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386B1 -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 Google Patents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386B1
KR102318386B1 KR1020210014831A KR20210014831A KR102318386B1 KR 102318386 B1 KR102318386 B1 KR 102318386B1 KR 1020210014831 A KR1020210014831 A KR 1020210014831A KR 20210014831 A KR20210014831 A KR 20210014831A KR 102318386 B1 KR102318386 B1 KR 102318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iontophoresis
lidocaine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Priority to KR102021001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9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involving or responsive to electricity, magnetism or acoustic waves; Galenical aspects of sonophoresis, iontophoresis, electroporation or electroo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47Sonopheresis, i.e. ultrasonically-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electroporation of a pharmacologically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61P23/02Local 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8Anaesth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도카인을 이온토포레시스를 적용하여 피부로 침투시켜, 국소부위를 효과적으로 마취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HPMC 등에 의해 수성 겔의 성상을 띄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GEL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에 최적화된 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국소 마취를 위해 이온토포레시스의 원리를 이용하여 리도카인을 피부 속으로 단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이에 최적화된 겔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국소 마취]
주사를 통한 약물 투여는 병원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법이지만,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피부가 약한 사람들에게는 매우 아프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될 수 있다. 또한 병원 시술 중에는 수면 마취가 아닌 부분적 마취가 적절한 시술들이 있는데, 이러한 시술에서 필요 이상의 마취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들이 적용되면 환자 입장에서 불편할 수 있다.
즉 간편하지만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시술에 대해서는 짧은 시간 동안 특정 부위에 국소 마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환자 입장에서 편리하고 아주 효과적인 마취 기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에 최적화된 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리도카인을 마취가 필요한 특정 부위의 피부 속으로 빠르게 침투시키기 위해 전기적인 반발력을 이용하였으며, 이에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겔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이온토포레시스]
경피투여 방식은 약물에 따라 피부침투력이 부족해 유효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온성, 약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약물을 경피투여할 때 약물의 효과적인 피부침투를 유도하고자 전기적 추진력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예컨대 이온토포레시스, 일렉트로오스모시스, 일렉트로포레이션 등이 약물분자나 약물을 포함한 용매분자의 이온을 전류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전기적 추진력을 이용하는 방법 중에는 이온토포레시스가 가장 대표적인데, 이는 (+) 극과 (-) 극 사이에서의 전류의 흐름에 있어서 이온을 띤 분자에 같은 전하를 부여하여 약물을 보다 빠르게 피부 속으로 전달시키는 방법이다.
이온토포레시스는 이온화된 약물을 전류의 흐름에 따라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는 원리이므로 이온토포레시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전기를 발생하는 장치뿐 아니라, 그 효율의 향상을 위해 전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전해액도 요구된다.
1970년대에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약물의 경피투여 방법이 소개된 이래로 미국특허 제 4,842,577호, 미국특허 제 5,084,0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0112420호 등에서 이온토포레시스에 적합한 전기 발생 장치(이온 도입 기기) 또는 전해액 조성물 등이 제안되어 왔다.
본 발명은 리도카인을 겔 타입으로 목적하는 국소 부위에 도포한 후, 이의 피부 침투를 위해 이온토포레시스 기법을 적용한다.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리도카인 제제]
종래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리도카인 제제로서 아이오메드사에서 출시한 장치 및 약물 조성이 있다. 위 제품은 약물 조성이 이온화된 이온토카인 용액에 배합되어 있다. 이는 장치와 약물 조성을 하나의 키트로 제공하는데, 목적하는 국소 부위에 약물 조성인 이온토카인 용액을 솜으로 적신 다음, 여기에 장치를 연결하여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한다.
미국특허 제 4,842,577호 미국특허 제 5,084,0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01124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959524호
아이오메드사의 장치는 그 전류가 피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다 보니 사용 후 피부 발적이 심하며, 사용 중에도 전기적인 자극이 심하다. 또한 장치와 더불어 전극이 노드형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함에 불편함이 많다. 아울러 이온화된 이온토카인 용액을 사용하나 리도카인을 이온화시키는데 효율적이지 않고, 이온화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용액 자체에 약간의 피부 독성이 있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연구개발들이 이뤄졌으며, 이후 전압을 낮추어서 피부 발적을 줄이고, 이온토카인 용액을 프리-로드하는 방식을 적용하며, 장치를 일체형으로 만들어서 사용시 편리함을 제공하는 기술들이 나왔다.
하지만 이런 기술마저도 큰 단점이 있다.
프리-로드 또는 레저버 타입, 겔 흡수형 패치 등은 약물을 적시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이런 기법들은 사용 시 약물 용액을 적셔서 사용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는 것과 정량적 약물 로딩이 되지 않는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실제로 용액이 단순히 적셔져 있거나 일시적으로 흡수되어 있는 형태로서 약물의 보존성과 안정성이 상당히 떨어지며, 오염에 노출될 수 있어 이로 인한 피부 부작용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두 번째로 발적을 줄이면서 사용기기를 일체형으로 만들다 보니, 대부분 종이 베터리를 이용한 붙이는 방식으로 개발이 되었는데, 이 시스템은 두 가지 치명적 단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종이 베터리로 만든 일체형은 일회성으로 만들어진 제품이며 일회성으로 사용하기엔 가격이 비싸고, 사용된 소재들이 친환경적이지 못하다. 또한 종이 베터리의 출력이 너무 낮아서 적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효과가 아주 미미하다.
또한 종래의 이온토카인 용액은 피부, 특별히 얼굴 부위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그 이유는 용액의 pH 가 너무 낮아(예컨대 pH 3정도), 피부에 대한 자극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1.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며, 조성물의 pH 가 4.0 내지 5.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조성물.
2. 상기 1 에 있어서, 점도 20 ~ 100 grade 의 수용성 고분자(예컨대 HPM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 에 있어서,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조성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물 함량이 50 내지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HPMC의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 내지 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조성물.
6. (1)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겔을 피부에 바르는 단계;
(2) (1) 단계의 겔 위에 겔 지지용 패드를 붙이는 단계; 및
(3) (2) 단계의 겔 지지용 패드 위에 (+) 전극을 가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융합 마취 시스템(방법).
7. 상기 6 에 있어서, 겔 지지용 패드의 두께가 0.3 - 1.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융합 마취 시스템(방법).
8. 상기 6 에 있어서, 전류 조건이 0.05 - 0.4 m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융합 마취 시스템(방법).
9. 상기 8 에 있어서, 전류를 발생시킬 때 해당 전류 조건을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 자극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융합 마취 시스템(방법).
종래 리도카인 함유 크림제품은 30분 이상의 오랜 시간이 지나도 마취효과가 미비했으나,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겔 타입으로서 5분 만에 충분한 마취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종래 리도카인 함유 크림제품은 손바닥 같이 피부가 두꺼운 부위에서는 흡수가 되지 않아 효과 발현이 미비했으나,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손바닥과 같은 두꺼운 피부 부위에서도 충분한 마취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겔 조성의 이온 전도도, 수분 함량 및 pH 조건이 최적으로 구현되어 있어, 리도카인의 약물 투여 효율이 개선되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959524호보다 마취 범위 및 마취 지속시간(DLA, Duration Local Anesthesia)이 증대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겔 조성과 이온 기기 사이의 저항을 줄이고, 약물 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패키징된 겔을 사용하여 정량화된 리도카인 약물을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약물을 피부 자극 없이 전달하며, 환자에게 적절한 국소 마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폴리머의 적절한 배합을 통해 겔의 피부 점착력 및 접착력이 더 개선되어, 다른 접착물질의 첨가 없이 겔 조성을 국소부위에 효과적으로 부착시켜 이온토포레시스를 진행할 수 있고, 이온토포레시스 후 피부로부터 조성의 제거도 손쉽게 가능하다.
도 1 은 이온토포레시스 융합 마취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마취 정도를 VAS(Visual Analog Scale) 방법으로 측정할 때의 평가기준표이다.
도 3 은 리도카인 염산염 10% HPMC 겔로 이온토포레시스한 경우 마취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 는 리도카인 염산염 10% HPMC 겔로 이온토포레시스를 하지 않은 경우 마취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 는 제조예 2의 HPMC 겔로 이온토포레시스한 경우 마취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은 전류를 0.2mA 로 증가시켰을 때의 마취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 은 실험에 사용한 화장솜을 나타낸 도이다.
도 8 은 지지대 차이에 따른 마취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 는 조성의 pH 차이에 따른 마취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제조예 1의 HPMC 겔로 이온토포레시스한 경우 마취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 및 12는 종래 리도카인 크림 제형과 제조예 1의 HPMC 겔의 상대적 경피투과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3 내지 6 및 8 내지 10 은 각각 좌측부터 탈착 직후, 탈착 후 5분, 탈착 후 10분의 마취도 결과를 나타낸다.
[리도카인 겔 조성]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에 효과적인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수용성 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과 종래기술과의 차이점을 자세히 소개한다.
1. 주성분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종래는 리도카인 염(예컨대 리도카인 염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이 대다수였다. 이온토포레시스를 위해서는 이온화된 성분이 있어야 하는데, 염 화합물이 프리폼보다 이온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리도카인 프리폼(이하 '리도카인' 이라고도 함)을 주성분으로 하더라도 충분한 마취효과, 마취범위 및 마취지속시간을 발현할 수 있다. 제형을 겔 타입으로 하고, 겔 조성 및 전류 조건의 최적화를 구현했기 때문이다.
2. 수용성 고분자
본 발명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145962호와 달리 이온토포레시스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성 고분자를 필수적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고분자는 점도 grade 가 20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145962호와 달리 조성물의 최종 성상을 오일상과 수상의 혼합인 에멀젼 상태가 아니라, 수상의 겔 상태를 띌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리도카인은 지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145962호와 같이 오일상에서 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는 효과적인 이온토포레시스를 위하여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한 후 특정 pH 조건을 유도하는 수용성 상태에서 배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는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3 내지 7% 포함하는 것이 적당한 점도의 젤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의 일 예로는 HPMC 가 있다.
3.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은 PVP 를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더 포함할 수 있다. PVP 를 추가할 경우 점착력 추가 증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4. pH 조성
본 발명자의 선행발명인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조성은 pH 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 더 바람직하게는 7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리도카인의 경피 투과량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겔 조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959524호에 비해 pH 를 낮춘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 조성물의 pH 는 종래기술처럼 3 가까이의 강한 산성을 띄는 것도 아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959524호처럼 NaOH 등의 성분을 추가로 배합하여 pH 6.5 내지 8 의 중성을 띄는 것도 아니며, 4 내지 5.9 의 범위를 띈다. 바람직하게는 pH 4.6 내지 5.1 정도이며,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pH 범위를 띌 때 마취효과가 가장 우수하고, 피부자극이 덜하다.
pH 가 6.8 보다 높으면 리도카인이 석출될 수 있고, pH 가 6.0 정도면 마취 효과가 부족하다. 반대로 pH 가 낮으면, 즉 3 가까이의 산성 상태가 되면 이온토포레시스할 때 피부자극이 크다.
pH 조성은 공지의 조절제를 배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NaOH 등의 pH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5. 졸린 계열
본 발명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959524호의 카타플라스마 조성의 점착력 및 접착력과, 마취범위 및 마취지속시간(DLA, Duration Local Anesthesia)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졸린 계열을 더 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졸린 계열이라 함은 혈관 수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진 성분으로서, 예컨대 자일로메타졸린, 옥시메타졸린, 나파졸린 등을 말하며, 이의 프리폼 및 염 모두를 포함한다.
예컨대 졸린 계열 중 하나인 자일로메타졸린은 옥시메타졸린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자일로메타졸린염산염이 주로 코막힘, 콧물, 재채기 등의 알레르기성 비염과 코감기 대표증상에 사용되고, 점막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류를 감소시켜 코막힘을 완화하는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자일로메타졸린은 리도카인과의 배합 가능한 성분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145962호에서 간접적으로 시사된 바 있다. 해당 문헌은 리도카인과 아드레날린 수용체 아고니스트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마취제로 개시한다. 하지만 이는 이온토포레시스에 관한 것이 아니라서 조성 자체가 이온토포레시스에 적합한 조성이 아니며, 마취효과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 졸린 계열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포함하며, 이 경우가 마취 효과 유지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온토포레시스 융합 마취 시스템]
본 발명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이온토포레시스를 진행할 수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겔을 마취가 요구되는 국소피부부위에 바르는 단계;
(2) (1) 단계의 겔 위에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겔 지지용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3) (2) 단계의 지지대 위에 (+) 전극을 가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2) 단계에서 겔 지지용 패드는 화장솜 또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를 사용한다. 부직포는 흡수 접착 특성의 것이 사용편의성상 바람직하다. 이런 겔 지지용 패드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위해 필요한 공간을 만드는 데 있어서 필요하다.
겔 지지용 패드의 두께는 0.3 - 1.0 mm 인 것이 피부 발적을 최소화하고 이온토포레시스 효과를 극대화하며 피부에 잘 점착될 수 있다.
상기 (3) 단계에서 전류는 0.05 - 0.4 mA 인 것이 발작을 최소화하면서 마취 효과를 증진시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전류를 발생시키는 이온 도입 기기의 일반적인 내용은 공지기술에서 적절히 채택 또는 치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잡하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 자극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전기 자극기는 손바닥으로 기기를 잡고 있는 쪽에 (-) 극이 있고, 겔 지지용 패드에 (+) 극이 접촉될 수 있도록 이온 도입 기기가 구현되어 있어, 전극이 출력부가 되고 손잡이가 접지부가 되어, 한 손으로 잡고 있으면 전기가 체내로 통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은 특별히 점착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지 않더라도 점착력이 우수하여 마취가 필요한 국소 부위에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종래 리도카인 함유 크림은 30분 이상이 지나도 마취효과가 미비했다. 정확한 것은 아니나 본 발명자의 추측으로는 마취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신경채널이 열리고 해리된 리도카인이 반응을 해야 하는데, 종래 제품은 신경채널이 열리지 않거나 해리된 리도카인의 양이 적어, 마취효과가 미비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5분이라는 짧은 시간 내에 충분한 마취효과, 마취범위 및 마취 지속시간을 나타냈다. 본 발명자 판단으로는 전기적인 자극에 의해 신경채널이 열리고 해리된 리도카인이 신경 채널과 반응하여 마취효과를 나타냄에 있어서 본 발명이 최적화된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짐작한다. 즉 제형을 크림이나 패드 혹은 패치제가 아닌 겔 타입으로 하고,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pH 범위를 발견했으며, HPMC 등의 수성타입의 조성을 구현하고, 여기에 특정 전류 조건으로 이온토포레시스를 적용한 것이 서로 시너지 작용을 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신속하게 마취효과가 나타난다. 예컨대 5분 안에 마취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크림과 달리 손바닥과 같은 두꺼운 피부부위에서도 마취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를 소개하는 것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실시예]
1. 겔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리도카인 유리염기 포함 조성
성분 % g
리도카인 유리염기 9.60 9.60
HCl 1.46 1.46
NaOH 0.02 0.02
프로필렌글리콜 5.00 5.00
글리세린 15.00 15.00
HPMC 5.00 5.00
PVP 1.00 1.00
정제수 62.92 62.92
합계 100.00 100.00
pH 5.05
단계 1) 리도카인 유리염기는 기허가 제품의 리도카인 농도가 9.6 % 이므로, 효과 대비를 위해 이와 같은 9.6 % 를 사용하였다. HCl 은 리도카인 유리염기를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하였다. NaOH 는 용해된 리도카인 유리염기 용액의 pH 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즉 리도카인 유리염기를 HCl 에 용해시킨 후 NaOH 로 중화시켰다.
단계 2) 본 발명의 필수성분인 HPMC 가 물에 녹긴 하지만 용해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특별히 산성 용액에서 더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HPMC 를 글리세린에 먼저 분산시켜 사용하면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프로필렌글리콜은 리도카인 흡수 촉진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HPMC 는 수용액이 점성을 갖는 젤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HPMC 의 함량이 낮으면 점성이 낮아 적절한 함량비율을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HPMC 를 글린세린에 분산시킨 뒤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했다.
단계 3) PVP 는 최종 조성이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쉽게 흘러내리지 않도록 점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PVP 를 정제수에 용해시켰다.
단계 2 의 조성에 단계 1 의 조성을 넣은 뒤 교반했다. 이어서 단계 3 의 조성을 첨가하여 10분간 overhead stirrer 를 이용하여 교반했다.
제조예 2 리도카인 염산염 및 자일로메타졸린 염산염 포함 조성
리도카인 염산염 10%, 자일로메타졸린 염산염 1% 수용액을 제조한다. 제조한 수용액을 80℃까지 가열한 뒤 HPMC 5% 를 넣고 800 rpm 으로 교반한다. HPMC 를 전부 녹인 후 가열을 멈춰 식히면서 PVP 1% 를 넣고 800 rpm 으로 교반한다. PVP 를 전부 녹인 후 상온에 방치하여 냉각한다. 최종 조성은 아래와 같다.
단위: 중량%
리도카인 염산염 10%
자일로메타졸린 염산염 1%
HPMC 5%
PVP 1%
증류수 83%
2. 마취도 테스트 방법
제조한 겔 약 1g 을 잘 펴서 바른다. 겔 지지용 패드의 크기는 30x30mm 를 사용했다. 두께는 0.3 - 1.0 mm 의 조건을 만족한다. 마취를 적용할 국소부위에 겔을 바른 다음, 겔 지지용 패드를 붙이고, (+) 전극을 붙인 후 잘 고정한다. 조금 떨어진 곳에 물에 적신 겔 지지용 패드를 붙이고 (-) 전극을 붙인 후 잘 고정한다. 5분간 전류를 발생시켜 이온토포레시스를 시행한다. 이온토포레시스 후 시간에 따른 마취도를 도 2 의 VAS 스코어로 평가한다.
3. 이온토포레시스의 효과 비교
제조예 2 에서 자일로메타졸린 염산염만 제외한 채 제조한 리도카인 염산염 10% HPMC 겔을 이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 진행 여부에 따른 마취효과를 비교하였다.
이온토포레시스 조건은 전류는 0.1mA, 시간은 5분 진행하였고, 이온토포레시스 종료 후 5분간 더 겔 지지용 패드를 부착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4 에서 보듯이 이온토포레시스를 한 경우 마취효과에 있어서 확실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자일로메타졸린 추가에 따른 효과
제조예 2 에서 제조한 HPMC 겔로 상기 3 과 동일한 실험조건에서 마취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 에서 보듯이 자일로메타졸린 염산염을 사용하였을 때 마취 지속성이 더 좋아졌다. 그러나 초기 마취 정도는 다소 약화되었는데, 이는 리도카인 염산염과 자일로메타졸린 염산염 모두 (+)극을 띄고 있어 서로 경쟁적으로 전기에너지에 반응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5. 전류의 세기에 따른 효과
상기 4 의 실험과정에서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고 전류의 세기만 0.1mA 에서 0.2mA 로 증가시켜 마취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6 에서 보듯이 전류의 세기가 높아질 경우 초기 마취도 또한 좋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극의 크기가 5cm2 이므로 전류 밀도는 40μA/cm2 이며, 전류세기는 0.2mA 이다.
6. 겔 지지용 패드 종류에 따른 효과
상기 5 의 실험과정에서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고 겔 지지용 패드만 부직포가 아닌 화장솜을 사용하여 마취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화장솜 종류는 도 7 과 같다. 그 결과 도 8 에서 보듯이 화장솜보다는 부직포에서 더 마취효과가 좋았다. 화장솜 중 엠보싱은 피부와 닿는 면적이 작아 효과를 보지 못했다. 2중 puff 는 특이한 구조 때문에 겔이 잘 스며들지 않아 효과를 보지 못했다. 화장솜 중에서는 soft pad 에서 가장 나은 효과를 보였다.
7. 조성의 pH 차이에 따른 효과
상기 5 의 실험과정에서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고 제조한 HPMC 겔의 pH 만 6.0 으로 제조하여 마취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제조예 2 의 기본적으로 pH 를 조성하지 않았을 때 겔의 pH 는 약 4.6 근처이다.
pH 를 6.8 까지 증가시킨 경우는 리도카인이 석출되었고, pH 7.0 에서는 리도카인이 대부분 석출되어 용액이 뿌옇게 되었다.
pH 6.0 의 겔을 제조하여 마취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도 9 에서 보듯이 pH 4.6 인 겔보다 효과가 떨어졌다.
8. 제조예 1 에서 제조한 HPMC 겔로 상기 5의 실험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서 보듯이 도 6의 결과와 유사한 마취효과가 나타났다. 특별히, 제조예 2와는 달리 자일로메타졸린 없이도 10분 이상의 지속효과를 보였다.
9.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조예 1과 종래 리도카인 크림 제형을 이용하여 경피투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11 및 12와 같이 이온토포레시스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 2시간 뒤 투과량을 100%로 하여 상대적인 투과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종래 리도카인 크림 제형의 경우 113% 더 투과된 반면, 제조예 1의 경우에는 349%가 더 투과되었다.

Claims (7)

  1. 리도카인 유리염기, 물 및 HPMC 를 포함하며, 조성물의 pH 가 4.0 내지 5.9 이고, 물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0 내지 70 w/w%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리도카인 유리염기의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 w/w%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조성물.
  3. 삭제
  4. (1) 제 1 항에 따른 겔을 피부에 바르는 단계;
    (2) (1) 단계의 겔 위에 겔 지지용 패드를 붙이는 단계; 및
    (3) (2) 단계의 겔 지지용 패드 위에 (+) 전극을 가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융합 마취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겔 지지용 패드는 두께가 0.3 - 1.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융합 마취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전류 조건이 0.05 - 0.4 m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융합 마취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전류를 발생시킬 때 해당 전류 조건을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 자극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융합 마취 시스템.
KR1020210014831A 2021-02-02 2021-02-02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KR102318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831A KR102318386B1 (ko) 2021-02-02 2021-02-02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831A KR102318386B1 (ko) 2021-02-02 2021-02-02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386B1 true KR102318386B1 (ko) 2021-10-27

Family

ID=7828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831A KR102318386B1 (ko) 2021-02-02 2021-02-02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3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2577A (en) 1986-10-20 1989-06-27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Plaster structural assembly for iontophoresis
US5084006A (en) 1990-03-30 1992-01-28 Alza Corporation Iontopheretic delivery device
KR20010112420A (ko) 1999-04-12 2001-12-20 나까도미 히로다카 이온토포레시스용 디바이스
KR101959524B1 (ko) 2018-09-19 2019-03-18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리도카인을 포함한 이온토포레시스용 점착성 카타플라스마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2577A (en) 1986-10-20 1989-06-27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Plaster structural assembly for iontophoresis
US5084006A (en) 1990-03-30 1992-01-28 Alza Corporation Iontopheretic delivery device
KR20010112420A (ko) 1999-04-12 2001-12-20 나까도미 히로다카 이온토포레시스용 디바이스
KR101959524B1 (ko) 2018-09-19 2019-03-18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리도카인을 포함한 이온토포레시스용 점착성 카타플라스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kshi et al. Iontophoretic skin delivery systems: Success and failures
JP4090072B2 (ja) 経皮電気的移送式作用剤投与を促進するための組成物と方法
JP4339280B2 (ja) フェンタニール及びスフェンタニールの経皮電気的移送式投与デバイス
US20200179314A1 (en) Lidocaine Patch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07538010A (ja) フィコトキシンの経皮投与
AT413489B (de) Elektrotransporteinrichtung zur verabreichung eines als fentanylsalz oder als sufentanilsalz vorliegenden analgetischen medikaments
US5883135A (en) Composition, device, and method for enhanced electrotransport agent delivery
WO2022100120A1 (zh) 一种利多卡因与丙胺卡因药物组合物的外用制剂及其应用
JP4393641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粘着ゲル組成物及びその装置
JPH0414081B2 (ko)
KR102318386B1 (ko)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겔
EP0825876B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enhancing electrotransport agent delivery
KR101959524B1 (ko) 리도카인을 포함한 이온토포레시스용 점착성 카타플라스마 시스템
KR102022336B1 (ko) 국소 통증 완화 카타플라즈마 패치
AU2015238858A1 (en) Pharmacokinetics of iontophoretic sumatriptan administration
JP2007044258A (ja) 注射針挿入孔付き経皮吸収用パッチ
JPH0640947A (ja) 経皮吸収製剤用組成物および経皮吸収製剤
KR20010080563A (ko) 이온침투요법용 점착겔 조성물 및 그 장치
Panzade Iontophoresis: A functional approach for enhancement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EP0813879B1 (en) Drug administration composition for iontophoresis
JP2003528045A (ja) フェニルプロパノールアミンの経皮投与
KR100347883B1 (ko) 국소마취제를 함유한 약용겔제 조성물
DuPont Clinical use of iontophoresis to treat facial pain
KR100345917B1 (ko) 전기침투를 이용한 비수용성 이온토포레시스 경피전달패취
Vranić Iontophoresis: fundamentals, developments and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