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293B1 -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 - Google Patents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293B1
KR102319293B1 KR1020190173426A KR20190173426A KR102319293B1 KR 102319293 B1 KR102319293 B1 KR 102319293B1 KR 1020190173426 A KR1020190173426 A KR 1020190173426A KR 20190173426 A KR20190173426 A KR 20190173426A KR 102319293 B1 KR102319293 B1 KR 102319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ice
connector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163A (ko
Inventor
김호진
Original Assignee
김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진 filed Critical 김호진
Priority to KR102019017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2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6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 B08B7/009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6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specially designed for treat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 B05B13/0627Arrangements of nozzles or spray head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는 일 측에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와 연결된 연결관과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체를 포함하며, 내부에 하나 이상의 유통홀이 관통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타 측에 형성되고, 유통홀과 연결되어 유통홀로부터 유입되는 드라이아이스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배출구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되며, 드라이아이스 세척기로부터 제공 받은 드라이아이스가 분쇄되도록 메쉬(mesh)망으로 형성되는 분쇄망과, 고정홀에 체결되는 볼트 및 볼트에 체결되고,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라이아이스가 방사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Nozzle Connection of Dry Ice Cleaner for Inner Diameter Cleaning}
본 발명은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드라이아이스를 분사하는 노즐에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여 드라이아이스가 균일하게 방사되며, 피세척물의 내경을 용이하게 세척하기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의 생산공정에서는 생산되는 부품 표면에 각종 이물질들이 묻어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세척공정을 거치고 있다.
이러한 세척공정에 의하면, 생산된 부품을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쇼트블래스팅, 증기세척, 솔벤트 등의 약품처리나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세척공정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을 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세척작업의 품질차이가 발생되는 단점을 내재하고 있다.
특히, 브러쉬를 이용하는 세척작업에서는 세척하고자 하는 부품의 재질에 따라서 표면박리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생산되는 부품에 묻어있는 이물질들을 보다 깨끗하고,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친환경적으로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90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아이스를 분사하는 노즐에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여 드라이아이스가 균일하게 방사되며, 피세척물의 내경을 용이하게 세척하기 위한 노즐연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는 일 측에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와 연결된 연결관과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체를 포함하며, 내부에 하나 이상의 유통홀이 관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통홀과 연결되어 유통홀로부터 유입되는 드라이아이스를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아이스 세척기로부터 제공 받은 드라이아이스가 분쇄되도록 메쉬(mesh)망으로 형성되는 분쇄망;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체결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라이아이스가 방사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와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분쇄망의 외주면에 구비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및 배출구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는 분할 형성된 하우징;
일 측에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와 연결된 연결관과 체결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연결체와, 타 측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연결체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1 유통홀이 관통되며,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제1 하우징;
일 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3 연결체와, 타 측에 상기 제2 유통홀과 연결되어 드라이아이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2 유통홀이 관통되며,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아이스 세척기로부터 제공 받은 드라이아이스가 분쇄되도록 메쉬(mesh)망으로 형성되는 분쇄망;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체결하되,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라이아이스가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와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분쇄망의 외주면에 구비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및 배출구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체 및 제3 연결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상호 결합하는 축이음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는 분할 형성된 하우징;
일 측에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와 연결된 연결관과 체결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연결체와, 타 측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연결체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1 유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제1 하우징;
일 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체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제3 연결체와, 타 측에 상기 제2 유통홀과 연결되어 드라이아이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2 유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아이스 세척기로부터 제공 받은 드라이아이스가 분쇄되도록 메쉬(mesh)망으로 형성되는 분쇄망;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체결하되,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라이아이스가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와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분쇄망의 외주면에 구비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및 배출구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체의 내부 일 측에 형성하되 단턱지게 형성되며, 상기 분쇄망을 고정시키는 걸림턱;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설치하되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배관의 내경에 고정되는 연장 어셈블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연장 어셈블리는 내부에 제3 유통홀이 관통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제4 연결체;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고정체;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2 고정체;
상기 제1 고정체 및 제2 고정체에 설치하되, 제1 고정체 및 제2 고정체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관의 내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체;
상기 몸체부의 타 측에 상기 제3 유통홀과 연결되어 드라이아이스를 토출하는 토출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 사이마다 설치되어 가변체가 회동할 수 있는 관절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체 중, 상기 피세척물의 내경에 밀착되는 가변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 어셈블리가 배관의 내경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롤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체 및 제2 고정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체는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되어 피세척물의 내경에 상기 연장 어셈블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드라이아이스를 분사하는 노즐에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여 드라이아이스가 균일하게 방사되며, 피세척물의 내경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노즐연결체의 일 측에 연장되게 연장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피세척물의 내경안에 고정시킬 수 있고, 피세척물의 내경안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피세척물의 내경에 드라이아이스를 균일하게 방사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및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의 연결 어셈블리가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의 연결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용예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공업 세척용 드라이아이스 세척기(10)에서 공급되는 드라이아이스를 연결관(20)을 통해 이송되며, 노즐연결체(100,200,300)를 통해 드라이아이스를 분사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10)는 드라이아이스를 1차로 분쇄하여 연결관(20)이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으며, 노즐연결체(100,200,300)의 내부에 설치된 분쇄망을통해 드라이아이스를 2차로 분쇄될 수 있으며, 분쇄망은 실시예를 설명할 때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노즐연결체(10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유통홀(115)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드라이아이스를 유통시키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10)은 일 측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좌측에 연결체(111)가 구비되며, 연결관(도 1의 도면부호 20)과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연결관의 내주면에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 결합방식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타 측에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우측에 배출구(117)를 형성하되 유통홀(115)과 연결되며, 드라이아이스를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구(11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아이스가 방사될 수 있도록 내경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 나사산(119)이 형성되어 분쇄망(130)과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분쇄망(130)은 배출구(117)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드라이아이스가 배출구(117)에 유통되는 동력으로 분쇄망(130)을 관통할 수 있으며, 분쇄망(130)에 관통될 때 드라이아이스가 분쇄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쇄망(130)은 메쉬(mesh)망으로 형성되어 드라이아이스를 2차로 분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쇄망(130)은 내부 중앙에 고정홀(131)을 형성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볼트(150)가 고정홀(131)에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분쇄망(130)은 외주면에 케이스(133)를 별도로 설치하되, 외주면에 나사산(135)이 형성되며, 케이스(133)가 배출구(117)에 나사산 결합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볼트(150)는 고정홀(131)에 설치하되 너트(151)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가이드부(153)를 설치함으로써 배출구(117)로부터 방사되는 드라이아이스를 넓은 반경으로 방사될 수 있다.
가이드부(153)는 내부에 관통되는 별도의 홀(미도시)을 형성하되 내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볼트(150)가 홀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배출구(117)와 마주보는 면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우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출구(117)로부터 방사된 드라이아이스가 가이드부(153)의 경사진면을 통해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노즐연결체(100)는 분쇄망(130)을 통해 드라이아이스가 분쇄되고, 분쇄된 드라이아이스를 가이드부(153)를 통해 균일하게 방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노즐연결체(200)는 하우징이 분할형성되어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은 내부에 제1 유통홀(215)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일 측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좌측에 제1 연결체(211)가 구비되며, 연결관(도 1의 도면부호 20)과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연결관의 내주면에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 결합방식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210)은 타 측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제1 연결체(211)와 반대되는면인 우측에 제2 연결체(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체(213)의 외주면에 나사산(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30)은 내부에 제2 유통홀(234)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일 측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좌측에 제3 연결체(231)가 구비되며, 제3 연결체(231) 및 제2 연결체(213)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연결체(231)의 외주면에 나사산(2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30)은 타 측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우측에 배출구(233)를 형성하되 제2 유통홀(234)과 연결되며, 드라이아이스를 하우징(210,23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구(23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아이스가 방사될 수 있도록 내경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 나사산(235)이 형성되어 분쇄망(250)과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분쇄망(250)은 배출구(233)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드라이아이스가 배출구(233)에 유통되는 동력으로 분쇄망(250)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분쇄망(250)에 관통될 때 드라이아이스가 분쇄될 수 있다. 분쇄망(250)은 메쉬(mesh)망으로 형성되어 드라이아이스를 2차로 분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쇄망(250)은 내부 중앙에 고정홀(251)을 형성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볼트(290)가 고정홀(251)에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분쇄망(250)은 외주면에 케이스(252)를 별도로 설치하되, 외주면에 나사산(253)이 형성되며, 케이스(252)가 배출구(233)에 나사산 결합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볼트(290)는 고정홀(251)에 설치하되 너트(291)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가이드부(292)를 설치함으로써 배출구(233)로부터 방사되는 드라이아이스를 넓은 반경으로 방사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292)는 내부에 관통되는 별도의 홀(미도시)을 형성하되 내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볼트(290)가 홀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배출구(233)와 마주보는 면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우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출구(233)로부터 방사된 드라이아이스가 가이드부(292)의 경사진면을 통해 방사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30)의 사이에 축이음부(27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축이음부(270)는 내부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 하우징(210)의 제2 연결체(213) 및 제2 하우징(230)의 제3 연결체(231)의 외주면에 설치됨으로써,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3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노즐연결체(200)는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30)으로 분할형성되고,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30)의 사이에 분쇄망(250)을 설치하여 드라이아이스를 분쇄하며, 분쇄된 드라이아이스를 가이드부(292)를 통해 균일하게 방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노즐연결체(300)는 하우징이 분할형성되어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10)은 내부에 제1 유통홀(315)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일 측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좌측에 제1 연결체(311)가 구비되며, 연결관(도 1의 도면부호 20)과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연결관의 내주면에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 결합방식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310)은 타 측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제1 연결체(311)와 반대되는 면인 우측에 제2 연결체(3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체(313)의 내주면에 나사산(3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330)은 내부에 제2 유통홀(334)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일 측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좌측에 제3 연결체(331)가 구비되며, 제3 연결체(331)의 외주면에 나사산(332)이 형성되어 제2 연결체(313)와 나사산 결합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체(313)의 인근에 걸림턱(317)이 단턱지게 형성되고, 제3 연결체(331)가 제2 연결체(313)와 체결됨으로써 삽입공간(316)이 형성되며, 후술할 분쇄망(350)이 삽입공간(316)에 삽입되어 하우징(310,330)의 내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330)은 타 측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우측에 배출구(333)를 형성하되 제2 유통홀(334)과 연결되며, 드라이아이스를 하우징(310,33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분쇄망(350)은 상기한 제2 연결체(313)의 내주면(더욱 상세하게는 삽입공간(316) 및 걸림턱(317))에 설치되며, 드라이아이스가 배출구(333)에 유통되는 동력으로 분쇄망(350)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분쇄망(350)에 관통될 때 드라이아이스가 분쇄될 수 있다. 분쇄망(350)은 메쉬(mesh)망으로 형성되어 드라이아이스를 2차로 분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쇄망(350)은 내부 중앙에 고정홀(351)을 형성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볼트(390)가 고정홀(351)에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 케이스(352)를 별도로 구비하여 제2 연결체(313)의 내주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볼트(390)는 고정홀(351)에 설치하되 너트(391)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가이드부(392)를 설치함으로써 배출구(333)로부터 방사되는 드라이아이스를 넓은 반경으로 방사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392)는 내부에 관통되는 별도의 홀(미도시)을 형성하되 내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볼트(390)가 홀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배출구(333)와 마주보는 면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우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출구(333)로부터 방사된 드라이아이스가 가이드부(392)의 경사진면을 통해 방사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다른 노즐연결체(300)는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30)으로 분할형성되고, 제2 하우징(330)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316)에 분쇄망(350)을 설치하여 드라이아이스를 분쇄하며, 분쇄된 드라이아이스를 가이드부(392)를 통해 균일하게 방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노즐연결체(100,200)는 배출구(117,233)에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설치하되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 어셈블리(400)를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연장 어셈블리(400)는 노즐연결체(100,200)의 일면에 연장되게 설치되고, 피세척물(A)의 내경 예컨대 배관의 내경에 고정시키는 구조물이며, 드라이아이스가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어셈블리(400)는 내부에 제3 유통홀(460)이 관통된 몸체부(401)와, 몸체부(401)의 일 측에 제4 연결체(410)가 구비되며, 타 측에 드라이아이스를 토출하는 토출구(4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연결체(410)는 일 측 예컨대 도 8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좌측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나사산(411)이 형성되어 배출구(117,233)의 내주면에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17,233)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몸체(401)의 외면에 제1 고정체(430) 및 제2 고정체(4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체(430)는 몸체(401)에 설치하되 이격되게 설치되고, 몸체(401)의 외주면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2 고정체(430)는 몸체(401)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체(430) 및 제2 고정체(440)의 사이에 하나이상의 가변체(431)가 설치될 수 있다.
가변체(431)는 피세척물(A)의 내경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되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가변체(431)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변체(431)는 가변체(431)의 연결된 지점마다 관절체(432)가 설치되어 가변체(431)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동시켜 가변체(431)의 형상을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변체(431)는 피세척물(A)의 내경에 밀착되는 지점(또는 단부)에 롤러(433)가 설치되며, 연장 어셈블리(400)가 피세척물(A)의 내경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변체(431)는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체(431)를 가변시켜 피세척물(A)의 내경에 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체(430) 및 제2 고정체(440)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체(431)는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되어 피세척물(A)의 내경에 연장 어셈블리(4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고정체(430) 및 제4 연결체(410)의 사이에 탄성체(420)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420)는 제1 고정체(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제1 고정체(430)가 용이하게 몸체(401)의 외주면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탄성체(420)가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산(411)에 너트(412)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노즐연결체(100,200) 및 연장 어셈블리(400)가 상호 체결되면서, 노즐연결체(100,200)에 설치되는 볼트(150,290)가 연장 어셈블리(400)의 길이만큼 조정될 수 있다.
즉, 볼트(150,290)에 설치되는 가이드부(153,292)가 드라이아이스의 토출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드라이아이스를 균일하게 방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 연장 어셈블리(400)의 타 측 예컨대 도면상 우측에 설치하되 연장 어셈블리(400)의 외 측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장 어셈블리(400)는 노즐연결체(100,200)의 일 측에 연장되게 설치되어 피세척물(A)의 내경에 맞게 가변시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롤러(433)를 통해 피세척물(A)의 내경안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장 어셈블리(400)는 상기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노즐연결체(100,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노즐연결체(300)에 적용될 수 있고, 드라이아이스 세척기(도 1의 도면부호 10)에 설치된 노즐(도 1의 도면부호 30)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드라이아이스 세척기 20 - 연결관
100 - 노즐연결체 110 - 하우징
111 - 연결체 113 - 나사산
115 - 유통홀 117 - 배출구
119 - 나사산 130 - 분쇄망
131 - 고정홀 133 - 케이스
135 - 나사산 150 - 볼트
151 - 너트 153 - 가이드부
200 - 노즐연결체 210 - 제1 하우징
211 - 제1 연결체 212 - 나사산
213 - 제2 연결체 214 - 나사산
215 - 제1 유통홀 230 - 제2 하우징
231 - 제3 연결체 232 - 나사산
233 - 배출구 234 - 제2 유통홀
235 - 나사산 250 - 분쇄망
251 - 고정홀 252 - 케이스
253 - 나사산 270 - 축이음부
290 - 볼트 291 - 너트
292 - 가이드부 300 - 노즐연결체
310 - 제1 하우징 311 - 제1 연결체
312 - 나사산 313 - 제2 연결체
314 - 나사산 315 - 제1 유통홀
316 - 삽입공간 317 - 걸림턱
330 - 제2 하우징 331 - 제3 연결체
332 - 나사산 333 - 배출구
334 - 제2 유통홀 350 - 분쇄망
351 - 고정홀 352 - 케이스
390 - 볼트 391 - 너트
392 - 가이드부 400 - 연장 어셈블리
401 - 몸체부 410 - 제4 연결체
411 - 나사산 412 - 너트
420 - 탄성체 430 - 제1 고정체
431 - 가변체 432 - 관절체
433 - 롤러 440 - 제2 고정체
450 - 토출구 460 - 제3 유통홀
A - 피세척물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분할 형성된 하우징;
    일 측에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와 연결된 연결관과 체결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연결체와, 타 측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연결체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1 유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제1 하우징;
    일 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체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제3 연결체와, 타 측에 제2 유통홀과 연결되어 드라이아이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2 유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아이스 세척기로부터 제공 받은 드라이아이스가 분쇄되도록 메쉬(mesh)망으로 형성되는 분쇄망;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체결하되,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라이아이스가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배출구에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설치하되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배관의 내경에 고정되는 연장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어셈블리는 내부에 제3 유통홀이 관통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제4 연결체;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고정체;
    제1 고정체 및 제4 연결체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1 고정체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제1 고정체가 용이하게 몸체부의 외주면 내에서 이동하도록 보조하는 탄성체;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2 고정체;
    상기 제1 고정체 및 제2 고정체에 설치하되, 제1 고정체 및 제2 고정체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관의 내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체;
    상기 몸체부의 타 측에 상기 제3 유통홀과 연결되어 드라이아이스를 토출하는 토출구;
    를 포함하는 노즐연결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와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노즐연결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분쇄망의 외주면에 구비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및 배출구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노즐연결체.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체의 내부 일 측에 형성하되 단턱지게 형성되며, 상기 분쇄망을 고정시키는 걸림턱;
    을 포함하는 노즐연결체.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 사이마다 설치되어 가변체가 회동할 수 있는 관절체;
    를 포함하는 노즐연결체.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체 중, 상기 배관의 내경에 밀착되는 가변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 어셈블리가 배관의 내경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롤러;
    를 포함하는 노즐연결체.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체 및 제2 고정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체는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배관의 내경에 상기 연장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는 노즐연결체.
KR1020190173426A 2019-12-23 2019-12-23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 KR10231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26A KR102319293B1 (ko) 2019-12-23 2019-12-23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26A KR102319293B1 (ko) 2019-12-23 2019-12-23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63A KR20210081163A (ko) 2021-07-01
KR102319293B1 true KR102319293B1 (ko) 2021-10-28

Family

ID=7686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426A KR102319293B1 (ko) 2019-12-23 2019-12-23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2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80Y1 (ko) * 1996-11-20 2001-10-25 이구택 배관내부 자동세정장치
KR200411685Y1 (ko) * 2006-01-05 2006-03-16 손희배 살수용 노즐
JP6032394B2 (ja) * 2012-04-10 2016-11-30 シブヤマシナリー株式会社 ドライアイス洗浄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019A (ko)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KR20180083227A (ko) * 2017-01-12 2018-07-20 주식회사 테라메탈 이종 용액 혼합용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80Y1 (ko) * 1996-11-20 2001-10-25 이구택 배관내부 자동세정장치
KR200411685Y1 (ko) * 2006-01-05 2006-03-16 손희배 살수용 노즐
JP6032394B2 (ja) * 2012-04-10 2016-11-30 シブヤマシナリー株式会社 ドライアイス洗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63A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455B1 (ko) 관로세척장치
KR101698173B1 (ko) 배관 청소로봇
KR102319293B1 (ko) 내경 세척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세척기의 노즐연결체
US10350654B2 (en) Pipe thread cleaner
KR20160092996A (ko) 향상된 세정 능력을 구비하는 회전 벨 컵 분무기
AT512876A1 (de) Werkzeug zur Reinigung von großen Flächen
KR102504657B1 (ko) 가압 원심 탈수기
EP3326727B1 (de) Vorrichtung zur inspektion und reinigung eines leitungs- oder rohrabschnitts
EP3189934B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strahltriebwerks
US5638844A (en) Device for the cleaning of ventilation ducts
DE102011100125B4 (de) Wasch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räder und Nachrüstsatz für eine Wascheinrichtung
EP2153746A2 (de) Waschbürste
CN106140611B (zh) 小麦清洁设备
KR100584499B1 (ko) 회전 분사 노즐
JP2011115735A (ja) 油井管用鋼管内面乾燥ノズル
KR102231783B1 (ko) 이물질 제거장치
CN104432427A (zh) 红薯清洗机
DE102006015805A1 (de) Strahlmittelaustragsdüse
DE102019002183A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Sprühen, Spülen, Auftragen oder Trocknen im Innenraum oder auf Flächen von Behältern und Rohr- und Anlagensystemen
WO2016042826A1 (ja) 遠心圧縮機
KR101891665B1 (ko) 튜브 세척용 브러쉬볼 및 이를 포함하는 브러쉬볼 조립체
KR20210124831A (ko) 듀얼 드라이아이스 세척기
KR20160125621A (ko) 공작 기계 가공물의 내면 세척용 회전 노즐
KR20160012566A (ko) 자동세차기용 브러시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
CN210586071U (zh) 一种清洗机喷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