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052B1 -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052B1
KR102319052B1 KR1020190109963A KR20190109963A KR102319052B1 KR 102319052 B1 KR102319052 B1 KR 102319052B1 KR 1020190109963 A KR1020190109963 A KR 1020190109963A KR 20190109963 A KR20190109963 A KR 20190109963A KR 102319052 B1 KR102319052 B1 KR 102319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lamping piece
fixed
hing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875A (ko
Inventor
문태선
김상현
강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커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커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커넥트
Priority to KR1020190109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05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에 구비되어 제1광섬유 킷트(110)를 클램핑하는 제1클램핑부(30); 상기 베이스(20)에 구비되어 제2광섬유(120)를 클램핑하는 제2클램핑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베이스(20)는 메인 베이스편(22)에 제1연결 베이스편(24)과 제2연결 베이스편(26)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24)에 상기 제1클램핑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26)에 상기 제2클램핑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Clamp for moving optical fiber connector}
본 발명은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가 융착 접속된 광섬유 접속 셋트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optical fiber)는 기존의 구리선에 비하여 데이터 전송 시에 낮은 에너지 손실율, 넓은 대역폭(bandwidth), 경량화 및 외부에서의 도청이 불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섬유를 활용한 광선로(optical line)에 의해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를 조성하는 경우에 이론상으로 무한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상기와 같은 장점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광통신의 전송매체인 광섬유의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는 각종 통신기기, 정밀계측기, 오디오 및 비디오기기, 센서 등의 광링크에 널리 사용된다.
상기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는 광섬유들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페룰과, 이 페룰의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의 휨 등을 방지하여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한 부트 및 상기 페룰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는 페룰 내에서 양방으로부터 유입된 광섬유의 코어를 서로 접속시킨 후 이들의 접속 상태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페룰 내에 에폭시수지 등 경화성수지를 주입하여 코어를 경화시키거나 또는 부트 내에 경화성수지를 주입하여 부트 내에 배치되어 있는 광섬유를 경화시켜 결과적으로 코어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코어들의 접속 고정 작업을 완성시키게 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코어들끼리 접속된 광섬유와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를 손으로 잡아서 옮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서 광섬유의 코어들의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가 많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코어들끼리 접속된 광섬유와 코어들의 접속을 지지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를 융착 접속기에서 다른 작업을 위하여 이동시킬 때에 광섬유의 코어들의 접속이 끊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0-2013-0120624호(2013년11월05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051120호(2011년07월15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792554호(2017년10월26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69804호(2014년12월01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들의 코어들이 융착 접속된 광섬유 접속 셋트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광섬유 접속 셋트 이동중에 광섬유 코어들의 접속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광섬유에 대한 추후 작업시 원활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제1광섬유 지지부를 클램핑하는 제1클램핑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제2광섬유를 클램핑하는 제2클램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는 메인 베이스편에 제1연결 베이스편과 제2연결 베이스편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에 상기 제1클램핑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에 상기 제2클램핑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베이스편의 일측 하단부에서 제1연결 베이스편이 하향 연장되고, 상기 메인 베이스편의 타측 하단부에서 제2연결 베이스편이 하향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베이스편과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 및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에 상기 제1클램핑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에 상기 제2클램핑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클램핑부는,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에 연결된 제1고정 클램핑편;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제1가동 클램핑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클램핑부는,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에 연결된 제2고정 클램핑편;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제2가동 클램핑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과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에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이 각각 체결구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과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에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을 고정하는 리벳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제1가동 클램핑편과 제2가동 클램핑편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형상의 제1고정 클램핑편과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에 의해 제1광섬유 지지부가 면접촉 상태로 클램핑되고, 상기 판형상의 제2고정 클램핑편과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에 의해 제2광섬유가 면접촉 상태로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은 제1클램핑 탄성체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 쪽으로 좁혀지고,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은 제2클램핑 탄성체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 쪽으로 좁혀지도록 굿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의 좌우 측단부에서 제1고정 힌지편이 돌출되고,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의 좌우 측단부에서 상기 제1고정 힌지편과 마주하는 제1가동 힌지편이 돌출되고,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의 좌우 측단부에서 제2고정 힌지편이 돌출되고,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의 좌우 측단부에서 상기 제2고정 힌지편과 마주하는 제2가동 힌지편이 돌출되며, 상기 힌지부는 제1고정 힌지편과 상기 제1가동 힌지편에 형성된 핀홀 및 상기 제2고정 힌지편과 상기 제2가동 힌지편에 형성된 핀홀을 관통하여 결합된 힌지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과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 사이에 제1클램핑 탄성체가 개재되고,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과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 사이에 제2클램핑 탄성체가 개재되며, 상기 제1클램핑 탄성체와 상기 제2클램핑 탄성체는 상기 제1고정 힌지편과 상기 제1가동 힌지편 사이의 상기 힌지축에 각각 결합된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고정 클램핑편 모재판의 좌우 측단부에 제1고정 힌지편 포밍편을 돌출시키고,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 모재판에서 제1고정 힌지핀 포밍편 상하단부로 연장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 힌지편 포밍편을 절곡시켜서 상기 제1고정 힌지편을 형성하고, 제2고정 클램핑편 모재판의 좌우 측단부에 제2고정 힌지편 포밍편을 돌출시키고,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 모재판에서 제2고정 힌지핀 포밍편 상하단부로 연장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고정 힌지편 포밍편을 절곡시켜서 상기 제2고정 힌지편을 형성하고, 제1가동 클램핑편 모재판의 좌우 측단부에 제1가동 힌지편 포밍편을 돌출시키고,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 모재판에서 제1가동 힌지핀 포밍편 상하단부로 연장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가동 힌지편 포밍편을 절곡시켜서 상기 제1가동 힌지편을 형성하고, 제2가동 클램핑편 모재판의 좌우 측단부에 제2가동 힌지편 포밍편을 돌출시키고,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 모재판에서 제2가동 힌지핀 포밍편 상하단부로 연장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가동 힌지편 포밍편을 절곡시켜서 상기 제2가동 힌지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 모재판과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 모재판과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 모재판과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 모재판에는 상기 절개부에 이어지는 확장 절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는 제1광섬유 지지부(페룰에 제1광섬유가 지지되고 홀더에 페룰이 지지된 것)에 있는 제1광섬유의 제1코어와 제2광섬유의 제2코어가 융착 접속된 광섬유 접속 셋트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융착 접속기의 광섬유 코어 접속부(융착 접속부)에서 광섬유 접속 셋트를 그대로 들어 올려서 융착 접속기의 다른 작업부(예를 들어, 슬리브 포지션)에 옮길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광섬유 접속 셋트의 이동중에 광섬유 접속 셋트의 제1코어와 제2코어들이 단선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의 주요부인 베이스와 제1클램핑부 및 제2클램핑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클램핑부의 제1고정 클램핑편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클램핑부의 제1가동 클램핑편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클램핑부의 제2고정 클램핑편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클램핑부의 제2가동 클램핑편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정면도
도 7은 도 1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의 제1클램핑부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의 제2클램핑부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에 의해 이동시키기 위한 제1광섬유 킷트와 제2광섬유의 제1코어와 제2코어가 융착 접속되도록 융착 접속기의 코어 융착 접속부에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3은 도 12의 융착 접속기에서 제1코어와 제2코어가 융착 접속된 광섬유 접속 셋트를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의 제1클램핑부와 제2클램핑부에 의해 광섬유 접속 셋트의 제1광섬유 킷트와 제2광섬유를 각각 클램핑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광섬유 접속 셋트를 본 발명을 이용하여 융착 접속기의 다른 작업부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에 구비되어 제1광섬유 킷트(110)를 클램핑하는 제1클램핑부(30)와, 상기 베이스(20)에 구비되어 제2광섬유(120)를 클램핑하는 제2클램핑부(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를 SOC Tool로 칭하기도 한다.
상기 베이스(20)는 메인 베이스편(22)에 제1연결 베이스편(24)과 제2연결 베이스편(26)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메인 베이스편(22)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연결 베이스편(24)과 제2연결 베이스편(26)도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메인 베이스편(22)의 일측 하단부에서 제1연결 베이스편(24)이 하향 연장되고, 메인 베이스편(22)의 타측 하단부에서 제2연결 베이스편(26)이 하향 연장된다.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26)의 하향 연장 길이가 제1연결 베이스편(24)의 하향 연장 길이보다 작아서 상기 베이스(20)는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볼 때에 기역자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제1연결 베이스편(24)과 제2연결 베이스편(26) 부분에 홀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의 제1연결 베이스편(24)에 제1클램핑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26)에 제2클램핑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클램핑부(30)는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제1가동 클램핑편(34)을 포함한다. 제1클램핑부(30)는 제1클램핑 탄성체(36)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고정 클램핑편(32)의 좌우 측단부에는 제1고정 힌지편(32FP)이 구비된다. 제1고정 클램핑편 모재판(32MB)의 좌우 측단부에 제1고정 힌지편 포밍편(32MFP)을 돌출시키고,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 모재판(32MB)에서 제1고정 힌지핀(HGP) 포밍편 상하단부로 연장된 절개부(CL)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CL)를 기준으로 제1고정 힌지편 포밍편(32MFP)을 절곡시켜서 상기 제1고정 힌지편(32FP)을 형성한다. 상기 제1고정 힌지편(32FP)은 제1고정 클램핑편(32)의 측단부에서 제1고정 클램핑편(32)의 앞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절개부(CL)로 인하여 제1고정 힌지편 포밍편(32MFP)을 제1고정 클램핑편 모재판(32MB)에서 보다 쉽게 절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 모재판(32MB)에는 절개부(CL)에 이어지는 확장 절개부(ECL)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절개부(CL)에 비하여 확장 절개부(ECL)의 상하부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 절개부(ECL)에 의해 제1고정 클램핑편 모재판(32MB)에서 제1고정 힌지편 포밍편(32MFP)을 더욱 쉽게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 절개부(ECL)에 의해 제1고정 힌지편 포밍편(32MFP)을 방향성을 가지고 절곡시킬 수 있으면서도 절곡 작업이 보다 더 쉽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의 좌우 측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제1고정 힌지편(32FP)에는 핀홀이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에는 베이스(20)의 제1연결 베이스편(24) 부분에 구비된 홀과 만나는 연결홀이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은 체결구에 의해 베이스(20)의 제1연결 베이스편(24)에 결합된다. 이때, 체결구는 베이스(20)의 제1연결 베이스편(24) 부분의 홀과 제1고정 클램핑편(32)의 연결홀에 결합되는 리벳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34)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가동 클램핑편(34)의 좌우 측단부에는 제1가동 힌지편(34FP)이 구비된다. 제1가동 클램핑편 모재판(34MB)의 좌우 측단부에 제1가동 힌지편 포밍편(34MFP)을 돌출시키고,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 모재판(34MB)에서 제1가동 힌지편 포밍편(34MFP) 상하단부로 연장된 절개부(CL)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CL)를 기준으로 제1가동 힌지편 포밍편(34MFP)을 절곡시켜서 상기 제1가동 힌지편(34FP)을 형성한다. 상기 제1가동 힌지편(34FP)은 제1가동 클램핑편(34)의 측단부에서 제1가동 클램핑편(34)의 뒤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절개부(CL)로 인하여 제1가동 힌지핀(HGP) 포밍편을 제1가동 클램핑편 모재판(34MB)에서 보다 쉽게 절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 모재판(34MB)에도 절개부(CL)에 이어지는 확장 절개부(ECL)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절개부(CL)에 비하여 확장 절개부(ECL)의 상하부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 절개부(ECL)에 의해 제1가동 클램핑편 모재판(34MB)에서 제1가동 힌지편 포밍편(34MFP)을 더욱 쉽게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 절개부(ECL)에 의해 제1가동 힌지편 포밍편(34MFP)을 방향성을 가지고 절곡시킬 수 있으면서도 절곡 작업이 보다 더 쉽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34)의 좌우 측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제1가동 힌지편(34FP)에는 핀홀이 구비된다.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34)의 한 쌍의 제1가동 힌지편(34FP)은 제1고정 클램핑편(32)의 한 쌍의 제1고정 힌지편(32FP)과 만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에 힌지부를 매개로 제1가동 클램핑편(34)이 연결된다.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34)의 한 쌍의 제1가동 힌지편(34FP)은 제1고정 클램핑편(32)의 한 쌍의 제1고정 힌지편(32FP)과 만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핀(HGP)이 제1고정 힌지편(32FP)에 형성된 핀홀과 제1가동 힌지편(34FP)에 형성된 핀홀에 동시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제1가동 클램핑편(34) 사이의 힌지부는 상기 핀홀과 힌지핀(HGP)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고정 클램핑편(32)에서 제1가동 클램핑편(34)이 벌어지거나 제1고정 클램핑편(32) 쪽으로 제1가동 클램핑편(34)이 좁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34)은 제1클램핑 탄성체(36)에 의해 제1고정 클램핑편(32) 쪽으로 좁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클램핑 탄성체(36)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부의 양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탄성 와이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부는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제1가동 클램핑편(34) 사이의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핀(HGP)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한 쌍의 탄성 와이어부는 각각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제1가동 클램핑편(34) 사이에 배치된다. 제1클램핑부(30)는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제1가동 클램핑편(34) 및 제1클램핑 탄성체(36) 및 힌지부에 의해 집게 구조를 취한다. 상기 힌지부가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제1가동 클램핑편(34)의 하단부보다 위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가동 클램핑편(34)이 집게처럼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 쪽으로 좁혀져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34)의 위쪽 부분을 눌러주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가동 클램핑편(34)이 제1고정 클램핑편(32)에서 벌어지게 되고, 상기 제1클램핑 탄성체(36)는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제1클램핑 탄성체(36)가 토션 스프링인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와이어부가 좁혀져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제1클램핑 탄성체(36)는 토션 스프링 이외에 판스프링과 같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가동 클램핑편(34)이 제1고정 클램핑편(32)에서 벌어졌을 때에 탄성 복원력을 보유할 수 있는 부재는 모두 제1클램핑 탄성체(36)로 채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2클램핑부(40)는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제2가동 클램핑편(44)을 포함한다. 제2클램핑부(40)는 제2클램핑 탄성체(46)도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은 앞쪽으로 연장된 제2프론트 고정 클램핑편(42SFP)과, 상기 제2프론트 고정 클램핑편(42SFP)에 하향 연장된 제2프레싱 고정 클램핑편(42PFP)을 구비한다.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제2프론트 고정 클램핑편(42SFP)과 제2프레싱 고정 클램핑편(42PFP)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고정 클램핑편(42)의 좌우 측단부에는 제2고정 힌지편(42FP)이 구비된다. 제2고정 클램핑편 모재판(42MB)의 좌우 측단부에 제2고정 힌지편 포밍편(42MFP)을 돌출시키고,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 모재판(42MB)에서 제2고정 힌지편 포밍편(42MFP) 상하단부로 연장된 절개부(CL)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CL)를 기준으로 제2고정 힌지편 포밍편(42MFP)을 절곡시켜서 상기 제2고정 힌지편(42FP)을 형성한다. 상기 제2고정 힌지편(42FP)은 제2고정 클램핑편(42)의 측단부에서 제2고정 클램핑편(42)의 앞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절개부(CL)로 인하여 제2고정 힌지핀(HGP) 포밍편을 제2고정 클램핑편 모재판(42MB)에서 보다 쉽게 절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 모재판(42MB)에는 절개부(CL)에 이어지는 확장 절개부(ECL)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절개부(CL)에 비하여 확장 절개부(ECL)의 상하부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 절개부(ECL)에 의해 제2고정 클램핑편 모재판(42MB)에서 제2고정 힌지편 포밍편(42MFP)을 더욱 쉽게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 절개부(ECL)에 의해 제2고정 힌지편 포밍편(42MFP)을 방향성을 가지고 절곡시킬 수 있으면서도 절곡 작업이 보다 더 쉽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의 좌우 측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제2고정 힌지편(42FP)에는 핀홀이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에는 베이스(20)의 제2연결 베이스편(26) 부분에 구비된 홀과 만나는 연결홀이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은 체결구에 의해 베이스(20)의 제2연결 베이스편(26)에 결합된다. 이때, 체결구는 베이스(20)의 제2연결 베이스편(26) 부분의 홀과 제2고정 클램핑편(42)의 연결홀에 결합되는 리벳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44)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가동 클램핑편(44)의 좌우 측단부에는 제2가동 힌지편(44FP)이 구비된다. 제2가동 클램핑편 모재판(44MB)의 좌우 측단부에 제2가동 힌지편 포밍편(44MFP)을 돌출시키고,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 모재판(44MB)에서 제2가동 힌지편 포밍편(44MFP) 상하단부로 연장된 절개부(CL)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CL)를 기준으로 제2가동 힌지편 포밍편(44MFP)을 절곡시켜서 상기 제2가동 힌지편(44FP)을 형성한다. 상기 제2가동 힌지편(44FP)은 제2가동 클램핑편(44)의 측단부에서 제2가동 클램핑편(44)의 뒤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절개부(CL)로 인하여 제2가동 힌지핀(HGP) 포밍편을 제2가동 클램핑편 모재판(44MB)에서 보다 쉽게 절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 모재판(44MB)에도 절개부(CL)에 이어지는 확장 절개부(ECL)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절개부(CL)에 비하여 확장 절개부(ECL)의 상하부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 절개부(ECL)에 의해 제2가동 클램핑편 모재판(44MB)에서 제2가동 힌지편 포밍편(44MFP)을 더욱 쉽게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 절개부(ECL)에 의해 제2가동 힌지편 포밍편(44MFP)을 방향성을 가지고 절곡시킬 수 있으면서도 절곡 작업이 보다 더 쉽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44)의 좌우 측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제2가동 힌지편(44FP)에는 핀홀이 구비된다.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44)의 한 쌍의 제2가동 힌지편(44FP)은 제2고정 클램핑편(42)의 한 쌍의 제2고정 힌지편(42FP)과 만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에 힌지부를 매개로 제2가동 클램핑편(44)이 연결된다.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44)의 한 쌍의 제2가동 힌지편(44FP)은 제2고정 클램핑편(42)의 한 쌍의 제2고정 힌지편(42FP)과 만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핀(HGP)이 제2고정 힌지편(42FP)에 형성된 핀홀과 제2가동 힌지편(44FP)에 형성된 핀홀에 동시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제2가동 클램핑편(44) 사이의 힌지부는 상기 핀홀과 힌지핀(HGP)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고정 클램핑편(42)에서 제2가동 클램핑편(44)이 벌어지거나 제2고정 클램핑편(42) 쪽으로 제2가동 클램핑편(44)이 좁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44)은 제2클램핑 탄성체(46)에 의해 제2고정 클램핑편(42) 쪽으로 좁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클램핑 탄성체(46)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부의 양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탄성 와이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부는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제2가동 클램핑편(44) 사이의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핀(HGP)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한 쌍의 탄성 와이어부는 각각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제2가동 클램핑편(44) 사이에 배치된다. 제2클램핑부(40)는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제2가동 클램핑편(44) 및 제2클램핑 탄성체(46) 및 힌지부에 의해 집게 구조를 취한다. 상기 힌지부가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제2가동 클램핑편(44)의 하단부보다 위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가동 클램핑편(44)이 집게처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 쪽으로 좁혀져 있게 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가동 클램핑편(44)이 집게처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에 구비된 제2프레싱 클램핑편 쪽으로 좁혀져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44)의 위쪽 부분을 눌러주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가동 클램핑편(44)이 제2고정 클램핑편(42)에서 벌어지게 되고, 상기 제2클램핑 탄성체(46)는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가동 클램핑편(44)이 집게처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에 구비된 제2프레싱 클램핑편 쪽에서 앞으로 벌어져 있고, 상기 제2클램핑 탄성체(46)는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제2클램핑 탄성체(46)가 토션 스프링인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와이어부가 좁혀져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제2클램핑 탄성체(46)는 토션 스프링 이외에 판스프링과 같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가동 클램핑편(44)이 제2고정 클램핑편(42)에서 벌어졌을 때에 탄성 복원력을 보유할 수 있는 부재는 모두 제2클램핑 탄성체(46)로 채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에 구비된 제2프레싱 고정 클램핑편(42PFP)은 제2프론트 고정 클램핑편(42SFP)으로 인하여 제1고정 클램핑편(32)보다 더 앞쪽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2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제2프레싱 고정 클램핑편(42PFP)이 제1고정 클램핑편(32)보다 더 앞쪽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를 이용하여 광섬유 접속 셋트를 융착 접속기(135)의 코어 융착 접속부(135A)에서 융착 접속기(135)의 다른 작업부(135B)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1광섬유가 지지된 페룰이 홀더에 수용되어 제1광섬유 킷트(110)를 구성하는데, 상기 제1광섬유 킷트(110)와 제2광섬유(120)를 융착 접속기(135)의 접속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제1광섬유 킷트(110)에 있는 제1광섬유의 제1코어와 제2광섬유(120)의 제2코어를 융착 접속시킴으로써 광섬유 접속 셋트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를 이용하여 광섬유 접속 셋트를 이동시킨다.
상기 제1클램핑부(30)에서 제1가동 클램핑편(34)을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고정 클램핑편(32)에서 벌려준 상태에서 상기 제1광섬유 킷트(110)를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제1가동 클램핑편(34) 사이에 투입한 다음 제1가동 클램핑편(34)을 힌지부를 기준으로 벌려주었던 상태에서 다시 좁혀서 제1클램핑 탄성체(36)의 탄성력에 의해 제1광섬유 킷트(110)를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제1가동 클램핑편(34)으로 클램핑한다.
한편, 상기 제2클램핑부(40)에서 제2가동 클램핑편(44)을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고정 클램핑편(42)에서 벌려준 상태에서 상기 제2광섬유(120)를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제2가동 클램핑편(44) 사이에 투입한 다음 제2가동 클램핑편(44)을 힌지부를 기준으로 벌려주었던 상태에서 다시 좁혀서 제2클램핑 탄성체(46)의 탄성력에 의해 제2광섬유(120)를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제2가동 클램핑편(44)으로 클램핑한다.
제1광섬유의 제1코어와 제2광섬유(120)의 제2코어가 융착 접속된 상태에서 제1광섬유 킷트(110)를 제1클램핑부(30)에 의해서 클램핑하고 제2광섬유(120)는 제2클램핑부(40)에 의해서 클램핑한 상태에서 융착 접속기(135)의 접속부에서 광섬유 접속 셋트를 융착 접속기(135)의 다른 작업부(135B)(예를 들어, 슬리브 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는 융착 접속기(135)의 광섬유 코어 접속부(융착 접속부(135A))에서 제1광섬유 킷트(110)에서 상기 제1광섬유의 제1코어와 제2광섬유(120)의 제2코어가 융착 접속된 광섬유 접속 셋트를 클램핑한 다음, 융착 접속기(135)의 광섬유 코어 접속부(융착 접속부(135A))에서 그대로 광섬유 접속 셋트를 들어 올려서 융착 접속기(135)의 다른 작업부(135B)(예를 들어, 슬리브 포지션)에 옮길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광섬유 접속 셋트의 이동중에 제1광섬유와 제2광섬유(120)의 제1코어와 제2코어들이 단선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기존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광섬유 접속 셋트를 잡아서 옮기기 때문에, 광섬유의 코어들의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광섬유 접속 셋트를 옮기는 동안 제1광섬유와 제2광섬유(120)의 제1코어 및 제2코어의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판형상의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제1가동 클램핑편(34)에 의해 제1광섬유 킷트(110)가 면접촉 상태로 클램핑되고, 상기 판형상의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제2가동 클램핑편(44)에 의해 제2광섬유(120)가 면접촉 상태로 클램핑되므로, 상기 광섬유 접속 셋트를 이동시킬 때에 더 큰 면적과 탄성력으로 제1광섬유 킷트(110)와 제2광섬유(120)를 클램핑하게 되므로, 광섬유 접속 셋트를 이동시킬 때에 보다 안정적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베이스 22. 메인 베이스편
24. 제1연결 베이스편 26. 제2연결 베이스편
30. 제1클램핑부 32MB. 제1고정 클램핑편 모재판
32. 제1고정 클램핑편 32MFP. 제1고정 힌지편 포밍편
32FP. 제1고정 힌지편 34MB. 제1가동 클램핑편 모재판
34. 제1가동 클램핑편 34MFP. 제1가동 힌지편 포밍편
34FP. 제1가동 힌지편 36. 제1클램핑 탄성체
40. 제2클램핑부 42MB. 제2고정 클램핑편 모재판
42. 제2고정 클램핑편 42SFP. 제2프론트 고정 클림핑편
42PFP. 제2프레싱 고정 클램핑편 42MFP. 제2고정 힌지편 포밍편
42FP. 제2고정 힌지편 44MB. 제2가동 클램핑편 모재판
44. 제2가동 클램핑편 44MFP. 제2가동 힌지편 포밍편
44FP. 제2가동 힌지편 46. 제2클램핑 탄성체
110. 제1광섬유 킷트 120. 제2광섬유
135. 융착 접속기 135A. 융착 접속부
135B. 작업부 CL. 절개부
ECL. 확장 절개부 HGP. 힌지핀

Claims (12)

  1.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에 구비되어 제1광섬유 킷트(110)를 클램핑하는 제1클램핑부(30);
    상기 베이스(20)에 구비되어 제2광섬유(120)를 클램핑하는 제2클램핑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20)는 메인 베이스편(22)에 제1연결 베이스편(24)과 제2연결 베이스편(26)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24)에 상기 제1클램핑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26)에 상기 제2클램핑부(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베이스편(22)과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24) 및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26)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24)에 상기 제1클램핑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26)에 상기 제2클램핑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클램핑부(30)는,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24)에 연결된 제1고정 클램핑편(32);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제1가동 클램핑편(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클램핑부(40)는,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26)에 연결된 제2고정 클램핑편(42);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제2가동 클램핑편(4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편(22)의 일측 하단부에서 제1연결 베이스편(24)이 하향 연장되고, 상기 메인 베이스편(22)의 타측 하단부에서 제2연결 베이스편(26)이 하향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24)과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26)에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이 각각 체결구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1연결 베이스편(24)과 상기 제2연결 베이스편(26)에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을 고정하는 리벳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제1가동 클램핑편(34)과 제2가동 클램핑편(44)은 단면 일자형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의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34)에 의해 제1광섬유 킷트(110)가 면접촉 상태로 클램핑되고, 상기 판형상의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44)에 의해 제2광섬유(120)가 면접촉 상태로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34)은 제1클램핑 탄성체(36)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 쪽으로 좁혀지고,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44)은 제2클램핑 탄성체(46)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 쪽으로 좁혀지도록 굿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의 좌우 측단부에서 제1고정 힌지편(32FP)이 돌출되고,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34)의 좌우 측단부에서 상기 제1고정 힌지편(32FP)과 마주하는 제1가동 힌지편(34FP)이 돌출되고,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의 좌우 측단부에서 제2고정 힌지편(42FP)이 돌출되고,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44)의 좌우 측단부에서 상기 제2고정 힌지편(42FP)과 마주하는 제2가동 힌지편(44FP)이 돌출되며, 상기 힌지부는 제1고정 힌지편(32FP)과 상기 제1가동 힌지편(34FP)에 형성된 핀홀 및 상기 제2고정 힌지편(42FP)과 상기 제2가동 힌지편(44FP)에 형성된 핀홀을 관통하여 결합된 힌지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 클램핑편(32)과 상기 제1가동 클램핑편(34) 사이에 제1클램핑 탄성체(36)가 개재되고, 상기 제2고정 클램핑편(42)과 상기 제2가동 클램핑편(44) 사이에 제2클램핑 탄성체(46)가 개재되며, 상기 제1클램핑 탄성체(36)와 상기 제2클램핑 탄성체(46)는 상기 제1고정 힌지편(32FP)과 상기 제1가동 힌지편(34FP) 사이의 상기 힌지축에 각각 결합된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KR1020190109963A 2019-09-05 2019-09-05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KR102319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63A KR102319052B1 (ko) 2019-09-05 2019-09-05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63A KR102319052B1 (ko) 2019-09-05 2019-09-05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875A KR20210028875A (ko) 2021-03-15
KR102319052B1 true KR102319052B1 (ko) 2021-10-29

Family

ID=7513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963A KR102319052B1 (ko) 2019-09-05 2019-09-05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0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24Y1 (ko) 2002-03-21 2002-06-14 구강영 깃대
JP2009071916A (ja) * 2007-09-11 2009-04-0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接続用保持具
JP2013114970A (ja) 2011-11-30 2013-06-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気配線用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735A (ja) * 1993-07-30 1995-02-14 Sanwa Tekki Corp 圧縮用保持治具
JPH1022039A (ja) * 1996-06-27 1998-01-23 Asahi Tec Corp 圧縮スリーブ用押込工具
KR101051120B1 (ko) 2010-03-19 2011-07-21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KR20130120624A (ko) 2012-04-26 2013-11-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469804B1 (ko) 2013-10-10 2014-12-09 고려오트론(주)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792554B1 (ko) 2015-06-10 2017-11-03 고려오트론(주)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24Y1 (ko) 2002-03-21 2002-06-14 구강영 깃대
JP2009071916A (ja) * 2007-09-11 2009-04-0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接続用保持具
JP2013114970A (ja) 2011-11-30 2013-06-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気配線用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875A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494B2 (en) Remote grip optical fiber connector
US6325549B1 (en) Connectors for plastic optical fiber
US7534051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optical fiber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or converter
US20080226236A1 (en) Remote grip optical fiber connector
JP2018534632A (ja) ケーブル保持具を備える光学アセンブリ
KR20140112058A (ko) 기계식 접속 요소를 구비한 현장 장착가능 듀플렉스 광섬유 커넥터
US20110052131A1 (en) Compact optical fiber splice holder device
US9829646B2 (en) Fiber optic connector having an optical fiber that is axially moveable within a ferrule
EP3443395A1 (en) Field installable optical fiber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s with rigid strength members
EP2297601A1 (en) Field terminable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splice element
JP2018534634A (ja) 塵埃緩和光コネクタ
JP2010519574A (ja) 遠隔把持光ファイバーコネクタ
US7567743B1 (en) Field terminating method and device
KR102319052B1 (ko) 광섬유 접속 커넥터 이동용 클램프
JPWO2004074892A1 (ja) 光伝送媒体の接続方法、光学接続構造及び光伝送媒体接続部品
CN113167979B (zh) 防止光纤弯曲的现场组装式光连接器
JP3809905B2 (ja) 光ファイバ接続方法
KR10179255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JP4043021B2 (ja) 光コネクタ組立工具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2896860B2 (ja) 光多芯コネクタ
CN102549463A (zh) 相连光纤及其制造方法
CN108983364B (zh) 一种裸纤对接器以及非标式光纤活动对接结构
WO2020085093A1 (ja) 多心光コネクタ及び光ケーブル接続方法
US20190278025A1 (en) Connector loader
JP4192748B2 (ja) 光ファイバ接続部材及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