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15Y1 -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15Y1
KR200489515Y1 KR2020180004412U KR20180004412U KR200489515Y1 KR 200489515 Y1 KR200489515 Y1 KR 200489515Y1 KR 2020180004412 U KR2020180004412 U KR 2020180004412U KR 20180004412 U KR20180004412 U KR 20180004412U KR 200489515 Y1 KR200489515 Y1 KR 200489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unit
image
module
sig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현
Original Assignee
신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현 filed Critical 신대현
Priority to KR2020180004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04N5/2351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Abstract

본 고안은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전광판 상부에 설치되어 전광판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이 발생한 전광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광판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프레임과 연결되는 광각 렌즈를 가진 카메라를 통해 전광판에서 화면에 해당하는 도트 매트릭스 모듈의 전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왜곡 보정 및 보상을 수행한 후 미리 설정된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이상이 발생한 블록을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광판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전광판의 고장 발생시 원격지의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전광판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고장이 발생한 전광판만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고장이 발생한 전광판에 대해서만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다수의 전광판 관리에 대한 관리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electric sign board}
본 고안은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전광판 상부에 설치되어 전광판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이 발생한 전광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로 주변이나 건물 옥상에서 전광판이 운용되고 있으며, 상기 전광판은 각종 광고나 교통 상황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최근 LED(Light Emitting Diode)의 발전과 더불어 상기 LED를 이용한 도트 매트릭스(dot matrix) 모듈로 구성된 LED 전광판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LED 전광판은 하나의 도트(dot)를 단위 픽셀(pixel)로 구성하고 상기 단위 픽셀을 하나 이상의 LED로 구성하여 상기 LED의 제어를 통해 단색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그림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광판은 대부분 야외에 배치된 지주에 설치되어 야외의 열악한 상황에 노출되므로, 일부 픽셀이나 픽셀들로 구성된 단위 블록에서 오작동이나 파손 등과 같은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에 따라 고장이 발생하는 전광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에는 관리자가 직접 전광판이 설치된 현장으로 이동하여 전광판의 고장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전광판을 관리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다수의 전광판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인건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직접 현장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광판을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관리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CCTV로 전광판 전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별도의 지주를 세우거나 전광판에 수직 방향의 지주를 세워 CCTV를 설치해야 하고, 전광판에 연결되는 지주에 설치된 통신선에 대한 작업이 요구되는데 기 설치된 통신선에 대한 작업 과정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수리 비용이 상당하므로 원격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3750호
본 고안은 전광판이나 전광판과 연결되는 각종 선로에 대한 변경 없이도 용이하게 전광판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전광판의 고장 발생시 고장 관련 정보를 전광판과 원거리에 위치하는 서버에 통지하여 다수의 전광판에 대한 원격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다수의 전광판 관리에 대한 효율성 및 편의성을 보장하면서도 인건비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트 매트릭스 모듈을 포함하는 전광판의 고장을 감시하기 위한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는, 일부가 상기 전광판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광판의 상부에 결합 구성되는 프레임부와, 미리 설정된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전광판의 상기 도트 매트릭스 모듈로 구성된 화면을 촬영하는 광각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광각 영상을 왜곡 보정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 영상에 대한 직선화 보상을 통해 생성한 최종 영상에서 전광판의 상기 화면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화면 영역을 미리 설정된 크기의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특정 블록이 검출되어 고장 판단시 미리 설정된 상기 전광판 관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광판의 고장 발생 통지를 위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신부, 제어부 및 카메라부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프레임부는 일부가 상기 전광판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일부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전광판의 상부에 결합 구성되는 제 1 프레임 및 상기 카메라부의 광각 렌즈가 상기 전광판의 상기 화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연장 구성되며 일단에 상기 카메라부가 결합 구성되는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을 대상으로 상호 인접한 복수의 블록 상호 간을 비교하여 특정 블록에서 인접 블록과 색상 차이가 발생하거나 상호 인접한 복수의 블록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될 때 다른 하나의 특정 블록이 소등되는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상기 특정 블록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전광판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을 대상으로 특정 블록에서 점등 또는 소등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이상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특정 블록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전광판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블록에 이상 발생시 상기 특정 블록을 대상으로 다시 상기 특정 블록의 크기보다 작은 복수의 단위 블록으로 분할한 후 상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블록 대신 복수의 단위 블록을 대체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이 발생하는 특정 단위 블록이 검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전광판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 초기에 상기 전광판의 도트 매트릭스 모듈을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를 누적 저장하여 누적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를 기초로 학습하고, 상기 학습을 기초로 상기 도트 매트릭스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단위 모듈 중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듈과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모듈을 식별하여 이에 대한 상태 설정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최종 영상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표시해야 하는 단위 모듈이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단위 모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해당 단위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검출하고, 상기 이상 발생 모듈 검출시 상기 전광판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광판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프레임과 연결되는 광각 렌즈를 가진 카메라를 통해 전광판에서 화면에 해당하는 도트 매트릭스 모듈의 전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왜곡 보정 및 보상을 수행한 후 미리 설정된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이상이 발생한 블록을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광판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전광판의 고장 발생시 원격지의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전광판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고장이 발생한 전광판만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고장이 발생한 전광판에 대해서만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다수의 전광판 관리에 대한 관리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의 구성 실시예 관련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100)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100)는 화면을 출력하는 도트 매트릭스(dot matrix)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광판(1)의 상부 또는 상면에 전광판과 가깝게 결합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광판(1)에 대한 영상을 통해 상기 전광판(1)의 고장을 검출하고, 고장 검출시 이를 미리 설정된 관리 서버(200)로 통신망을 통해 통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100)는 일부가 상기 전광판(1)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광판(1)의 상부에 결합 구성되는 프레임부(110)와, 미리 설정된 관리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13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광판(1)을 촬영한 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부(120)와, 상기 카메라부(12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 분석을 통해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발생시 상기 관리 서버(200)로 통지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광판(1)의 도트 매트릭스 모듈을 구성하는 단일 도트(dot)는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외의 다양한 발광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20)는 광각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14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전광판(1)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상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일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단에 구성된 카메라부(120)의 광각 렌즈는 상기 전광판(1)의 상부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방향으로 상기 전광판(1)의 도트 매트릭스 모듈로 구성된 화면을 광각으로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20)가 상기 전광판(1)과 최대한 인접하도록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는 일부가 상기 전광판(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일부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전광판(1)의 상부 또는 상면에 결합 구성되는 제 1 프레임(111)과, 상기 카메라부(120)의 광각 렌즈가 상기 전광판(1)의 도트 매트릭스 모듈로 구성되는 화면(또는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연장 구성되며 일단에 상기 카메라부(120)가 결합 구성되는 제 2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도 3(b)의 프레임부(110) 구성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단에 연결되는 카메라부(120)의 광각 렌즈가 상기 전광판(1)의 화면을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에 상기 도트 매트릭스 모듈 관련 영역이 더 넓게 나타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장 발생 여부가 더욱 정확하게 검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부 중 통신부(130), 카메라부(120) 및 제어부(14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130)는 널리 알려진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관리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유무선 통신 방식의 일례로,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LoRa(Long Range),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2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전광판(1)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관리 서버(200)로 통지함으로써, 관리자가 다수의 전광판(1)을 일일이 방문하여 육안으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원거리에서 고장이 발생한 전광판(1)을 식별하고 고장이 발생한 전광판(1)에 대해서만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제어부(140)의 전광판(1)의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동작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20)로부터 광각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120)의 광각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왜곡된 영상이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에 대한 왜곡 보정을 수행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보정 영상에서 전광판(1) 관련 영역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보정 영상에서 외곽선 추출을 통해 상기 보정 영상에 나타나는 객체를 식별하고, 미리 설정된 전광판(1) 관련 객체 정보에 따라 상기 보정 영상에서 상기 전광판(1)에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객체 정보를 기초로 전광판(1)의 외곽선이 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보정 영상에서 전광판(1)에 대응되는 객체 영역의 외곽선을 상기 객체 정보에 따라 직선 형태로 보상하고 이러한 상기 보정 영상에 대한 직선화 보상을 통해 최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최종 영상에서 상기 전광판(1)에 대응되는 객체 영역 중 화면에 해당되는 화면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화면 영역을 미리 설정된 크기의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블록을 검출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록을 대상으로 상호 인접한 복수의 블록 상호 간을 비교하여 특정 블록에서 인접 블록과 색상 차이가 발생하거나 상호 인접한 복수의 블록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될 때 다른 하나의 특정 블록이 소등되는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상기 특정 블록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전광판(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록을 대상으로 특정 블록에서 점등 또는 소등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이상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특정 블록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전광판(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은 도트 매트릭스의 도트 또는 픽셀 단위로 설정될 수 있으나, 블록이 작을수록 상기 제어부(140)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140)에 설정되는 블록의 크기를 복수의 도트 또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도록 크게 설정하여 제어부(14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특정 블록에 이상 발생시 상기 특정 블록을 대상으로 다시 상기 특정 블록의 제 1 크기보다 작은 미리 설정된 제 2 크기의 복수의 단위 블록으로 분할한 후 상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블록 대신 상기 복수의 단위 블록을 대체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이 발생하는 특정 단위 블록이 검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전광판(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40)는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된 특정 블록을 세분화하여 이상 여부를 재확인함으로써, 전광판(1)의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상기 제어부(140)는 동작 초기에 상기 전광판(1)의 도트 매트릭스 모듈을 통해 표시(표출)되는 이미지를 누적 저장하여 누적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를 기초로 학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학습을 기초로 상기 도트 매트릭스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단위 모듈 중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듈과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동작 초기에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과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에 대한 상태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이미지를 항상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과 이미지를 항상 표시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에 대해 상기 상태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모듈은 상기 도트 매트릭스 모듈의 픽셀 또는 블록을 구성할 수 있으며, LED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상태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최종 영상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표시해야 하는(동작이 되어야 하는) 단위 모듈이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동작을 하지 않는) 단위 모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동작하는) 경우 해당 단위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검출하고, 상기 이상 발생 모듈 검출시 상기 전광판(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광판(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미리 설정된 상기 전광판(1) 관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광판(1)의 고장 발생 통지를 위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자동 활성화되어 상술한 구성에 따라 전광판(1)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40)는 비활성화시 슬립(sleep) 모드로 동작하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하고, 슬립 모드로 전환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때 웨이크 업(wake-up) 모드로 전환하여 자동 활성화한 후 상기 카메라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을 기초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여부의 판단이 완료된 경우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은 전광판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프레임과 연결되는 광각 렌즈를 가진 카메라를 통해 전광판에서 화면에 해당하는 도트 매트릭스 모듈의 전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왜곡 보정 및 보상을 수행한 후 미리 설정된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이상이 발생한 블록을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광판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전광판의 고장 발생시 원격지의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전광판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고장이 발생한 전광판만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고장이 발생한 전광판에 대해서만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다수의 전광판 관리에 대한 관리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광판이나 전광판과 연결되는 각종 선로에 대한 변경 없이도 용이하게 전광판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 전광판의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구성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광판 100: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110: 프레임부 120: 카메라부
130: 통신부 140: 제어부
150: 전원부

Claims (7)

  1. 도트 매트릭스 모듈을 포함하는 전광판의 고장을 감시하기 위한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일부가 상기 전광판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광판의 상부에 결합 구성되는 프레임부;
    미리 설정된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전광판의 상기 도트 매트릭스 모듈로 구성된 화면을 촬영하는 광각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광각 영상을 왜곡 보정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 영상에 대한 직선화 보상을 통해 생성한 최종 영상에서 상기 전광판의 화면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화면 영역을 미리 설정된 크기의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특정 블록이 검출되어 고장 판단시 상기 전광판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광판의 고장 발생 통지를 위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동작 초기에 상기 전광판의 도트 매트릭스 모듈을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를 누적 저장하여 누적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를 기초로 학습하고, 상기 학습을 기초로 상기 도트 매트릭스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단위 모듈 중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듈과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모듈을 식별하여 이에 대한 상태 설정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최종 영상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표시해야 하는 단위 모듈이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단위 모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해당 단위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검출하고, 상기 이상 발생 모듈 검출시 상기 전광판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제어부 및 카메라부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일부가 상기 전광판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일부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전광판의 상부에 결합 구성되는 제 1 프레임; 및
    상기 카메라부의 광각 렌즈가 상기 전광판의 상기 화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연장 구성되며 일단에 상기 카메라부가 결합 구성되는 제 2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을 대상으로 상호 인접한 복수의 블록 상호 간을 비교하여 특정 블록에서 인접 블록과 색상 차이가 발생하거나 상호 인접한 복수의 블록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될 때 다른 하나의 특정 블록이 소등되는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상기 특정 블록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전광판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을 대상으로 특정 블록에서 점등 또는 소등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이상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특정 블록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전광판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블록에 이상 발생시 상기 특정 블록을 대상으로 다시 상기 특정 블록의 크기보다 작은 복수의 단위 블록으로 분할한 후 상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블록 대신 복수의 단위 블록을 대체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이 발생하는 특정 단위 블록이 검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전광판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7. 삭제
KR2020180004412U 2018-09-21 2018-09-21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KR200489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12U KR200489515Y1 (ko) 2018-09-21 2018-09-21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12U KR200489515Y1 (ko) 2018-09-21 2018-09-21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15Y1 true KR200489515Y1 (ko) 2019-06-28

Family

ID=6700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412U KR200489515Y1 (ko) 2018-09-21 2018-09-21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1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583B1 (ko) * 2019-08-26 2020-11-26 (주)에스앤티 버스 정보 안내기
KR102206366B1 (ko) * 2020-02-24 2021-01-22 (주)컴텔싸인 출력화면 자동 제어 기능과 주변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능동형 대형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102286470B1 (ko) * 2020-05-26 2021-08-04 박영기 원본 영상 정보 및 표출 촬상 정보 유사도 분석을 통한 led 디지털 사이니지 불량 감지 시스템
KR102318711B1 (ko) * 2021-06-07 2021-10-28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31452A (ko) * 2021-08-27 2023-03-07 뱀부스 주식회사 교통표지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508378B1 (ko) 2022-11-22 2023-03-09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하이브리드 제어 카드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전광판 캐비닛 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304A (ko) * 2002-05-01 2002-05-25 이영재 대형 옥외 광고물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60358B1 (ko) * 2008-02-18 2008-09-25 주식회사 래도 가변 정보 표지판의 픽셀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00109251A (ko) * 2009-03-31 2010-10-08 (주)원테크놀로지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휘도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0257A (ko) * 2009-10-01 2010-11-15 (주)유디에스 엘이디전광판의 엘이디화소 검사장치 및 방법
KR20110003750A (ko) 2009-07-06 2011-01-13 주식회사 아이딘컴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led 전광판 시스템
KR20130077933A (ko) * 2011-12-30 2013-07-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ctv를 이용한 영상 정보 분석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80053465A (ko) * 2016-11-11 2018-05-23 주식회사 로스텍 Led 전광판 제어 방법,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led 전광판 콘트롤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304A (ko) * 2002-05-01 2002-05-25 이영재 대형 옥외 광고물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60358B1 (ko) * 2008-02-18 2008-09-25 주식회사 래도 가변 정보 표지판의 픽셀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00109251A (ko) * 2009-03-31 2010-10-08 (주)원테크놀로지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휘도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3750A (ko) 2009-07-06 2011-01-13 주식회사 아이딘컴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led 전광판 시스템
KR20100120257A (ko) * 2009-10-01 2010-11-15 (주)유디에스 엘이디전광판의 엘이디화소 검사장치 및 방법
KR20130077933A (ko) * 2011-12-30 2013-07-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ctv를 이용한 영상 정보 분석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80053465A (ko) * 2016-11-11 2018-05-23 주식회사 로스텍 Led 전광판 제어 방법,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led 전광판 콘트롤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583B1 (ko) * 2019-08-26 2020-11-26 (주)에스앤티 버스 정보 안내기
KR102206366B1 (ko) * 2020-02-24 2021-01-22 (주)컴텔싸인 출력화면 자동 제어 기능과 주변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능동형 대형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102286470B1 (ko) * 2020-05-26 2021-08-04 박영기 원본 영상 정보 및 표출 촬상 정보 유사도 분석을 통한 led 디지털 사이니지 불량 감지 시스템
KR102318711B1 (ko) * 2021-06-07 2021-10-28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디스플레이 영상 관리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31452A (ko) * 2021-08-27 2023-03-07 뱀부스 주식회사 교통표지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644648B1 (ko) 2021-08-27 2024-03-08 뱀부스 주식회사 교통표지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508378B1 (ko) 2022-11-22 2023-03-09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하이브리드 제어 카드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전광판 캐비닛 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515Y1 (ko) 전광판 모니터링 장치
KR102206366B1 (ko) 출력화면 자동 제어 기능과 주변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능동형 대형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101113910B1 (ko) 엘이디전광판의 엘이디화소 검사장치
CN102184694B (zh) 采用视频图像和/或数码照片监测室外显示屏的系统和方法
KR101928426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휘도 제어 방법
KR102330949B1 (ko) 스마트 엘이디 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출력 방법
KR101427748B1 (ko) Led 전광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전광판 모니터링 시스템
US20150254046A1 (en) Multi-Panel Display with Hot Swappable Display Panels and Methods of Servicing Thereof
KR101922850B1 (ko) Led 전광판 제어 방법,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led 전광판 콘트롤러
US20220406242A1 (en)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949516B1 (ko) 엘이디 전광판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CN104200775A (zh) Led坏点处理方法
US11347466B2 (en) Wireless content delivery for a tiled LED display
KR102180594B1 (ko) 곡면설치용 모듈과 프레임이 구비된 엘이디 전광판
EP3786933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958860B1 (ko) Led 전광판의 구동장치
KR20160122300A (ko) 가로등용 분전함의 누전관리시스템
CN102097046B (zh) 画面调整方法、装置和系统
KR101477013B1 (ko) 전광판 영상데이터 오류복구장치 및 그 방법
KR101654082B1 (ko)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2222466B (zh) 一种直接恢复的led控制系统
WO2004042690A1 (en) Display unit with light emitting diode (led) for display billboards and method thereof
CN209000449U (zh) 一种节能型高速公路可变信息标志
US95527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display device pixels using photon collection
KR101366847B1 (ko) 환경자동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최적화 멀티 led전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