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132B1 - System of managing information of product for shopping mall - Google Patents

System of managing information of product for shopping m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132B1
KR102319132B1 KR1020200124727A KR20200124727A KR102319132B1 KR 102319132 B1 KR102319132 B1 KR 102319132B1 KR 1020200124727 A KR1020200124727 A KR 1020200124727A KR 20200124727 A KR20200124727 A KR 20200124727A KR 102319132 B1 KR102319132 B1 KR 102319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image
shopping ma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쿨앤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쿨앤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쿨앤쿨
Priority to KR102020012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1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shopping mal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which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and stock quantity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roduct to be uploaded to the shopping mall; and a shopping mall server which generates a product description image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roduct information and stock quant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outputs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on a web brows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of the product to be sold in the shopping mall and output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on the browser.

Description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SYSTEM OF MANAGING INFORMATION OF PRODUCT FOR SHOPPING MALL}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shopping malls {SYSTEM OF MANAGING INFORMATION OF PRODUCT FOR SHOPPING MALL}

본 발명은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의 재고수량정보에 기반하여 쇼핑몰에 출력되는 상품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shopping mall.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product information output to a shopping mall based on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of the product.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n admission that it is prior art.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 홈쇼핑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도 오프라인 판매와 함께 온라인 판매도 함께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number of users who use online home shopping is increasing exponentially. Accordingly, sellers who wish to sell products are also conducting online sales as well as offline sales.

특히, 온라인 오픈마켓의 경우에는 업로드하는 상품의 개수에 따라 광고비가 추가되거나, 유사한 상품을 별개로 업로드하는 경우 고객의 집중이 분산되는 악영향으로 인하여, 하나의 상품판매 페이지에 다양한 상품을 함께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online open market, advertising costs are add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uploaded, or due to the adverse effect of dispersing customer concentration when similar products are uploaded separately, various products are sold together on one product sales page. it is common

그에 따라, 판매자는 상기 상품판매 페이지에 여러가지 상품에 대한 상품설명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업로드하는데, 상품마다 별개의 상품설명이미지를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각 파일들을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쇼핑몰 홈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다운로드해야될 파일의 개수가 많아져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 seller uploads images including product descriptions for various products on the product sales page. When creating and uploading separate product description images for each product, it is not easy to manage each file, and the shopping mall homepa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files to be downloaded increases when accessing the .

따라서, 여러가지 상품에 대한 상품설명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하나로 제작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Accordingly, 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producing one image including product descriptions for various products.

그러나, 하나의 이미지는 품절된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계속 포함하고 있어, 잔여 상품에 대한 고객의 집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남아있다.However, since one image continues to include product information regarding out-of-stock products, there remains a problem in that the customer's concentration on the remaining products may be dispersed.

또한, 품절된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상품설명이미지에서 제거하기 위해서는 포토샵 등과 같이 별도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 품절된 상품의 정보를 제거해야하나 인건비 및 작업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remove the product information on the out of stock product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information on the out of stock product with a separate image editing program such as Photoshop, but this is not efficient in terms of labor cost and working time.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은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개선된(enhanced)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nhanced shopping mall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319호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431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shopping mall.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쇼핑몰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설명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브라우저상에 출력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product description image of a product to be sold in a shopping mall and to output it on a brows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품절된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상품설명이미지에서 제거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product information about a sold-out product from a product description imag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의 판매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품설명이미지의 배열을 편집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dit the arrangement of product description images in order to increase the sales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품절이 임박한 상품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후속조치를 요구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quest a follow-up action from the user for a product that is about to be sold out.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은 쇼핑몰에 업로드 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및 재고수량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상품정보 및 재고수량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웹브라우저상에 출력하는 쇼핑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and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roduct to be uploaded to the shopping mall, an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shopping mall server that generates a product description image based on the receive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and outputs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on a web browser.

이 때,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및 상기 재고수량정보를 전달받는 통신 모듈,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및 기설정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모듈 및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웹브라우저상에 출력하는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opping mall server generates a product description image based on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and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and a preset template. It may include an image generating module and a web page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web page for output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on a web browser.

이 때, 상기 이미지 생성 모듈은, 상기 상품이 복수인 경우, 각 상품에 대한 상기 상품정보를 기설정된 템플릿에로 일렬로 나열하여 하나의 상품설명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roducts, the image generating module may generate one product description image by arranging the product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in a line in a preset template.

이 때,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재고수량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편집하는 이미지 편집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opping mall server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editing module for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based o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이 때,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고수량이 없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설명이미지에서 삭제하는 제1 모드, 상기 재고수량이 많이 남은 상품순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나열하도록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편집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편집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나열하도록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편집하는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editing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 first mode for deleting product information for products with no inventory quantity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product information for the products in the order of products with a large inventory quantity remaining Can operate in any one of a second mode of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to list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and a third mode of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to list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based on an editing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have.

이 때,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재고수량정보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 재고수량정보 갱신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기설정된 요청기간동안 상기 재고수량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설명이미지에서 삭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pping mall server transmits,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update reque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for a specific produc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and the image editing module, If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is not updated during the set request period, product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may be deleted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이 때,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재고수량정보 갱신요청정보를 송신할 때, 해당 상품의 단위개수당 판매기간을 기반으로 추가할 재고수량에 대한 보강여부의견을 함께 송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ransmitting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update request information, the shopping mall server may also transmit an opinion on whether to reinforce the inventory quantity to be added based on th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the product.

이 때, 상기 이미지 생성 모듈은, 상기 상품의 개수와 기설정된 상품개수임계치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설명이미지의 개수를 조절하여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generation module may generate by adjusting the number of product description images based on the number of products and a preset number of products threshold.

이 때, 상기 이미지 생성 모듈은,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복수개 생성하는 경우, 상기 상품의 상기 재고수량정보를 기반으로 구분하여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generating module, when generating a plura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may be generated by dividing the product based o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As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effect in terms of proposing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nhanced shopping m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쇼핑몰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설명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브라우저상에 출력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product description image of a product to be sold in a shopping mall and output it on a brow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품절된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상품설명이미지에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duct information about a sold-out product can be removed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의 판매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품설명이미지의 배열을 편집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dit the arrangement of product description images in order to increase the sales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품절이 임박한 상품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후속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quest a follow-up action from the user for a product that is about to be sold out.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의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설명이미지의 생성 및 출력을 나타내는 사용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설명이미지의 편집을 나타내는 사용예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benefits as described above of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odule of a shopping mal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generation and output of a product descriptio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editing of a product descriptio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roughout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features, and structur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each figure,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will be understood that each block of the flowchart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the flowchart diagram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odi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not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It creates a means to perform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flow chart block(s)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t is possible that the blocks are sometime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erm '~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nd '~ unit' refers to what role carry out the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 example of a specific system will be mainly targeted, but the main subject matter to be claim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extend the scope disclosed herein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nd services having a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It can be appli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and this will be possible at the discretion of a person with technical knowledg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for a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20) 및 쇼핑몰 서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정보(401) 및 판매할 수량(재고수량정보(403)) 쇼핑몰 서버(110)에 업로드할 수 있고, 쇼핑몰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전달받은 상품정보(401) 및 재고수량정보(403)를 기반으로 상품판매 페이지에 표시할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웹브라우저(200)상에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for a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20 and a shopping mall server 110 . In more detail, the user who wants to sell the product can upload the product information 401 and the quantity to be sold (stock quantity information 403) of the product to be sold to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 and,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may generate a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to be displayed on the product sale page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401 and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This may be output on the web browser 200 .

구성요소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120)은 쇼핑몰에 업로드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401) 및 재고수량정보(403)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401) 및 재고수량정보(403)를 입력하는 주체는 해당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일 수 있다. Specifically for each component, the user terminal 120 may receive product information 401 and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on at least one product to be uploaded to the shopping mall. At this time, the subject inpu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401 and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for the product may be a seller who wants to sell the product.

이 때, 사용자 단말(120)은 판매자로부터 입력받은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401) 및 재고수량정보(403)를 통신 모듈(220)을 통하여 쇼핑몰 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20 may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401 and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of one or more products received from the seller to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

또한, 쇼핑몰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달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401) 및 재고수량정보(403)를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생성하고,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웹브라우저(200)상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generates a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401 and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for at least one produc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and describes the product. The image 410 may be output on the web browser 200 .

이 때, 쇼핑몰 서버(110)는 통신 모듈(220), 이미지 생성 모듈(310), 웹페이지 생성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110)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모듈(210), 입력 모듈(230), 통신 모듈(220), 출력 모듈(240), 저장 모듈(2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이미지 생성 모듈(310), 웹페이지 생성 모듈(330)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은 이미지 편집 모듈(320) 및 인공지능 모듈(3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220 , an image generating module 310 , and a web page generating module 330 . In addition, a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includes a control module 210 , an input module 230 , a communication module 220 , an output module 240 , and a storage module 250 . It may be configured, and the control modul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and the web page generating module 330 .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editing module 320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340 .

이 때, 통신 모듈(220)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401) 및 상기 재고수량정보(403)를 전달받을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로써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receive the product information 401 and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for at least one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120 .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is a module capable of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이 때, 이미지 생성 모듈(310)은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401) 및 기설정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생성 모듈(310)은 상기 상품이 복수인 경우, 각 상품에 대한 상기 상품정보를 기설정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일렬로 나열하여 하나의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웹페이지는 세로 스크롤을 기준으로 확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는 상기 상품정보를 종방향 일렬로 나열되도록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may generate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401 for the product and a preset template. In more detail, the image generation module 310 may generate on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y arranging the product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in a line based on a preset templat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roducts. . At this time, since the web page is generally expanded based on vertical scroll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e generated so that the product information is arranged in a vertical line.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또한, 이미지 생성 모듈(310)은 상기 상품의 개수와 기설정된 상품개수임계치를 비교하여 상품설명이미지(410)의 개수를 조절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상품설명이미지(410)만 생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상품의 개수가 너무 많다면 오히려 관리가 어렵고, 파일 하나의 용량이 너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이 15개이고, 상기 상품개수임계치가 10인 경우, 상품설명이미지(410)는 10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포함된 제1 상품설명이미지(410)와 나머지 5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포함된 제2 상품설명이미지(410)로 구분되어 생성될 수 있다.Also,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may compare the number of products with a preset number of products threshold and adjust the number of product description images 410 to generate them. This is because even when only on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is created, if the number of the products is too large, management is rather difficult, and the capacity of one file may become too large.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products is 15 and the product number threshold is 10,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includes the first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for 10 products and the remaining 5 products. A second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may be divided and generated.

이 때, 상기 템플릿은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배치할 구조, 글자체, 디자인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120)을 사용하는 판매자로 하여금 직접 선택하게 하거나, 상기 상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template is composed of a structure, a font, a design, etc. for arranging product information for the product, and is composed of one or more, allowing a seller using the user terminal 120 to directly select, or It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ed based on an image.

이 때, 웹페이지 생성 모듈(330)은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웹브라우저(200)상에 출력하는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웹페이지 생성 모듈(330)은 HTML, JAVA 등으로 생성된 상품판매 페이지에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상기 상품판매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추가, 수정 및/또는 삭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b page generating module 330 may generate a web page that outputs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on the web browser 200 . In more detail, the web page generation module 330 allows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to be uploaded to the product sales page generated in HTML, JAVA, etc., and adds the source code of the product sales page, may be modified and/or deleted.

이 때, 이미지 편집 모듈(320)은 상품에 대한 재고수량정보(403)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편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이미지 편집 모듈(320)은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에서 재고수량이 없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직접 해당 상품설명이미지(410)를 편집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품절된 상품의 상품정보를 제거할 수 있으며, 고객의 주의분산도 방지할 수 있다는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editing module 320 may edit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ased o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for the product. In more detail, the image editing module 320 may delete product information for a product with no inventory quantity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 Through th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move the product information of a sold-out product without the user directly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distraction of the customer. can be seen to hav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for a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쇼핑몰 서버(110)는 제1 제어 모듈(210), 제1 통신 모듈(220), 제1 입력 모듈(230), 제1 출력 모듈(240), 및/또는 저장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쇼핑몰 서버(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를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제2 제어 모듈(260), 제2 통신 모듈(270), 제2 입력 모듈(280), 및/또는 제2 출력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includes a first control module 210 ,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 a first input module 230 , a first output module 240 , and/or a storage module ( 250), and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may be a server operating the online shopping mall home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20 may include a second control module 260 ,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70 , a second input module 280 , and/or a second output module 290 .

제어 모듈(210, 2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쇼핑몰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s 210 and 260 may directly/indirectly control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to implement the operations/steps/proce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s 210 and 26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the processor may include at least on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or at least one graphics processing device (GPU).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s 210 and 260 control information (eg, commands) based o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 (Internet of Things), IIoT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and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ies. create and/or manage, and the like.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110)의 제1 제어 모듈(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생성 모듈(310), 이미지 편집 모듈(320), 웹페이지 생성 모듈(330) 및 인공지능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control module 210 of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the image editing module 320, the web page generating module 330, and the It may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340 .

통신 모듈(220, 270)은 쇼핑몰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 27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 27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s 220 and 270 may transmit/receive various data, signals, and information to and from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s 220 and 27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g,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s 220 and 270 are connected to a first network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or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a second network (eg, a cellular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It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AN or WAN). Thes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multiple chips) separate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모듈(220)은 통신표준 기술(예; 3GPP, IEEE 등)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based on a communication standard technology (eg, 3GPP, IEEE, etc.).

입력 모듈(230, 280)은 쇼핑몰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2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쇼핑몰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쇼핑몰 서버(1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30, 280)은 쇼핑몰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s 230 and 280 transmit commands or data to be used for components of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eg, the control module 210, etc.) to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It may be received from the outside of the 120 (eg, a user (eg, a first user, a second user, etc.), a manager of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 etc.). In addition, the input modules 230 and 280 include a touch recognition capable display installed in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a touch pad, a button-type recognition module, a voice recognition sensor, a microphone, a mouse, or a keyboard. can do. Here, the touch recognition capable display, touch pad, and button type recognition module may recognize a touch through the user's body (eg, finger)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nd/or capacitive method.

출력 모듈(240, 290)은 쇼핑몰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의 제어 모듈(210, 26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220, 27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240, 29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modules 240 and 290 are signals (eg, voice signals) generated by the control modules 210 and 260 of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or ob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s 220 and 270 . ), information, data, images, and/or various objects. For example, the output modules 240 and 290 may include a display, a screen, a displaying unit, a speaker, and/or a light emitting device (eg, an LED lamp).

저장 모듈(250)은 쇼핑몰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 쇼핑몰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25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250 stores data such as a basic program, an application program, and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shopping mall. In addition, the storage module 250 is a flash memory type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또한, 저장 모듈(250)은 쇼핑몰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을 사용하는 고객(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자(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쇼핑몰 서버(110)에 의해 생성되는 리워드(reward)(예; 포인트 등)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상기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storage module 250 may store personal information of a customer (a first user) who uses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 personal information of a manager (a second user), and the like. Her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a name, ID (identifier), password, street name address, phone number, mobile phone number, email address, and/or a reward (eg, point, etc.) generated by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s 210 and 26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using various images, programs, contents, data, etc.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5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odule of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 모듈(210)은 이미지 생성 모듈(310), 이미지 편집 모듈(320), 웹페이지 생성 모듈(330) 및 인공지능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ontrol module 210 of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may include an image generating module 310 , an image editing module 320 , a web page generating module 330 ,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340 . have.

이 때, 이미지 생성 모듈(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401) 및 기설정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생성할 수 있고, 웹페이지 생성 모듈(330)은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웹브라우저(200)상에 출력하도록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이미지 편집 모듈(320)은 상기 상품의 재고수량정보(403)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편집할 수 있고, 이 때, 웹페이지 생성 모듈(330)은 편집된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웹브라우저(200)상에 출력하도록 웹페이지를 다시 생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may generate a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401 for the product and a preset template, and the web page generation module 330 . may generate a web page to output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on the web browser 200, and the image editing module 320 may generate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 410), and in this case, the web page creation module 330 may re-create or modify the web page to output the edited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on the web browser 200 .

이 때, 인공지능 모듈(340)은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상품의 재고수량 및 판매수량을 분석하고, 상품설명이미지(410)의 상품배열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340)은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상품의 재고수량 및 판매수량을 분석하고, 상품설명이미지(410)의 상품배열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340 may analyze the inventory quantity and sales quantity of the product based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and determine the product arrangement order of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 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340 analyzes the inventory quantity and sales quantity of the product by using machine learning on bi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50, and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of the You can decide the order of product arrangement.

또한, 인공지능 모듈(340)은 쇼핑몰 서버(110)의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 모듈(340)은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 모듈(340)은 기존의 복수의 재고수량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복수의 상품설명이미지를 학습데이터로 설정하여 인공지능망 모델을 학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학습된 인공지능망 모델에 상기 상품의 재고수량정보(403)를 입력(input)함으로써, 상기 인공지능망 모델의 출력(output)인 상품설명이미지(410)(의 상품배열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340 may lear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by using the bi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50 of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s an input variable. For examp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340 may perform learning so that an accurate correlation can be derived using a deep learning technique, which is a field of machine learning. For examp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340 may control to lear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model by setting a plurality of existing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product description images corresponding thereto as learning data,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learned in this way By inputting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of the product into the model, information on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the product arrangement order) that is the outpu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model can be obtained.

또한 인공지능 모듈(340)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ls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340 may calculate a weight of a plurality of inputs in the function through deep learning through learning. In addition, various models such as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 Deep Neural Network (DNN), and a 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DRNN) may be used as an AI network model used for such learning.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Here, RNN is a deep learning technique that considers current data and past data at the same time.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presents a neural network in which connections between units constitut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onstitute a directed cycle. Furthermore, various methods may be used for a structure capable of construct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for example, a fully recurrent network, a hopfield network, an Elman network, an ESN (Echo). State network), 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LSTM), bi-directional RNN, continuous-time RNN (CTRNN), hierarchical RNN, and secondary RNN are representative examples. In addition, as a method for learn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methods such as gradient descent, Hessian Free Optimization, and Global Optimization Method may be u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설명이미지(410)의 생성 및 출력을 나타내는 사용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generation and output of a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전달받은 상품정보(401) 및 재고수량정보(403)를 기반으로 상품판매 페이지에 표시할 상품설명이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웹브라우저(200)상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401) 및 상기 재고수량정보(403)를 전달받는 통신 모듈(220),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401) 및 기설정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모듈(310) 및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웹브라우저(200)상에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product description sheet to be displayed on the product sale page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401 and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 and may be output on the web browser 200 . In more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for receiving the product information 401 and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for at least one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120, product information for the product It may include an image generating module 310 for generating a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ased on 401 and a preset template, and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on the web browser 200 . .

이 때, 이미지 생성 모듈(310)은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401) 및 기설정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생성 모듈(310)은 상기 상품이 복수인 경우, 각 상품에 대한 상기 상품정보를 기설정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일렬로 나열하여 하나의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웹페이지는 세로 스크롤을 기준으로 확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는 상기 상품정보를 종방향 일렬로 나열되도록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may generate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401 for the product and a preset template. In more detail, the image generation module 310 may generate on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y arranging the product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in a line based on a preset templat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roducts. . At this time, since the web page is generally expanded based on vertical scroll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e generated so that the product information is arranged in a vertical line.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보면, 이미지 생성 모듈(310)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생성 모듈(310)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품에 대한 재고수량정보(403)를 더 포함하여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서는 재고수량정보(403)에 대하여 상품설명이미지(410)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이를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반드시 상품설명이미지(410)에 재고수량정보(403)가 포함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섹션에 따로 표시 및/또는 관리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 for example,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may generate a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 In this case,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may generate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y further including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for the produc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 However, in FIG. 4, although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is visually displayed on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this is only one embodiment for helping understanding. is not included, and may be separately displayed and/or managed in a separate sectio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생성 모듈(310)은 상기 상품의 개수와 기설정된 상품개수임계치를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410)의 개수를 조절하여 생성할 수 있다.Also,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may generate by adjusting the number of product description images 410 based on the number of products and a preset number of products threshold.

이 때, 이미지 생성 모듈(310)은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의 개수가 2개 이상으로 생성해야될 경우, 상기 상품들의 재고수량정보(403)를 기반으로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구분하여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divides the product into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based o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of the product when the number of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s 410 is to be generated as two or more. can be created by

예를 들면,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을 구분하는 기준이 재고수량의 고저인 경우, 재고수량이 얼마 없는 상품은 다른 상품에 비하여 보다 빠르게 품절될 것이고, 그에 따라 해당 상품의 상품정보가 포함된 상품설명이미지(410)는 보다 자주 편집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재고수량의 많고 적음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을 구분하여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first group from the second group is a high or low stock quantity, a product with a small inventory quantity will be sold out faster than other products, and accordingly,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is Since the included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will be edited more frequently,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can be generated by dividing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based on the large or small inventory quantity. .

이 때, 웹페이지 생성 모듈(330)은 이미지 생성 모듈(310)에서 생성된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웹브라우저(200)상에 출력하는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b page generating module 330 may generate a web page that outputs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ng module 310 on the web browser 20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설명이미지(410)의 편집을 나타내는 사용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editing of a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110)는 상기 재고수량정보(403)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편집하는 이미지 편집 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editing module 320 for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ased o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

이 때, 이미지 편집 모듈(3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에서 재고수량이 없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해당 상품설명이미지(410)를 편집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품절된 상품의 상품정보를 제거할 수 있으며, 고객의 주의분산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editing module 320 may delete product information for a product with no inventory quantity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 Through this,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edit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move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sold-out produc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stomer from being distracted.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이미지 편집 모듈(320)은 각 상품의 재고수량에 기반하여, 품절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에서 삭제하는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for example, the image editing module 320 may perform editing to delete product information about a sold-out product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ased on the stock quantity of each product.

이 때,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32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고수량이 없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에서 삭제하는 제1 모드, 상기 재고수량이 많이 남은 상품순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나열하도록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편집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달받은 편집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나열하도록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를 편집하는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editing module 32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the first mode for deleting product information for products with no inventory quantity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in the order of products with a large inventory quantity remaining A second mode of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to list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and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to list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based on an editing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It may operate in any one of the third modes of editing 410 .

이 때, 상기 제1 모드는 품절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품설명이미지(410)에서 삭제함으로써, 고객의 주의분산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드는 재고수량이 많이 남은 상품을 상단에 배치함으로써, 고객의 주의를 끌어 해당상품의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고, 상기 제3 모드는 사용자 단말(120)의 사용자 즉,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의사에 따라 주력상품을 재고수량과 무관하게 상단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n the first mode, by deleting the product information on the sold out product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stomer from being distracted, and in the second mode, the product with a large amount of stock is placed on the top. By arranging, it is possible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customer and promote the sale of the product, and the third mode is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20 , that is,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seller who sells the product, the main product is sold regardless of the stock quantity. This is so that it can be placed on top.

이 때, 이미지 편집 모듈(320)은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에서 특정 상품의 상품정보를 삭제하기 전에, 원본을 저장 모듈(250)에 별도로 백업을 하고, 복사본을 대상으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재고수량을 추가한 경우에 새로 편집을 수행하지 않고, 백업된 원본을 가져오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image editing module 320 separately backs up the original to the storage module 250 before deleting the product information of a specific product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and edits the copy. have. This is to bring the backed-up original without performing a new edit when the user adds the stock quant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110)는 상품에 대한 재고수량정보(403)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때, 사용자 단말(120)로 재고수량정보(403) 갱신요청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기설정된 요청기간동안 상기 재고수량정보(403)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이미지 편집 모듈(320)은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설명이미지(41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는 품절이 임박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용자가 재고수량을 추가함으로써, 상품설명이미지(410)를 편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update reque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20 whe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for the produc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Also, whe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is not updated during a preset request period, the image editing module 320 may delete product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 This is to notify the user that the out of stock is imminent and prevent the user from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by adding the stock quantity.

이 때, 상기 요청기간은 상기 상품의 단위개수당 판매기간, 모든 상품의 단위개수당 평균 판매기간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quest period may be set based on a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the product and an averag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all products.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may be set as i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20102390067-pat00001
Figure 112020102390067-pat00001

이 때, P(Period)는 요청기간을 의미하고, SP(Standard Period)는 기준기간을 의미하고, AST(Average Sale Term)는 모든 상품의 단위개수당 평균 판매기간을 의미하고, ST(Sale Term)는 해당 상품의 단위개수당 판매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기간 및 상기 단위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In this case, P (Period) means the requested period, SP (Standard Period) means the standard period, AST (Average Sale Term) means the averag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all products, and ST (Sale Term) means ) may mean th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the product. In this case, the reference period and the number of units may be changed by a user's setting.

이는 단위개수당 판매기간이 짧은 상품은 순환율이 높은 것으로, 사용자가 재고수량을 추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재고수량을 추가할 요청기간을 길게 설정하고, 단위개수당 판매기간이 긴 상품은 순환율이 적은 것으로, 사용자가 재고수량을 추가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재고수량을 추가할 요청기간은 짧게 설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순환율이 높다는 것은 해당 상품의 인기가 높다는 것으로써, 인기가 높은 상품의 상품정보를 상품설명이미지(410)에서 삭제하는 것은 고객의 유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products with a short sales period per unit have a high circulation rate, and users are more likely to add an inventory quantity. Because the exchange rate is low, the user is less likely to add the inventory quantity, so that the request period for adding the inventory quantity is set to be short. In addition, a high circulation rate indicates that the product is popular, and deleting product information of a popular product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410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inflow of customers.

예를 들어, 단위개수가 30개이고, 기준기간이 4일이며, A 상품은 15일에 30개가 판매가 완료되고, 모든 상품의 단위개수당 평균 판매기간이 30일인 경우에 상기 A 상품의 단위개수 30개 당 판매기간은 15일이며, 따라서, 상기 요청기간은 8일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units is 30, the base period is 4 days, 30 units of product A are sold on 15 days, and the averag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all products is 30 days, the number of units of product A is 30 The sales period per unit is 15 days, and thus the request period may be set to 8 days.

또한, 쇼핑몰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로 재고수량정보(403) 갱신요청정보를 송신할 때, 해당 상품의 단위개수당 판매기간을 기반으로 추가할 재고수량에 대한 의견을 결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when transmitting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03 update reque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20, determines an opinion on the inventory quantity to be added based on th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the product. can send

보다 상세하게는, 쇼핑몰 서버(110)는 해당 상품의 단위개수당 판매기간과 모든 상품의 단위개수당 평균 판매기간을 기반으로 기존의 재고수량 그대로 추가할지, 기존의 재고수량보다 보강하여 추가할지, 기존의 재고수량보다 감소하여 추가할지에 대한 의견을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송신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determines whether to add the existing inventory quantity as it is, or to add reinforcement than the existing inventory quantity, based on th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the product and the averag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all product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opinion on whether to add a reduc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inventory quantity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20 .

이와 관련하여, 쇼핑몰 서버(110)는 아래 수학식 2를 기반으로 의견을 결정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may determine an opinion based on Equation 2 below.

Figure 112020102390067-pat00002
Figure 112020102390067-pat00002

이 때, AST(Average Sale Term)는 모든 상품의 단위개수당 평균 판매기간을 의미하고, ST(Sale Term)는 해당 상품의 단위개수당 판매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기간 및 상기 단위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예;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 및/또는 서버(110)의 제어 모듈(210)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제어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10)의 제어 모듈(210)은 기준기간 및/또는 단위개수를 상품 판매량, 상품 평점 등에 기반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AST (Average Sale Term) may mean an averag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all products, and ST (Sale Term) may mean a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In this case, the reference period and the number of units are set by the user (e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 and/or as the control module 210 of the server 110 contro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may vary.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210 of the server 110 may reset the reference period and/or the number of units based on product sales volume, product rating, and the like.

예를 들어, 단위개수가 30개이고, A 상품은 15일에 30개가 판매가 완료되며, 모든 상품의 단위개수당 평균 판매기간이 30일인 경우, A 상품의 단위개수당 판매기간은 15일이고 의견을 위한 계수(AST/ST)는 2로써, 1보다 크므로, 쇼핑몰 서버(110)는 보강 의견을 사용자 단말(120)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units is 30, the sale of 30 units of product A is completed in 15 days, and the averag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all products is 30 days, th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product A is 15 days and comments are received. Since the coefficient AST/ST is 2, which is greater than 1,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may transmit the reinforcement opinion to the user terminal 120 .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시스템(100), 쇼핑몰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s needed. For example,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the system 100 ,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 etc.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par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 쇼핑몰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 등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100, the shopping mall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can be recor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As suc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a particular aspect.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s any data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 ),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carrier waves (such as data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achiev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interpret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210, 260))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uch software may contain, for example, a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or a memory, such as, for example, RAM, a memory chip, device or integrated circuit, whether erasable or rewritable, or For example, the storage medium may be stored in an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compact disk (CD),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and at the same time, a machine (eg,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or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 module 210, 260) and a memory, and such a memory may contain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is an example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a program or programs including the program.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including code for implementing the apparatus or method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 machine (computer, etc.)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uch a program. Further, such a program may be transmitted electronically over any medium, such as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over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y includes the equivalent thereof.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
110 : 쇼핑몰 서버
120 : 사용자 단말
200 : 웹브라우저
310 : 이미지 생성 모듈
320 : 이미지 편집 모듈
330 : 웹페이지 생성 모듈
340 : 인공지능 모듈
401 : 상품정보
403 : 재고수량정보
410 : 상품설명이미지
100: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shopping mall
110: shopping mall server
120: user terminal
200: web browser
310: image creation module
320: image editing module
330: web page creation module
340: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401 : Product information
403: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410: product description image

Claims (10)

쇼핑몰에 업로드 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및 재고수량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상품정보 및 재고수량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웹브라우저상에 출력하는 쇼핑몰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및 상기 재고수량정보를 전달받는 통신 모듈;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및 기설정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상품설명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모듈;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웹브라우저상에 출력하는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생성 모듈;
상기 재고수량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편집하는 이미지 편집 모듈; 및
복수의 재고수량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복수의 상품설명이미지를 학습데이터로 설정하여 학습된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상품의 재고수량 및 판매수량을 분석하여 상품설명이미지의 상품배열순서를 결정하는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생성 모듈은,
상기 상품이 복수인 경우, 각 상품에 대한 상기 상품정보를 기설정된 템플릿에 상기 상품배열순서에 따라 일렬로 나열하여 하나의 상품설명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재고수량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편집하는 이미지 편집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고수량이 없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설명이미지에서 삭제하는 제1 모드;
상기 재고수량이 많이 남은 상품순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나열하도록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편집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편집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나열하도록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편집하는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고,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재고수량정보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 재고수량정보 갱신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기설정된 요청기간동안 상기 재고수량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설명이미지에서 삭제하고,
상기 요청기간은 상기 상품의 단위개수당 판매기간, 모든 상품의 단위 개수당 평균 판매기간을 기반으로 한 수학식 1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수학식 1]
Figure 112021059525687-pat00008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재고수량정보 갱신요청정보를 송신할 때, 해당 상품의 단위개수당 판매기간을 기반으로 추가할 재고수량에 대한 보강여부의견을 함께 송신하며,
상기 보강여부의견은 수학식 2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21059525687-pat00009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and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roduct to be uploaded to the shopping mall; and
a shopping mall server that generates a product description image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roduct information and stock quant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outputs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on a web browser; including,
The shopping mall server,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and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on at least one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an image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product description image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and a preset template;
a web page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web page for output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on a web browser;
an image editing module for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based o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that sets a plurality of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product description images corresponding to it as learning data, and determines the product arrangement order of product description images by analyzing the inventory quantity and sales quantity of products based on the 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including,
The image generation modu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products, one product description image is generated by arranging the product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in a line according to the product arrangement order in a preset template,
The shopping mall server,
an image editing module for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based o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image editing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a first mode for deleting product information for a product with no inventory quantity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a second mode of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to list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s in the order of the products with a large amount of inventory remaining; and
a third mode for editing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to list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based on the editing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orks either way,
The shopping mall server,
Whe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for a specific produc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sending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update reque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image editing module,
If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is not updated during the preset request period, the product information for the product is deleted from the product description image,
The request period is set based on Equation 1 based on th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the product and the averag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all products,
[Equation 1]
Figure 112021059525687-pat00008

The shopping mall server,
When transmitting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update request information, an opinion on whether to reinforce the inventory quantity to be added based on the sales period per unit number of the product is also transmitted;
The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shopping m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opinion is determined based on Equation (2).
[Equation 2]
Figure 112021059525687-pat0000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 모듈은,
상기 상품의 개수와 기설정된 상품개수임계치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설명이미지의 개수를 조절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generation module,
The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shopping m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products and the number of product description images are adjusted and generated based on a preset product number threshol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 모듈은,
상기 상품설명이미지를 복수개 생성하는 경우, 상기 상품의 상기 재고수량정보를 기반으로 구분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mage generation module,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shopping mall,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plurality of product description images are generated, the product information is divided and generated based on the inventory quantity information of the product.
KR1020200124727A 2020-09-25 2020-09-25 System of managing information of product for shopping mall KR102319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27A KR102319132B1 (en) 2020-09-25 2020-09-25 System of managing information of product for shopping m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27A KR102319132B1 (en) 2020-09-25 2020-09-25 System of managing information of product for shopping m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132B1 true KR102319132B1 (en) 2021-10-29

Family

ID=7823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727A KR102319132B1 (en) 2020-09-25 2020-09-25 System of managing information of product for shopping m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13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424A (en) 2021-12-31 2023-07-10 카페24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reating Product Information
KR102608859B1 (en) * 2023-01-09 2023-12-04 우승엽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online market management integrated platform
KR20240054074A (en) 2022-10-18 2024-04-25 (주)플랜아이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 area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40054072A (en) 2022-10-18 2024-04-25 (주)플랜아이 System and method for user-customized product recommend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465A (en) * 2012-08-31 2014-03-13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rd information
KR20150104319A (en) 2014-03-05 2015-09-15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method of frequency division for minimizing the phase noise in a phase locking loop
KR20180136398A (en) * 2017-06-14 2018-12-24 황희찬 Automatic system for integrating electronic commerce work
KR101932713B1 (en) * 2018-03-05 2018-12-27 황영우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generation of product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101938862B1 (en) * 2017-12-22 2019-01-15 주식회사 슈퍼갈땐슈퍼맨 Apparatus for improving storekeeping efficienc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58011B1 (en) * 2019-03-04 2019-12-20 고권석 Product search and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465A (en) * 2012-08-31 2014-03-13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rd information
KR20150104319A (en) 2014-03-05 2015-09-15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method of frequency division for minimizing the phase noise in a phase locking loop
KR20180136398A (en) * 2017-06-14 2018-12-24 황희찬 Automatic system for integrating electronic commerce work
KR101938862B1 (en) * 2017-12-22 2019-01-15 주식회사 슈퍼갈땐슈퍼맨 Apparatus for improving storekeeping efficienc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32713B1 (en) * 2018-03-05 2018-12-27 황영우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generation of product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102058011B1 (en) * 2019-03-04 2019-12-20 고권석 Product search and management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424A (en) 2021-12-31 2023-07-10 카페24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reating Product Information
KR20240054074A (en) 2022-10-18 2024-04-25 (주)플랜아이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 area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40054072A (en) 2022-10-18 2024-04-25 (주)플랜아이 System and method for user-customized product recommend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08859B1 (en) * 2023-01-09 2023-12-04 우승엽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online market management integrated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132B1 (en) System of managing information of product for shopping mall
Batty et al. Modeling urban dynamics through GIS-based cellular automata
CN1763743B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label placement on charts
CN103098005B (en) Visualization formula is for dynamic analysis
JP5063890B2 (en) System that facilitates object model design
CN1815440B (en) Method and system for a digital device menu editor
CN102105862B (en) Automatic user interface generation for entity interaction
US117689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9516202A (en) Outline destination map
US106362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ap
CN102160083A (en) Guidance across complex tasks
CN104885476A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producing content
US11012388B2 (en) Media enhancement system
CN1027418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lling personalized contexts
WO2021136362A1 (en) Page access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page configur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01821730A (en) Defining interactive user interface
US202202461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347382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mode of work screen of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KR102311722B1 (en) System of market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05453116A (en) Transforming visualized data through visual analytics based on interactivity
CN103124969A (en) Integrated history-free and history-based modeling
KR102345753B1 (en) Method for intelligently visualiz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artificial neural networks
KR20230052459A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vatar content
CN107220045B (en) Station build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73313B1 (en) Smart management system based on repetitive task auto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