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756B1 -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756B1
KR100767756B1 KR1020070072075A KR20070072075A KR100767756B1 KR 100767756 B1 KR100767756 B1 KR 100767756B1 KR 1020070072075 A KR1020070072075 A KR 1020070072075A KR 20070072075 A KR20070072075 A KR 20070072075A KR 100767756 B1 KR100767756 B1 KR 10076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server
signboard
auth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철
차진길
Original Assignee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노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노영철 filed Critical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기관들에 의해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전광판들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각 지역에 산재 되어 있는 전광판들; 동사무소, 구청, 시청, 소방서, 경찰서, 학교 등의 기관들의 담당자 PC로 이루어진 다수의 사용자들; 및 상기 전체 전광판들을 지역 등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화하고, 상기 사용자들에게 기관코드와 접근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접근가능한 전광판을 관리하고, 상기 전광판의 표출 순위를 정해주는 서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광판 관리시스템은 여러 사용자가 통신망을 이용하여 단수, 혹은 복수의 전광판 시스템을 공유함으로써 전광판 시스템의 고유기능인 홍보기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시간대별, 혹은 기간별로 여러 사용자가 전광판을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광판, 클라이언트-서버, 내용갱신, 통합관리, 권한, 차등

Description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ELECTRIC NOTICE BOAR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 USER}
본 발명은 광고나 홍보내용을 표시하는 전광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광판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기관들에 의해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전광판들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 전광판 시스템은 PC와 결합된 시리얼(RS-232) 케이블에 전광판을 연결하여 운영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PC에서 입력한 게시 데이터가 시리얼 통신으로 전광판에 전송되면 해당 전광판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입력이 완료되면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해당 게시내용을 표출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이와 같이 PC에 직접 연결되어 동작하는 전광판 시스템은 문자열, 이미지, 동영상 등에 제약 없이 다양한 종류의 게시 데이터를 전광판에 입력할 수 있지만, PC가 LED 전광판의 근거리에 위치해야 하므로 LED 전광판을 설치할 위치가 한정되고, 사용자가 여러 곳의 전광판을 동시에 운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인터넷망이나 무선통신망 등으로 다수의 전광판을 무선전광판 제어시스템에 연결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무선전광판 제어시스템에 접속하여 다수의 전광판을 원격지에서 운영하는 기술이 공개번호 특2003-0042828호로 공개된 바 있다. 또한 공개번호 10-2004-0107877호로 옥내 및 옥외 표시용 전광판의 표시정보를 무선통신망 가입자가 원하는 표시내용으로 예약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망을 통한 전광판 표시 제어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전광판 시스템은 전광판에 표출 데이터를 전송하면, 기존의 표출 데이터는 지워지고, 마지막으로 전송된 데이터만을 표출시키는 방식이므로 전광판을 제어할 수 있는 운영자가 한 곳으로 제한되고, 이에 따라 각 기관들이 분산된 지역에 다수의 전광판 장치들을 제작하여 설치해 놓았으나 엄청난 제작 설치 비용에 비하여 현재 운영되는 전광판의 활용 수준은 극히 미약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기관들에 의해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전광판들을 전체 기관들이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러 지역에 산재하여 설치되어 있는 전광판은 공공의 공익을 위한 서비스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전광판에 표시되는 내용은 필요에 따라 각 기관의 상급 기관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어야 하며, 전광판 제어 시스템의 사용자는 각각의 부여된 권한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전광판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사용자의 권한은 각 기관별로 차등화하여 부여되며, 부여된 권한의 순위(등급)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전광판의 범위와 동일 전광판에 대한 표출 순위가 달라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전광판 관리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가 동시에 원격으로 전광판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먼저 데이터를 전송한 운영자(예컨대, 구청 홍보과)의 표출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고, 두번째로 전송한 운영자(예 시청행정과)의 데이터를 첫번째 전송된 데이터 다음에 붙여 넣는 순차제어 프로그램 방식으로 첫번째 데이터와 두번째 데이터를 모두 순차적으로 표출시킴으로써 두 곳의 서로 다른 운영처의 정보를 표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원격 전송방식을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축하여 원격지 전광판을 전체, 그룹, 1;1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다중통신방식에서도 데이터 입출력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하였고, 서버에서 전체 전송을 통한 통제권을 부여하고, 그룹으로 구분 시 전체 통제권을 제외한 그룹 통제권을 부여받으며, 1:1 단위 사용자로 하여금 전체와 그룹의 통제를 받으면 서 단위 사용자의 표출내용을 전송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의 LED 전광판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관리 시스템은 각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전광판들; 동사무소, 구청, 시청, 소방서, 경찰서, 학교 등의 기관들의 담당자 PC로 이루어진 다수의 사용자들; 및 상기 전체 전광판들을 지역 등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화하고, 상기 사용자들에게 기관코드와 접근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접근 가능한 전광판을 관리하고, 상기 전광판의 표출 순위를 정해주는 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광판들은 상기 서버와 유선이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와 다수의 LED모듈들이 배열되어 문자, 그래픽, 이미지, 에니메이션, 동영상 등으로 된 게시내용을 표출하는 LED 모듈 에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LED 모듈 어레이를 구동하여 각종 게시내용을 표출하도록 하는 LED모듈 구동부; 표출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및 전광판 장치의 전체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전광판 상태를 상기 서버측으로 보고함과 아울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표출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스토리지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출을 요청한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해당 게시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출하도록 상기 LED모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광판들은 유지보수를 위해 운영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입력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관리 방법은 서버가 산재 되어 있는 전광판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화하고 접속주소를 부여한 후 전광판 관리 테이블에 기록하여 전광판을 등록하는 단계; 서버가 각 기관의 사용자들에게 기관코드와 접근코드를 부여하고 접근가능한 전광판목록을 정한 후 사용자 관리 테이블에 기록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된 사용자가 접속하면, 서버가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상기 사용자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하여 해당 권한에 따른 접근 가능한 전광판 목록과 게시내용 편집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게시내용 편집화면에서 게시내용을 입력받으면, 서버가 해당 게시내용을 해당 전광판에 전달하는 단계; 및 해당 전광판들이 게시요청자의 권한에 따라 해당 게시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광판 관리 테이블은 그룹ID와 개별ID로 이루어진 전광판 ID와, 통신을 위한 전광판 IP 주소와, 전광판의 설치 위치와 전광판 종류와 특성 등이 기록되고, 상기 전광판 종류는 LED 전광판, CRT 전광판, LCD 전광판 등 디스플레이 특성이나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문자 표출 가능, 그래픽 표출 가능, 이미지 표출 가능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사용자가 통신망을 이용하여 단수, 혹은 복수의 전광판 시스템을 공유함으로써 전광판 시스템의 고유기능인 홍보기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시간대별, 혹은 기간별로 여러 사용자가 전광판을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어린이보호구역의 속도제한 시간인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어린이보호구역에 관한 데이터를 표출하며, 이 시간 이후의 밤시간(오후 5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엔 관할 경찰서의 음주단속, 도난차량 등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전광판 시스템의 기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로에 설치된 전광판시스템은 평소에는 경찰서의 안전운전에 관한 데이터를 표출시키고, 화재 발생이 많은 9월부터 11월까지는 소방서의 불조심데이터를 동시에 표출시킬 수 있다. 이는 한 대의 전광판시스템을 여러 운영처(시청, 구청, 소방서, 경찰서 등)에서 동시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은 사용처(구청, 경찰서, 소방서)에서 PC를 통해 전송한 데이터를 시간대별, 기간별로 구분하여 전광판 표출 영역을 공유함으로써 전광판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저장된 문자열, 이미지, 동영상 등의 고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표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 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광판 장치의 세부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전광판들(200)과, 동사무소, 구청, 시청, 소방서, 경찰서, 학교,,, 등등의 기관들의 담당자 PC로 이루어진 사용자(300)와, 전체 전광판들을 지역 등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화하고 사용자들에게 기관코드와 접근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접근 가능한 전광판을 관리하고 전광판의 표출 순위를 정해주는 서버(100)로 구성된다. 서버(100)에는 전광판(200)과 사용자들(300)을 등록받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10)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광판들(200)은 A 내지 D로 그룹화되어 있고, 각 그룹은 n개의 개별 전광판들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들(300)은 서버(100)에 등록한 후 기관코드와 접속코드를 부여받아 허용된 전광판들에 대한 게시내용을 입력하고, 서버(100)는 산재된 전광판들을 등록하여 그룹으로 구분한 후 사용자로부터 해당 전광판에 대한 게시내용을 입력받으면 해당 전광판에 게시내용을 전달한다.
각 개별 전광판들(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와 유선이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210)와, 제어부(220), LED 구동부(230), 다수의 LED모듈들이 배열되어 문자, 그래픽, 이미지, 에니메이션, 동영상 등으로 된 게시내용을 표출하는 LED 모듈 에레이(240), 표출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250), 비상시 설정 등을 위해 운영자로부터 직접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60), 유지보수시에 운영자가 들고다니는 노트북 등과 직접 연결가능한 통신포트(262), 리모콘(272)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리모콘 수신부 (270)등으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 통신부(210)는 통신매체의 특성에 따라 xDSL 모뎀, 케이블 모뎀, CDMA 모듈, 전력선 모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서버(100)와 재어부(220)를 연결하여 서버(100)로부터 각종 게시내용이 포함된 표출 데이터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고, 제어부(220)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전달받아 서버(100)로 송신한다.
LED모듈 구동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LED 모듈 어레이를 구동하여 각종 게시내용을 표출함으로써 전광판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게시내용을 볼 수 있게 한다. 즉, LED모듈 구동부(230)는 LED모듈 어레이(240)의 열(가로), 행(세로) 위치에 맞게 정렬하고, 이 데이터를 RED, GREEN, BLUE LED의 밝기 값 형태인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LED모듈 어레이(240)에 전송한다. LED모듈 어레이(240)는 다수의 LED 모듈이 열(가로), 행(세로)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표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열 방향으로 1 ~ 64개까지의 연결이 가능하고 행 방향으로 1 ~ 8단까지 연결이 가능하다. 각 LED 모듈은 가로 16개, 세로 16개의 도트(dot)로 구성되고, 도트(dot)는 red, green, blue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250)는 대용량의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표출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 및 응용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어 있고, 입력부(260)는 키패드 등으로 구성되어 운영자의 직접 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리모콘 수신부(270)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220)에 전달함으로써 운영자의 리모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 포트(262)는 RS-232C 혹은 USB 포트로서 운영자가 들고 다니는 로컬 호스트 컴퓨터와 연결되어 응용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과 같은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220)는 입력부(260)나 리모콘(272)을 통한 사용자의 직접 제어를 처리하고, 전광판 장치의 전체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전광판 상태를 서버측으로 보고함과 아울러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표출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표출을 요청한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해당 게시내용을 LED 모듈 어레이(240)로 표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입력 데이터를 스토리지(250)에 저장하는 기능, 스토리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표출하도록 하는 스케줄링 기능, 표출할 데이터에 텍스트 폰트 변화, 텍스트 음영 추가, 반전 및 회전 같은 다양한 효과를 적용하는 애니메이션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관리시스템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전광판들(200)은 서버(100)에 등록되어 그룹화되고 각 개별 전광판들(200)을 구분하기 위한 전광판 아이디와 통신망(102)을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전광판 IP 주소가 할당된다. 그리고 각 전광판들(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기준으로 일치된 성능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광판들(200)을 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전광판들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광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테이블의 예는 다음 표 1과 같다.
그룹 ID 개별 ID 전광판 IP 주소 설치위치 전광판종류 특성
A 123 192.168.1.2 서울금천구독산1동 LED xxxx
A 124 192.168.1.3 사울금천구독산2동 LED xxxxx
... ..... ..... ..... ..... .....
... ..... ..... ..... ..... .....
상기 표1과 같이 전광판(200)은 그룹ID와 개별ID로 이루어진 전광판 ID를 할당받아 관리하고, 각 전광판(200)은 통신을 위한 전광판 IP 주소가 부여된다. 또한 전광판 관리테이블에는 전광판의 설치 위치가 기록됨과 아울러 전광판 종류, 특성 등이 기록된다. 전광판 종류는 LED 전광판, CRT 전광판, LCD 전광판 등 디스플레이 특성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문자 표출 가능, 그래픽 표출 가능, 이미지 표출 가능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으며 이들을 결합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특성은 전광판(200)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해상도, 이미지의 크기(픽셀), 표출 데이터 구성방식, 칼라, 흑백, 전광판의 물리적인 크기 등 전광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표시한다. 이러한 관리 테이블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어, 각 기관의 사용자를 등록한다. 사용자는 다음 표2와 같은 사용자 관리 테이블에 의해 관리할 수 있다.
기관코드 접근코드 (권한) 사용자IP주소 접근 가능한 전광판 운영자 ID 인증정보
A000 0001 192.170.2.1 192.168.1.1~192.168.1.254 leh21 xxx
A000 0002 192.170.2.2 192.168.5.1~192.168.5.190 lbc12 xxx
..... ..... ..... ..... .... ....
..... ..... ..... ..... .... ....
사용자 관리테이블에는 상기 표 1와 같이, 기관코드, 권한코드, 사용자 IP주소, 접근가능한 전광판, 운영자 ID, 인증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는데, 기관코드는 기관명에 따라 각 기관별로 하나씩 부여된다. 접근코드는 기관별 접근 권한을 나타내는 우선순위로서, 권한에 따라 접근 가능한 전광판과 동일 전광판에 대한 표출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고정 I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IP 주소를 기재 혹은 부여하고, 접근 권한에 따라 접근가능한 전광판ID 혹은 주소를 등록한다.
기관에 권한을 부여하는 예는 '시청 사용자'의 경우 '높은 권한'으로 부여하여 모든 전광판과 그룹전광판, 개별전광판 운영을 가능하게 하고, '구청 사용자'의 경우는 '중간 권한'으로 부여하여 해당 구청의 관할 지역에 있는 전광판 그룹과 그 그룹의 개별전광판 운영을 가능하게 하며, 동사무소 사용자의 경우 '낮은 권한'으로 부여하여 해당 동의 개별전광판만 운영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전광판과 사용자에 대한 등록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 1 내지 m이 기관코드와 접근코드로 서버에 접근하여 로그인하면, 사용자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접근가능한 접근제어 전광판 목록을 제공한다.
예컨대, '낮은 권한' 운영자가 로그인하면 서버는 해당 제어가능 전광판 리스트를 송신하고, '중간 권한' 운영자가 로그인하면 서버는 해당 제어가능 전광판 리스트를 송신하며, '높은 권한' 운영자가 로그인하면 서버는 전체 전광판 리스트를 송신한다.
각 사용자들은 자신에게 수신된 접근제어 전광판 목록에 따라 해당되는 전광판에 게시할 게시내용을 입력하고, 서버(100)로 내용 갱신을 요청한다. 서버(100)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해당 전광판(200)에 내용 갱신 메시지를 전송하여 내용 갱신을 지시하고, 전광판(200)은 전달된 게시내용을 스토리지(250)에 저장한 후 표출 요청이 중복될 경우에는 사용자 권한의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표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출한다.
이때, 낮은 권한 및 중간 권한을 가진 운영자는 리스트 업된 전광판으로의 전송만 가능하므로, 급한 상황일 때는 가장 높은 권한을 가진 운영자에게 송신요청을 통보하여 높은 권한의 운영자를 통하여 권한 밖의 전광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권한의 경찰서에서 도난차량 발생시에 서버를 통해 혹은 직접 최상위 기관인 시청 운영자의 승인으로 시 전체의 전광판에 긴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소방서에서 화재상황 발생시 동일한 방식으로 시 전체의 전광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전광판에 표시되고 있던 데이터는 비상시 전송한 문구가 먼저 표출된 다음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버의 세부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광판 등록 절차를 통해 산재된 전광판들을 상기 표1과 같이 그룹으로 분류하고, 전광판의 특성을 기술하는 전광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401).
이어 사용자 등록 절차를 통해 각 사용자들에게 기관코드와 접근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표2와 같은 사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402).
이와 같은 등록 절차가 완료된 후 사용자가 통신망(102)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면, 소정의 로그인 절차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을 통과하면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전광판 목록을 제공한다(S403~S405). 이때 사용자가 관할 전광판을 제어하기 위한 게시내용 편집화면을 제공하는데, 게시내용 편집 화면에는 게시내용이 문자, 그래픽, 이미지, 혹은 동영상인지를 나타내는 게시내용 구분 선택창과, 해당 게시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제공하고, 전체제어, 그룹제어, 개별 제어 등과 같은 제어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필드, 게시기간을 입력하기 위한 게시기간 입력필드 등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게시내용 입력이 끝난 후 사용자가 내용갱신을 요청하면, 도 8의 데이터 포맷과 같이 게시내용을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100)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형성한 후 표출 데이터를 전송한다(S406~S409). 도 8을 참조하면, 내용 갱신 메시지 포맷은 헤더와 게시내용, FCS로 구성되고, 헤더는 게시 요청자의 기관코드, 접근코드, 표출방식, 내용분류, 게시기간, 전광판 ID 등으로 구성된다. 표출방식은 개별표출방식과 그룹표출방식, 전체표출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내용분류는 게시내용이 문자, 그래픽, 이미지 혹은 동영상인지를 나타낸다.
한편, 내용 갱신 요청이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 동시에 접수되면, 상급권한 사용자의 게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하급권한 사용자의 게시요청은 폐기한 후 이를 하급기관에 통지한다(S408).
이어 갱신요청된 게시내용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광판ID의 전광판으로 전달하여 게시할 수 있게 한다(S409). 도 9는 게시내용을 서버(100)로부터 해당 전광판(200)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서, 내용갱신 메시지 포맷은 헤더, 게시내용, FCS로 구성되고, 헤더는 전광판 ID와 게시 요청자의 기관코드, 접근코드, 표출방식, 내용분류, 게시기간 등으로 구성된다. 표출방식은 개별표출방식과 그룹표출방식, 전체표출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내용분류는 게시내용이 문자, 그래픽, 이미지 혹은 동영상인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세부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사용자측 PC상에 탑재되어 동작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서버(1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서버(100)로부터 전광판 제어화면을 수신받아 표시한다(S501~503). 전광판 제어화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광판 게시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편집화면이 있고, 게시내용 편집(혹은 입력)이 완료된 후에는 비상게시인지를 판단하여 비상게시이면 서버(100)를 통해 상급기관에 비상 게시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해당 상급기관은 비상 게시 요청을 처리한다.
이어 게시내용 입력(편집)이 끝나면, 도 8과 같은 메시지 포맷을 형성하여 서버(100)로 내용갱신을 요청한다(S507).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광판의 세부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게시내용 표출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광판(200)은 통신포트(262)를 통해 운영자의 유지보수용 노트북이 연결되면 해당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전광판을 직접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고, 리모콘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리모콘의 조작을 해석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처리한다(S601~S604).
이어 서버(100)와 접속되면, 서버(100)와 통신하여 메시지를 분해한 후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내용 갱신 요청 메시지이면, 수신된 내용을 스토리지(250)의 표출 데이터 영역에 저장한다(S605~S608).
서버(100)와 통신하여 메시지를 분해한 후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제어 데이터 수신이면,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스토리지(250)의 제어 데이터 영역에 저장한다(S609~S610).
만일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상태보고 요청 메시지이면, 전광판 제어부(220)가 수집해 놓은 전광판 상태 데이터를 서버로 보고한다(S611,S612).
그리고 수신된 메시지가 비상 게시 내용이면, 현재 게시되는 내용은 일시 중지하고, 비상 게시내용을 표출한다(S613,S614).
이후 전광판(200)은 게시 제어 데이터에 따라 해당 표출 데이터 영역의 게시내용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모듈 어레이(240)에 표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광판(200)은 기관의 우선순위 등을 고려하여 표출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된 표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출 데이터 저장영역에는 A기관 내지 D기관의 게시내용이 저장되어 있고, 순차적으로 각 기관의 게시내용을 표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LED 전광판에 표출을 하기 위해서는 문자열,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표출 데이터와 각각의 표출 데이터를 표출하는 순서, 시간과 같은 스케줄 데이터, 깜박거림이나 상하반전과 같은 표출 방식 데이터가 필요하다. 제어 데이터의 저장된 표출 순서에 따라 해당되는 표출 데이터와 제어 명령을 스토리지(250)에서 불러오고, 스케줄 데이터에 따라 표출 데이터와 표출 방식을 조합하여 전송한다. 하나의 표출이 끝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저장된 표출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상기의 절차를 거쳐 표출하고, 저장된 표출 데이터를 모두 표출하였을 경우 처음 표출 데이터를 다시 표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광판 장치의 세부 구성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버의 세부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세부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광판의 세부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게시내용 표출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게시요청하는 데이터 포맷의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에서 서버가 전광판으로 게시요청하는 데이터 포맷의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통신망 100: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200: 전광판
210: 서버 통신부 220: 제어부
230: LED모듈 구동부 240: LED모듈 어레이
250: 스토리지 260: 입력부
270: 리모콘 수신부 300: 사용자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각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전광판들;
    동사무소, 구청, 시청, 소방서, 경찰서, 학교 등의 기관들의 담당자 PC로 이루어진 다수의 사용자들; 및
    상기 전체 전광판들을 지역 등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화하고, 상기 사용자들에게 기관코드와 접근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접근 가능한 전광판을 관리하고, 상기 전광판의 표출 순위를 정해주는 서버를 구비한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들은,
    상기 서버와 유선이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와,
    다수의 LED모듈들이 배열되어 문자, 그래픽, 이미지, 에니메이션, 동영상으로 된 게시내용을 표출하는 LED 모듈 어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LED 모듈 어레이를 구동하여 각종 게시내용을 표출하도록 하는 LED모듈 구동부;
    표출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전광판 장치의 전체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전광판 상태를 상기 서버측으로 보고함과 아울러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표출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스토리지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출을 요청한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해당 게시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출하도록 상기 LED모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유지보수를 위해 운영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입력수단;
    리모콘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에 전달함으로써 운영자의 리모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리모콘 수신부; 및
    RS-232C 혹은 USB 포트로서 운영자가 들고 다니는 로컬 호스트 컴퓨터와 연결되어 응용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포함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통신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서버가 산재 되어 있는 전광판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화하고 접속주소를 부여한 후 전광판 관리 테이블에 기록하여 전광판을 등록하는 단계;
    서버가 각 기관의 사용자들에게 기관코드와 접근코드를 부여하고 접근가능한 전광판목록을 정한 후 사용자 관리 테이블에 기록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된 사용자가 접속하면, 서버가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상기 사용자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하여 해당 권한에 따른 접근 가능한 전광판 목록과 게시내용 편집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게시내용 편집화면에서 게시내용을 입력받으면, 서버가 해당 게시내용을 해당 전광판에 전달하는 단계; 및
    해당 전광판들이 게시요청자의 권한에 따라 해당 게시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출하는 단계를 구비한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 관리 테이블은,
    그룹ID와 개별ID로 이루어진 전광판 ID와, 통신을 위한 전광판 IP 주소와, 전광판의 설치 위치와 전광판 종류와 특성이 기록되고,
    상기 전광판 종류는 LED 전광판, CRT 전광판, LCD 전광판으로서 디스플레이 특성이나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문자 표출 가능, 그래픽 표출 가능, 이미지 표출 가능으로 구분하며,
    상기 특성은 해당 전광판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해상도, 이미지의 크기, 표출 데이터 구성방식, 칼라, 흑백, 전광판의 물리적인 크기를 구분하여 전광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관리 테이블은,
    기관명에 따라 각 기관별로 하나씩 부여되는 기관코드와, 접근전광판의 범위를 나타내는 권한코드와, 사용자 IP주소와, 접근 가능한 전광판ID와, 운영자 ID, 인증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권한에 따라 접근 가능한 전광판과 동일 전광판에 대한 표출 우선순위가 결정되며,
    상기 게시내용 편집 화면에는 게시내용이 문자, 그래픽, 이미지, 혹은 동영상인지를 나타내는 게시내용 구분 선택창과, 해당 게시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제공하고, 전체제어, 그룹제어, 개별제어로 구분되는 제어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필드, 게시기간을 입력하기 위한 게시기간 입력필드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방법.
KR1020070072075A 2007-07-19 2007-07-19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0767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075A KR100767756B1 (ko) 2007-07-19 2007-07-19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075A KR100767756B1 (ko) 2007-07-19 2007-07-19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756B1 true KR100767756B1 (ko) 2007-10-17

Family

ID=3881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075A KR100767756B1 (ko) 2007-07-19 2007-07-19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7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345B1 (ko) 2008-01-22 2008-06-17 노영철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회동 전광판
KR101304375B1 (ko) * 2011-10-19 2013-09-11 (주)코셈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자현미경의 제어방법
CN105137839A (zh) * 2015-08-18 2015-12-09 银江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内存数据库的云台控制方法及其系统
KR20200051221A (ko) * 2018-11-05 2020-05-13 옴니비스타주식회사 광고 앱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2318711B1 (ko) * 2021-06-07 2021-10-28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73198B1 (ko) 2023-02-24 2023-09-01 와우하우스 주식회사 사용자 참여 기반의 미디어월 서비스 운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710A (ko) * 2001-03-21 2002-10-04 (주)한일디스플레이 전광판의 다중운영 시스템
KR20040027581A (ko) * 2004-02-13 2004-04-01 곽경자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정보관리 형태의 전광판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710A (ko) * 2001-03-21 2002-10-04 (주)한일디스플레이 전광판의 다중운영 시스템
KR20040027581A (ko) * 2004-02-13 2004-04-01 곽경자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정보관리 형태의 전광판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345B1 (ko) 2008-01-22 2008-06-17 노영철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회동 전광판
KR101304375B1 (ko) * 2011-10-19 2013-09-11 (주)코셈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자현미경의 제어방법
CN105137839A (zh) * 2015-08-18 2015-12-09 银江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内存数据库的云台控制方法及其系统
KR20200051221A (ko) * 2018-11-05 2020-05-13 옴니비스타주식회사 광고 앱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2183828B1 (ko) * 2018-11-05 2020-11-27 옴니비스타 주식회사 광고 앱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2318711B1 (ko) * 2021-06-07 2021-10-28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73198B1 (ko) 2023-02-24 2023-09-01 와우하우스 주식회사 사용자 참여 기반의 미디어월 서비스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756B1 (ko)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112437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co-located operations data for an electronic display
US20070206001A1 (en) Interactive electronic directory service, public information and general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CN104766024A (zh) 基于云平台的医疗系统病例信息存储调用方法
CN106530155A (zh) 一种高校教学事务管理系统
CN105278903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以及服务器
CN204390685U (zh) 一种三屏显示的互动网络式广告机
CN107660301B (zh) 电子显示板及与其相关联的系统和方法
CN110457891A (zh) 一种权限配置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以及存储介质
US20100007590A1 (en) Method for arranging light emitting diode module, data converting method for displaying moving picture by using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data converting apparatus therefor
KR20000054805A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광고방법 및 복합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1996540A (zh) 一种多媒体终端机互动系统
CN104834361B (zh) 可视化导播系统及方法
CN103116719A (zh) 一种led控制方法和控制系统
WO2012101499A2 (en) Display scree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CN109726999A (zh) 一种家政服务卡管理系统
CN106096693A (zh) 基于二维码的团队成员信息展示装置
CN203659399U (zh) 信息发布系统以及出租车管理与广告发布系统
CN115150588A (zh) 智慧大屏显示管理系统和电厂智慧大屏显示管理系统
CN100412918C (zh) 地址码控制的发光二极管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CN207424920U (zh) 基于互联网的施工现场人员信息管理系统
US201500587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vent Information
KR101844183B1 (ko) 다중 광고 영역의 재임대가 가능한 다중 광고 시스템
KR20020008989A (ko)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 전광판 표시 장치 및 광고 활용 방식
KR20050035305A (ko) 광고표시장치가 구비된 무선랜 기지국을 이용한 무선랜서비스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