해서 식별 정보를 외부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도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주변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디바이스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었다는 것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에 등록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는, 지자기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한 값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움직이는 방향 값, 속도 값, 가속도 값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지자기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방향 값, 속도 값, 가속도 값 등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 주변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주변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외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정보가 동일한 경우,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정보가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동작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행되고 있는 동작과 관련된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동일한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컨텐츠를 재생 중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동일한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시킬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상기 사용자의 손목(이동 단말기(100)를 쥐고 있는 손의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쥔 손을 움직이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은 동일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하다는 의미는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 크기, 속도, 움직임 패턴 등)가 동일하거나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의 차이가 소정 범위 내에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패턴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패턴은 동일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한 손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쥐고 들어올리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제1 모션, m1)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움직임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제2 모션, m2)도 시계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움직임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소정의 인증 과정을 통해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잠금 모드 해제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로 잠금 모드 해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해제 상태와 관계없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모드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된 상태)일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사용자의 손을 기준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 사용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손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움직임(제1 모션)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움직임(제2 모션)이 동일한 움직임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모션과 제2 모션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가 동일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1 모션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제2 모션을 비교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소정의 인증 과정을 통해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활성화 상태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시키기 위해, 이동단말기(100)에 직접 암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간단한 움직임만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잠금 해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과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의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지자기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속도의 변화 등을 측정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지자기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속도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하다는 의미는 물리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방향, 크기, 속도 등)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방향, 크기, 속도 등)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하다는 의미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시간에 센싱된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하, 도 3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시간에 따른 가속도 값은 제1 그래프(310)로 나타날수 있으며, 이때, 제1 그래프(3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좌표계(315)에 기초하여 생성된 그래프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시간에 따른 가속도 값은 제2 그래프(320)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때, 제2 그래프(3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계(325)에 기초하여 생성된 그래프일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좌표계(315)와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계(325)는 상이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가속도 값 및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도 값을 동일한 좌표계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좌표계(315)에서의 가속도 값을 기준 좌표계(335)에서의 가속도 값으로 변환하여, 변환한 가속도 값을 기초로 제3 그래프(340)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값, 지자기 센서에 의해 센싱된 지자기 값들을 수신하여, 제1 그래프(310)를 제3 그래프(340)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좌표계(335)는 디바이스의 종류에 독립적으로 적용되는 좌표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준 좌표계는 3개의 축(X축, Y축, Z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를 기준으로, X축은 사용자를 전후로 지나는 기준 축을, Y축은 사용자를 좌우로 지나는 기준 축을, Z축은 사용자를 상하로 지나는 기준 축일 수 있으며, X축, Y축 및 Z축은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계(325)에서의 가속도 값을 기준 좌표계(335)에서의 가속도 값으로 변환하여, 변환한 가속도 값을 기초로 제4 그래프(34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동일한 기준 좌표계(335)에 나타나는 제3 그래프(340) 및 제4 그래프(350)의 일정 시간 구간(360)에 대한 가속도 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시간 구간(360)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가속도 값과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도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가속도 값)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속도 값)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착용 상태,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정보를 기 설정된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고, 확대 또는 축소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비교하여, 움직임의 동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스마트 워치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쥔 위치와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위치가 약 5cm정도 떨어져있을 수 있으며, 이 때 스마트 워치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떨어진 거리(5cm)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비율로 확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S340).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이 표시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표시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인터랙션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이 표시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표시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 상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시계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시간 정보만 표시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일부 어플리케이션 메뉴만 표시되어 표시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시킬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430).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지자기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속도의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도 4의 450단계(S450)는 도 3의 310단계(S31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55).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S450)와 동일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지자기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속도의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460).
이동 단말기(100)는 시간 범위를 설정하여,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움직임 정보의 시작 시간, 종료 시간을 설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1 시간부터 제2 시간까지 센싱된 움직임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와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제1 시간부터 제2 시간까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470).
또한, 이동 단말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전에 시간 범위를 기 설정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는 움직임 정보의 시작 시간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상기 수신된 시작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범위에 해당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범위가 100ms인 경우, 시작 시간 정보(13:30:50.10)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수신된 시작 시간 정보(13:30:50.10)로부터 100ms동안의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의 470단계(S470)는 도 3의 320단계(S32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와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80).
도 4의 480단계(S480)는 도 3의 330단계(S33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S490).
도 4의 490단계(S490)는 도 3의 340단계(S34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인터랙션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의 510단계(S510) 내지 555단계(S555)는 도 4의 410 단계(S410) 내지 455 단계(S455)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센싱된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움직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560).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움직임은 이동 단말기(100)를 쥐고, 들어올리는 움직임, 이동 단말기(100)를 좌우로 흔드는 움직임, 이동 단말기(100)를 상하로 흔드는 움직임, 이동 단말기(10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움직임, 이동 단말기(100)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움직임, 이동 단말기(100)를 위로 이동시키는 움직임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움직임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모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570).
도 5의 570단계(S570) 내지 590단계(S590)는 도 4의 460단계(S460) 내지 490단계(S49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에 따라 잠금 모드가 되거나 잠금 모드 해제가 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시계인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밴드, 팔찌, 글래스, 헬멧, 모자, 반지, 신발, 귀걸이, 헤어밴드, 옷, 장갑, 골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착용 여부에 따라 잠금 모드가 되거나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잠금 모드가 될 수 있다.
반면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시계로 구성되는 경우, 시계 버클의 결합 여부로 착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시계 버클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여, 시계 버클이 결합된 경우,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시계 버클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접지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착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시계로 구성되는 경우, 시계줄에 접지 센서를 포함시켜, 시계줄이 사용자의 손목에 닿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글래스로 구성되는 경우, 글래스 다리의 끝 부분 또는 코 받침(nose pad)에 접지 센서를 포함시켜, 사용자가 글래스를 착용하여, 글래스가 사용자의 귀 또는 코에 닿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반지로 구성되는 경우, 반지의 안쪽 부분에 접지 센서를 포함시켜, 사용자가 반지를 착용하여, 손가락에 닿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예를 들어, 시계)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잠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는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와 유사하며, 잠금 모드 해제는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 해제 상태와 유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잠금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시간이나 날씨와 같이 간단한 정보만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도 6의 (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표시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모션 해제 기능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션 해제 기능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등을 이용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디바이스이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모션 해제 기능 알림 메시지(720)를 표시할 수 있다.
모션 해제 기능 알림 메시지(720)는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동일한 움직임이 센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일 수 있다.
또는, 모션 해제 기능 알림 메시지(720)는 기 설정된 모션을 표시하여, 기 설정된 모션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해제 기능 알림 메시지(7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창에 텍스트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이동 단말기(100)를 함께 착용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움직임이 센싱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가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9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및 9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도 8b,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고, 들어올리는 경우(이동 단말기(100)를 쥔 손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움직인 방향,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 거리,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 각도, 이동 전, 후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의 거리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한 손을 들어 올리는 경우(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한 손목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움직인 방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이동 거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회전 각도, 이동 전, 후의 이동 단말기(100)와의 거리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움직인 방향, 움직인 거리, 움직인 각도, 속도, 속도의 변화, 이동 전, 후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의 거리 등)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움직인 방향, 움직인 거리, 움직인 각도, 속도, 속도의 변화, 이동 전, 후의 이동 단말기(100)와의 거리 등)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82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는 비활성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 상태(8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가 꺼진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는 켜진 상태(활성 상태)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비활성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820)을 표시할 수 있다.
홈 스크린(820)에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미리 설정된 이미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 둘 다 꺼진 상태(비활성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820)을 표시할 수 있다.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에 잠금 모드 화면(910)을 표시할 수 있다. 잠금 모드 화면(910)은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는 복수개의 버튼을 연결하는 선 패턴일 수 있으며, 숫자나 문자로 구성된 암호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는 켜진 상태(활성 상태)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잠금 모드 화면(9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9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 잠금 모드 화면(910)이 표시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는 꺼진 상태(비활성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820)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고,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있음을 인지한다면,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시키기 위한 암호 입력을 별도로 요구하지 않고, 잠금 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동일한 손으로 사용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이면,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시키기 위해 소정의 인증 절차(예를 들어, 패스워드나 패턴 입력 등)를 거치지 않고, 간단한 동작만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도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이미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01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 비밀번호 등)를 입력하여, 특정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은 특정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 접근 가능한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 받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 등에 로그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0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02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103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40).
한편, 도 10의 흐름도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S1010)가 1020단계(S1020) 내지 1040단계(S1040)에 앞서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010단계(S1010)는 1020단계(S1020) 내지 1040단계(S104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1040단계(S1040)와 1050단계(S105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50).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55).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S1050)와 동일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0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1065).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70).
상술한, 도 10의 1020단계(S1030) 내지 1070단계(S1070)는 도 4의 420 단계(S420) 내지 480단계(S48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80).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인증된 특정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S1090).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이미 SNS 페이지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로그인 된 상태이고, 이동 단말기(100)는 SNS 페이지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화면(11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하면, 이동 단말기는 SNS 페이지에 로그인을 수행하여, 해당 페이지(11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이미 특정 사이트에 사용자 인증이 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 사용자 인증 정보를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간단한 모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 쥐고, 들어올리는 모션 등)만으로 특정 사이트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는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S12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웹 페이지(1210)가 표시될 수 있다. 웹 페이지(1310)는 인터넷 상의 웹 문서들을 표시하는 페이지이며,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22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123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40).
한편, 도 12의 흐름도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S1210)가 1220단계(S1220) 내지 1240단계(S1240)에 앞서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210단계(S1210)는 1220단계(S1220) 내지 1240단계(S124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1240단계(S1240)와 1250단계(S125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50).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55).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S1250)와 동일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2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1265).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70).
상술한, 도 12의 1220단계(S1230) 내지 1270단계(S1270)는 도 4의 420 단계(S420) 내지 480단계(S48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표시 중인 웹 페이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8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 중인 웹 페이지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웹 페이지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와 동일한 웹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S1290).
예를 들어, 비활성화 상태(1320)의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웹 페이지 정보에 기초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와 동일한 웹 페이지(13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표시되는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버전의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버전의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간단한 정보(예를 들어, 시계, 날씨 등)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사용하여 웹 브라우징을 하다가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웹 브라우징을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 웹 페이지 주소를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간단한 모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쥐고, 들어올리는 모션 등)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던 웹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행한 웹 브라우징 이력 데이터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와 동일한 웹 페이지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백 버튼 입력(현재 표시하고 있는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현재 페이지를 표시하기 이전에 표시되던 웹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한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해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화가 가능한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410).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요청 화면(15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통화 연결 요청 화면(1510)에는, 통화 연결을 요청한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는 상대방 디바이스의 전화번호, 상대방 사용자 이름, 닉네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연결 요청 화면은 통화 연결 버튼 및 통화 거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도 동일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42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143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40).
한편, 도 12의 흐름도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410)가 1420단계(S1420) 내지 1440단계(S1440)에 앞서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410단계(S1410)는 1420단계(S1420) 내지 1440단계(S144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1440단계(S1440)와 1450단계(S145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450).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455).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S1450)와 동일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4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1465).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70).
상술한, 도 14의 1420단계(S1420) 내지 1470단계(S1470)는 도 4의 420 단계(S420) 내지 480단계(S48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한 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480).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한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요청 화면(15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한 상대방 디바이스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1490).
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통화 연결 요청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별도의 통화 연결 버튼 입력 없이, 간단한 모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쥐고, 들어올리는 모션 등)만으로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행하던 통화를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610).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요청 화면(171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통화 연결 요청 화면(1710)에 포함된 통화 연결 버튼(1715)을 선택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1615).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62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163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40).
한편, 도 16의 흐름도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610)가 1620단계(S1620) 내지 1640단계(S1640)에 앞서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610단계(S1610)는 1620단계(S1620) 내지 1640단계(S164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1640단계(S1640)와 1650단계(S165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650).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655).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S1650)와 동일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6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1665).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70).
상술한, 도 16의 1620단계(S1630) 내지 1670단계(S1670)는 도 4의 420 단계(S420) 내지 480단계(S48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680).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통화를 수행중인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통화 중인 상대방 디바이스와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와 상대방 디바이스와의 통화 연결이 수행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상대방 디바이스 간의 통화 연결은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기지국 또는 통신사 서버에 통화 연결 정보를 전송하고, 기지국 또는 통신사 서버는 수신한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통화를 수행 중인 상대방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통화 연결(예를 들어, 라우팅(rout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상대방 디바이스 사이의 통화 연결은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지국 또는 통신사 서버를 통하여, 상대방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지국 또는 통신사 서버를 통하여, 상대방 디바이스로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상대방(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과 통화하는 중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대신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간단한 모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 쥐고, 들어올리는 모션 등)만으로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통화 중인 상대방과 통화를 끊고 다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9 및 20은 도 18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수신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1810).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관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NS 어플리케이션 관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관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는 팝업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8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82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183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840).
한편, 도 18의 흐름도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S1810)가 1820단계(S1820) 내지 1840단계(S1840)에 앞서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810단계(S1810)는 1820단계(S1820) 내지 1840단계(S184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1840단계(S1840)와 1850단계(S185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850).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855).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S1850)와 동일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8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1865).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870).
상술한, 도 18의 1820단계(S1820) 내지 1870단계(S1870)는 도 4의 420 단계(S420) 내지 480단계(S48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200)부터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880).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명, 어플리케이션 종류,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알림 메시지 관련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된 알림 메시지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1890).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된 알림 메시지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표시되는 게임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필요 없이, 간단한 모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 쥐고, 들어올리는 모션 등)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와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을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SNS 어플리케이션 관련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SN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SNS 어플리케이션 관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와 동일한 소셜 그룹에 포함된 소셜 친구가 새로운 사진을 SNS에 업로드 하였다는 메시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18의 1850단계(S1850) 내지 1870단계(S187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SNS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SNS 알림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NS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SNS 어플리케이션 명, SNS 어플리케이션 종류, SNS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 SNS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SN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SNS 알림 메시지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소셜 페이지 정보(예를 들어, 소셜 친구의 페이지에 업데이트 된 내용이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소셜 친구의 페이지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SNS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SNS 알림 메시지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SNS 알림 메시지와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와 동일한 소셜 그룹에 포함된 소셜 친구가 새로운 사진을 SNS에 업로드 하였다는 메시지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SN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해당 소셜 친구의 페이지 또는 소셜 친구가 업로드한 사진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된 SNS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내용을 이동 단말기(100)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SNS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필요 없이, 간단한 모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 쥐고, 들어올리는 모션 등)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와 관련한 내용을 이동 단말기(1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110).
메시지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 채팅 메시지, 이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알람이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2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12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213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40).
한편, 도 21의 흐름도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2110)가 2120단계(S2120) 내지 2140단계(S2140)에 앞서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110단계(S2110)는 2120단계(S2120) 내지 2140단계(S214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2140단계(S2140)와 2150단계(S215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50).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55).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S2150)와 동일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1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2165).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70).
상술한, 도 21의 2120단계(S2130) 내지 2170단계(S2170)는 도 4의 420 단계(S420) 내지 480단계(S48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180).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2190).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한 메시지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에 미리 설치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필요 없이, 간단한 모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 쥐고, 들어올리는 모션 등)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에서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231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웹 서버, SNS 서버 등 외부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다운받아 재생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3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32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233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40).
한편, 도 23의 흐름도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S2310)가 2320단계(S2320) 내지 2340단계(S2340)에 앞서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310단계(S2310)는 2320단계(S2320) 내지 2340단계(S234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2340단계(S2340)와 2350단계(S235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350).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355).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S2350)와 동일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3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2365).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70).
상술한, 도 23의 2320단계(S2330) 내지 2370단계(S2370)는 도 4의 420 단계(S420) 내지 480단계(S48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380).
이때,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정보로, 컨텐츠 종류, 컨텐츠 명,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정보,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버전 정보, 용량 정보, 컨텐츠 재생시간 정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저장 위치 정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 주소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239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재생 중이던 동영상(2410)과 동일한 동영상(2430)을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재생시간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마지막으로 재생되던 부분부터 이어서 재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다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기를 원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을 검색하여, 다시 재생시킬 필요 없이, 간단한 모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 쥐고, 들어올리는 모션)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이던 동영상을 이동 단말기에서 재생시킬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23의 2350단계(S2350) 내지 2370단계(S237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표시 중인 이미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표지 중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표시 중이던 이미지(2510)를 확대시켜, 확대된 이미지(2530)를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표시되기를 원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미지를 검색하여, 선택할 필요 없이, 간단한 모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 쥐고, 들어올리는 모션)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표시되던 이미지를 확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일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녹음한 음성 파일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데이터의 종류에 기초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와 같이, 이미지(2610)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이미지(2630)를 사진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갤러리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저장 요청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센싱된 생체 신호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생체 신호가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71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272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730).
도 27의 2710단계(S2710) 내지 2730단계(S2730)는 도 4의 420단계(S420) 내지 440단계(S44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74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할 수 있는 생체 신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 센서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는 부분에 포함되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는 경우, 자동으로 생체 신호가 센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생체 신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 맥박, 심전도, 심박수, 혈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745).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할 수 있는 생체 신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 센서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포함되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생체 신호가 측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생체 신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 맥박, 심전도, 심박수, 혈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75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2760).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생체 신호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은 Wi-Fi 방식, NFC 방식, 블루투스 방식, 적외선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신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770).
이때,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는 동일한 종류의 생체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한 값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맥박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한 값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신호가 동일하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동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제1 값으로 측정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가 제1 값±기 설정된 오차값의 범위 내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는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가 동일한 경우,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동일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고,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손목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780). 이때, 기 설정된 동작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행되고 있는 동작과 관련된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2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도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와 동일한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통화 중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컨텐츠를 재생 중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센싱된 터치 패턴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패턴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91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292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730).
도 29 의 2910단계(S2910) 내지 2930단계(S2930)는 도 4의 420단계(S420) 내지 440단계(S44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패턴을 센싱하여, 터치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940).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쳐를 감지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턴(이하, 제1 패턴이라 한다.)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앙?h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패턴(제1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별 모양을 입력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패턴의 모양, 크기 등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패턴이 별 모양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패턴 정보(제1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카메라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터치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터치 패턴(제1 패턴)을 촬영할 수 있다(S2945).
예를 들어, 도 3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안경, 헬멧, 모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면부에 카메라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바라보는 경우,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터치 패턴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촬영한 패턴의 모양, 크기 등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촬영한 패턴이 별 모양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패턴 정보(제2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촬영 패턴 정보(제2 패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95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촬영 패턴 정보(제2 패턴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2960).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촬영 패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은 Wi-Fi 방식, NFC 방식, 블루투스 방식, 적외선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획득한 제1 패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제2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패턴(제1 패턴)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촬영 패턴(제2 패턴)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970)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패턴(제1 패턴)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촬영 패턴(제2 패턴)이 동일하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동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 터치 패턴(제1 패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촬영 패턴(제2 패턴)이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제1 패턴과 제2 패턴이 동일한 경우,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동일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고,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머리 부분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패턴과 제2 패턴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980).
도 29의 2980단계(S2980)는 도 27의 2780단계(S278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11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312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30).
도 31의 3110단계(S3110) 내지 3130단계(S3130)는 도 4의 420단계(S420) 내지 440단계(S44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제1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314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100)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얼굴을 용이하게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도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3145).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S3140)와 동일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S315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촬영된 사용자 영상(제2 영상)을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3160).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제2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S3160).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생체 신호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은 Wi-Fi 방식, NFC 방식, 블루투스 방식, 적외선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제1 영상)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가 동일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S3170).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영상에 포함되는 사용자 얼굴과 제2 영상에 포함되는 사용자 얼굴이 동일인의 얼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얼굴의 대칭적 구도, 얼굴의 주요 부분인 눈, 코, 입의 거리와 모양, 눈의 색상 등을 분석하여, 제1 영상에 포함된 얼굴과 제2 영상에 포함된 얼굴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가 동일인으로 판단된 경우,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동일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고,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사용자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로 구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고 있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손목에 착용하고 있다면, 이동 단말기(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동일한 사용자가 촬영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가 동일인으로 판단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180).
도 31의 3180단계(S3180)는 도 27의 2780단계(S278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공용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310). 예를 들어, 공용 모드는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만 홈 스크린에 표시되며, 일부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이 제한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일부 기능만 수행할 수 있거나, 일부 내용만 표시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8 내지 41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20).
판단 결과,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착용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공용 모드에서 개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모드는 공용 모드에서 표시되지 않던 어플리케이션을 홈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으며, 공용 모드에서 실행이 제한되는 일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공용 모드에서 제한되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공용 모드에서 표시가 제한되던 내용을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8 내지 41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34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공용모드를 개인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센싱된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공용모드에서 개인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용 모드일 수 있다(S3410). 도 3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용 모드는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만 홈 스크린에 표시되며, 일부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폰북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이 제한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일부 기능만 수행할 수 있거나, 일부 내용만 표시되는 모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42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3430).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44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45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지자기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속도의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455).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S3450)와 동일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지자기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속도의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4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347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와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480).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하다는 의미는 물리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방향, 크기, 속도 등)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방향, 크기, 속도 등)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가 동일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공용 모드에서 개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490).
도 3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 모드는 공용 모드에서 표시되지 않던 어플리케이션을 홈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으며, 공용 모드에서 실행이 제한되는 일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공용 모드에서 제한되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공용 모드에서 표시가 제한되던 내용을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센싱된 생체신호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생체신호가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공용모드에서 개인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용 모드일 수 있다(S3510).
도 3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52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3530).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540).
도 35의 3510단계(S3510) 내지 3540단계(S3540)는 도 34의 3410단계(S3410) 내지 3440단계(S344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55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할 수 있는 생체 신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 센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는 부분에 포함되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쥐는 경우, 자동으로 생체 신호가 센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생체 신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 맥박, 심전도, 심박수, 혈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555).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할 수 있는 생체 신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 센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포함되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생체 신호가 측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생체 신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 맥박, 심전도, 심박수, 혈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4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347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신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580).
이때,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는 동일한 종류의 생체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한 값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맥박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한 값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신호가 동일하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동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제1 값으로 측정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가 제1 값±기 설정된 오차값의 범위 내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는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가 동일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공용 모드에서 개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590).
도 35의 3590단계(S3590)는 도 34의 3490단계(S349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센싱된 터치 패턴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패턴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공용 모드에서 개인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용 모드일 수 있다(S3610).
도 3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62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3630).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3640).
도 36의 3610단계(S3610) 내지 3640단계(S3640)는 도 34의 3410단계(S3410) 내지 3440단계(S344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패턴을 센싱하여, 터치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650).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쳐를 감지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턴(이하, 제1 패턴이라 한다.)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앙?h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패턴(제1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별 모양을 입력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패턴의 모양, 크기 등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패턴이 별 모양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패턴 정보(제1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카메라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터치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터치 패턴(제1 패턴)을 촬영할 수 있다(S3655).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안경, 헬멧, 모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면부에 카메라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바라보는 경우,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터치 패턴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촬영한 패턴의 모양, 크기 등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촬영한 패턴이 별 모양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패턴 정보(제2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촬영 패턴 정보(제2 패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6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촬영 패턴 정보(제2 패턴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367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획득한 제1 패턴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제2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패턴(제1 패턴)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촬영 패턴(제2 패턴)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680)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패턴(제1 패턴)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촬영 패턴(제2 패턴)이 동일하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동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 터치 패턴(제1 패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촬영 패턴(제2 패턴)이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패턴과 제2 패턴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가 동일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공용 모드에서 개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690).
도 36의 3690단계(S3690)는 도 34의 3490단계(S349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공용모드에서 개인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용 모드일 수 있다(S3710).
도 3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72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S3730).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740).
도 37의 3710단계(S3710) 내지 3740단계(S3740)는 도 34의 3410단계(S3410) 내지 3440단계(S344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제1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375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100)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얼굴을 용이하게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도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3755).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S37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 영상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3770).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제1 영상)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가 동일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S3780).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영상에 포함되는 사용자 얼굴과 제2 영상에 포함되는 사용자 얼굴이 동일인의 얼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얼굴의 대칭적 구도, 얼굴의 주요 부분인 눈, 코, 입의 거리와 모양, 눈의 색상 등을 분석하여, 제1 영상에 포함된 얼굴과 제2 영상에 포함된 얼굴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영상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 영상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가 동일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공용 모드에서 개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790).
도 37의 3790단계(S3790)는 도 34의 3490단계(S349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공용 모드 및 개인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공용 모드에서는 일부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공용 모드에서 표시되지 않는 일부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사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가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개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가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는, 도 34 내지 도 3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신호가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패턴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촬영된 패턴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 영상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 영상이 동일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개인 모드에서는 도 3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모드에서 표시되지 않던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공용 모드에서 표시되지 않던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만, 일부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사생활 정보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표시하고, 실행시킬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공용 모드에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인 모드에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공용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중 일부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제한될 수 있다.
실행이 제한되는 일부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사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실행이 제한되는 일부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도 3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없다는 메시지(392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가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개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0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개인 모드에서도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중 공용모드에서 실행이 제한되던 일부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사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도 4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화면(402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만, 일부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사생활 정보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시킬 수 있어,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공용 모드 및 개인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공용모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공용 모드에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일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공용 모드에서 표시되지 않는 일부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가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개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개인 모드에서는 도 4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경우, 공용 모드에서 표시되지 않던 이미지(41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만,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예를 들어, 제한된 이미지 표시)을 실행시킬 수 있어,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30), 센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30), 센싱부(150) 이외에 출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40), A/V 입력부(160) 및 저장부(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간의 통신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부(111), 이동 통신부(112), 방송 수신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11)는, 블루투스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1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가 방송 수신부(11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등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단말기 식별 정보 등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생체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촬영된 패턴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21)와 음향 출력부(122), 진동 모터(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모션 해제 기능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표시 중인 웹 페이지,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22)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110), 출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40), 센싱부(150), A/V 입력부(16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기 설정된 움직임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기 설정된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통신부(11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행 중인 동작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컨텐츠를 재생 중이고,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 중이고,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표시 중인 웹 페이지와 동일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고,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통화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고,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알람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4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150)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또는 이동 단말기(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5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5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52), 온/습도 센서(153), 적외선 센서(154), 자이로스코프 센서(155), 위치 센서(예컨대, GPS)(156), 기압 센서(157), 근접 센서(15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5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싱부(15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동 단말기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 등을 센싱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와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2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콘텐트, 외부 디바이스의 시간대 정보, 주소록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터치 스크린 모듈(172), 알림 모듈(1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은, 어플리케이션 별로 이동 단말기(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은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30), 센싱부(250), 촬영부(260) 및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이동 단말기(100) 간의 통신을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 방송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 방송 수신부는 도 42의 근거리 통신부(111), 이동 통신부(112), 방송 수신부(113)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센싱부(2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태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의 생체 신호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50)는 압력 센서, 접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외에도, 센싱부(25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기압 센서,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부(260)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터치 패턴을 촬영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2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70)는 웹 페이지, 다양한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통신부(210), 센싱부(220), 촬영부(260), 디스플레이부(27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과 웨어러블 디바이스간의 인터랙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300)은 도 42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으며, 통신부(110), 제어부(130) 및 센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이 표시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표시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스마트 도어락(300)으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락(3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도어락(3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도어락(300)은 스마트 도어락(300)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300)은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스마트 도어락(3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락(3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스마트 도어락(300)에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스마트 도어락(300)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300)은 인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스마트 도어락(300)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스마트 도어락(3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요청에 응답하여, 지자기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속도의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스마트 도어락(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300)은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스마트 도어락(300)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움직임(스마트 도어락을 돌려서 여는 움직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락(3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와 기 저장된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락의 손잡이를 돌리는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3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 정보와 기 저장된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 스마트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한 알림 메시지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가 잠금 모드에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잠금 모드 상태에서, SNS 어플리케이션 관련 알림 메시지,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 게임 어플리케이션 관련 알림 메시지 등 다양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는 팝업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움직임 정보와 동일한 시간에 이동 단말기(100)에서 센싱된 움직임 정보가 동일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알림 메시지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알림 메시지가 메시지(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 채팅 메시지, 이메일 등)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수신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 상태에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필요 없이, 간단한 모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 쥐고, 들어올리는 모션 등)만으로 알림 메시지 관련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4)

  1.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요청한 시작 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센싱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지 결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를 갖고, 상기 수신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화면이 비활성화되거나 잠금 화면이 표시된 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는 동일한 시간 범위에서 센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기 설정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움직임 정보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모션 해제 기능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행 중인 동작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컨텐츠를 재생 중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 중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표시 중인 웹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웹 페이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표시 중인 웹 페이지와 동일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요청한 시작 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센싱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를 갖고, 상기 수신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화면이 비활성화되거나 잠금 화면이 표시된 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는 동일한 시간 범위에서 센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기 설정된 움직임 정보과 동일한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모션 해제 기능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행 중인 동작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컨텐츠를 재생 중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 중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표시 중인 웹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웹 페이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표시 중인 웹 페이지와 동일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과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50078247A 2014-07-31 2015-06-02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31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00,103 US9986086B2 (en) 2014-07-31 2015-07-15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W104123150A TWI673628B (zh) 2014-07-31 2015-07-17 行動終端及其操作方法
EP15178062.4A EP2980676B1 (en) 2014-07-31 2015-07-2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U2015297204A AU2015297204B2 (en) 2014-07-31 2015-07-28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7504396A JP6543691B2 (ja) 2014-07-31 2015-07-28 移動端末機及びその動作方法
PCT/KR2015/007837 WO2016018029A1 (en) 2014-07-31 2015-07-28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1510465032.3A CN105323380B (zh) 2014-07-31 2015-07-31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
US15/959,790 US10554807B2 (en) 2014-07-31 2018-04-2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U2018204630A AU2018204630B2 (en) 2014-07-31 2018-06-2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6/697,352 US11153431B2 (en) 2014-07-31 2019-11-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43 2014-07-31
KR20140098643 2014-07-31
KR1020140156242A KR20160016490A (ko) 2014-07-31 2014-11-1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140156242 2014-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572A KR20160016572A (ko) 2016-02-15
KR102319420B1 true KR102319420B1 (ko) 2021-11-01

Family

ID=553572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42A KR20160016490A (ko) 2014-07-31 2014-11-1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150078247A KR102319420B1 (ko) 2014-07-31 2015-06-02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42A KR20160016490A (ko) 2014-07-31 2014-11-1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43691B2 (ko)
KR (2) KR20160016490A (ko)
AU (2) AU2015297204B2 (ko)
TW (1) TWI6736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4074B2 (en) 2016-01-04 2018-07-24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equipment
JP6642027B2 (ja) * 2016-01-20 2020-02-05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生体認証方法および生体認証装置
WO2017146297A1 (ko) * 2016-02-22 2017-08-31 신현해 몰래카메라 영상 불법 유출 방지 및 실시간 범죄 대처를 위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07292137B (zh) * 2016-03-31 2020-10-1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待解锁对象的确定方法及装置
KR102570787B1 (ko) * 2016-10-27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Nfc 태그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nfc 태그 인식 시스템
US10108272B1 (en) * 2017-05-30 2018-10-23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device with gesture recognition module
KR102266413B1 (ko) * 2019-10-30 2021-06-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63242B1 (ko) * 2021-08-27 2022-11-0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인지형 자동화 n-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4085376A1 (en) * 2022-10-18 2024-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position of first device on seco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4851B2 (ja) * 2002-05-10 2009-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機能付キー、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US20070213045A1 (en) * 2006-03-10 2007-09-13 Jonas Gunnar Hermansson Electronic equipment with data transfer function using motion and method
JP2007329599A (ja) * 2006-06-06 2007-12-20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
US8482403B2 (en) * 2007-12-12 2013-07-09 Sony Corporation Interacting with devices based on physical device-to-device contact
KR101684970B1 (ko) * 2010-08-18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64951A1 (en) * 2010-09-13 2012-03-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ands-Free Control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Head Movement
US9870069B2 (en) * 2011-10-13 2018-01-16 Intel Corporation Detection of user activities by a portable device
JP2013109695A (ja) * 2011-11-24 2013-06-06 Systena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ロック解除システムおよびロック解除用プログラム
EP2600319A1 (fr) * 2011-11-29 2013-06-05 Gemalto SA Système d'appairage entre un terminal et un élément de type eGo porté au poignet ou à la main d'un utilisateur et procédé correspondant
JP5856012B2 (ja) * 2012-05-23 2016-02-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549323B2 (en) * 2012-12-03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TW201426400A (zh) * 2012-12-26 2014-07-01 Hon Hai Prec Ind Co Ltd 螢幕解鎖方法和系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97204A1 (en) 2017-02-02
TW201606576A (zh) 2016-02-16
JP6543691B2 (ja) 2019-07-10
JP2017532622A (ja) 2017-11-02
AU2018204630B2 (en) 2020-03-12
TWI673628B (zh) 2019-10-01
KR20160016490A (ko) 2016-02-15
AU2015297204B2 (en) 2018-04-19
KR20160016572A (ko) 2016-02-15
AU2018204630A1 (en)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23380B (zh)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
KR1023194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1037962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259654B (zh) 眼镜式终端及其控制方法
EP3101882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00900B1 (ko) 시스템
KR1025081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960295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775840B2 (en) Mirror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511703B2 (en) Char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same
KR102240639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2372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3375B1 (ko) 웨어러블 장치, 이동 단말기 및 시스템
JP2016201090A (ja) 移動端末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1060647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717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46769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590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1465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