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711B1 -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711B1
KR102318711B1 KR1020210073770A KR20210073770A KR102318711B1 KR 102318711 B1 KR102318711 B1 KR 102318711B1 KR 1020210073770 A KR1020210073770 A KR 1020210073770A KR 20210073770 A KR20210073770 A KR 20210073770A KR 102318711 B1 KR102318711 B1 KR 102318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ed
file
led modul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7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7Outdoor lighting of the exterior of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시점에 촬영 기기를 통해, LED 전광판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면,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LED 전광판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1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상기 제1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1 이미지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LED 전광판에서 상기 제1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FOR MAINTENANCE OF DISPLAY IMAGE MANAGEMENT}
아래 실시예들은 LED 전광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관리하고, LED 모듈의 유지 보수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는 많은 양의 정보와 다양한 정보가 통합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전달된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 다이오드의 약자로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바꾸는 반도체 소자이다. LED는 수명이 50,000시간 정도로 기존 램프에 비하여 장시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수은, 방전용 가스 등 유해 가스를 사용하지 않으며 유해 파장이 없다. 즉, LED는 친환경/고효율 특성을 제공 가능한 광 소자이다.
또한, LED는 오랫동안 일반 가전제품이나 각종 산업용 기계의 표시용 부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 반도체 기술의 발달은 고효율 고성능의 LED 제조 기술을 뒷받침함으로써 LED의 활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었고 다양한 응용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LED를 이용한 응용 제품들은 기존의 광원을 완전히 대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의 급성장이 위 예측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주요 LED 응용 분야 중 하나인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기존의 전구나 네온 대신 LED 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발열이 적어 안전하고 가벼운데다 내구성이 좋아서 사용 범위가 점차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LED 기반 디스플레이 시스템인 전광판은 LED 매트릭스(matrix)를 이용하여 문자를 표출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문자열 및 그래픽을 표출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및 홍보, 상황판 등 정보 전달 매체로 옥내 및 옥외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이러한 LED 전광판은 쉽게 제어할 수 없는 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관리가 어렵고, 원거리에 설치된 LED 전광판은 전광판의 설치 후 LED 전광판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어렵다.
따라서, LED 전광판에 발생한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여, LED 전광판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22850호(2018.11.29) 한국등록특허 제10-2137421호(2020.07.24) 한국등록특허 제10-1694899호(2017.01.10) 한국등록특허 제10-1427748호(2014.08.08)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점에 LED 전광판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1 이미지와 제1 시점에 LED 전광판에서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1-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이 확인되면, LED 전광판에서 제1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시점에 촬영 기기를 통해, LED 전광판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면,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LED 전광판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1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상기 제1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1 이미지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LED 전광판에서 상기 제1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LED 모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난 후인 제2 시점에 상기 LED 전광판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2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상기 제2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2 이미지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대한 유지 보수 필요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은,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2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2 영역에서 1행 1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2 LED 모듈, 상기 제2 영역에서 2행 1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3 LED 모듈, 상기 제2 영역에서 1행 2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4 LED 모듈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2행 2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5 LED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2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2 LED 모듈, 상기 제3 LED 모듈, 상기 제4 LED 모듈 및 상기 제5 LED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LED 전광판을 통해, 상기 제2 LED 모듈 및 상기 제4 LED 모듈을 통과하는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3 LED 모듈 및 상기 제5 LED 모듈을 통과하는 제2 전기 신호, 상기 제2 LED 모듈 및 상기 제3 LED 모듈을 통과하는 제3 전기 신호 및 상기 제4 LED 모듈 및 상기 제5 LED 모듈을 통과하는 제4 전기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전기 신호, 상기 제3 전기 신호 및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상기 LED 전광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전기 신호, 상기 제3 전기 신호 및 상기 제4 전기 신호 중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된 전기 신호를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3 전기 신호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상기 제2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제3 전기 신호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상기 제3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4 전기 신호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상기 제4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제4 전기 신호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상기 제5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LED 모듈, 상기 제3 LED 모듈, 상기 제4 LED 모듈 및 상기 제5 LED 모듈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LED 모듈에 대한 유지 보수 필요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LED 모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색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명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채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LED 모듈에 색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LED 전광판의 촬영으로 생성된 상기 제1-2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LED 모듈에 명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난 후인 제3 시점에 상기 LED 전광판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3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LED 모듈에 채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3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3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난 후인 제4 시점에 상기 LED 전광판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4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LED 모듈에 색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상기 제2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2 이미지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LED 모듈에 명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상기 제3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3 이미지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LED 모듈에 채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2-3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상기 제4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4 이미지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LED 모듈에 색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LED 모듈에 명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3 이미지 및 상기 제2-3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3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LED 모듈에 채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3 이미지 및 상기 제2-3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3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4 이미지 및 상기 제2-4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4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LED 모듈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LED 모듈에 색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LED 모듈에 명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제1-3 이미지 및 상기 제2-3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3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LED 모듈에 채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제1-3 이미지 및 상기 제2-3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3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제1-4 이미지 및 상기 제2-4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4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LED 모듈에 색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색상 표시 기능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LED 모듈에 명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고, 상기 제1-3 이미지 및 상기 제2-3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3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명도 표시 기능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LED 모듈에 채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고, 상기 제1-3 이미지 및 상기 제2-3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3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고, 상기 제1-4 이미지 및 상기 제2-4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4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채도 표시 기능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은, 상기 제2-1 이미지가 제품에 대한 광고 이미지로 확인되면, 상기 제1-1 이미지에서 상기 제품의 외곽선을 인식하고, 상기 제품의 외곽선을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품의 외곽선에서 구간별로 분할된 복수의 선 각각을 직선과 곡선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선 각각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복수의 점 각각을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점 각각을 직선과 직선이 연결되는 제1 유형, 직선과 곡선이 연결되는 제2 유형, 곡선과 직선이 연결되는 제3 유형, 곡선과 곡선이 연결되는 제4 유형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점 각각의 순번, 좌표 및 유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품의 특징 정보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 각각을 직선과 곡선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선 중 어느 하나인 제1 선의 양끝에 위치한 제1 점 및 제2 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선의 양끝이 아닌 중간 어느 부분에 위치한 제3 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3 점을 곧은 선으로 연결한 제2 선 및 상기 제2 점과 상기 제3 점을 곧은 선으로 연결한 제3 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선 및 상기 제3 선을 결합한 제4 선과 상기 제1 선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선과 상기 제1 선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선을 직선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4 선과 상기 제1 선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선을 곡선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제2-1 이미지로 구성된 제1 페이지가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2-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에 로그인 되어 있는 사용자의 아이디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연결된 이미지와 상기 제2-2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연결된 이미지와 상기 제2-2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제1 페이지의 영상이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연결된 이미지와 상기 제2-2 이미지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상기 LED 전광판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아이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상기 관리자의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제1 페이지의 영상이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상기 관리자의 아이디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LED 전광판의 세션에 LED 고유값을 지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제2-2 이미지로 구성된 제2 페이지의 영상이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은, 상기 LED 고유값 및 현재 시간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현재 시간 및 상기 현재 시간 이후에 실행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배열로 추출하여 스케줄러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러를 통해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시작 시간과 상기 현재 시간의 차를 제1 차이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종료 시간과 상기 현재 시간의 차를 제2 차이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값이 음수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이값을 0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2 차이값이 음수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차이값을 0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값 및 상기 제2 차이값이 양수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 리스트 중 상기 시작 시간에 실행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콘텐츠가 상기 제1 차이값 이후에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상기 스케줄러에 등록하고, 상기 제1 차이값이 0으로 확인되고 상기 제2 차이값이 양수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부터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상기 스케줄러에 등록하고, 상기 제1 차이값 및 상기 제2 차이값이 0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 리스트 중 상기 종료 시간에 실행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2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상기 스케줄러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시간이 변경되면, 상기 LED 고유값, 상기 현재 시간 및 상기 스케줄러를 기초로, 상기 현재 시간에 실행되는 콘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콘텐츠가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패널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웹소켓을 이용하여 상기 LED 고유값으로 상기 LED 전광판의 세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패널 정보 또는 상기 콘텐츠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패널 정보의 저장으로 패널 값이 변경된 경우, 상기 LED 전광판의 세션으로 상기 패널 값을 전송하여, 상기 LED 전광판이 상기 패널 값을 통해 세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정보의 저장으로 상기 패널 값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LED 전광판의 세션으로 페이지 새로고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관할구역을 확인하고, 상기 관할구역의 관공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관공서가 선택되면, 상기 관공서의 위치 정보 및 관리자 정보가 상기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하기 위해 등록할 제1 파일이 업로드 요청되면, 상기 제1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의 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파일의 사이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이 표시될 노출 날짜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파일의 날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날짜 정보를 통해 상기 노출 날짜가 당일 이후로 확인되면,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및 재생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파일의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정보를 통해 상기 시작 시간, 상기 종료 시간 및 상기 재생 시간이 형식에 맞게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파일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로 예약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파일이 MP4 파일, GIF 파일 및 JPG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파일에 대한 예약 코드, 파일명, 파일 크기, 파일 형식 및 파일 경로를 DB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파일 경로에 대한 URL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파일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파일의 영상이 미리보기 뷰어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이 단일 파일인 경우, 상기 제1 파일의 파일명이 상기 미리보기 뷰어 옆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파일이 복수 파일인 경우, 상기 제1 파일의 파일명이 상기 미리보기 뷰어 옆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이 TXT 파일인 경우, 폰트 색상, 크기, 스타일 및 슬라이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파일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파일의 영상이 상기 미리보기 뷰어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점에 LED 전광판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1 이미지와 제1 시점에 LED 전광판에서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1-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이 확인되면, LED 전광판에서 제1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LED 전광판에 발생한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여, LED 전광판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에서 제1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 및 제1 LED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에서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 및 복수의 LED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이 발생한 LED 모듈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전기 신호, 제2 전기 신호, 제3 전기 신호 및 제4 전기 신호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상 차이에 따라 LED 모듈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명도 차이에 따라 LED 모듈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채도 차이에 따라 LED 모듈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품의 외관 특징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외곽선을 통해 복수의 선 및 복수의 점을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선 각각을 직선과 곡선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선을 직선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선을 곡선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일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러를 예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러를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일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의 패널 설정 및 화면을 실시간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일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에 파일을 업로드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영상을 미리보기 표시하여 파일의 업로드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3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LED 전광판(10), 촬영 기기(20) 및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LED 전광판(10)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전광판(10)은 LED 디스플레이, 통신부,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LED 램프(또는 LED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LED 램프가 제어부에 의해 ON/OFF 동작을 수행하고 복수의 LED 램프 각각은 ON 상태에서 특정한 파장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LED 램프의 조합에 의해 특정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LED 램프(LED 소자) 각각은 픽셀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고, 복수의 픽셀은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은 16x16의 LED 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즉, LED 전광판(10)은 복수의 LED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는 장치(30)와의 통신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장치(30)로부터 LED 전광판(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는 LED 전광판(10)을 통해 출력할 영상 정보, 제어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LED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촬영 기기(20)는 LED 전광판(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전광판(10)은 야외 환경에 설치되어, 원거리 상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LED 전광판(10)에 발생된 미세한 고장 정보는 알기가 어려우므로, 촬영 기기(20)는 LED 전광판(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촬영 기기(20)는 LED 전광판(10)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촬영하고, LED 전광판(10)의 촬영으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는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3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LED 전광판(10) 및 촬영 기기(2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촬영 기기(2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LED 전광판(10)에 고장이 있는 LED 모듈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LED 전광판(10) 자체에서도 LED 전광판(10)에 고장이 있는 LED 모듈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분석이 수행될 수도 있으나, 분석 기능이 별도로 없는 LED 전광판(10)의 경우, 장치(30)에 의해 고장이 있는 LED 모듈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에서 제1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 및 제1 LED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으로 생성된 제1-1 이미지를 촬영 기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전광판(10)에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촬영 기기(20)는 LED 전광판(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간마다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기기(20)는 제1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제1-1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 이미지는 제1 시점에 LED 전광판(10)의 촬영으로 생성된 이미지이다.
S2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1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제1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1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기초로, LED 전광판(10)에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 시점에 영상의 어느 부분이 LED 전광판(10)에 표시되었는지 확인하여, 제1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시점에 표시된 것으로 확인된 영상의 이미지를 제2-1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이미지는 제1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실제로 표시된 영상의 이미지이고, 제2-1 이미지는 제1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표시되기로 설정된 영상의 이미지인데,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영역별로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2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영역(100)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전광판(10)에서 제1 영역(1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LED 전광판(10)에서 제1 영역(1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LED 모듈을 제1 LED 모듈(11)로 확인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문제가 발생한 것만 파악할 수 있으며, 추후, 제1 LED 모듈(11)에 발생한 문제가 일시적인 오류로 발생한 문제인지 또는 고장으로 발생한 문제인지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S204 단계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S208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전광판(10)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LED 전광판(10)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제1 영역(100)이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확인되어, 제1 영역(1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11)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으로 생성된 제1-2 이미지를 촬영 기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점은 제1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난 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전광판(10)에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시작부터 5초 후의 시점이 제1 시점이고, 제1 시점으로부터 10초 후의 시점이 제2 시점인 경우, 촬영 기기(20)는 LED 전광판(10)에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시작부터 5초 후에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제1-1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1 시점으로부터 10초 후에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제1-2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제1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으로 생성된 제1-1 이미지를 촬영 기기(20)로부터 수신하고, 제2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으로 생성된 제1-2 이미지를 촬영 기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2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제2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2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2 이미지 및 제2-2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2 이미지는 제2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실제로 표시된 영상의 이미지이고, 제2-2 이미지는 제2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표시되기로 설정된 영상의 이미지인데, 장치(30)는 제1-2 이미지 및 제2-2 이미지를 영역별로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2 이미지 및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S4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고, 제2 시점의 영상에서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제1 LED 모듈(11)의 문제 상태가 제1 기간 동안 유지된 것으로 분석하여, 제1 LED 모듈(1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간은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고장이 발생하여, 제1 LED 모듈(11)에 대한 유지 보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S405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지 않으면, S4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LED 모듈(11)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에서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 및 복수의 LED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2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2 영역(200)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전광판(10)에서 제2 영역(2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2 영역(200)에서 1행 1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2 LED 모듈(12), 제2 영역(200)에서 2행 1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3 LED 모듈(13), 제2 영역(200)에서 1행 2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4 LED 모듈(14) 및 제2 영역(200)에서 2행 2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5 LED 모듈(15)을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LED 모듈(12), 제3 LED 모듈(13), 제4 LED 모듈(14) 및 제5 LED 모듈(15) 중 적어도 하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2 이미지 및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2 영역(200)을 확인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2 영역(200)이 확인되면, 제2 LED 모듈(12), 제3 LED 모듈(13), 제4 LED 모듈(14) 및 제5 LED 모듈(15)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2 영역(200)이 확인되고, 제2 시점의 영상에서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2 영역(200)이 확인되면, 제2 영역(2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에 대한 문제 상태가 제1 기간 동안 유지된 것으로 분석하여, 제2 영역(2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제2 영역(2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 중 일부에 고장이 발생한 것만 파악할 수 있으며, 추후, 제2 영역(2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 중 어느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검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이 발생한 LED 모듈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전기 신호, 제2 전기 신호, 제3 전기 신호 및 제4 전기 신호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전기 신호, 제2 전기 신호, 제3 전기 신호 및 제4 전기 신호를 LED 전광판(1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전광판(10)은 제2 영역(200)에 대한 전기 신호 테스트를 수행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LED 모듈(12) 및 제4 LED 모듈(14)을 통과하는 제1 전기 신호(810)를 감지하고, 제3 LED 모듈(13) 및 제5 LED 모듈(15)을 통과하는 제2 전기 신호(820)를 감지하고, 제2 LED 모듈(12) 및 제3 LED 모듈(13)을 통과하는 제3 전기 신호(830)를 감지하고, 제4 LED 모듈(14) 및 제5 LED 모듈(15)을 통과하는 제4 전기 신호(840)를 감지할 수 있다.
LED 전광판(10)에서 제1 전기 신호(810), 제2 전기 신호(820), 제3 전기 신호(830) 및 제4 전기 신호(840)를 감지하면, 장치(30)는 제1 전기 신호(810), 제2 전기 신호(820), 제3 전기 신호(830) 및 제4 전기 신호(840)를 LED 전광판(1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전기 신호(810), 제2 전기 신호(820), 제3 전기 신호(830) 및 제4 전기 신호(840) 중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된 전기 신호를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범위는 전기 신호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제1 전기 신호(810)가 통과하는 복수의 LED 모듈에 대한 전압 값, 전류 값, 전력 값 등을 기초로, 제1 전기 신호(810)의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LED 전광판(10)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전기 신호(810)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전기 신호(810)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전기 신호(810)를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전기 신호(810)와 같이, 제2 전기 신호(820), 제3 전기 신호(830) 및 제4 전기 신호(840) 각각에 대해서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된 전기 신호를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30)는 고장 감지 신호를 분석한 결과, 제1 전기 신호(810), 제2 전기 신호(820), 제3 전기 신호(830) 및 제4 전기 신호(840) 중에서 제1 전기 신호(810) 및 제3 전기 신호(830)를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전기 신호(810) 및 제3 전기 신호(830)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제2 영역(2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 중 제2 LED 모듈(12)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S705 단계에서, 장치(30)는 고장 감지 신호를 분석한 결과, 제1 전기 신호(810), 제2 전기 신호(820), 제3 전기 신호(830) 및 제4 전기 신호(840) 중에서 제2 전기 신호(820) 및 제3 전기 신호(830)를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전기 신호(820) 및 제3 전기 신호(830)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제2 영역(2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 중 제3 LED 모듈(13)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S707 단계에서, 장치(30)는 고장 감지 신호를 분석한 결과, 제1 전기 신호(810), 제2 전기 신호(820), 제3 전기 신호(830) 및 제4 전기 신호(840) 중에서 제1 전기 신호(810) 및 제4 전기 신호(840)를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전기 신호(810) 및 제4 전기 신호(840)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제2 영역(2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 중 제4 LED 모듈(14)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S709 단계에서, 장치(30)는 고장 감지 신호를 분석한 결과, 제1 전기 신호(810), 제2 전기 신호(820), 제3 전기 신호(830) 및 제4 전기 신호(840) 중에서 제2 전기 신호(820) 및 제4 전기 신호(840)를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할 수 있다.
S710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전기 신호(820) 및 제4 전기 신호(840)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제2 영역(2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복수의 LED 모듈 중 제5 LED 모듈(15)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LED 모듈(12), 제3 LED 모듈(13), 제4 LED 모듈(14) 및 제5 LED 모듈(15)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LED 모듈에 대한 유지 보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상 차이에 따라 LED 모듈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제1 영역(100)이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확인되었으며, 제1 영역(100)이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확인되면, 제1 영역(1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11)에 색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이미지에서 제1 영역(100)의 색상이 제1 색이고, 제2-1 이미지에서 제1 영역(100)의 색상이 제2 색인 경우,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영역(100)을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확인하여, 제1 LED 모듈(11)에 색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으로 생성된 제1-2 이미지를 촬영 기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점은 제1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난 후를 의미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2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제2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2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2 이미지 및 제2-2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S9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2 이미지 및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905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S9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색상 표시 기능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고, 제2 시점의 영상에서도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제1 LED 모듈(11)의 색상 표시 문제 상태가 제1 기간 동안 유지된 것으로 분석하여, 제1 LED 모듈(11)에 색상 표시 기능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간은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S905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색상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지 않으면, S9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LED 모듈(11)에 색상 표기 기능과 관련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명도 차이에 따라 LED 모듈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S10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제1 영역(100)이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확인되었으며, 제1 영역(100)이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확인되면, 제1 영역(1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11)에 명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이미지에서 제1 영역(100)의 명도가 제1 레벨이고, 제2-1 이미지에서 제1 영역(100)의 명도가 제2 레벨인 경우,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영역(100)을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확인하여, 제1 LED 모듈(11)에 명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2 이미지 및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2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S10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3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으로 생성된 제1-3 이미지를 촬영 기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시점은 제2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난 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S1002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S10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3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3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제3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3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S10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3 이미지 및 제2-3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S10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3 이미지 및 제2-3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3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3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006 단계에서 제3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S10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명도 표시 기능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제1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고, 제2 시점의 영상에서도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고, 제3 시점의 영상에서도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제1 LED 모듈(11)의 명도 표시 문제 상태가 제2 기간 동안 유지된 것으로 분석하여, 제1 LED 모듈(11)에 명도 표시 기능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간은 제1 시점부터 제3 시점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S1002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지 않으면, S10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LED 모듈(11)에 명도 표기 기능과 관련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1006 단계에서 제3 시점의 영상에서 명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지 않으면, S10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LED 모듈(11)에 명도 표기 기능과 관련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채도 차이에 따라 LED 모듈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S11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제1 영역(100)이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확인되었으며, 제1 영역(100)이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확인되면, 제1 영역(100)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11)에 채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이미지에서 제1 영역(100)의 채도가 제1 레벨이고, 제2-1 이미지에서 제1 영역(100)의 채도가 제2 레벨인 경우, 장치(30)는 제1-1 이미지 및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영역(100)을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확인하여, 제1 LED 모듈(11)에 채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1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2 이미지 및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102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S11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3 이미지 및 제2-3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3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3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103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S11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4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대한 촬영으로 생성된 제1-4 이미지를 촬영 기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시점은 제3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난 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S1103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S11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4 시점에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4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제4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4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S11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4 이미지 및 제2-4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S11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4 이미지 및 제2-4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4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4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107 단계에서 제4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S11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채도 표시 기능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고, 제2 시점의 영상에서도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고, 제3 시점의 영상에서도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고, 제4 시점의 영상에서도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면, 제1 LED 모듈(11)의 채도 표시 문제 상태가 제3 기간 동안 유지된 것으로 분석하여, 제1 LED 모듈(11)에 채도 표시 기능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간은 제1 시점부터 제4 시점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S1102 단계에서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지 않으면, S1109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LED 모듈(11)에 채도 표기 기능과 관련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1103 단계에서 제3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지 않으면, S1109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LED 모듈(11)에 채도 표기 기능과 관련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1107 단계에서 제4 시점의 영상에서 채도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100)이 확인되지 않으면, S1109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LED 모듈(11)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LED 모듈(11)에 채도 표기 기능과 관련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품의 외관 특징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S12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1 이미지가 제품에 대한 광고 이미지로 확인되면, 제1-1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1-1 이미지에서 제품의 외곽선을 인식할 수 있다.
S12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품의 외곽선을 제품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부위별로 간격이 설정되어 있어,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제품의 외곽선을 구간별로 분할할 수 있고, 특정 각도 이상으로 변경되는 부분을 새로운 구간의 시작으로 판단하여 제품의 외곽선을 구간별로 분할할 수 있다.
S12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품의 외곽선에서 구간별로 분할된 복수의 선 각각을 인식할 수 있으며, S1204 단계에서, 장치(30)는 복수의 선 각각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복수의 점 각각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1205 단계에서, 장치(30)는 S1203 단계에서 인식된 복수의 선 각각을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선의 유형은 직선과 곡선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장치(30)는 복수의 선 각각을 직선과 곡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1206 단계에서, 장치(30)는 S1204 단계에서 인식된 복수의 점 각각을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점의 유형은 직선과 직선이 연결되는 제1 유형, 직선과 곡선이 연결되는 제2 유형, 곡선과 직선이 연결되는 제3 유형, 곡선과 곡선이 연결되는 제4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장치(30)는 복수의 점 각각을 제1 유형, 제2 유형, 제3 유형 및 제4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S1207 단계에서, 장치(30)는 복수의 점 각각의 순번, 좌표 및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품의 특징 정보로 추출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이미지를 통해 제1 점, 제2 점 및 제3 점이 인식된 경우, 제1 점, 제2 점 및 제3 점을 연결하는 순번과, 제1 점, 제2 점 및 제3 점 각각이 위치하고 있는 좌표, 제1 점, 제2 점 및 제3 점 각각이 분류된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1-1 이미지에 있는 제품의 특징 정보로 추출하여, 추출된 특징 정보를 LED 전광판(10)의 광고 리스트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외곽선을 통해 복수의 선 및 복수의 점을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1-1 이미지에서 제품의 외곽선(1300)을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장치(30)는 제품의 외곽선(1300)을 제품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품의 종류가 옷 상의 카테고리로 확인되면, 옷 상의 카테고리에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제품의 외곽선(1300)을 제1 선(1311), 제2 선(1312), 제3 선(1313), 제4 선(1314), 제5 선(1315), 제6 선(1316), 제7 선(1317), 제8 선(1318), 제9 선(1319), 제10 선(1320), 제11 선(1321) 및 제12 선(1322)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품의 외곽선(1300)은 제품의 종류에 따라 더 많은 구간으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구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장치(30)는 복수의 선 각각을 확인하여, 제2 선(1312), 제3 선(1313), 제4 선(1314), 제5 선(1315), 제6 선(1316), 제7 선(1317), 제8 선(1318), 제9 선(1319) 및 제10 선(1320)을 직선으로 분류하고, 제1 선(1311), 제11 선(1321) 및 제12 선(1322)을 곡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장치(30)는 복수의 선 각각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복수의 점 각각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12 선(1322)과 제1 선(1311)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1 점(1331), 제1 선(1311)과 제2 선(1312)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2 점(1332), 제2 선(1312)과 제3 선(1313)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3 점(1333), 제3 선(1313)과 제4 선(1314)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4 점(1334), 제4 선(1314)과 제5 선(1315)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5 점(1335), 제5 선(1315)과 제6 선(1316)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6 점(1336), 제6 선(1316)과 제7 선(1317)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7 점(1337), 제7 선(1317)과 제8 선(1318)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8 점(1338), 제8 선(1318)과 제9 선(1319)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9 점(1339), 제9 선(1319)과 제10 선(1320)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10 점(1340), 제10 선(1320)과 제11 선(1321)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11 점(1341), 제11 선(1321)과 제12 선(1322)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제12 점(1342)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시작점이 되는 제1 점(1331)과 끝점이 되는 제12 점(1342)의 위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카테고리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복수의 점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선의 유형을 확인하여, 복수의 점 각각에 대한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점(1333), 제4 점(1334), 제5 점(1335), 제6 점(1336), 제7 점(1337), 제8 점(1338), 제9 점(1339) 및 제10 점(1340)은 직선과 직선이 연결되어 있어 제1 유형으로 분류되고, 제11 점(1341)은 직선과 곡선이 연결되어 있어 제2 유형으로 분류되고, 제2 점(1332)은 곡선과 직선이 연결되어 있어 제3 유형으로 분류되고, 제1 점(1331) 및 제12 점(1342)은 곡선과 곡선이 연결되어 있어 제4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후, 장치(30)는 제1 점(1331), 제2 점(1332), 제3 점(1333), 제4 점(1334), 제5 점(1335), 제6 점(1336), 제7 점(1337), 제8 점(1338), 제9 점(1339) 및 제10 점(1340), 제11 점(1341) 및 제12 점(1342) 각각의 순번, 좌표 및 유형에 대한 정보를 통해, 제품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품의 특징 정보를 LED 전광판(10)의 광고 리스트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선 각각을 직선과 곡선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S1401 단계에서, 장치(30)는 복수의 선 중 어느 하나인 제1 선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제1-1 이미지에서 인식된 제품의 외곽선을 구간별로 분할하여, 복수의 선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
S14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선의 양끝에 위치한 제1 점 및 제2 점을 인식할 수 있다.
S14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선의 양끝이 아닌 중간 어느 부분에 위치한 제3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제3 점의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14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점과 제3 점을 곧은 선으로 연결한 제2 선을 생성하고, 제2 점과 제3 점을 곧은 선으로 연결한 제3 선을 생성할 수 있다.
S14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선과 제3 선을 결합한 제4 선을 인식할 수 있다.
S14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선과 제4 선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406 단계에서 제1 선과 제4 선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14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선을 직선으로 분류할 수 있다.
S1406 단계에서 제1 선과 제4 선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14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선을 곡선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선을 직선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품의 외곽선을 구간별로 분할하여 생성된 복수의 선 중 어느 하나인 제1 선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1 선의 양끝에 위치한 제1 점 및 제2 점을 인식하고, 제1 선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제3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제3 점의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1 점 및 제3 점을 곧은 선으로 연결한 제2 선을 생성하고, 제3 점 및 제2 점을 곧은 선으로 연결한 제3 선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2 선 및 제3 선을 결합한 제4 선을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장치(30)는 도 15의 (a)에 도시된 제1 선과 도 15의 (d)에 도시된 제4 선을 비교하여, 제1 선과 제4 선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선과 제4 선이 일치하므로, 제1 선을 직선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선을 곡선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품의 외곽선을 구간별로 분할하여 생성된 복수의 선 중 어느 하나인 제1 선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1 선의 양끝에 위치한 제1 점 및 제2 점을 인식하고, 제1 선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제3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제3 점의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1 점 및 제3 점을 곧은 선으로 연결한 제2 선을 생성하고, 제3 점 및 제2 점을 곧은 선으로 연결한 제3 선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2 선 및 제3 선을 결합한 제4 선을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장치(30)는 도 16의 (a)에 도시된 제1 선과 도 16의 (d)에 도시된 제4 선을 비교하여, 제1 선과 제4 선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선과 제4 선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제1 선을 곡선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7은 일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S17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시점에 제1 페이지의 영상이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페이지는 제1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2-1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S1702 단계에서, 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2-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1703 단계에서, 장치(30)는 관리자 단말에 로그인 되어 있는 사용자의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다.
S1704 단계에서, 장치(3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S1702 단계, S1703 단계 및 S1704 단계는 초기 페이지 이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준비하는 단계로, S1702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이고, S1703 단계는 현재 로그인 중인 아이디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이고, S1704 단계는 URL에 필요한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S1705 단계에서, 장치(30)는 URL 정보를 통해 연결된 이미지와 제2-2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S1705 단계에서는 URL을 통해 연결된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URL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705 단계에서 URL 정보를 통해 연결된 이미지와 제2-2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17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시점에 제1 페이지의 영상이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S1708 단계에서는 제2 시점에 제2 페이지의 영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제2 페이지의 전 페이지인 제1 페이지로 이동하여, 제1 페이지가 표시되고 프로그램은 종료될 수 있다.
S1705 단계에서 URL 정보를 통해 연결된 이미지와 제2-2 이미지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1706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관리자의 아이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의 아이디는 LED 전광판(10)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아이디로, 사전에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즉, S1706 단계에서는 현재 로그인된 아이디와 LED 전광판(10)의 패널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아이디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아이디가 관리자의 아이디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706 단계에서 사용자의 아이디와 관리자의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17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시점에 제1 페이지의 영상이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706 단계에서 사용자의 아이디와 관리자의 아이디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1707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전광판(10)의 세션에 LED 고유값을 지정하여 저장하고, 제2 시점에 제2 페이지의 영상이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페이지는 제2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2-2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LED 고유값은 LED 전광판(10)에 설정되어 있는 세션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하고, LED 전광판(10) 패널의 영상 화면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제어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S1707 단계에서는 LED 전광판(10)에 설정되어 있는 세션에 이동하는 LED 전광판(10) 패널의 영상 화면이라는 고유값을 지정하고, 고유값을 세션에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후, LED 전광판(10)의 영상 화면을 제1 페이지에서 제2 페이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8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러를 예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S1801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고유값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LED 고유값은 LED 전광판(10)의 세션에서 가지고 있는 LED 전광판(10) 패널의 영상 화면 고유값이다.
S1802 단계에서, 장치(30)는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S1801 단계 및 S1802 단계는 스케줄러 실행을 예약하는데 필요한 요소를 준비하는 단계로, S1801 단계는 LED 전광판(10)의 세션에서 가지고 있는 LED 전광판(10) 패널의 영상 화면 고유값을 획득하는 단계이고, S1802 단계는 현재 날짜와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S1803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고유값 및 현재 시간을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 시간 및 현재 시간 이후에 실행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S1803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 시간 및 현재 시간 이후에 실행되는 스케줄러의 리스트인 콘텐츠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S1804 단계에서, 장치(30)는 콘텐츠 리스트를 배열로 추출하여 스케줄러를 출력할 수 있다.
S1805 단계에서, 장치(30)는 스케줄러를 통해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확인하고, 시작 시작과 현재 시간의 차를 제1 차이값으로 산출하고, 종료 시간과 현재 시간의 차를 제2 차이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즉, S1805 단계에서는 스케줄러에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나누어 배열로 따로 저장한 뒤, 각각 현재 시간과의 차를 산출할 수 있으며, S1806 단계 및 S1807 단계는 시작 시간, S1808 단계 및 S1809 단계는 종료 시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S18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차이값이 양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806 단계에서 제1 차이값이 음수로 확인되면, S18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차이값을 0으로 변경할 수 있다.
S18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차이값이 양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808 단계에서 제2 차이값이 음수로 확인되면, S1809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차이값을 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S1807 단계 및 S1809 단계에서는 현재 시간과의 차이값이 음수인 경우, 음수가 된 값을 모두 0으로 변경할 수 있다.
S1810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차이값 및 제2 차이값에 따라 스케줄러의 스케줄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러는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로, 콘텐츠 별로 실행 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S1810 단계에서는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리스트를 영상 표시 영역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데이터를 기초로 딜레이 함수를 이용하여 등록함으로써, 정해진 시간마다 정해진 함수를 실행시키도록, 스케줄러의 스케줄을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제1 차이값 및 제2 차이값이 양수로 확인되면, 콘텐츠 리스트 중 시작 시간에 실행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콘텐츠가 제1 차이값 이후에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스케줄러에 등록하고, 제1 차이값이 0으로 확인되고 제2 차이값이 양수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부터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스케줄러에 등록하고, 제1 차이값 및 제2 차이값이 0으로 확인되면, 콘텐츠 리스트 중 종료 시간에 실행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2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스케줄러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시간이 1시 5분이고, 종료 시간이 1시 1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현재 시간이 1시 정각으로 확인되는 경우, 장치(30)는 제1 차이값을 5로 산출하고 제2 차이값을 10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1 차이값 및 제2 차이값이 양수로 확인되므로, 제1 콘텐츠가 5분 이후에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스케줄러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시작 시간이 1시 5분이고, 종료 시간이 1시 1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현재 시간이 1시 8분으로 확인되는 경우, 장치(30)는 제1 차이값을 -3으로 산출한 후 -3을 0으로 변경하고 제2 차이값을 2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1 차이값이 0으로 확인되고 제2 차이값이 양수로 확인되므로, 제1 콘텐츠부터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스케줄러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시작 시간이 1시 5분이고, 종료 시간이 1시 1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현재 시간이 1시 13분으로 확인되는 경우, 장치(30)는 제1 차이값을 -8로 산출한 후 -8을 0으로 변경하고 제2 차이값을 -3으로 산출한 후 -3을 0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제1 차이값 및 제2 차이값이 0으로 확인되므로, 제2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스케줄러에 등록할 수 있다.
도 19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러를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먼저, S1901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고유값을 확인할 수 있다.
S1902 단계에서, 장치(30)는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1903 단계에서, 장치(30)는 등록된 스케줄러를 확인할 수 있다.
즉, S1901 단계, S1902 단계 및 S1903 단계는 스케줄러 실행 시 콘텐츠 내용을 가지고 오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준비하는 단계로, S1901 단계는 세션에서 가지고 있는 LED 전광판(10) 패널의 영상 화면 고유값을 획득하는 단계이고, S1902 단계는 현재 날짜와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고, S1903 단계는 스케줄러 실행 예약을 통해 예약된 스케줄러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S1904 단계에서, 장치(30)는 현재 시간이 변경되면, LED 고유값, 현재 시간 및 스케줄러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 시간에 실행되는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S1905 단계에서, 장치(30)는 현재 시간에 실행되는 것으로 확인된 콘텐츠가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S1905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된 콘텐츠 정보를 추출한 후, 콘텐츠 정보를 LED 전광판(10)의 영상 출력 부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0은 일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의 패널 설정 및 화면을 실시간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S2001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고유값을 확인할 수 있다.
즉, S2001 단계는 실시간 변경을 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준비하는 단계로, 2001 단계는 LED 전광판(10)의 세션에서 가지고 있는 LED 전광판(10) 패널의 영상 화면 고유값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S2002 단계에서, 장치(3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패널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S2002 단계에서는 관리자 단말에 패널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003 단계에서, 장치(30)는 웹소캣(Web Socket)을 이용하여 LED 고유값으로 LED 전광판(10)의 세션에 접속할 수 있다.
즉, S2003 단계에서는 LED 고유값으로 현재 실행되는 LED 전광판(10) 패널의 세션을 찾아 접속할 수 있다.
S2004 단계에서, 장치(3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패널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2005 단계에서, 장치(30)는 패널 정보의 저장으로 패널 값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05 단계에서 패널 값이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S2006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전광판(10)의 세션으로 변경된 패널 값을 전송할 수 있다.
S2007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전광판(10)이 패널 값을 통해 세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3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패널 정보를 기초로, LED 전광판(10) 패널에 대한 설정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S2007 단계에서는 LED 전광판(10)으로 보낸 패널 정보를 통해 LED 전광판(10)의 패널 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정할 수 있다.
한편, S2005 단계에서 패널 값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2008 단계에서, 장치(30)는 콘텐츠 정보의 저장으로 패널 값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LED 전광판(10)의 세션으로 페이지 새로고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변경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S2008 단계에서는 LED 전광판(10) 패널로 페이지 새로고침 신호를 보내, 상술한 스케줄러 예약 실행 및 스케줄러 실행 과정을 거쳐 다시 스케줄러가 세팅되어, LED 전광판(10)의 화면이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1은 일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에 파일을 업로드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영상 또는 문구를 LED 전광판(10)에 업로드 할 때의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먼저, S21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관할구역을 확인하고, 관할구역의 관공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S2101 단계에서는 현재 로그인 상태의 아이디 정보에서 관할구역을 획득하여, 획득된 아이디 정보에 따른 관할구역의 관공서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관공서가 선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S2102 단계에서, 장치(30)는 관공서가 확인되면 확인된 관공서가 선택된 것으로 자동 처리할 수 있으며, 관공서가 선택되면, 관공서의 위치 정보 및 관리자 정보가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S2102 단계에서는 관공서 선택에 따라 해당 관공서 넘버, 위치 정보 및 관리자 정보를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S2103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전광판(10)에 표시하기 위해 등록할 제1 파일이 업로드 요청되면,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1 파일을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즉, S2103 단계에서는 LED 전광판(10)에 업로드 시킬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다중 파일이 선택되면, 순서별로 선택된 파일이 리스트로 생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파일을 획득하면, 제1 파일의 영상을 미리보기 뷰어에 표시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21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파일의 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1 파일의 사이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S2104 단계에서는 LED 전광판(10)에 업로드 될 영상 및 이미지의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본값 320X240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S21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파일이 표시될 노출 날짜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1 파일의 날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106 단계에서, 장치(30)는 날짜 정보를 통해 확인된 노출 날짜가 당일 및 당일 이전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S2106 단계에서는 LED 전광판(10)에 노출이 될 날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날짜 선택 시 요일별로 체크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일별 체크박스가 선택되면, 요일이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S2106 단계에서 노출 날짜가 당일 및 당일 이전으로 확인되면, S2107 단계에서, 장치(30)는 노출 날짜의 재선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107 단계 이후, S2105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1 파일의 날짜 정보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S2106 단계에서 노출 날짜가 당일 이후로 확인되면, S2108 단계에서, 장치(30)는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및 재생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1 파일의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109 단계에서, 장치(30)는 시간 정보를 통해 확인된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및 재생 시간에 대한 모든 정보가 형식에 맞게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109 단계에서 모든 정보가 형식에 맞게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S2110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파일을 LED 전광판(10)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로 예약하기 위해, 스케줄러에 등록할 수 있다.
즉, 2110 단계에서는 LED 전광판(10)에 업로드 될 이미지 및 영상 정보를 예약 등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파일이 업로드 되고, 관리자 페이지의 승인 대기 목록 리스트에 업로드된 파일이 추가될 수 있다.
S2109 단계에서 모든 정보가 형식에 맞게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2111 단계에서, 장치(30)는 정보의 재입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111 단계 이후, S2105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는 노출 날짜 입력 요청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영상을 미리보기 표시하여 파일의 업로드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먼저, S2201 단계에서, 장치(30)는 LED 전광판(10)의 화면에 등록할 제1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S2202 단계에서, 장치(30)는 TXT 파일이 업로드 요청된 경우, 제1 파일을 TXT 파일로 확인할 수 있다.
S2203 단계에서, 장치(30)는 MP4 파일이 업로드 요청된 경우, 제1 파일을 MP4 파일로 확인할 수 있다.
S2204 단계에서, 장치(30)는 GIF 파일이 업로드 요청된 경우, 제1 파일을 GIF 파일로 확인할 수 있다.
S2205 단계에서, 장치(30)는 JPG 파일이 업로드 요청된 경우, 제1 파일을 JPG 파일로 확인할 수 있다.
S22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파일이 TXT 파일인 경우, 폰트 색상, 크기, 스타일 및 슬라이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1 파일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206 단계 이후, S2210 단계에서, 장치(30)는 설정 정보를 통해 폰트 색상, 크기, 스타일 및 슬라이드 방향을 설정하여, 제1 파일의 영상이 미리보기 뷰어를 통해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22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파일이 MP4 파일, GIF 파일 및 JPG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제1 파일에 대한 예약 코드, 파일명, 파일 크기, 파일 형식 및 파일 경로를 DB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S2208 단계에서, 장치(30)는 파일 경로에 대한 URL 정보를 획득하여, URL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2208 단계 이후, S2210 단계에서, 장치(30)는 관리자 단말에서 URL 정보가 선택되면, URL 정보를 통해 제1 파일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제1 파일의 영상이 미리보기 뷰어를 통해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2209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파일이 단일 파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209 단계에서 제1 파일이 단일 파일로 확인되면, S221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파일의 파일명이 미리보기 뷰어 옆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209 단계에서 제1 파일이 복수 파일로 확인되면, S221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파일의 파일명이 미리보기 뷰어 옆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일 선택 시 파일명과 미리보기 뷰어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파일은 다중 선택이 가능하고, 다중 선택 시 미리보기 뷰어 옆에 리스트 목록으로 파일명이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파일이 선택되면, 예약 코드, 파일명, 파일 크기, 파일 형식, 파일 경로 등이 저장된 후 URL 정보가 반환될 수 있다. 반환된 URL 정보를 통해 다시 파일을 요청하여 파일에 대한 영상 정보를 통해 미리보기 뷰어에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이즈 오류, 재생 오류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도 23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프로세서(31) 및 메모리(3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는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3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22를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시점에 촬영 기기를 통해, LED 전광판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면,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LED 전광판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1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상기 제1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1 이미지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LED 전광판에서 상기 제1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1 LED 모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LED 모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난 후인 제2 시점에 상기 LED 전광판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2 이미지를 상기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상기 제2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제2-2 이미지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LED 모듈에 대한 유지 보수 필요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이미지 및 상기 제2-1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제2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2 영역에서 1행 1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2 LED 모듈, 상기 제2 영역에서 2행 1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3 LED 모듈, 상기 제2 영역에서 1행 2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4 LED 모듈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2행 2열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고 있는 제5 LED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2 이미지 및 상기 제2-2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시점의 영상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제2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2 LED 모듈, 상기 제3 LED 모듈, 상기 제4 LED 모듈 및 상기 제5 LED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LED 전광판을 통해, 상기 제2 LED 모듈 및 상기 제4 LED 모듈을 통과하는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3 LED 모듈 및 상기 제5 LED 모듈을 통과하는 제2 전기 신호, 상기 제2 LED 모듈 및 상기 제3 LED 모듈을 통과하는 제3 전기 신호 및 상기 제4 LED 모듈 및 상기 제5 LED 모듈을 통과하는 제4 전기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전기 신호, 상기 제3 전기 신호 및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상기 LED 전광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전기 신호, 상기 제3 전기 신호 및 상기 제4 전기 신호 중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된 전기 신호를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3 전기 신호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상기 제2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제3 전기 신호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상기 제3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4 전기 신호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상기 제4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기 신호 및 상기 제4 전기 신호가 고장 감지 신호로 분석되면, 상기 제5 LED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LED 모듈, 상기 제3 LED 모듈, 상기 제4 LED 모듈 및 상기 제5 LED 모듈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LED 모듈에 대한 유지 보수 필요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제2-1 이미지로 구성된 제1 페이지가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시점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2-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에 로그인 되어 있는 사용자의 아이디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연결된 이미지와 상기 제2-2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연결된 이미지와 상기 제2-2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제1 페이지의 영상이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연결된 이미지와 상기 제2-2 이미지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상기 LED 전광판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아이디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상기 관리자의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제1 페이지의 영상이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상기 관리자의 아이디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LED 전광판의 세션에 LED 고유값을 지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제2-2 이미지로 구성된 제2 페이지의 영상이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ED 고유값 및 현재 시간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현재 시간 및 상기 현재 시간 이후에 실행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배열로 추출하여 스케줄러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러를 통해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시작 시간과 상기 현재 시간의 차를 제1 차이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종료 시간과 상기 현재 시간의 차를 제2 차이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값이 음수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이값을 0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2 차이값이 음수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차이값을 0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값 및 상기 제2 차이값이 양수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 리스트 중 상기 시작 시간에 실행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콘텐츠가 상기 제1 차이값 이후에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상기 스케줄러에 등록하고, 상기 제1 차이값이 0으로 확인되고 상기 제2 차이값이 양수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부터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상기 스케줄러에 등록하고, 상기 제1 차이값 및 상기 제2 차이값이 0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 리스트 중 상기 종료 시간에 실행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2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스케줄을 상기 스케줄러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시간이 변경되면, 상기 LED 고유값, 상기 현재 시간 및 상기 스케줄러를 기초로, 상기 현재 시간에 실행되는 콘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콘텐츠가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패널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웹소켓을 이용하여 상기 LED 고유값으로 상기 LED 전광판의 세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패널 정보 또는 상기 콘텐츠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패널 정보의 저장으로 패널 값이 변경된 경우, 상기 LED 전광판의 세션으로 상기 패널 값을 전송하여, 상기 LED 전광판이 상기 패널 값을 통해 세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정보의 저장으로 상기 패널 값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LED 전광판의 세션으로 페이지 새로고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관할구역을 확인하고, 상기 관할구역의 관공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관공서가 선택되면, 상기 관공서의 위치 정보 및 관리자 정보가 상기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하기 위해 등록할 제1 파일이 업로드 요청되면, 상기 제1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의 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파일의 사이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이 표시될 노출 날짜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파일의 날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날짜 정보를 통해 상기 노출 날짜가 당일 이후로 확인되면,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및 재생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파일의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정보를 통해 상기 시작 시간, 상기 종료 시간 및 상기 재생 시간이 형식에 맞게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파일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로 예약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파일이 MP4 파일, GIF 파일 및 JPG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파일에 대한 예약 코드, 파일명, 파일 크기, 파일 형식 및 파일 경로를 DB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파일 경로에 대한 URL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파일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파일의 영상이 미리보기 뷰어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이 단일 파일인 경우, 상기 제1 파일의 파일명이 상기 미리보기 뷰어 옆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파일이 복수 파일인 경우, 상기 제1 파일의 파일명이 상기 미리보기 뷰어 옆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이 TXT 파일인 경우, 폰트 색상, 크기, 스타일 및 슬라이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파일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파일의 영상이 상기 미리보기 뷰어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KR1020210073770A 2021-06-07 2021-06-07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18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770A KR102318711B1 (ko) 2021-06-07 2021-06-07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770A KR102318711B1 (ko) 2021-06-07 2021-06-07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711B1 true KR102318711B1 (ko) 2021-10-28

Family

ID=7823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770A KR102318711B1 (ko) 2021-06-07 2021-06-07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0909A (zh) * 2021-10-29 2022-01-11 俱朝 一种能够实时快速定位led大屏箱体故障系统及其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56B1 (ko) * 2007-07-19 2007-10-17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427748B1 (ko) 2012-09-05 2014-08-08 (주)유비쿼터스통신 Led 전광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전광판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94899B1 (ko) 2016-07-13 2017-01-10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불량 검출을 위한 led 전광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22850B1 (ko) 2016-11-11 2018-11-29 주식회사 로스텍 Led 전광판 제어 방법,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led 전광판 콘트롤러
KR200489515Y1 (ko) * 2018-09-21 2019-06-28 신대현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KR20200028142A (ko) * 2018-09-06 2020-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137421B1 (ko) 2020-03-11 2020-07-24 주식회사 엘이디오션 Led 전광판 동작 상태 감지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200114691A (ko) * 2019-03-29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6366B1 (ko) * 2020-02-24 2021-01-22 (주)컴텔싸인 출력화면 자동 제어 기능과 주변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능동형 대형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56B1 (ko) * 2007-07-19 2007-10-17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427748B1 (ko) 2012-09-05 2014-08-08 (주)유비쿼터스통신 Led 전광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전광판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94899B1 (ko) 2016-07-13 2017-01-10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불량 검출을 위한 led 전광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22850B1 (ko) 2016-11-11 2018-11-29 주식회사 로스텍 Led 전광판 제어 방법,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led 전광판 콘트롤러
KR20200028142A (ko) * 2018-09-06 2020-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0489515Y1 (ko) * 2018-09-21 2019-06-28 신대현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KR20200114691A (ko) * 2019-03-29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6366B1 (ko) * 2020-02-24 2021-01-22 (주)컴텔싸인 출력화면 자동 제어 기능과 주변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능동형 대형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102137421B1 (ko) 2020-03-11 2020-07-24 주식회사 엘이디오션 Led 전광판 동작 상태 감지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0909A (zh) * 2021-10-29 2022-01-11 俱朝 一种能够实时快速定位led大屏箱体故障系统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37553B (zh) 视频管理系统
JP6891170B2 (ja) ステムリソース利用を最適化するための映像セグメントの将来の視聴予測
KR101611388B1 (ko) 태그를 활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70040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media assets
US20170293673A1 (en) Applying geo-tags to digital media captured without location information
CN102804759A (zh) 图像相册创建
CN103814368A (zh) 用于媒体广播的自动的动态布局设计的系统和方法
EP3114905A1 (en) Intelligent lighting system with predictive maintenance schedul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1700614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rating and displaying social media content and related advertisements on display devices at live events
CN111368141B (zh) 视频标签的扩展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8809800B (zh) 一种多媒体数据处理方法及其设备、系统
KR101594554B1 (ko)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4301671B (zh) Hdfs中基于事件密集度的交通监控视频存储方法
KR20170007849A (ko)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18711B1 (ko)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30073574A1 (en) Rule-based metadata transformation and aggregation for programs
US20150098608A1 (en) Management of electronic racks
US20170220869A1 (en) Automatic supercut creation and arrangement
CN105340278A (zh) 自动前卷和后卷制作
US11817129B2 (en) 3D media elements in 2D video
US10284883B2 (en) Real-time data updates from a run down system for a video broadcast
de Abreu et al. Toward content-driven intelligent authoring of mulsemedia applications
CN104704480A (zh) 执行数据同步的终端和服务器
US20200175659A1 (en) Photograph with variable light source distribution
KR102523839B1 (ko) 객체 레이블링을 통한 사용자맞춤 이미지식별 딥러닝 모델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