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082B1 -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082B1
KR101654082B1 KR1020150126050A KR20150126050A KR101654082B1 KR 101654082 B1 KR101654082 B1 KR 101654082B1 KR 1020150126050 A KR1020150126050 A KR 1020150126050A KR 20150126050 A KR20150126050 A KR 20150126050A KR 101654082 B1 KR101654082 B1 KR 10165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unit
led module
key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주) 한일디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일디엔에스 filed Critical (주) 한일디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12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05B33/0815
    • H05B33/0833
    • H05B33/0845
    • H05B37/0245
    • F21Y2105/00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로 단위의 LED모듈이 배열된 전광판에서 특정의 LED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전광판의 작동을 제어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중앙처리부에서 특정 LED모듈의 휘도 조절을 위하여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의 좌표 및 휘도 보정값을 각각 초기화하는 단계; (b)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키입력부에서 특정 LED모듈의 선택을 위한 상하좌우의 좌표 이동 키가 입력되면 중앙처리부는 전송부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에 좌표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서브컨트롤유닛의 위치선택부는 영상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좌표신호를 추출하여 플래시 제어부를 통해 표출부에서 해당하는 LED모듈이 점멸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키입력부에서 선택된 LED모듈의 휘도 조절을 위한 페이지 업/다운 키가 입력되면 중앙처리부는 전송부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에 보정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서브컨트롤유닛의 보정값선택부는 영상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보정신호를 추출하여 보정값저장부에 저장한 후 표출부에서 해당하는 LED모듈의 휘도가 보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전광판의 단위모듈 교체에 따른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ontrol Brightness of Unit Module of Electronic Display and Apparatus therof}
본 발명은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를 제어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단위의 LED모듈이 배열된 전광판에서 특정의 LED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광판은 여러 개의 전구를 평면에 배열하고 전류를 통하여 그림이나 문자 따위가 나타나도록 만든 판으로 전광게시판이라고도 한다.
도 1에서, 전광판의 작동 제어는 컴퓨터시스템(1)에서 메인컨트롤유닛(Main Control Unit, MCU)(10)을 통해 복수의 서브컨트롤유닛(Sub Control Unit, SCU)(20~20n)을 거쳐 복수의 단위모듈, 즉 LED모듈(30~30n)을 제어한다. LED모듈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색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LED(발광다이오드)가 주로 적용된다. LED는 RGB(Red, Green, Blue)를 표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색상을 표시하는 화소단위로 적용되거나 단일의 LED로 RGB를 표현하기도 한다.
서브컨트롤유닛(SCU)은 메인컨트롤유닛(MCU)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지정된 ID에 해당하는 영역의 영상데이터를 영상메모리에 저장하고, 이 영상데이터를 읽어 LED모듈에 고속으로 표출하는 것이다. 더욱이 서브컨트롤유닛(SCU)은 영상데이터에 부가된 ID를 추출하여 표출해야 할 영역을 선택한 후 영상을 저장 및 표출한다.
따라서 서브컨트롤유닛(20~20n)은 메인컨트롤유닛(10)에서 케이블을 통해 수신한 미약한 영상신호를 증폭하고 시리얼데이터(Serial Data)를 저장하고 표출할 수 있도록 패러럴데이터(Parallel Data)로 변환하는 영상입력부(21)와, 상기 영상입력부(21)에서 변환된 패러럴데이터의 영상신호를 다른 서브컨트롤유닛(20n)에 재전송할 수 있도록 시리얼데이터로 변환하고 케이블드라이버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출력부(25)와, 상기 영상입력부(21)에서 수신된 영상신호 중에서 ID선택부(26)에서 지정한 영역의 영상을 선택하여 영상메모리(25)에 저장하는 영상저장부(22)와, 표출할 영역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고속으로 동작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영상메모리(23)와, 복수의 LED를 동시에 제어하여 영상을 표출하고 각각의 LED에 영상데이터에 해당하는 밝기로 표출되도록 고속으로 제어하며 복수의 LED모듈(30)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메모리(23)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LED모듈(30)을 통해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표출부(24)와, 상기 영상입력부(2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지정된 ID만을 선택하여 영상저장부(22)로 출력하여 저장할 영상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ID선택부(26)를 포함한다.
종래에 복수의 LED모듈이 결합된 LED전광판은 장시간 사용하는 동안 일부 LED모듈의 열화나 고장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더욱이 LED의 특성상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LED모듈의 밝기는 사용하지 않은 LED모듈에 비하여 현저하게 어둡게 마련이다. 따라서 특정의 LED모듈이 열화되거나 고장 발생으로 새 LED모듈로 교체하게 되면 교체한 LED모듈의 밝기가 주변의 LED모듈보다 밝으므로 전광판 전체 화면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9241호(2011.04.18.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4648호(2014.03.17.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LED모듈이 상하좌우로 배열 결합된 전광판에서 특정의 LED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듈의 밝기를 조절하여 보정하며, 이 보정값을 저장하여 전광판을 재가동하였을 때에도 조절된 보정값이 적용된 모듈의 휘도를 표출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광판의 작동을 제어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중앙처리부에서 특정 LED모듈의 휘도 조절을 위하여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의 좌표 및 휘도 보정값을 각각 초기화하는 단계; (b)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키입력부에서 특정 LED모듈의 선택을 위한 상하좌우의 좌표 이동 키가 입력되면 중앙처리부는 전송부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에 좌표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서브컨트롤유닛의 위치선택부는 영상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좌표신호를 추출하여 플래시 제어부를 통해 표출부에서 해당하는 LED모듈이 점멸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키입력부에서 선택된 LED모듈의 휘도 조절을 위한 페이지 업/다운 키가 입력되면 중앙처리부는 전송부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에 보정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서브컨트롤유닛의 보정값선택부는 영상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보정신호를 추출하여 보정값저장부에 저장한 후 표출부에서 해당하는 LED모듈의 휘도가 보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키입력부는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의 초기 좌표로부터 x축 좌표의 좌우측 이동을 위하여 좌측 키(←)와 우측키(→)가 각각 선택 적용되고,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의 초기 좌표로부터 y축 좌표의 상하측 이동을 위하여 상측 키(↑)와 하측 키(↓)가 각각 선택 적용되며, LED모듈의 선택을 위하여 x축 좌표와 y축 좌표로 이동된 후 현재 이동된 좌표의 LED모듈의 확인 위하여 스페이스 바(Space Bar)가 선택 적용되고, 선택된 LED모듈의 초기 휘도 보정값으로부터 휘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페이지 업 키(PgUp)와 페이지 다운 키(PgDn)가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휘도 보정값의 출력신호로 입력신호 x 보정값으로 산출하여 영상신호로 적용하되, 휘도 보정값이 1이면 최대 밝기로 표출되도록 하고, 휘도 보정값이 0.5이면 1/2의 밝기로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컨트롤유닛에서 케이블을 통해 수신한 미약한 영상신호를 증폭하고 시리얼데이터(Serial Data)를 저장하고 표출할 수 있도록 패러럴데이터(Parallel Data)로 변환하는 영상입력부와,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변환된 패러럴데이터의 영상신호를 다른 서브컨트롤유닛에 재전송할 수 있도록 시리얼데이터로 변환하고 케이블드라이버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와,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수신된 영상신호 중에서 ID선택부에서 지정한 영역의 영상을 선택하여 영상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저장부와, 표출할 영역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고속으로 동작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영상메모리와, 복수의 LED를 동시에 제어하여 영상을 표출하고 각각의 LED에 영상데이터에 해당하는 밝기로 표출되도록 고속으로 제어하며 복수의 LED모듈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LED모듈을 통해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표출부와,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지정된 ID만을 선택하여 영상저장부로 출력하여 저장할 영상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ID선택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컨트롤유닛을 포함하는 전광판에 있어서,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보정값만을 추출하는 보정값선택부와, 상기 보정값선택부에서 입력된 보정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보정값저장부와,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출력된 영상신호 중에서 보정할 LED모듈의 좌표만을 추출하여 플래시제어부로 출력하는 위치선택부와, 상기 위치선택부에서 선택된 모듈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키는 플래시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정값저장부는 서브컨트롤유닛의 전원이 온/오프 때에도 휘도 보정값이 삭제되지 않고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플래시제어부는 LED모듈의 점멸주기로 0.5~1초 동안 점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광판의 단위모듈의 열화나 고장으로 인하여 교체한 후에 교체한 단위모듈을 키입력부의 방향 키의 선택으로 해당 단위모듈이 점멸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단위모듈의 쉽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단위모듈의 선택 후에 키입력부의 페이지 업/다운키의 선택으로 인접한 주변 단위모듈과 동일한 휘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광판 전체 화면의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어 전광판의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광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전광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에서 서브컨트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단위모듈의 선택을 좌표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컴퓨터시스템(100)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광판의 작동을 제어한다. 컴퓨터시스템(100)은 제어신호를 메인컨트롤유닛(10)으로 전송하고, 메인컨트롤유닛은 복수의 서브컨트롤유닛(20~20n)으로 전송하며, 서브컨트롤유닛은 상하좌우 일정 면적으로 복수 배열된 LED모듈(30~30n)로 영상신호를 각각 전송하여 LED모듈에서 각종의 영상, 문서 또는 그래픽 등을 표출한다.
먼저, 복수의 서브컨트롤유닛(20) 각각은 메인컨트롤유닛(10)에서 케이블을 통해 수신한 미약한 영상신호를 증폭하고 시리얼데이터(Serial Data)를 저장하고 표출할 수 있도록 패러럴데이터(Parallel Data)로 변환하는 영상입력부(21)와, 상기 영상입력부(21)에서 변환된 패러럴데이터의 영상신호를 다른 서브컨트롤유닛(20n)에 재전송할 수 있도록 시리얼데이터로 변환하고 케이블드라이버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출력부(25)와, 상기 영상입력부(21)에서 수신된 영상신호 중에서 ID선택부(26)에서 지정한 영역의 영상을 선택하여 영상메모리(25)에 저장하는 영상저장부(22)와, 표출할 영역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고속으로 동작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영상메모리(23)와, 복수의 LED를 동시에 제어하여 영상을 표출하고 각각의 LED에 영상데이터에 해당하는 밝기로 표출되도록 고속으로 제어하며 복수의 LED모듈(30)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메모리(23)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LED모듈(30)을 통해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표출부(24)와, 상기 영상입력부(2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지정된 ID만을 선택하여 영상저장부(22)로 출력하여 저장할 영상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ID선택부(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브컨트롤유닛(20)에는 단위모듈 휘도 제어 장치(40)가 포함된다. 단위모듈 휘도 제어 장치(40)에서 위치선택부(43)는 영상입력부(21)에서 출력된 영상신호 중에서 보정할 LED모듈(30)의 좌표만을 추출하여 플래시제어부(44)로 출력한다. 그리고 플래시제어부(44)는 위치선택부(43)에서 선택된 모듈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킨다. 이때, 플래시제어부(44)는 선택된 LED모듈(30)을 대략 0.5~1초 주기로 점멸(Blinking)시켜 작업자가 점멸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보정값선택부(41)는 영상입력부(2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보정값만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보정값은 보정값저장부(42)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보정값저장부(42)에 저장된 보정값은 표출부(24)를 통해 해당하는 LED모듈(30)애 적용된다. 보정값저장부(42)에 포함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적용되어 서브컨트롤유닛(20)에 전원이 오프된 후에 재기동될 때에 저장된 보정값은 삭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표출부(24)는 영상메모리(23)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LED모듈(30)에 영상을 표출함과 더불어 플래시제어부(44)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LED모듈을 확인하고 다른 LED모듈과 밝기를 비교하여 보정값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표출부(24)는 보정값저장부(42)에 저장된 보정값을 입력받아 LED모듈로 영상을 표출하는데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LED모듈의 밝기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정값을 영상신호에 적용하는 방법은 출력신호 = 입력신호 x 보정값으로 산출하되, 보정값이 1이면 최대 밝기로 표출하고, 보정값이 0.5이면 1/2 밝기로 표출한다.
따라서 각 서브컨트롤유닛(20~20n)에는 단위모듈 휘도 제어 장치(40)가 포함되어 서브컨트롤유닛에 의해 표출되는 복수의 LED모듈(30~30n) 중에서 보정할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LED모듈을 작업자가 전광판 앞에서 해당 LED모듈의 점멸 표시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메인컨트롤유닛(10)에서 보정데이터가 입력되면 보정값을 저장하고 적용하여 밝기가 상이한 다른 LED모듈들과 동일한 휘도로 균일한 영상을 표출한다.
도 3에서, 컴퓨터시스템(100)은 전광판(200)의 제어를 위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110)와, 키입력부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제어용 프로그램으로 연산 제어하여 전송부(130)를 통해 전광판(200)의 메인컨트롤유닛(10)으로 전송한다. 전송부(130)는 RS-232C, USB 또는 이더넷(Ethernet) 등의 통신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도 5에서, 전광판(200)은 가로방향(x축)으로 x개의 모듈이 배열되고 세로방향(y축)으로 y개의 모듈이 각각 배열된 경우에 전광판(200)의 전체 화면에서 좌측 최상단의 모듈 좌표를 (1, 1)이라고 우측 최하단의 모듈 좌표를 (x, y)로 정한다. 따라서 컴퓨터시스템(100)의 키입력부(110)의 화살표 키, 즉 좌측 키(←)(111), 우측 키(→)(112), 상측 키(↑)(113) 및 하측 키(↓)(114)의 입력을 제어용 프로그램이 인식하여 모듈의 좌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키입력부(110)의 키 입력에 따른 좌표신호는 컴퓨터시스템(100)의 전송부(130)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10)으로 전송되고 다시 서브컨트롤유닛(20)로 전송되어 해당하는 좌표의 LED모듈(30~30n)이 선택 및 점멸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전광판(200)의 화면을 보면서 키입력부(110)의 키 입력에 따른 점멸하는 LED모듈의 이동을 인식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휘도를 조절하려는 LED모듈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10)의 스페이스 바(117)를 입력하면 현재 선택된 LED모듈이 점멸되도록 하여 LED모듈의 위치좌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휘도를 조절하려는 LED모듈이 선택되면, 키입력부(110)의 페이지업 키(PgUp)(115)와 페이지다운 키(PgDn)(116)를 사용하여 해당하는 LED모듈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컴퓨터시스템(100)의 키입력부(110)의 페이지업 키(PgUp)(115)와 페이지다운 키(PgDn)(116)의 입력을 제어용 프로그램이 인식하여 해당 LED모듈의 밝기를 조절한다. 이때, 작업자는 조절하려는 LED모듈의 밝기가 인접하는 다른 모듈과의 밝기와 동일할 때까지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키입력부(110)의 키 입력에 따른 좌표신호는 컴퓨터시스템(100)의 전송부(130)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10)으로 전송되고 다시 서브컨트롤유닛(20)로 전송되어 해당하는 LED모듈(30~30n)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서브컨트롤유닛(20)은 해당 LED모듈의 휘도보정값을 메인컨트롤유닛(10)로부터 수신하면 밝기의 조절과 더불어 휘도보정값이 보정값저장부(42)에 포함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전광판(200)이 재기동되어도 항상 해당 LED모듈의 조절된 밝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광판 단위모듈 휘도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LED모듈의 휘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전광판(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컴퓨터시스템(100)의 중앙처리부(120)에서 특정 LED모듈(30~30n)의 휘도 조절을 위하여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의 좌표 및 휘도 보정값을 각각 초기화시킨다(S11). LED모듈의 좌표 초기화는 전광판(200)의 좌측 촤상단의 LED모듈의 위치좌표인 (1, 1)이고, 휘도 보정값은 중앙처리부(120)에 기본 설정된 임의의 밝기이다.
컴퓨터시스템(100)의 키입력부(110) 중에서 좌측 키(←)(111)가 입력되면(S12), 중앙처리부(120)는 전송부(130)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10)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20)에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30~30n)의 x축 좌표를 ??1씩 감소 이동시킨 후(S13) 해당 LED모듈을 점멸시키는 명령을 전송한다(S21). 또한, 키입력부(110) 중에서 우측 키(→)(112)가 입력되면(S14), 중앙처리부(120)는 전송부(130)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10)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20)에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30~30n)의 x축 좌표를 +1씩 증가 이동시킨 후(S15) 해당 LED모듈을 점멸시키는 명령을 전송한다(S21). 또한, 키입력부(110) 중에서 상측 키(↑)(113)가 입력되면(S16), 중앙처리부(120)는 전송부(130)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10)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20)에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30~30n)의 y축 좌표를 ??1씩 감소 이동시킨 후(S17) 해당 LED모듈을 점멸시키는 명령을 전송한다(S21). 또한, 키입력부(110) 중에서 하측 키(↓)(114)가 입력되면(S18), 중앙처리부(120)는 전송부(130)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10)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20)에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30~30n)의 y축 좌표를 +1씩 증가 이동시킨 후(S19) 해당 LED모듈을 점멸시키는 명령을 전송한다(S21). 더욱이 키입력부(110) 중에서 스페이스 바(117)가 입력되면(S20), 중앙처리부(120)는 전송부(130)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10)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20)에 현재 선택된 좌표의 LED모듈을 점멸시키는 명령을 전송한다(S21).
다음으로, 컴퓨터시스템(100)의 중앙처리부(120)는 키입력부(110)의 좌측 키(111), 우측 키(112), 상측 키(113) 또는 하측 키(114)의 입력으로 휘도를 보정할 LED모듈이 선택되면 키입력부(110) 중에서 페이지 업 키(PgUp)(115)가 입력되면(S22), 중앙처리부(120)는 전송부(130)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10)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20)의 해당하는 LED모듈(30~30n)의 초기 휘도 보정값에 +1씩 증가시킨 후(S23) 해당 좌표의 LED모듈의 보정값을 전송한다(S26). 또한, 컴퓨터시스템(100)의 중앙처리부(120)는 좌측 키(111), 우측 키(112), 상측 키(113) 또는 하측 키(114)의 입력으로 휘도를 보정할 LED모듈(30~30n)이 선택된 후에 키입력부(110) 중에서 페이지 다운 키(PgDn)(116)가 입력되면(S24), 중앙처리부(120)는 전송부(130)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10)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20)의 해당하는 LED모듈의 초기 휘도 보정값에 -1씩 감소시킨 후(S25) 해당 좌표의 LED모듈의 보정값을 전송한다(S26).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100: 컴퓨터시스템 10: 메인컨트롤유닛
20~20n: 서브컨트롤유닛 30~30n: LED모듈
21: 영상입력부 22: 영상저장부
23: 영상메모리 24: 표출부
25: 영상출력부 26: ID선택부
40: 휘도 제어 장치 41: 보정값선택부
42: 보정값저장부 43: 위치선택부
44: 플래시제어부 110: 키입력부
111: 좌측 키 112: 우측 키
113: 상측 키 114: 하측 키
115: 페이지업 키 116: 페이지다운 키
117: 스페이스 바 120: 중앙처리부
130: 전송부 200: 전광판

Claims (6)

  1.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광판의 작동을 제어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중앙처리부에서 특정 LED모듈의 휘도 조절을 위하여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의 좌표 및 휘도 보정값을 각각 초기화하는 단계;
    (b)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키입력부에서 특정 LED모듈의 선택을 위한 상하좌우의 좌표 이동 키가 입력되면 중앙처리부는 전송부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에 좌표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서브컨트롤유닛의 위치선택부는 영상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좌표신호를 추출하여 플래시 제어부를 통해 표출부에서 해당하는 LED모듈이 점멸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키입력부에서 선택된 LED모듈의 휘도 조절을 위한 페이지 업/다운 키가 입력되면 중앙처리부는 전송부를 통해 메인컨트롤유닛을 거쳐 서브컨트롤유닛에 보정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서브컨트롤유닛의 보정값선택부는 영상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보정신호를 추출하여 보정값저장부에 저장한 후 표출부에서 해당하는 LED모듈의 휘도가 보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키입력부는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의 초기 좌표로부터 x축 좌표의 좌우측 이동을 위하여 좌측 키(←)와 우측키(→)가 각각 선택 적용되고, 복수로 배열된 LED모듈의 초기 좌표로부터 y축 좌표의 상하측 이동을 위하여 상측 키(↑)와 하측 키(↓)가 각각 선택 적용되며, LED모듈의 선택을 위하여 x축 좌표와 y축 좌표로 이동된 후 현재 이동된 좌표의 LED모듈의 확인 위하여 스페이스 바(Space Bar)가 선택 적용되고, 선택된 LED모듈의 초기 휘도 보정값으로부터 휘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페이지 업 키(PgUp)와 페이지 다운 키(PgDn)가 각각 적용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휘도 보정값의 출력신호로 입력신호 x 보정값으로 산출하여 영상신호로 적용하되, 휘도 보정값이 1이면 최대 밝기로 표출되도록 하고, 휘도 보정값이 0.5이면 1/2의 밝기로 표출되도록 하는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26050A 2015-09-07 2015-09-07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65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50A KR101654082B1 (ko) 2015-09-07 2015-09-07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50A KR101654082B1 (ko) 2015-09-07 2015-09-07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082B1 true KR101654082B1 (ko) 2016-09-05

Family

ID=5693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050A KR101654082B1 (ko) 2015-09-07 2015-09-07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0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93A1 (ko) * 2017-09-29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203499A1 (ko) * 2018-04-17 2019-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1382841A (zh) * 2020-03-04 2020-07-07 卡莱特(深圳)云科技有限公司 一种估计屏体灯点间距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867A (ko) * 2006-06-28 2008-01-0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전광판 구동장치
KR101029241B1 (ko) 2010-10-07 2011-04-18 (주)윌넷 Led 패널의 영상표출 위치정보 설정방법
KR101374648B1 (ko) 2013-08-29 2014-03-17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온 시스템 led 개별 보정과 보정계수 이미지화로 검증과 보정이 용이한 전광판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867A (ko) * 2006-06-28 2008-01-0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전광판 구동장치
KR101029241B1 (ko) 2010-10-07 2011-04-18 (주)윌넷 Led 패널의 영상표출 위치정보 설정방법
KR101374648B1 (ko) 2013-08-29 2014-03-17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온 시스템 led 개별 보정과 보정계수 이미지화로 검증과 보정이 용이한 전광판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93A1 (ko) * 2017-09-29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203499A1 (ko) * 2018-04-17 2019-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308856B2 (en) 2018-04-17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display performance
CN111382841A (zh) * 2020-03-04 2020-07-07 卡莱特(深圳)云科技有限公司 一种估计屏体灯点间距的方法
CN111382841B (zh) * 2020-03-04 2021-02-19 卡莱特(深圳)云科技有限公司 一种估计屏体灯点间距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90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9891484B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10341626B2 (en) Image projection system,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projection system
KR102468270B1 (ko)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KR102513708B1 (ko) 표시 장치
JP6305242B2 (ja) マルチ画面表示装置
US20100213877A1 (en) Ambience lighting system for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mbience lighting system
KR101654082B1 (ko) 전광판의 단위모듈 휘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103645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08022552B (zh) 发光二极管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US20210082337A1 (en) Led display system and led display device
KR20130109439A (ko) 표시 장치
KR20170036866A (ko) 표시장치
US9526141B2 (en) Automatic color adjustment on LED screens
JP2008299066A (ja) 表示装置の表示調整方法
US20180261165A1 (en) Liquid crystal monitor device, display system, and backlight control method
US11605356B2 (en) Driv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cquiring current duty to drive backlight unit based on excluding text area in input image
CN104284118A (zh) 图像投射装置以及图像投射装置的控制方法
KR1025663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97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16831A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385264B1 (ko) Led 전광판 전력 절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2053387A (ja) バックライト装置、該バックライト装置を備えた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6103804B2 (ja) 映像表示装置
KR20190043186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